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129B1 -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9129B1 KR100889129B1 KR1020077006706A KR20077006706A KR100889129B1 KR 100889129 B1 KR100889129 B1 KR 100889129B1 KR 1020077006706 A KR1020077006706 A KR 1020077006706A KR 20077006706 A KR20077006706 A KR 20077006706A KR 100889129 B1 KR100889129 B1 KR 1008891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rope
- braking
- brake
-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는, 제 1 롤러를 포함한 제 1 로프 끼움체와, 제 2 롤러를 포함한 제 2 로프 끼움체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각각은, 메인 로프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제동 롤러로 되어 있다. 제동 장치는, 제동 롤러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회전체로부터 개리(開離)되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제동체와, 제동체를 변위시키는 제동체 변위 장치를 가지고 있다. 제동 장치는, 제동체를 회전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체 및 제동 롤러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메인 로프의 이동은, 제동 롤러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에 의해 제동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2매의 브레이크 슈(shoe)의 사이에서 메인 로프를 파지하여 메인 로프의 이동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각 브레이크 슈에는, 메인 로프를 파지하고 있을 때에 메인 로프에 접촉하는 라이닝(lining)이 부착되어 있다. 메인 로프의 이동은, 라이닝과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표평7-50921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와 같이 종래에는, 메인 로프의 이동을 제동할 때에, 메인 로프가 라이닝을 슬라이드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메인 로프나 라이닝의 마모가 심해진다. 이로 인해, 메인 로프에 부여되는 제동력의 크기가 변동되기 쉬워진다. 또, 메인 로프나 브레이크 슈 등의 부품의 교환 작업이 빈번하게 되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도 높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 로프에 부여하는 제동력의 크기를 안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러닝 코스트의 저감화(低減化)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는, 제 1 롤러를 포함하는 제 1 로프 끼움체와, 제 2 롤러를 포함하는 제 2 로프 끼움체를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를 제 1 로프 끼움체와 제 2 로프 끼움체와의 사이에 끼우며,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각각이 메인 로프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제동 롤러로 되어 있는 로프 끼움 장치, 및 제동 롤러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회전체로부터 개리(開離)되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제동체와, 접촉 위치와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동체를 변위시키는 제동체 변위 장치를 가지며, 제동체를 회전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체 및 제동 롤러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하여, 제동 롤러의 회전을 제동함으로써 메인 로프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2) 내에는, 구동장치인 권상기(卷上機)(3)와, 권상기(3)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디플렉션 쉬브(4)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5)와, 권상기 본체(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6)를 가지고 있다.
기계실(2)의 바닥부(7)에는, 기계실(2) 내와 승강로(1) 내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8)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션 쉬브(4)에는, 관통 구멍(8)을 통과하게 된 복수 개의 메인 로프(9)가 감겨 있다. 승강로(1) 내에는, 각 메인 로프(9)의 일단부에 접속된 엘리베이터 칸(10)과, 각 메인 로프(9)의 타단부에 접속된 균형추(11)가 각각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0) 및 균형추(11)는, 각 메인 로프(9)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10) 및 균형추(11)는, 구동 쉬브(6)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또, 기계실(2) 내에는,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이하, 간단히 「로프 브레이크 장치」라 한다)(12)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 브레이크 장치(12)는, 바닥부(7) 위에 고정된 지지체(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3) 및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권상기(3) 및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각각의 동작은,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지령(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또한, 제어 장치(14)는 기계실(2) 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12)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1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12)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지지체(13)는 바닥부(7) 위에 고정된 고정부(15)(도 3)와, 고정부(15)에 설치되고,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안쪽 방향(두께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부(16, 17)를 가지고 있다.
대향부(16, 17) 사이에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폭 방향에 늘어서서 배치된 제 1 로프 끼움체(18) 및 제 2 로프 끼움체(19)가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제 1 로프 끼움체(18)와 제 2 로프 끼움체(19)와의 사이에 통과하게 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안쪽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늘어서 있다.
