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507A - 전자기적 해제가 가능한 마찰 안전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전자기적 해제가 가능한 마찰 안전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507A
KR20000022507A KR1019980710952A KR19980710952A KR20000022507A KR 20000022507 A KR20000022507 A KR 20000022507A KR 1019980710952 A KR1019980710952 A KR 1019980710952A KR 19980710952 A KR19980710952 A KR 19980710952A KR 20000022507 A KR20000022507 A KR 2000002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iscs
armature
disc
spool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703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드로프만
칼 쉴링
Original Assignee
마이어 프리스
크리스티안 마이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코만티드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프리스, 크리스티안 마이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코만티드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마이어 프리스
Priority to KR10-1998-071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70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16D59/02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spring-loaded and adapted to be released by mechanical, fluid,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0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moving discs or pads away from one another against radial walls of drums o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7/00Auxiliary mechanisms
    • F16D2127/02Release mechanisms
    • F16D2127/04Release mechanisms for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회전할 수 없고 공통 중심 드라이브 샤프트에 배치된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11)가 있는 전자기적으로 해제가능한 마찰 안전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스풀 캐리어(5)에 있는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11)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것은 자기 코일(6)과 스프링(7)이며 이것은 브레이크 디스크(2, 11)가 브레이크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브레이크의 안전 기능이 떨어지지않고 브레이크를 간략하게 만들고 또한 비용과 공간을 줄이기위해, 중심 샤프트 또는 허브를 둘러싸는 스풀 캐리어(5)와 자기 코일(6)로 구성되는 전자석은 브레이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회전할 수 없으며, 또한 브레이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회전할 수 없는 단일 전기자 디스크(3)는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11)와 자기 코일/스풀 캐리어 사이에 배치되고, 스프링(7)은 자기 코일/스풀 캐리어와 단일 전기자 디스크(3)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력을 받게되는 것이 예상된다. 대체 장치에서, 구동 샤프트는 브레이크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보스의 형태를 갖는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보스내에서 방사상으로 안쪽을 향한 스플라인과 맞물리며 방사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스플라인을 갖는다. 브레이크의 선형 버전에서, 브레이크 디스크는 외부 장비인 케이블 또는 웹으로 대체된다.

Description

전자기적 해제가 가능한 마찰 안전 브레이크
안전 문제 때문에, 한 개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실패하더라고 필요한 안전이 여전히 제공될 수 있도록 공장 및 기계에 2개의 별개 브레이크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규정은 명시한다. 특히 리프트 규정 TRA200 및 EN81에 따른 엘리베이터와 리프트의 경우에서이다.
CHr.Mayr. GmbH & Co KG. 회사의 DE-U-295 10 828 다큐먼트에서, 2개의 브레이크는 하나의 유닛내에 설계된다. 이것은 비용이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2개의 브레이크를 제공하며 소형 장치이다.
공지된 장치는, 2개의 전기자 디스크,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 전기자 디스크가 브레이크 마찰판에 대항하도록 하는 2개의 스프링 장치, 및 전기자 디스크와 브레이크 마찰판사이의 중간에 자기 솔레노이드를 갖는 단일 전자석을 포함한다.
공지된 이 브레이크는 기능상 효율적이지만 너무 많은 기계요소를 포함한다.
다큐먼트 EP-A-0 078 944는 단일 브레이크 디스크를 갖는 전자기적으로 해제된 마찰 안전 브레이크를 도시한다. 이 장치에서 자기 솔레노이드는 자기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다큐먼트 US-A-3,446,322는 독립적으로 구동된 보조 클러치 또는 집중적으로 배치된 2개의 자기 솔레노이드와 단일 브레이크 디스크가 있는 브레이크를 갖는 전자기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다큐먼트 US-A-878,568는 단일 클러치 판과 단일 브레이크 디스크를 갖는 전자기 클러치-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설명을 포함한다.
다큐먼트 DE-C-300 941로부터, 양면 브레이크 패드위에 배치된 단일 브레이크 디스크 및 단일 전기자 디스크를 갖는 전자석의 힘에 의해 해제되는 스프링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브레이크 스프링의 탄성력이 더 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다양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게되는 방식으로 전기자 디스크 및 자기 하우징은 지지된다.
이 다큐먼트에서 설명된 장치가 단일 브레이크 디스크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규정 TRA200 및 EN81의 안전요구에 상응하지 못한다. 부적절한 기술적인 공학 자원없이 안전요구를 충족시키기위해 주요 사항이 수정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이 다큐먼트에 없다.
