KR20000023375A -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375A
KR20000023375A KR1019990040886A KR19990040886A KR20000023375A KR 20000023375 A KR20000023375 A KR 20000023375A KR 1019990040886 A KR1019990040886 A KR 1019990040886A KR 19990040886 A KR19990040886 A KR 19990040886A KR 20000023375 A KR20000023375 A KR 2000002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gence
correction
ray tube
cathode ray
correc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208B1 (ko
Inventor
야마모또나오끼
야나이요시아끼
미야께고스께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2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자계를 발생시키는 링형의 보정 코일을 칼라 음극선관의 넥부 상에 제공된 CMP(4)의 음극측 상에 장착시킴으로써, 이 보정 코일은 편향 요크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제어 회로로부터 이러한 구성의 보정 코일로 보정 전류를 공급하여 발생된 자계를 사용함으로써, R 및 G 빔 수평 라인의 컨버전스 오차에 대한 보정을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을 발생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또한, 보정 코일이 형광 스크린에서 떨어져 배치되므로, 형광 스크린 상에서의 대량의 컨버전스 보정을 보장할 수 있어, 제어 회로에서 보정 코일로 공급되는 전류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CONVERGENCE DEVICE CAPABLE OF CORRECTION OF CONVERGENCE WITHOUT LANDING TRANSITION OR RASTER ROTATION}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자계 등에 의해 유발되는 컨버전스 에러를 방지하도록 조절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칼라 음극선관이 출하된 후에, 작동 중 외부 자계에 의해 유발되는 컨버전스 에러를 사용자가 직접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수평 라인의 컨버전스 슬리핑(slipping)를 보정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CPM(Convergence Purity Magnet)의 전면에 배치된 편향 요크의 후단에 장착된 보정 코일을 이용해 왔다.
이것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구조의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은 일본 특개평 96-185812에 개시되어 있다.
칼라 음극선관 유닛(101)은 넥부(102)상에 장착된 편향 요크(103)와 CPM(104)간에 감겨진 보정 코일(105), 및 제어 회로(107)를 포함하는 컨버전스 장치(106)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칼라 음극선관의 넥부(102)는 통상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넥부(102)의 내부에, 전자빔 R, G, B를 방출하는 음극(117), 음극(117)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118), G1 전극(110), G2 전극(111), 및 G3 전극(112)과 G4 전극(113)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MFL(Main Focus Lens)을 포함하는 3극부(triode portion)를 구비하고 있다. MFL에 의해 야기되는 전자빔(115)의 정적 컨버전스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는 MFL 위치(14)로서 도시된다. 또한, 넥부(102)의 외부 둘레상에서 MFL 위치(114)의 주위에 보정 코일(105)이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음극선관 유닛은 전자빔 R, G, B의 사이드 빔 R 및 B를 MFL 주위에서 휘어지도록 작용하도록 배치되므로,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컨버전스 보정 동작과 동시에 야기된다.
편향 요크의 편향점 근처까지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보정 코일(105)에 의한 자계로 인한 전자빔의 궤도 변화에 기인하여, 제어 회로(107)로부터 편향 요크(103)와 CPM(104)와의 사이에 배치된 보정 코일(105)로 컨버전스 보정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랜딩 천이 및 라스터 회전이 생성된다.
또한, 외부 자계에 의한 컨버전스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인가되는 이러한 칼라 음극선관의 보정량은 다소 불충분하다. 필요하고 충분한 보정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정 코일(105)의 권수를 증가시키거나 제어 회로(107)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전류를 증가시키는 수단 밖에 없으나, 이러한 수단은 불가피하게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다시 말하면, 보정 코일(105)과 형광 스크린(116)과의 거리가 짧은 경우, 형광 스크린(116)상의 컨버전스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빔에 대한 보정 코일의 자력을 증가시켜야 하고, 그 결과 제어 회로(107)로부터 보정 코일(105)로의 전원 공급이 불가피하게 증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소된 소비 전류로 컨버전스의 고감도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은 음극과 CPM(Convergence Purity Magnet)와의 사이에 배치된 보정 코일, 및 보정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 회로로 구성되는 컨버전스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에서, 보정 코일이 음극과 CPM과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보정 코일은 편향 요크와 이격되어 제공된다. 그러므로, 제어 회로로부터의 전류로 인해 보정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계가 편향 요크상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므로,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발생되지 않고 컨버전스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넷의 4극 마그넷은 메인 포커스 렌즈의 음극측에서 전자빔의 사이드 빔을 넥부의 관축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포커스 렌즈, 및 음극, G1 전극, 및 G2 전극을 포함하는 3극부내의 전자빔의 사이드 빔의 축에 대응하며 넥부의 관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메인 포커스 렌즈의 축은, 메인 포커스 렌즈의 음극측상의 위치에서 전자빔의 사이드 빔을 관축 쪽으로 휘어지게 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은 편향 요크로부터 이격되어 보정 코일을 배치시킴으로써, 보정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할지라도 랜딩 특성 및 스트레인 특성이 변화지 않는다. 또한, 형광 스크린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보정 코일에 의해 전자빔을 보정하므로, 형광 스크린상에서 큰 보정량이 보장될 수 있음으로 인해, 제어 회로로부터 보정 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형의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컨버전스 장치와 전자총의 MFL 위치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칼라 음극선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컨버전스 장치를 장착한 도 3의 칼라 음극선관의 넥부에 대한 구성도.