제 1 로프 끼움체(18)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회전축(21)과, 제 1 회전축(21)에 고정된 제 1 롤러(22)를 가지고 있다. 제 1 회전축(21)은, 대향부(16, 17)에 베어링(25)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회전축(21) 및 제 1 롤러(22)는, 제 1 회전축(2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19)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회전축(23)과, 제 2 회전축(23)에 고정된 제 2 롤러(24)를 가지고 있다. 제 2 회전축(23)은, 대향부(16, 17)에 베어링(25)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회전축(23) 및 제 2 롤러(24)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는, 한쪽의 대향부(16)와 다른 한쪽의 대향부(1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롤러(22)의 외경은, 제 2 롤러(24)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제 1 롤러(22)의 외주부에는, 제 1 롤러(22)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 1 로프 홈(2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롤러(24)의 외주부에는, 제 2 롤러(24)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 2 로프 홈(27)이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제 1 로프 홈(26) 및 제 2 로프 홈(27)의 각각에 삽입된 상태로, 제 1 롤러(22)와 제 2 롤러(24)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각각과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는,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에 따라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각각의 외주부의 재료는, 각 메인 로프(9)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재로 되어 있다. 마찰재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등록상표)이나 우레탄 수지 등이 사용된다.
제 2 회전축(23) 및 제 2 롤러(24)의 회전은, 지지체(13)에 지지된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동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 2 롤러(24)는, 그 회전이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동되는 제동 롤러로 되어 있다.
제동 장치(28)는, 제 2 회전축(23)과 일체로 회전되는 원판 형상의 디스크(회전체)(29)와, 디스크(29)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디스크(29)로부터 개리되는 개리 위치와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제동체(30)와, 접촉 위치와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동체(30)를 변위시키는 제동체 변위 장치(31)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제동체(30)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12)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회전축(23)의 일부는, 돌출 축부(23a)로서 한쪽의 대향부(16)로부터 지지체(13)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2). 디스크(29)는, 스프로켓(sprocket)(32)을 통하여 돌출 축부(23a)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 축부(23a)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끼워맞춤 홈(33)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로켓(32)은, 각 끼워맞춤 홈(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디스크(29)는, 스프로켓(32)의 외주부에 설치된 톱니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로 인해, 스프로켓(32) 및 디스크(29)는 제 2 회전축(23)에 대하여, 제 2 회전축(23)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되고,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는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대향부(16)의 디스크(29) 측의 면에는, 원판 모양의 부착판(34)이 고정되어 있다. 부착판(34)의 디스크(29)에 대향하는 면에는, 라이닝(35)이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34)의 외주부에는, 디스크(29)의 지름 방향 바깥쪽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 볼트(36)가 나사 맞춤 되어 있다. 각 지지 볼트(36)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에 따라 연장하고 있다. 제동체(30) 및 제동체 변위 장치(31)는, 각 지지 볼트(36)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동체(30) 및 제동체 변위 장치(31)는, 각 지지 볼트(36)를 통하여 부착판(34)에 지지되어 있다.
제동체 변위 장치(31)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디스크(29)보다도 부착판(34)에서부터 떨어진 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동체(30)는, 제동체 변위 장치(31)와 디스크(29)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29)는, 부착판(34)과 제동체(3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동체(30), 제동체 변위 장치(31) 및 부착판(34)의 각각은, 돌출 축부(23a)가 관통하고 있다.
제동체(30)의 개리 위치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접촉 위치보다도 부착판(34)에서부터 떨어진 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동체 (30)의 개리 위치는, 접촉 위치보다도 제동체 변위 장치(31)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 있다. 제동체(30)는,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디스크(29)에 닿아, 디스크(29)와 함께 부착판(3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디스크(29)는, 제동체(30)가 접촉 위치에 이르면, 제동체(30)에 접촉된 채 부착판(34)에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제동 동작). 또, 디스크(29)는, 제동체(30)가 접촉 위치로부터 개리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제동체(30) 및 부착판(34)의 각각으로부터 개리되도록 되어 있다(해방 동작).
제동체(30)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으로 각지지 볼트(36)에 따라 안내되는 아머쳐(armature)(37)와, 아머쳐(37)의 디스크(29)에 대향하는 면에 부착된 라이닝(38)을 가지고 있다.
제동체(30)가 접촉 위치에 있을 때에는, 라이닝(35,38)이 디스크(29)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 라이닝(35,38)과 디스크(29)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디스크(29)에는, 제 2 회전축(23) 및 제 2 롤러(24)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이 부여된다. 디스크(29)에 부여되는 제동력의 크기는, 제 2 롤러(24)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 2 회전축(23) 및 제 2 롤러(24)의 회전은, 제동 장치(28)의 제동 동작에 의해 제동되도록 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은, 제 2 롤러(24)의 회전이 제동됨으로써 제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회전축(23), 제 2 롤러(24) 및 각 메인 로프(9)에 부여되는 제동력은, 제동 장치(28)의 해방 동작에 의해 해제된다.