다큐먼트 EP-A-0 465 831는 기계적으로 완벽히 서로 독립하여 동작하는 2부 시스템을 갖는 리프트용 안전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부분 시스템은 2개의 동일한 브레이크 레버로서 각 레버의 형태는 기계의 일부에 차례로 고정되게 부착된 공통 스프링 반작용 중심에서 지지되며 분리되어 동작하는 스프링을 갖는다. 브레이크 레버에 고정되게 부착된 컵 모양의 전자석 수단에 의해 브레이크의 기능이 해제된다. 컵 모양의 전자석에 의해 전기자 디스크가 항상 정확히 평행하게 끌어당겨지도록 브레이크 레버위의 전기자 디스크와 컵 모양의 전자석을 고정하는 것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EP-A-0 465 831의 주제는 상당한 자원, 즉 비교적 다수의 기계요소로 만들어진 자원을 요구하며 비교적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EP-A-0 465 831의 브레이크는 수동으로 해제될 수 없다는 것이 또한 단점이다.
다큐먼트 DE-C-29 01 784는 기계 하우징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축방향으로 배치된 핀위의 조절 기계요소에 의해 자기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전자기적으로 동작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에어 갭에 대한 조절 장치를 설명한다.
브레이크 해제 전자석에 대한 다큐먼트 DE-U-17 68 425에서, 종래 기술은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자기 하우징을 포함하여 설명된다.
다큐먼트 DE-U-19 14 395는 비상시 해제 레버 수단에 의해 전자기 디스크 스프링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블유 바우만의, "Bauarten und Eigenschaften Elektromagnetisch geluftete Bremssen und Stoppmotoren" (정지 모터에서 전자기적으로 해제된 브레이크의 특징 및 구성 형태) 1969년, "구성"의 21, H.4 페이지 137-147에는, 180도로 브레이크를 당기는 보강재(stirrup)를 사용하는 수동 해제가 제공될 수 있음이 나타난다. 또다른 수동 해제는 에너지를 갖는 감김 선의 좌우로 브레이크 라이닝에 장착된 핀을 함께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된 4개의 다큐먼트에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장비가 어떻게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갖는 안전 브레이크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상의 안전이 감소되지 않고 이러한 브레이크를 간략화하며 비용이 덜 들며 소형으로 만드는 것이다.
또한 손으로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브레이크의 상태 그리고/또는 기능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제 1 목적은 청구범위의 장치로 설명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견된 추가 특성은 종속 항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제 2 목적은 청구항 9 및 10의 특징부에서 설명된다.
상기 언급된 제 3 목적은 청구항 11 및 12의 특징부에서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인 2개의 브레이크 기계요소를 갖는 전자기적으로 해제가능한 마찰 안전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브레이크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브레이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상세히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허브(1)는 예를 들어 수축 수단 또는 키 그리고 키 홈과 같은 다른 가능한 수단에 의해 중심 샤프트위에 고정된다. 허브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스플라인을 갖는다.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가 허브위에 장착되도록, 샤프트로 회전하는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에는 허브위의 스플라인과 끼워지는 길이방향의 스플라인(22 및 23)이 제공되고, 따라서 샤프트위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지만 샤프트에 따라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브레이크 디스크(2)중 한 개로부터 축방향의 안쪽으로, 아래 설명될 부분과 약간 상이하지만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즉 부동(floating)이며) 회전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에 배치된 자기 물질인 전기자 디스크(3)가 있다. 게다가 전기자 디스크(3)에 부착되고 축방향의 안쪽으로, 전자기 물질로 구성된 스풀 캐리어(5)가 있다. 이 스풀 캐리어(5)는 브레이크 디스크(2)와 전기자(3)로 향하는 면에서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11)로 향하는 면에서 개방되어 있고 끝판(10)을 갖는다. 스풀 캐리어(5)는 예를 들어 수지 주조 수단에 의해 자기 코일(6)이 이동할 수 없도록 매입된 적절한 형태의 오목부를 갖는다. 스풀 캐리어와 자기 코일은 브레이크의 전자석을 형성한다. 플랜지판(4)은 브레이크 위치에서 브레이크 디스크(2)에 대한 반작용판을 형성하고 기계벽(9)은 브레이크 디스크(11)에 대한 반작용판을 형성한다. 스풀 캐리어의 원주 주위로 배치된 나선형 압축 스프링(7)을 포함하는 스프링 동작은 한쪽 면, 그리고 축과 중심이 같고 자기 코일(6)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있는 스풀 캐리어(5)에서만 제공된다. 기계벽(9)과 플랜지판(4)은 부시(8)의 형태로 스페이싱 핀에 의해 떨어져 유지된다. 부시(8)를 통해 나사형 볼트(24)가 통과한다. 부시(8)는 전기자 디스크(3)와 스풀 캐리어(5)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지만 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가 부동되게한다. 부시(8)에 있는 상응하는 홈에 있는 실링 링(12)은 스풀 캐리어(5)를 중심 위치에서 유지한다. 동시에 실링 링은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댐핑을 제공한다.
