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739B1 -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39B1
KR910007739B1 KR1019890000368A KR890000368A KR910007739B1 KR 910007739 B1 KR910007739 B1 KR 910007739B1 KR 1019890000368 A KR1019890000368 A KR 1019890000368A KR 890000368 A KR890000368 A KR 890000368A KR 910007739 B1 KR910007739 B1 KR 91000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field
vertical
vertical deflection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140A (ko
Inventor
강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739B1/ko
Publication of KR90001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편향오차 보정장치를 보인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도에서 코마수차 보정코일의 설치상태 및 발생자계를 보인 개략도.
제3도는 일반적으로 수직 편향코일에 의하여 발생되는 배럴형 자계의 분포를 보인 설명도.
제4도는 수직 편향코일에 의하여 발생되는 배럴형 자계중에서 부의 6극 자계성분에 의한 전자빔의 영향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수직 편향코일 3, 4 : 제1 및 제2전압 유도코일
5 : 코마수차 보정코일 6, 7 : 가변저항
8 : 수직 보조코일 11 : 모듈레이터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편향요크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편향코일의 발생자계중에서 부의 6극 자계성분에 의하여 발생되는 코마수차와, R, G 및 B의 3비임이 새도우 마스크상의 한점에서 집중되지 않는 미스 컨버전스(mis-convergence)를 보정하는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 G 및 B의 3비임을, 편향요크에 설치된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의 발생자계에 따라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편향 및 화면상에 주사시켜 소정의 화상을 현출하게 된다.
이러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R, G 및 B의 3비임이 새도우 마스크상의 한점에서 집중되지 않을 경우에는 현출되는 화상의 색상이 어긋나게 되는 미스 컨버전스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 편향코일이 발생하는 자계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배럴(barrel)형 자계로서, 배럴형 자계는 2극 자계성분과 부의 6극 자계성분으로 분리되고, 이 부의 6극 자계성분에 의하여 3비임은 코마수차(coma aberration)를 발생하게 된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 편향코일이 발생하는 부의 6극 자계성분에 의하여 G비임이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는 힘을 받게되고, R 및 B비임은 외측으로 벌어지는 힘을 받게되어 G 비임이 R 및 B비임에 비하여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코마수차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빔의 편향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직 편향코일에 직렬로 보정코일을 부착하여 코마수차를 보정하였고, 또한 수직 편향코일에는 수직 보조코일을 부착하고, 수평 편향코일에는 리액터 코일을 부착한 모듈레이터를 사용하여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편향오차 보정방법은 수직 편향코일에 코마수차 보정코일 및 모듈레이터의 수직 보조코일을 직렬로 접속하는 것이므로 저항 및 코일의 임피던스의 값을 조정하는 데 한계가 있고, 또한 소비전력이 증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셀프컨버전스(self-convergence) 시스템에 있어서도 수직 편향코일이 발생하는 부의 6극 자계성분에 의하여 코마수차가 발생하여 화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코마수차 및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편향자계로부터 수직 편향전압을 유도하고, 그 유도한 수직 편향전압을 코마수차 보정코일에 인가하여 코마수차를 보정함과 아울러 모듈레이터의 수직 보조코일에 인가하여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편향자계로부터 유도한 수직 편향전압으로 정의 6극 자계성분을 발생시켜 수직 편향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부의 6극 자계성분과 상쇄시킴으로서 코마수차를 보정하고,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에 의하면, 수직 편향코일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자계로부터 2경로로 수평 편향전압을 유도하고, 일측 경로로 유도한 수직 편향전압은 코마수차 보정코일에 인가하여 정의 6극 자계성분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직 편향코일에서 발생되는 부의 6극 자계성분을 상쇄시켜 코마수차를 보정함과 아울러 타측 경로로 유도한 수직 편향전압을 모듈레이터의 수직 보조코일에 인가하여 미스컨버전스를 보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보정방법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보정장치는, 상측 및 하측 수직 편향코일에 대향 배치되어 수직 편향전압이 유도되는 제1 및 제2전압유도코일과, 제1전압 유도코일에 접속되어 정의 6극 자계성분을 발생시키는 코마수차 보정코일과, 제2전압 유도코일에 수직 보조코일이 접속되어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모듈레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 본 발명의 보정방법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편향오차 보정장치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 편향회로에 접속된 수직 편향코일(1)(2)에 대향하여 제1 및 제2전압 유도코일(3)(4)이 배치되고, 제1전압 유도코일(3)에는 코마수차 보정코일(5)이 접속 개재되어 있다.
코마수차 보정코일(5)로 흐르는 전류는 직렬로 접속된 가변저항(6)에 의하여 적당히 조절된다.