제동체 변위 장치(31)는, 제동체(30)가 접촉 위치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제동체(30)를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가압 부재)(39)과, 각 스프링(39)의 가압력에 반발하여 제동체(30)를 개리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전자 마그넷(40)을 가지고 있다. 전자 마그넷(40)은, 전자 코일(41)을 가지고 있다. 또, 전자 마그넷(40)은, 전자 코일(41)로의 통전(通電)에 의해, 제동체(30)를 개리 위치로 변위시키는 전자 흡인력(吸引力)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제동체(30)는, 전자 코일(41)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각 스프링(39)의 가압력에 의해 접촉 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또, 제동체(30)는, 전자 코일(41)로의 통전이 실시될 때에는, 전자 마그넷(40)이 발생하는 전자 흡인력에 의해, 각 스프링(39)의 가압력에 반발하여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또한, 각 메인 로프(9)를 끼우는 로프 끼움 장치(42)는, 제 1 로프 끼움체(18) 및 제 2 로프 끼움체(19)를 가지고 있다. 또, 로프 브레이크 장치(12)는, 로프 끼움 장치(42) 및 제동 장치(28)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10)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전자 코일(41)로의 통전이 정지되어 있다. 이 때의 제동체(30)는, 접촉 위치로 변위되어 있다. 이로 인해, 디스크(29) 및 제 2 롤러(24)에는, 제동력이 부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0)의 이동이 개시될 때는,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전자 코일(41)로의 통전이 실시된다. 이로 인해, 제동체(30)는 접촉 위치로부터 개리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29) 및 제 2 롤러(24)에 부여되는 제동력은 해제된다.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로(1)를 이동하게 되면,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는, 엘리베이터 칸(10)의 이동에 따라 각 메인 로프(9l)에 접촉하면서 회전된다. 또, 디스크(29)는, 제 2 롤러(24)와 일체로 회전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10)이 목적 층에 도달하면, 전자 코일(41)로의 통전은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정지된다. 이로 인해, 제동체(30)는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29) 및 제 2 롤러(24)에 제동력이 부여되어,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이 제동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에서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가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어, 디스크(29)가 제 2 롤러(24)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디스크(29)의 회전이 제동체(30)의 디스크(29)로의 접촉에 의해 제동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를 회전시키면서 각 메인 로프(9)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각 메인 로프(9)가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메인 로프(9),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각각의 마모량을 억제할 수 있어,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각 메인 로프(9)에 부여하는 제동력의 크기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메인 로프(9), 제 1 롤러(22) 및 제 2 롤 러(24)의 부품 교환을 행하는 작업의 빈도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러닝 코스트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가공 정밀도가 높은 디스크(29)에 제동체(30)를 접촉시켜서 디스크(29)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더욱 안정적인 제동력을 제 2 롤러(24)에 부여할 수 있고,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
또, 제동체 변위 장치(31)는,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접촉 위치와 개리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동체(30)를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맞추어서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제동 동작에 의해 권상기(3)에 부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롤러(24)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의 마찰력의 크기는, 제동 장치(28)의 제 2 롤러(24)에 대한 제동력의 크기보다도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 2 롤러(24)의 회전이 제동되어 있을 때에, 제 2 롤러(24)의 각 메인 로프(9)에 대한 미끄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메인 로프(9) 및 제 2 롤러(24)의 각각의 마모량의 억제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제 2 롤러(24)에만 제동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는, 즉 제 2 롤러(24)만 제동 롤러로 되어 있으나, 제 1 롤러(22)만을 제동 롤러로 하여도 좋고,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각각을 제동 롤러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제동체(30)가 접촉 분리하는 회전체가 원판 형상의 디스크(29)로 되어 있으나, 회전체를 환상(環狀)의 드럼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드럼에 접리(接離)하는 제동체, 및 제동체를 변위시키는 제동체 변위 장치는, 드럼의 안쪽에 배치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1개의 제 1 롤러(22)와 1개의 제 2 롤러(24)와의 사이에 각 메인 로프(9)가 끼워져 있으나, 각 메인 로프(9)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 1 롤러(22)와 복수의 제 2 롤러(24)를 늘어서게 하여, 각 제 1 롤러(22)와 각 제 2 롤러(24)와의 사이에 각 메인 로프(9)를 끼우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동되는 제동 롤러로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각 메인 로프(9)에 대한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각 메인 로프(9)의 손상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상기한 예에서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가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고 있으나, 복수의 제 1 롤러(22)를 한데 모아 둘러싸도록 각 제 1 롤러(22)에 제 1 무단(無端) 형상 벨트를 감고, 복수의 제 2 롤러(24)를 한데 모아 둘러싸도록 각 제 2 롤러(24)에 제 2 무단 형상 벨트를 감아서, 제 1 무단 형상 벨트 및 제 2 무단 형상 벨트를 각 메인 로프(9)에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지지체(13)에는, 제 1 로프 끼움체(51) 및 제 2 로프 끼움체(52)가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제 1 로프 끼움체(51)와 제 2 로프 끼움체(52)와의 사이에 통과하게 되어 있다.