(도면에서는 한 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브레이크주위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각 부시(8)에는 적절한 형태의 홈 또는 스풀 캐리어(5)와 전기자 디스크(3)사이의 결합 영역에 있는 원형 클립(19)이 제공된다. 원형 클립을 맞추기위해 스풀 캐리어의 오른쪽 끝면에는 오목부(20)가 제공된다.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기자 디스크(3)는 원형 클립(19)과 오른쪽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고 스풀 캐리어(5)는 왼쪽으로부터 접촉할 수 있다. 전자석이 에너지를 갖는 상태일 때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에서 정확히 한정된 축방향의 위치에서 또는 축방향으로 배치될수 있거나 부동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곳에 전기자 디스크(3)와 스풀 캐리어(5)가 위치하는 효과를 갖는다.
원형 클립(19)으로 인해 스풀 캐리어(5)와 전기자 디스크(3)가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로부터 보다 확실히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브레이크의 수직 동작동안 스풀 캐리어 및 전기자 디스크는 원형 클립(19)에 의해 구속된다, 즉, 브레이크 디스크위의 전기자 디스크와 스풀 캐리어의 무게로 인한 힘이 없다.
도 2 및 도 3에서, 예를 들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나올 수 있기위해, 전력 손실로 인해 층사이에서 정지된 리프트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해제하는 장치가 도시된다. 이 장치는 회전 및 경사지는 방식으로 브레이크를 특히 180도로 당기고 스풀 캐리어(5)위에 장착되는 반원형 해제 보강재(13) 및, 해제 보강재(13)가 회전되게 하는 해제 핸들(14)로 구성된다. 자기 코일(6)이 에너지를 얻지 못하여 전기자 디스크(3)가 마찰력을 받지 못하고 플랜지판(4)과 맞물리지 않게 될때, 스풀 캐리어(5)에 대한 전기자 디스크(3)가 스프링(7)의 탄성력에 대항하도록 해제 보강재는 전기자 디스크(3)의 외부 원주방향의 표면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핀(27)과 맞물리는 노즈(26)를 양쪽으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 위치에서, 즉, 브레이크가 수동으로 해제되지 않을 때, 노즈가 핀에 대해 어떠한 힘도 나타내지 않도록 노즈(26)는 형성되어 핀에 따라 위치한다. 해제 핸들이 이동함에 따라, 노즈위에서 캠운동하는 표면은 핀과 맞물리며 전기자 디스크(3)와 전자석(5, 6)을 스프링(7)의 탄성력에 대항하게 한다. 동시에 기계벽(9)과 브레이크 디스크(11)사이의 마찰면은 떨어진다. 해제 핸들(14)이 해제될 때, 스프링(7)으로 인해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는 다시 브레이크 위치로 가게 된다. 브레이크 디스크의 부동 장착 때문에, 전기자 디스크(3)와 스풀 캐리어(5)사이의 거리는 압축 스프링(7)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가 상응하는 반작용면(4 및 9)에 대하여 정지될때까지 증가한다.
상기 설명한 원형 클립(19)에는 브레이크의 수동 해제와 관련된 이점이 또한 있다. 수동 해제에서, 핸들에서의 인력은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부동 부(전기자 디스크, 스풀 캐리어) 스큐를 가압하려는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원형 클립은 이것을 방지한다.
주의깊게 설명되지 않았지만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적절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기에 브레이크의 2 부분은 한 개씩 개별적으로 검사받을 수 있다. 요소는, 예를 들어, 웨지는 브레이크중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따라 임시적으로 사용불능이 되어 다른 브레이크가 적절한 기능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검사받을 수 있다.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회전할 수 없는 전자석/스풀 캐리어 그리고/또는 한 개의 전기자 디스크 및 스프링 장치로 인해 한 개의 전기자 디스크와 스프링 어셈블리가 절약될 수 있다. 이에따라 동일한 성능을 얻으면서 브레이크는 간략하게되고, 비용이 덜 들며, 보다 컴팩트하게 된다.