도 5는 넥부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컨버전스 장치와 전자총의 MFL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칼라 음극선관
2 : 넥부
3 : 편향 요크
4 : CPM
4a : 2극 마그넷
4b : 4극 마그넷
4c : 6극 마그넷
5 : 보정 코일
7 : 스페이서
8 : 록 링(lock ring)
9 : 조임 밴드
10 : G1 전극
11 : G2 전극
12 : G3 전극
13 : G4 전극
14 : MFL 위치
15 : 전자빔
16 : 형광 스크린
60 : 컨버전스 장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칼라 음극선관(1)은 빔 R, G, B로 이루어진 전자빔(15)을 방출하기 위한 전자총(도 5를 참조)이 장착된 넥(neck)부(2), 및 퓨리티 및 컨버전스를 조절하기 위한 CPM(4), 전자빔(15)의 사이드 빔 R과 B의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코일(5), 및 보정 코일(5)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회로(10)를 포함하는 컨버전스 장치(60)를 구비한다. 게다가, 칼라 음극선관(1)은 전자빔(15)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요크(3), 섀도우 마스크(19) 및 형광 스크린(16)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수직 방향은 각 도면에 나타난 Y 방향을 나타내고, 수평 방향은 각 도면에 나타난 X 방향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버전스 장치(60)의 CPM(4)과 보정 코일(5)은 넥부(2)의 외부 주위에 부착된다. CPM(4)는 형광 스크린(16)측으로부터 시작하여, 퓨리티 조절 2극 마그넷쌍(4a), 컨버전스 조절 4극쌍 및 6극 마그넷쌍(4a, 4b) 및 이들 사이의 삽입 스페이서(7)가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보정 코일(5)은 도 3에서 CPM(4)의 우측, 즉 음극(17)(도 5를 참조)측상에 나타나고, CPM(4)와 보정 코일(5)는 록 링(lock ring; 8)에 의해 밀착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록 링(8)에 의해 하나의 유닛으로서 고정된 CPM(4)와 보정 코일(5)은, 넥부(2)의 소정 위치에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 밴드(9)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부(2)의 안쪽에 제공된 전자 총은 음극(17), 히터(18), G1 전극(10) 및 G2 전극(11)으로 이루어진 3극부, 및 G3 전극(12)과 G4 전극(13)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극들로 이루어진 MFL(Main Focus Lens)를 구비한다. MFL에 의한 정적 컨버전스를 조절하여 전자 빔(15)을 휘는 위치를 MFL 위치(14)로서 표시한다.
칼라 음극선관(1)의 동작 원리를 이하에 설명한다.
전자총의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 빔(15)은 퓨리티 및 컨버전스를 조절하기 위한 CPM(4)에 의해 보정된다. 편향된 전자빔(15)이 섀도우 마스크(19)의 홀(hole)을 관통하여 형광 스크린(16)을 때림으로써 3가지 색 R, G, B가 조사된다.
이제, 칼라 음극선관(1)의 제조 공정에서, 편향 요크(3)를 조절하여 3가지 색 R, G, B가 칼라 음극선관(1)의 형광 스크린(16) 상에서 서로 일치하게 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때 형광 스크린(16)이 남북 방향쪽으로 배향된다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 빔(15)의 사이드 빔 R과 B는 지자계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광 스크린(16) 상의 수직 방향으로 컨버전스 에러가 발생한다.