제 1 로프 끼움체(51)는, 각 메인 로프(9)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제 1 회전축(53, 54)과, 각 제 1 회전축(53, 54)에 고정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제 1 롤러(55, 56)와, 각 제 1 롤러(55, 56)를 한데 모아 둘러싸도록 각 제 1 롤러(55, 56)에 감겨진 제 1 무단 형상 벨트(57)를 가지고 있다.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에는, 각 제 1 롤러(55, 56)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52)는, 각 메인 로프(9)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제 2 회전축(58, 59)과, 각 제 2 회전축(58, 59)에 고정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제 2 롤러(60, 61)와, 각 제 2 롤러(60, 61)를 한데 모아 둘러싸도록 각 제 2 롤러(60, 61)에 감겨진 제 2 무단 형상 벨트(62)를 가지고 있다.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에는, 각 제 2 롤러(60, 61)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제 1 무단 형상 벨트(57) 및 제 2 무단 형상 벨트(62)는,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에 따라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면서 각각 둘레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의 외주부에는, 제 1 무단 형상 벨트(57)가 둘레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 1 벨트 홈(63)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의 외주부에는, 제 2 무단 형상 벨트(62)가 둘레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 2 벨트 홈(64)이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각 제 1 벨트 홈(63) 및 각 제 2 벨트 홈(64)의 각각 삽입된 상태로,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와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 1 회전축(53, 54)에는, 제 1 롤러(55, 56) 사이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결판(65)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판(65)에는, 제 1 롤러(55)와 제 1 롤러(56)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중간 롤러(66)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중간 롤러(66)는,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 1 중간 롤러(66)는,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의 둘레 이동에 따라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회전축(58, 59)에는, 제 2 롤러(60, 61) 사이의 간격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결판(67)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판(67)에는, 제 2 롤러(60)와 제 2 롤러(61)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 2 중간 롤러(68)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중간 롤러(68)는,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 2 중간 롤러(68)는,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의 둘레 이동에 따라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롤러 55, 제 1 롤러 56 및 제 1 중간 롤러(66)의 각각은, 각 메인 로프(9)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 2 롤러 60, 제 2 롤러 61 및 제 2 중간 롤러(68)의 각각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롤러 55, 제 1 롤러 56 및 제 1 중간 롤러(66)와 제 2 롤러 60, 제 2 롤러 61 및 제 2 중간 롤러(68)는,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무단 형상 벨트(57) 및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또, 제 1 롤러(55, 56) 및 제 2 롤러(60, 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동되는 제동 롤러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메인 로프(9) 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 1 롤러(56) 및 제 2 롤러(60)가 제동 롤러로 되어 있다. 지지체(13)에는, 제 1 롤러(56) 및 제 2 롤러(60)의 각각의 회전을 개별적으로 제동하는 2개의 제동 장치(28)가 지지되어 있다. 각 제동 장치(28)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제 1 롤러(56)와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와의 사이의 마찰력, 및 각 메인 로프(9)와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제 1 회전축(54) 및 제 1 롤러(56)에 부여되는 제동 장치(28)의 제동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 롤러(60)와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와의 사이의 마찰력, 및, 각 메인 로프(9)와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제 2 회전축(58) 및 제 2 롤러(60)에 부여되는 제동 장치(28)의 제동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제 1 롤러(55, 56)에 감겨진 제 1 무단 형상 벨트(57)와, 제 2 롤러(60, 61)에 감겨진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와의 사이에 각 메인 로프(9)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롤러(55, 56)와 제 2 롤러(60, 61)를 각 메인 로프(9)에 직접 접촉시키는 것보다도, 제 1 로프 끼움체(51) 및 제 2 로프 끼움체(52)의 각 메인 로프(9)에 대한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각 메인 로프(9)의 손상을 더욱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무단 형상 벨트(57) 및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제 1 롤러(56) 및 제 2 롤러(60)에 대한 제동 장치(28)의 제동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 1 롤 러(56) 및 제 2 롤러(60)의 회전이 제동되어 있을 때에, 제 1 무단 형상 벨트(57) 및 제 2 무단 형상 벨트(62)의 각 메인 로프(9)에 대한 미끄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제 1 롤러(56) 및 제 2 롤러(60)가 제동 롤러로 되어 있으나, 제 1 롤러(55, 56) 및 제 2 롤러(60, 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동 롤러로 되어 있으면 좋다.
