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804A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804A
KR20020055804A KR1020000085029A KR20000085029A KR20020055804A KR 20020055804 A KR20020055804 A KR 20020055804A KR 1020000085029 A KR1020000085029 A KR 1020000085029A KR 20000085029 A KR20000085029 A KR 20000085029A KR 20020055804 A KR20020055804 A KR 20020055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air
focusing
coil separator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점수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2000008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804A/ko
Publication of KR2002005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8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Abstract

본 발명은 편향요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와, 리어 커버 그리고 리어 커버의 중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와;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내측면에 대칭되게 배열 설치되며, 외부 회로 연결부와 연결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포커싱을 개선하기 위한 한쌍의 포커싱 코일과;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포커싱 보정을 위한 회로 구성부 즉, 포커싱 코일을 종래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마련하지 않고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 즉, 네크부 내주면에 마련함으로써 전체 셋트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편향요크(deflection yok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극선과의 평면화 및 대형화에 따라 열화되는 포커싱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의 음극선관(CRT)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새들-트로이달(saddle toroidal type), 새들-새들형등 여러 가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하게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편향요크의 구조를 보면,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하나로 합체되는 한쌍의 코일 세퍼레이터(10)를 구비한다.
이 코일세퍼레이터(10)의 내측에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코일(11)이 마련되며, 외측에는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코일(12)이 위치된다.
그리고 수직편향코일(12)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수직편향코일(12)에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페라이트코어(20)와, 페라이트코어(20)를 고정 결합하는 코어 클램프(미도시)로 구성된다.
이외에 코일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3)와 인접된 부위에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프리장치(미도시)가 위치된다.
이때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외측에는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포커싱을 개선하기 위한 회로 구성부가 형성되는 바, 이 회로 구성부는, 수평방향으로의 포커싱 개선을 위한 한쌍의 수평 포커싱 코일(1,2)과, 수직 방향으로의 포커싱을 개선하기 위한 한쌍의 수직 포커싱 코일(3,4)이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편향요크에 있어서는, 포커싱 개선을 위한 각각 한쌍의 수직 및 수평 포커싱 코일(1,2,3,4)을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외측면에 배열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별도의 회로 구성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포커싱 개선을 위한 코일을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마련하지 않고 코일 세퍼레이터 내에 즉,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상에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회로구성이 불필요함으로써 전체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가 채용된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포커싱 보정코일의 설치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포커싱 코일을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네크부상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 세퍼레이터 11 : 수평 편향코일
12 : 수직 편향코일 13 : 네크부
20 : 페라이트 코어 100 : 포커싱 코일
110 : (외부)회로 연결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와, 리어 커버 그리고 리어 커버의 중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내측면에 대칭되게 배열 설치되며, 외부 회로 연결부와 연결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포커싱을 개선하기 위한 한쌍의 포커싱 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서 포커싱 코일을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네크부상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하나로 합체되는 한쌍의 코일 세퍼레이터(10)를 구비한다.
이 코일세퍼레이터(10)의 내측에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편향자계를 발생하는 수평편향코일(11)이 마련되며, 외측에는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코일(12)이 위치된다.
그리고 수직편향코일(12)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수직편향코일(12)에서 발생되는 수직편향자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페라이트코어(20)와, 페라이트코어(20)를 고정 결합하는 코어 클램프(미도시)로 구성된다.
이외에 코일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3)와 인접된 부위에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코마프리장치(미도시)가 위치된다.
이때 전술한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3) 내주면에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화면상의 미스 포커싱을 개선하기 위한 포커싱 코일(100)이 설치(첨부 3도 참조)되는 바, 이 포커싱 코일(100)은 특히 한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열 설치된다.
그리고 이 포커싱 코일(100)은 외부 회로부(110; 첨부 4도 참조)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 의하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외측에 별도의 회로부를 구성할 필요없이 코일 세퍼레이터(10)의 네크부(13) 내측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한쌍의 포커싱 코일(100)을 통해 원활한 포커싱 보정이 가능해진다.
즉, 네크부(13)의 내주면에는 한쌍의 포커싱 코일(100)이 마련되어 있고, 이 포커싱 코일(100)은 외부 회로부(110)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 외부에 회로 구성부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포커싱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정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에 의하면, 편향요크에 의하면, 포커싱 보정을 위한 회로 구성부 즉, 포커싱 코일을 종래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마련하지 않고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 즉, 네크부 내주면에 마련함으로써 전체 셋트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결합되는 스크린부와, 리어 커버 그리고 리어 커버의 중심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음극선관의 전자총부에 결합되는 네크부로 이루어진 코일 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내측면에 대칭되게 배열 설치되며, 외부 회로 연결부와 연결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포커싱을 개선하기 위한 한쌍의 포커싱 코일과;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편향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 코어;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1020000085029A 2000-12-29 2000-12-29 편향요크 KR20020055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29A KR20020055804A (ko) 2000-12-29 2000-12-29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029A KR20020055804A (ko) 2000-12-29 2000-12-29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804A true KR20020055804A (ko) 2002-07-10

Family

ID=2768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029A KR20020055804A (ko) 2000-12-29 2000-12-29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804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239A (ja) * 1983-04-15 1984-10-30 Hitachi Ltd 投写形ブラウン管
US5172035A (en) * 1990-02-13 1992-12-15 Hitachi, Ltd. Convergence system
JPH1196939A (ja) * 1997-09-22 1999-04-09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装置
JP2000100347A (ja) * 1998-09-24 2000-04-07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
KR20010086638A (ko) * 2000-02-21 2001-09-15 이형도 편향요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1239A (ja) * 1983-04-15 1984-10-30 Hitachi Ltd 投写形ブラウン管
US5172035A (en) * 1990-02-13 1992-12-15 Hitachi, Ltd. Convergence system
JPH1196939A (ja) * 1997-09-22 1999-04-09 Sony Corp 偏向ヨーク及び陰極線管装置
JP2000100347A (ja) * 1998-09-24 2000-04-07 Nec Kansai Ltd カラー陰極線管装置
KR20010086638A (ko) * 2000-02-21 2001-09-15 이형도 편향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0698B1 (en) Deflection yoke with improved deflection sensitivity
JPH0324733B2 (ko)
KR20020055804A (ko) 편향요크
GB2306767A (en) Ferrite core for a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100422051B1 (ko) 편향 요크
KR100364412B1 (ko) 편향요크
KR100361836B1 (ko) 편향요크
KR200155650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보정장치
KR100422036B1 (ko) 편향 요크
KR100451945B1 (ko) 편향요크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JP2002270115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KR100364411B1 (ko) 편향요크
KR19980051482A (ko) 편향요크
KR20010096097A (ko) 편향요크
KR20010096096A (ko) 편향요크
KR20050030037A (ko) 편향요크
KR20010096115A (ko) 편향요크
KR20020016426A (ko) 편향요크
JP2002075249A (ja) ブラウン管用偏向ヨーク
KR2003007301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10107253A (ko) 편향요크
KR20000010268A (ko) 편향 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KR20040009387A (ko) 편향 요크의 드리프트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