보정 코일(5)은 제어 회로(10)로부터의 보정 전류로부터 자계를 생성하고, 이 자계에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쉬프트되는 사이드 빔 R과 B를 수직 이동시킴으로써 컨버전스의 보정을 행한다.
이제, 보정 코일(5)에 의해 수행될 사이드 빔 R과 B의 컨버전스의 보정을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넥부(2)에 감겨진 보정 코일(5)이 관축(tube axis) 방향으로 자계를 생성한다고 할지라도, 전자빔의 방향이 음극으로부터 형광 스크린(16)쪽으로 관축 방향인 경우에, 이러한 자계만으로 전자빔을 관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그러나, 정적 컨버전스의 상태를 취하기 위하여, 사이드 빔 R과 B는 관축 방향으로 약간 기울여진다. 따라서, 관축의 방향에 수직한 자계는 관축 방향에 수직한 속도 성분에 따라 작용함으로써, 사이드 빔 R과 B가 수직하게 이동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을 사용하는 경우, 정적 컨버전스의 상태는 MFL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만일 관축의 방향에 수직한 전자 빔(115)의 속도 성분을 생성하는 위치, 즉 MFL 위치(114)와 보정 코일(105)의 위치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관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사이드 빔 R과 B를 편향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정 코일(5)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MFL 위치(14)(음극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 전자 빔들 R과 B가 편향되지 않는 일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빔(15)의 사이드 빔 R 및 B을 휘게하는 위치가 CPM(4)의 이면에 있는 보정 코일(5)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면에 설정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환언하자면, 이러한 구조는 전자빔(15)의 사이드 빔 R 및 B의 속도 성분을 MFL 위치(14)의 이면에 배치된 보정 코일(5)의 영향 영역 내의 관축 방향으로 발생시키도록 의도한 것이다.
MFL 위치(14)의 이면에서 사이드 빔 R 및 B를 휘게 하여 관축 방향으로 속도 성분을 발생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OCV라 칭하는 것을 채용하였다. 이 방법은 의도적으로 CMP없이 MFL에 의해 오정렬된 정적 컨버전스 상태가 형광 스크린(16) 상에서의 컨버전스 오차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적 컨버전스가 CMP(4)의 4극 마그넷(4b)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자빔(15)은 4극 마그넷(4b) 부근에서 휘어지기 시작하여, 속도 성분이 관축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MFL 위치(14)의 이면의 위치에서 사이드 빔 R 및 B을 휘게하는 다른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음극, G1 전극 및 G2 전극를 구비한 3극부의 축과, 서로 편심 관계에 있는 MFL의 축을 위치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빔 R 및 B을 전자총의 3극부 내의 각 경로에 대해 관축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전자빔(15)의 사이드 빔 R 및 B은 G3 전극(12) 부근에서 휠 수 있어, 속도 성분이 관축을 향해 발생되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보정 코일(5)은 편향 요크(3)와 보정 코일(5) 간에 위치된 CMP(4)를 구비하므로, 보정 코일(5)은 편향 요크(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보정 코일(5)에 의해 발생된 자계가 편향 요크(3)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랜딩 천이 및 라스터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빔이 MFL 위치(14)에 도달하기 전에 사이드 빔을 휘게 하므로 보정 코일(5)에 전류가 공급될 때라도 랜딩 특성 및 스트레인 특성이 변화하지 않고, 또한 전자빔(15)은 형광 스크린(16)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보정 코일(5)에 의해 보정되기 때문에 제어 회로(10)로부터 보정 코일(5)로 공급되는 보정 전류가 작더라도 형광 스크린(16) 상에서의 대량의 컨버전스 보정을 보장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 및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변형 및 등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컨버전스 보정 장치의 보정 코일에 전류를 흘릴 때 발생하는 랜딩 천이, 라스터 회전 포커스 특성 열화라고 하는 특성면에서의 악영향을 본 발명에 따른 컨버전스 보정 장치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컨버전스 보정 장치에 의해, 컨버전스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빔을 방출하는 음극, 및 G3 전극 및 G4 전극을 포함한 다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메인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전자총;
    상기 전자빔의 진행 방향을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
    상기 메인 포커스 렌즈보다 상기 음극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2극, 4극, 및 6극 마그넷을 구비하는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넷;
    상기 음극과 상기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넷 사이에 배치된 보정 코일과, 상기 보정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컨버전스 장치;
    내부에 전자총을 구비하고 외부에 상기 편향 요크, 상기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넷 및 상기 보정 코일을 구비하는 넥부; 및
    상기 전자빔에 의해 조사되어지는 광을 방출시키는 형광 스크린