실시 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지지체(13)에는, 각 메인 로프(9)를 끼우기 위한 로프 끼움 장치(71)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 끼움 장치(71)는, 제 1 로프 끼움체(72)와,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여 제 1 로프 끼움체(72)에 각 메인 로프(9)를 가압하는 작동 위치와 각 메인 로프(9)로부터 개리되는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제 2 로프 끼움체(73)와, 작동 위치와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 2 로프 끼움체(73)를 변위시키는 로프 삽입체 변위 장치(7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에는,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로프 삽입체 변위 장치(74)는, 지지체(1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암(75)과, 지지체(13)에 지지되고, 암(75)을 회동시키는 암 회동 장치(76)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15)에는, 로프 브레이크 장치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설치 핀(77)이 설치되어 있다. 설치 핀(77)에는, 암(75)의 기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암(75)은, 설치 핀(77)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암 회동 장치(76)에는, 암(75)의 선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로프 삽입체 변위 장치(74)는,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지령(정보)에 근거하여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로프 끼움체(72)는, 각 메인 로프(9)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제 1 회전축(21)과, 각 제 1 회전축(21)에 고정된 복수(이 예에서는, 2 개)의 제 1 롤러(22)를 가지고 있다. 각 제 1 회전축(21)은, 베어링을 통하여 지지체(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회전축(21) 및 제 1 롤러(22)는, 제 1 회전축(2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73)는, 암(75)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로프 끼움체(73)는, 암(75)의 회동에 의해, 작동 위치와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로프 끼움체(73)는, 암(75)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 개)의 제 2 회전축(23)과, 각 제 2 회전축(23)에 고정된 복수(이 예에서는, 2 개)의 제 2 롤러(24)를 가지고 있다. 각 제 2 회전축(23)은, 베어링을 통하여 암(75)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 2 회전축(23) 및 제 2 롤러(24)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2 회전축(23)의 일부는, 대향부(16)로부터 지지체(13)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 축부로 되어 있다.
각 제 2 회전축(23)의 돌출 축부에는, 제동 장치(2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제동 장치(28)는, 제 2 회전축(23)에 지지되어 있다. 각 제동 장치(28)는, 암(75)의 회동에 따라 각 제 2 회전축(23)과 함께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각 제동 장치(28)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각 제동 장치(28)는,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 제동체(도 2 참조)가 접촉 위치로 변위되고, 제 2 로프 끼움체(73)가 해방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 제동체가 개리 위치로 변위되도록,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각 제 2 롤러(24)의 회전은, 제동체의 접촉 위치로의 변위에 의해 제동된다. 즉, 각 제 2 롤러(24)는,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동되는 제동 롤러로 되어 있다.