브레이크의 동작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자기 코일(6)의 (전류가 없는) 에너지가 없는 상태에서, 스프링(7)은 원주방향으로 부동 전자석/스풀 캐리어(5)에 배치되고 스풀 캐리어(5)와 전기자 디스크(3)가 떨어지게 한다. 이에따라 브레이크 디스크(2)는 플랜지판(4)에 대해 가압되고 브레이크 디스크(11)는 기계벽(9)에 대해 가압된다.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사이의 마찰력과 이들 사이의 반작용면(4 및 9)으로 인해 브레이크 효과가 발생한다. 4개의 브레이크 표면의 전체 브레이크 모멘트는 이런 식으로 기계벽(9)으로 전달된다.
자기 코일(6)이 에너지를 얻게되면, 이것은 스프링(7)의 압력에 저항하며 전기자 디스크(3)를 끌어당기고,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는 해제되어 샤프트와 브레이크 디스크(2 및 11)와 함께 허브(1)가 회전한다. 스풀 캐리어(5) 및 전기자(3)는 원형 클립(19)의 양쪽위에 있다.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스풀 캐리어(5) 및 전기자(3)는 정확하게 제한된 축 위치에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전력 손실과 같이 사고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면, 자동적으로 자기 코일(6)은 에너지를 잃게 되고 스프링(7)은 전기자 디스크(3)와 스풀 캐리어(5)를 가압하여 떨어지게 하며, 이에따라 브레이크 디스크(2, 11)는 마찰 브레이크면으로 도달하게 된다. 브레이크 회로중 한 개는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예를 들어, 브레이크 디스크중 한 개가 고장나고 다른 한 개는 여전히 안전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2, 11)중 한 개가 브레이크를 걸거나 이동해야 한다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풀 캐리어(5) 또는 부시(16) 또는 안전 링(17)의 숄더에 대해 전기자(3)는 정지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디스크(11)가 고장인 경우에 숄더는 도 1의 스풀 캐리어의 이동을 왼쪽으로 제한한다. 브레이크 디스크(2)가 고장인 경우에 안전 링(17)은 도 1의 전기자 디스크(3)의 이동을 오른쪽으로 제한한다. 이런 식으로 적어도 브레이크 디스크(2, 11)중 한 개의 브레이크 성능은 보장된다.
게다가 브레이크 디스크(2, 11)의 잠금이 조절에 의해 보상될 수 있도록 부시(8)는 2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수정으로는 압축 스프링(7)이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탄성력이 설정되고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브레이크 디스크(2, 11), 전자석/스풀 캐리어(5) 및 전기자 디스크(3)가 구동 샤프트를 둘러싸는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제 2 실시예에서 이 기계요소는 회전 원통형 보스내에 있다. 도 5는 이러한 장치를 도시한다. 부재번호는 제 1 실시예에서 유사한 부분과 상응한다. 브레이크 디스크는 보스의 내면에서 안쪽으로 향하는 스플라인(21)과 맞물리는 바깥쪽으로 향하는 이(22, 23)를 갖는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디스크(2, 11)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회전 보스로 회전한다. 기계벽과 간격이 있는 끝판(4)을 유지하는 스페이싱 핀대신에, 제 2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를 통해 가압하는 중심 고정 샤프트가 있다. 끝판(4)은 이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다. 판(9)과 끝판(4)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마찰면을 형성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11)는 이 마찰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배치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 것과 유사한 전자석 어셈블리(3, 5, 6, 7)는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11)사이에 위치하며 바깥쪽으로 향하는 2개의 마찰면을 갖는다. 바깥쪽으로 향하는 2개의 마찰면중 한 개는 전기자 판(3)의 외부표면이고 나머지 한 개는 전자석/스풀 캐리어(5, 6)의 베이스 판이다. 전자석 어셈블리(3, 5, 6, 7)는 축방향으로 부동할 수 있지만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이동방향에 대해, 즉, 예를 들어 중심 고정 샤프트에 있는 스플라인 또는 홈에 대해 구속된다. 전자석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전기자(3)가 전자석(5, 6)과 떨어지게 하며 이에따라 바깥쪽으로 향하는 마찰면이 떨어지게 하고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마찰력으로 맞물리게하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7)인 탄성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기자(3)의 방향으로 스풀 캐리어(5)의 이동을 제한하고 스풀 캐리어(5)의 방향으로 전기자(3)를 제한하기위해, 제 2 실시예의 장치는 원형 클립(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적절한 멈춤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멈춤쇠의 기능은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에서 전기자 및 스풀 캐리어를 고정된 곳으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 멈춤쇠는 수직 편향으로 동작될 때 더 낮은 브레이크를 막기위한 정지장치로서 또한 작용하고, 한 개의 브레이크가 고장하는 상황에서 남아있는 브레이크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이점이 제 1 실시예에 따라 이미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브레이크는 회전 형태라기보다는 선형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 효과에 대항하는 이동은, 안쪽으로 향하는 마찰면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마찰면 사이의 공간으로 각각 통과하는 웹 또는 2개의 길이방향의 케이블의 선형 이동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케이블 또는 웹은 브레이크 디스크를 대체한다.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케이블 또는 웹이 이미 제공되는 현존 기계장치에 끼워지며, 이에따라 안전 브레이크를 그러한 기계장치에 부가하는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기계요쇠는 브레이크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고, 브레이크가 부착되는 기계장치의 일부이다.