    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전스 퓨리티 마그넷의 4극 마그넷은 상기 전자빔의 사이드 빔이 상기 메인 포커스 렌즈의 상기 음극측 상의 위치에서 상기 넥부의 관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기능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포커스 렌즈 - 상기 메인 포커스 렌즈의 축은 상기 음극, G1 전극 및 G2 전극을 구비하는 3극부 내에 있고 상기 넥부의 관축으로 경사지는 상기 사이드 빔의 축에 대응함 - 는 상기 전자빔의 사이드 빔을 상기 메인 포커스 렌즈의 상기 음극측 상의 위치에서 상기 관축을 향하여 휘게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19990040886A 1998-09-24 1999-09-22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KR100313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69745A JP2000100347A (ja) 1998-09-24 1998-09-24 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1998-269745 1998-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375A true KR20000023375A (ko) 2000-04-25
KR100313208B1 KR100313208B1 (ko) 2001-11-07

Family

ID=1747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886A KR100313208B1 (ko) 1998-09-24 1999-09-22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62525B1 (ko)
JP (1) JP2000100347A (ko)
KR (1) KR100313208B1 (ko)
TW (1) TW4442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804A (ko) * 2000-12-29 2002-07-10 이형도 편향요크
US7432690B2 (en) * 2005-05-27 2008-10-07 Hubbell Incorporated Dual circuit wall switch occupancy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5944911A (zh) * 2016-06-13 2016-09-21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流水线生产用的pcb板自动点胶装置
CN105944910A (zh) * 2016-06-13 2016-09-21 苏州格兰斯柯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pcb板的自动点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601501A (nl) * 1986-06-10 1988-01-04 Philips Nv Electromagnetische, direct op een drager gewikkelde, afbuigeenheid.
JPH0364835A (ja) * 1989-07-31 1991-03-20 Matsushita Electron Corp 偏向ヨーク
US5019745A (en) * 1989-08-24 1991-05-28 Rca Licensing Corp. UV-curable adhesive attachment means and method for a cathode-ray tube-yoke combination
JPH03269932A (ja) * 1990-03-19 1991-12-02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JP3207475B2 (ja) * 1991-12-13 2001-09-1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6349421A (ja) * 1993-06-02 1994-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表示装置
US5475282A (en) * 1993-08-18 1995-12-12 Efa Corporation Dual-coil type CRT image tilt correcting device
JPH08185812A (ja) 1995-01-05 1996-07-16 Hitachi Ltd カラーcrtディスプレイ
KR100193615B1 (ko) * 1996-07-31 1999-06-15 이형도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
JPH10144235A (ja) * 1996-11-15 1998-05-29 Sony Corp 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4225B (en) 2001-07-01
KR100313208B1 (ko) 2001-11-07
US6262525B1 (en) 2001-07-17
JP2000100347A (ja) 200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208B1 (ko)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WO1997008729A1 (en) Color display device including landing-correction means
KR100301323B1 (ko) 칼라수상관
KR0131921Y1 (ko) 칼라 음극선관의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
KR100213783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KR0133797Y1 (ko) 칼라 음극선관의 퓨리티 컨버전스 마그네트
JPH0359931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910007739B1 (ko)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KR100355852B1 (ko) 편향요크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장치
KR950000511Y1 (ko) 컨버전스 보정장치를 구비한 편향요크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759405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298473Y1 (ko) 칼라음극선관용컨버젼스퓨리티마그네트고정구조
KR100294201B1 (ko) 비원형의 넥크부를 갖는 음극선관과 이에 적합한 색순화자석 조립체
KR19990021639U (ko) 편향요크의 디스토션 보정회로
JP2003009170A (ja)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
KR20000025809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20010067417A (ko) 컬러음극선관장치
JP2002025469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陰極線管
US20030209968A1 (en) Color picture tube and deflection system for color picture tubes having improved convergence
KR20020035388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5001126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 크
JP2002015684A (ja) コンバージェンス補正装置及び偏向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