그리고 제2전압 유도코일(4)의 양단에는 가변저항(7)과, 수직 보조코일(8)이 병렬로 접속되고, 이 수직 보조코일(8)에는 수평 보조코일(9)(10)이 포개져서 모듈레이터(11)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코마수차 보정코일(5)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자형 코아(23)(24)에 코일선(25)(26)으로 권선되어 편향요크의 네크부(20)에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 편향코일(1)(2)에 수직 편향전압이 인가되어 수직 편향 자계가 발생하면, 수직 편향코일(1)(2)에 인가된 수직 편향전압이 제1 및 제2전압 유도코일(3)(4)로 유도되고, 이 유도된 수직 편향전압은 코마수차 보정코일(5) 및 모듈레이터(11)의 수직 보조코일(8)로 유도된다.
그러면 코마수차 보정코일(5)은 코아(23)(24)에 감겨진 코일선(25)(26)에 의하여 자력선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자력선(27∼32)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의 6극 자계성분을 일으키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 편향코일(1)(2)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의 6극 자계성분이 자력선(27∼32)에 의한 정의 6극 자계성분과 상쇄된다. 이때, 정의 6극 자계성분의 세기는 가변저항(6)으로 코마수차 보정코일(5)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도와 같은 코마수차 보정코일(5)이 발생하는 정의 6극 자계성분에 의하여 중심의 G 비임의 편향량을 R 및 B 비임의 편향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코마수차가 보정된다.
그리고 제2전압 유도코일(4)로 유도된 수직 편향전압은, 모듈레이터(11)의 수직 보조코일(8)에 인가됨으로써, 수평 보조코일(9)(10)로 흐르는 전류를 통상적인 방법과 동일하게 수직 주기로서 자동적으로 가변시킴에 따라 수직 보조코일(8)과의 사이에 생성되는 자계가 변화하여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정방법과 장치에 의하면, 셀프 컨버전스 시스템에 의한 코마수차는 물론 정의 6극 자계성분을 발생시켜 화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의 6극 자계성분을 상쇄시켜 보정하는 것으로 코마수차와 미스 컨버전스의 보정을 다이내믹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소비를 증대하지 않고서도 보정을 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직 편향자계로부터 2경로로 수직 편향전압을 유도하고, 일측경로의 유도전압으로는 정의 6극 자계성분을 발생시켜 수직 편향코일에 의한 부의 6극 자계성분을 상쇄시키며, 타측 경로의 유도전압으로는 모듈레이터의 수직 보조코일을 구동시켜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
  2. 수직 편향코일에 대향 배치되어 수직 편향전압이 유도되는 제1 및 제2전압 유도코일과, 제1전압 유도코일의 양단에 접속되어 정의 6극 자계 성분을 발생시키는 코마수차 보정코일 및 제2전압 유도코일의 양단에 수직 보조코일이 접속되어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키는 모듈레이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코마수차 보정코일과 모듈레이터의 수직 보조코일은 각각 가변저항에 의해 전류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장치.
KR1019890000368A 1989-01-14 1989-01-14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KR91000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0368A KR910007739B1 (ko) 1989-01-14 1989-01-14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0368A KR910007739B1 (ko) 1989-01-14 1989-01-14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40A KR900012140A (ko) 1990-08-03
KR910007739B1 true KR910007739B1 (ko) 1991-09-30

Family

ID=1928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368A KR910007739B1 (ko) 1989-01-14 1989-01-14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7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40A (ko) 199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906B1 (ko) 편향 요오크장치
KR900008644B1 (ko) 칼라 수상관 장치
EP0542304B1 (en) Apparatus for deflecting electron beams and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incorporating this deflecting apparatus
KR910007739B1 (ko) 음극선관의 전자빔 편향오차 보정방법과 장치
US4881015A (en) Color cathode-ray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deflection unit
CA1269694A (e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KR0139475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 편향 요크
KR0126770B1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0167314B1 (ko) 수식 코마 보정 장치
KR100313208B1 (ko)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US4654615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or for cathode ray tubes
KR0133625B1 (ko) 발란스 보빈을 이용한 인덕턴스의 산포 보정장치
KR970008569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338033B1 (ko) 슬릿보빈형편향요크의상하왜곡보정장치
KR200155650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보정장치
KR0123344Y1 (ko) 편향요크의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KR200155031Y1 (ko) 리액터 코일을 갖는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
KR970004316B1 (ko)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보정 지그
KR100355852B1 (ko) 편향요크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장치
KR950000512Y1 (ko) 편향요크
KR950000927Y1 (ko) 편향 요크
KR950002218Y1 (ko)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를 구비한 편향요크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KR950000511Y1 (ko) 컨버전스 보정장치를 구비한 편향요크
KR0180663B1 (ko) 미스컨버젼스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