제 1 롤러(22)의 외주부에는, 제 1 롤러(22)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 1 로프 홈(2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롤러(24)의 외주부에는, 제 2 롤러(24)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 2 로프 홈(27)이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 제 1 로프 홈(26) 및 제 2 로프 홈(27)의 각각에 삽입된 상태로, 제 1 롤러(22)와 제 2 롤러(24)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또,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는,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에 수반하여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제 2 로프 끼움체(73)가 해방 위치로 변위되면, 각 제 2 롤러(24)로부터 뿐만 아니라, 제 1 롤러(22)로부터도 개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로프 끼움체(73)가 해방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의 각각의 회전은, 각 메인 로프(9)가 이동되어도, 정지된 채로 있다. 즉, 제 2 로프 끼움체(73)가 해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각 메인 로프(9)로부터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로의 힘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메인 로프(9)는, 제 2 로프 끼움체(73)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 1 롤러(22)에 상시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암 회동 장치(76)는, 지지체(13)에 지지되어 있다. 암 회동 장치(76)에는, 암(75)의 선단부가 연결 볼트(연결 부재)(7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암 회동 장치(76)는,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와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암(75)을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암 회동 장치(76)는, 암(75)과 함께 변위되는 가동체(79)와, 지지체(13)에 지지되고, 가동체(79)의 변위량을 규제하기 위한 틀체(80)와,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암(75) 및 가동체(79)를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가압체)(81)과, 각 스프링(81)의 가압력에게 반발하여, 제 2 로프 끼움체(73)가 해방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암(75) 및 가동체(79)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82)을 가지고 있다.
가동체(79)는, 연결 볼트(78)를 통하여 암(75)의 선단부에 장착된 가동체 본체(83)와, 가동체 본체(83)에 고정되어, 틀체(80)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판 모양의 아머쳐(84)를 가지고 있다.
틀체(80)는, 가동체(79)가 변위되는 방향에 대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 1 규제부(85) 및 제 2 규제부(86)를 가지고 있다. 제 1 규제부(85)는, 제 2 규제부(86)보다 암(75)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규제부(86)에는, 틀체(80) 내에 배치된 전자 마그넷(82)이 고정되어 있다. 아머쳐(84)는, 제 1 규제부(85)와 전자 마그넷(82)과의 사이의 틈새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73)는, 아마쳐(84)가 제 1 규제부(85)에 맞닿게 되었을 때에 작동 위치로 변위되고, 아머쳐(84)가 전자 마그넷(82)에 맞닿게 되었을 때에 해방 위치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각 스프링(81)은, 제 1 규제부(85)와 암(75)과의 사이에 축소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암(75)은, 제 1 규제부(85)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각 스프링(81)에 의해 가압 되고 있다. 또, 전자 마그넷(82)은, 전자 코일(87)을 가지고 있다. 전자 마그넷(82)은, 전자 코일(87)로의 통전에 의해, 아머쳐(84)를 흡인하는 전자 흡인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73)는, 전자 코일(87)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있을 때는, 각 스프링(81)의 가압에 의해 작동 위치로 변위되고 있다. 전자 코일(87)로의 통전을 행하면, 각 스프링(81)의 가압력에게 반발하여, 아머쳐(84)가 전자 마그넷(82)에 의해 흡인되어,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변위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10)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각 제동 장치(28)의 전자 코일로의 통전, 및 암 회동 장치(76)의 전자 코일(87)로의 통전이 각각 정지되고 있다. 이 때, 각 제동 장치(28)의 제동체는 접촉 위치로 변위되고, 제 2 로프 끼움체(73)는 작동 위치로 변위되고 있다. 즉, 각 제 1 롤러(22) 및 각 제 2 롤러(24)가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제 2 롤러(24)의 회전이 각 제동 장치(28)에 의해 제동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10)의 이동이 개시될 때에는,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각 제동 장치(28)의 전자 코일 및 암 회동 장치(76)의 전자 코일(87)의 각각으로의 통전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각 제동 장치(28)의 제동체가 개리 위치로 변위되고, 제 2 로프 끼움체(73)가 해방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9)에 주어지는 제동력이 해제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10)은, 승강로(1) 내를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0)이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는, 각 메인 로프(9)로부터 개리되고 있으므로,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되지 않는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10)이 목적 층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각 제동 장치(28)의 전자 코일로의 통전, 및 암 회동 장치(76)의 전자 코일(87)로의 통전이 각각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각 제동 장치(28)의 제동체가 개리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변위되고, 제 2 로프 끼움체(73)가 해방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9)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여 제 1 로프 끼움체(72)에 각 메인 로프(9)를 가압하는 작동 위치와, 각 메인 로프(9)로부터 