도면에 사용된 요소 리스트
1 허브
2. 브레이크 디스크
3. 전기자 디스크
4. 플랜지판/반작용면
5. 스풀 캐리어
6. 자기 코일
7. 압축 스프링
8. 부시 스페이싱 바
9. 기계벽/반작용면
10. 5번의 끝판
11. 브레이크 디스크
12. 실링 링
13. 해제 보강재
14. 해제 핸들
15. 피벗점
16. 부시 숄더
17. 안전 링
18
19. 8번위의 원형 클립
20. 19번을 위한 5번의 오목부
21. 1번의 길이방향의 스플라인
22. 2번의 길이방향의 스플라인
23. 11번의 길이방향의 스플라인
24. 8번의 나사형 볼트
25. 12번을 위한 8번의 홈
26. 13번위의 노즈
27. 3번위의 핀

Claims (19)

  1. 브레이크 디스크(2, 11)가 브레이크 위치로 이동하게하는 스프링을 가지며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11)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전자석(5, 6)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갖는 전자기적으로 시동가능한 마찰 안전 브레이크에 있어서,
    전자석(5, 6)은 브레이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회전하지 못하고, 마찰면으로 배치될 끝판(10)을 가지며, 단일 전기자 디스크(3)는 브레이크에서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회전하지 못하며 2개의 브레이크 디스크(2, 11)중 한 개와 전자석(5, 6)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스프링(7)은 전자석(5, 6)과 단일 전기자 디스크(3)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2. 하우징에 따라 이동하는 2개의 브레이크 기계요소(2, 11)와 하우징 사이에서 브레이크 효과를 제공하는 안전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서로 대항하는 2개의 마찰면(4, 9)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마찰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배치된 2개의 브레이크 기계요소;
    2개의 브레이크 기계요소(2, 11)사이에 위치하며,
    바깥쪽으로 향하는 2개의 마찰면;
    바깥쪽으로 향하는 마찰면이 분리되게하며 2개의 브레이크 기계요소(2, 11)와 맞물리게하는 탄력 수단(7);
    마찰면을 끌어당기며 2개의 브레이크 기계요소(2, 11)와의 맞물림을 벗어나게 하는 전자석(5, 6)을 갖는 전자석 어셈블리(5, 6, 3);
    축방향, 즉, 하우징의 2개 마찰면사이의 라인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브레이크 기계요소(2, 11)를 포함하며, 전자석 어셈블리(5, 6, 3)는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2개의 브레이크 기계요소(2, 11)의 이동방향에 대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브레이크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디스크(2, 11)는 고정된 마찰면(4, 9)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찰면(4, 9)은 각각 부시(8)를 운반하는 한 개 이상의 스페이싱 로드에 의해 떨어져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5, 6)과 전기자 디스크(3)로 구성되는 어셈블리는 브레이크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스페이싱 로드(8)의 수단에 의해 회전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디스크/기계요소(11, 2)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길이방햐의 스플라인 수단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는 방식으로 허브(1)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석은 마찰면으로서 작용하는 끝판이 제공되며 한 개의 브레이크 디스크/기계요소(2)를 향하는 측면에서 그리고 나머지 브레이크 디스크/기계요소(11)를 향하는 측면에서 개방된 스풀 캐리어(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으로 배치된 전기자 디스크(3)와 전자석(5, 6)사이에 스프링, 그리고 스풀 캐리어(5)에서 상응하는 보어에 들어있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자 판이 전자석과 스프링 힘에 대항하게 함으로써,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해제하는 장치(27, 13, 26, 14, 1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를 수동으로 해제하는 장치는, 반원형태이며 브레이크를 거는 피벗으로 장착된 해제 보강재(13), 해제 보강재(1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해제 레버(14), 및 전기자 디스크(3)위의 핀(27)과 맞물리고 스풀 캐리어(5)의 방향으로 전기자 디스크(3)가 스프링 힘(7)에 대항하도록 하여 브레이크를 해제하게하는 해제 보강재(13)위의 노즈(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외부면은 개방되어 있고 이에따라 기능 그리고/또는 상태 검사가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2개의 브레이크 회로는 점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풀 캐리어(5)는 바람직하게는 부시(8)에 배치된 ○ 링인 실링 링(12) 수단에 의해 중심에 모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실링 링(12)은 무음 그리고/또는 댐핑 효과를 갖고, 전자석(5, 6)과 전기자 디스크(3)를 