개리되는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 2 로프 끼움체(73)가 변위되도 록 되어 있고, 제 2 로프 끼움체(7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각 제 2 롤러(24)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를 회전시키면서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을 제동할 수 있고, 각 메인 로프(9)가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에 대해서 슬라이드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로프 브레이크 장치(12)의 각 메인 로프(9)에 주어지는 제동력의 크기를 안정시킬 수 있어, 런닝 코스트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로프 끼움체(73)가 각 메인 로프(9)를 제 1 로프 끼움체(72)에 계속 가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각 메인 로프(9), 제 1 로프 끼움체(72) 및 제 2 로프 끼움체(73)의 각각의 데미지(손상)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 로프 끼움체 변위 장치(74)는,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작동 위치와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 2 로프 끼움체(73)를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맞추어 로프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로프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동작에 의해서 권상기(3)에 부하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지지체(13)에는, 각 메인 로프(9)를 사이에 두기 위한 로프 끼움 장치(91)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 끼움 장치(91)는, 제 1 로프 끼움체(92)와,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여 제 1 로프 끼움체(92)에 각 메인 로 프(9)를 가압하는 작동 위치와 각 메인 로프(9)로부터 개리되는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 변위 가능한 제 2 로프 끼움체(93)와, 작동 위치와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 제 2 로프 끼움체(93)를 변위시키는 로프 끼움체 변위 장치(94)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7에는, 제 2 로프 끼움체(9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로프 끼움체 변위 장치(94)는, 한쪽의 대향부(16)와 다른 한쪽의 대향부(1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로프 끼움체 변위 장치(94)는, 제 2 로프 끼움체(93)와 함께 변위되는 가동체(95)와, 가동체(95)를 변위시키는 전자 개폐 장치(96)를 가지고 있다.
가동체(95)는, 전자 개폐 장치(96)에 대향하는 아머쳐(97)와, 아머쳐(97)에 고정되고, 또한 제 1 로프 끼움체(92) 측에 오목부(98)가 설치된 부착부(99)를 가지고 있다. 전자 개폐 장치(96)는, 제 2 로프 끼움체(93)가 작동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가동체(95)를 가압하는 복수의 스프링(가압체)(100)과, 각 스프링(100)에 반발하여, 제 2 로프 끼움체(93)가 해방 위치로 변위되는 방향으로 가동체(95)를 변위시키는 전자 마그넷(101)을 가지고 있다.
전자 마그넷(101)은, 전자 코일(102)을 가지고 있다. 전자 마그넷(101)은, 전자 코일(102)로의 통전에 의해, 아머쳐(97)를 흡인하는 전자 흡인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전자 코일(102)로의 통전 및 통전의 정지는, 제어 장치(14)에 의해 제어된다. 또, 제 2 로프 끼움체(93)는, 전자 코일(102)로의 통전에 의해 해방 위치로 변위되고, 전자 코일(102)로의 통전의 정지에 의해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제 1 로프 끼움체(92)는, 지지체(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 1 회전축(21)과, 제 1 회전축(21)에 고정된 제 1 롤러(22)를 가지고 있다. 제 1 회전축(21) 및 제 1 롤러(22)는, 제 1 회전축(2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93)는, 일부가 오목부(98) 내에 배치된 상태로, 가동체(95)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로프 끼움체(93)는, 가동체(95)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제 2 회전축(23)과, 제 2 회전축(23)에 고정된 제 2 롤러(24)를 가지고 있다. 제 2 회전축(23) 및 제 2 롤러(24)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롤러(22)의 외주부에는, 제 1 롤러(22)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 1 로프 홈(2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롤러(24)의 외주부에는, 제 2 롤러(24)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 개의 제 2 로프 홈(27)이 설치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제 2 로프 끼움체(9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 1 로프 홈(26) 및 제 2 로프 홈(27)의 각각 삽입된 상태로, 제 1 롤러(22)와 제 2 롤러(24)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제 2 로프 끼움체(9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또, 제 2 로프 끼움체(9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는,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에 수반하여 각 메인 로프(9)에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각 메인 로프(9)는, 제 2 로프 끼움체(93)가 해방 위치로 변위되면, 각 제 2 롤러(24)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제 1 롤러(22)로부터도 개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 2 로프 끼움체(93)가 해방 위치에 있을 때는, 각 메인 로프(9)로부터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로의 힘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메인 로프(9)는, 제 2 로프 끼움체(93)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 1 롤러(22)에 상시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한쪽의 대향부(16)와 제 1 롤러(22)와의 사이에는, 제 1 회전축(21) 및 제 1 롤러(22)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10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롤러(22)는, 제동 장치(103)에 의해서 제동되는 제동 롤러로 되어 있다. 제동 장치(103)는, 제 1 롤러(22)에 고정된 슬라이드판(회전체)(104)과, 슬라이드판(104)에 접촉하는 제동체(105)와, 제동체(105)를 슬라이드판(104)에 가압하기 위한 가압 장치(106)를 가지고 있다.