중앙에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풀 캐리어(5)와 전기자 디스크(3)사이에서 각 부시(8)위에 원형 클립(19)이 제공되며,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일 때 스풀 캐리어(5)와 전기자 디스크(3)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디스크(11, 2)중 한 개는 브레이크를 걸거나 제거되어야하고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않는 스풀 캐리어(5) 또는 전기자(3)는 한 개의 브레이크 디스크(11, 2)의 브레이크 성능이 확실한 안전 링 또는 부시(16)위의 숄더에 대해 정지되는 방식으로 부시(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디스크(11, 2)의 잠금이 조정에 의해 보정될 수 있도록 부시(8)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절한 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압축 스프링(7)이 설정되고 스프링 힘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19. 제 1 항과 제 1 항의 종속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디스크(2, 11)위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며 맞물리고 안쪽으로 향하는 스플라인을 갖는 브레이크를 둘러싸는 허브(1)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KR10-1998-0710952A 1996-07-05 1997-06-27 전자기적해제가가능한마찰안전브레이크 KR10050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952A KR100502703B1 (ko) 1996-07-05 1997-06-27 전자기적해제가가능한마찰안전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11732.3 1996-07-05
KR10-1998-0710952A KR100502703B1 (ko) 1996-07-05 1997-06-27 전자기적해제가가능한마찰안전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507A true KR20000022507A (ko) 2000-04-25
KR100502703B1 KR100502703B1 (ko) 2005-09-28

Family

ID=4367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952A KR100502703B1 (ko) 1996-07-05 1997-06-27 전자기적해제가가능한마찰안전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124B1 (ko) 2007-04-20 2008-02-27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용 마그네트 클러치에 적용되는 일렉트릭 코일의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8129A (en) * 1922-10-06 1926-06-08 Morgan William Henry Electric machine brake
JPH05256332A (ja) * 1992-03-13 1993-10-05 Toshiba Corp 巻上機用ディスク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2703B1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804B1 (en) Electromagnetically releasable friction safety brake
US6237730B1 (en) Friction safety brake having two independent braking circuits
US5014828A (en) Electromagnetic brake with clamping jaws
US5226508A (en) Disc brake for elevator drive sheave
US20090218182A1 (en) Segment brake
US20090166136A1 (en) Rectangular, electromagnetically releasing dual-circuit spring-pressure brake
EP0509784B1 (en) Elevator disc brake
US20020074194A1 (en) Electromagnetic spring-actuated brake system
EP0693633A2 (e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permanent magnet brake
KR20040066129A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JPH11299201A (ja) エレベ―タやリフト駆動機構等のための電気機械
US20060151254A1 (en) Elevator brake
KR100502703B1 (ko) 전자기적해제가가능한마찰안전브레이크
EP1374368B1 (en) Coupling and brake combination
JP3805420B2 (ja) クラッチの両側に作用するブレーキを備えた巻き上げ装置
CN106763323B (zh) 多回路三角制动器构造型式的以电磁方式松开的弹簧压力制动器
CA2472036A1 (en) Elevator brake
CN110831883B (zh) 电梯用曳引机
JP4855384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
GB2032548A (en) Electromagnetically releasable spring-actuated segmented disc brake
KR10084717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KR100889129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JPH066293Y2 (ja) 電磁ブレ−キ
JPH02504Y2 (ko)
KR200247676Y1 (ko) 모터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