가압 장치(106)는, 제동체(105)를 슬라이드판(104)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밀기 스프링(가압체)(107)과, 한쪽의 대향부(16)에 설치되어, 각 밀기 스프링(107)의 가압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정 볼트(108)를 가지고 있다. 각 밀기 스프링(107)의 가압력의 크기는, 각 조정 볼트(108)의 한쪽의 대향부(16)에 대한 나사 맞춤 양의 조정에 의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동체(105)는, 각 밀기 스프링(107)이 수용되는 스프링 수용 홈(109)이 설치된 제동체 본체(110)와, 제동체 본체(110)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판(104)에 접촉하는 마찰 부재(111)를 가지고 있다. 제동체(105)는, 슬라이드판(104)에 접촉하면서, 가압 장치(106)에 의해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판(104) 과 마찰 부재(111)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항상 발생하고 있다. 제 1 회전축(21) 및 제 1 롤러(22)의 회전은, 슬라이드판(104)과 마찰 부재(11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동된다. 또한, 슬라이드판(104)과 마찰 부재(11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각 조정 볼트(108)의 나사 맞춤 양의 조정에 의해,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롤러(22)에 고정된 슬라이드판(104) 에는, 제동체(105)가 가압 장치(106)에 의해 항상 가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회전축(21) 및 제 1 롤러(22)에는, 제동력이 항상 부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10)이 정지하고 있을 때는,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전자 코일(102)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있다. 이 때의 제 2 로프 끼움체(93)는, 작동 위치로 변위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9)에는, 제동력이 주어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10)의 이동이 개시될 때는,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전자 코일(102)로의 통전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로프 끼움체(93)는, 각 스프링(100)의 가압력에 반발하여, 작동 위치로부터 해방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로프 끼움체(92) 및 제 2 로프 끼움체(93)는 각 메인 로프(9)로부터 개리되어, 각 메인 로프(9)에 주어지는 제동력이 해제된다. 이 후,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가 각 메인 로프(9)로부터 개리된 채로,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로(1) 내를 이동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10)이 목적 층에 도달하면,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전자 코일(102)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로프 끼움체(93)가 해방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각 메인 로프(9)가 제 1 롤러(22)로 밀어 붙여져, 각 메인 로프(9)에 제동력이 주어진다.
이와 같이, 제동체(105)를 슬라이드판(104)에 항상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롤러(22)의 회전을 항상 제동하도록 함으로써, 제동체(105)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구를 없앨 수 있어, 제동 장치(103)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제동 장치(103)의 보수 점검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롤러(22)와 슬라이드판(104)을 일체로 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더욱 줄일 수 있어, 제 1 로프 끼움체(92) 및 제동 장치(103)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제 1 롤러(22)만이 제동 롤러로 되어 있지만, 제 2 제동 롤러(24)만을 제동 롤러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제동체(105)가 접촉하는 회전체가 슬라이드판(104)으로 되어 있지만, 회전체를 환상의 드럼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드럼에 접촉하는 제동체, 및 제동체를 드럼에 가압하는 가압 장치는, 드럼의 안쪽에 배치된다.
실시 형태 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8에는, 제 2 로프 끼움체(93)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에 있어서, 제 2 회전축(23)의 일 부는, 돌출 축부(23a)로서 한쪽의 대향부(16)로부터 지지체(13)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돌출 축부(23a)에는, 제 2 회전축(23)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 장치(12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 2 롤러(24)는, 제동 장치(121)에 의해서 제동되는 제동 롤러로 되어 있다. 제동 장치(121)와 한쪽의 대향부(16)와의 사이에는, 돌출 축부(23a)가 통해진 부착 부재(122)가 배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122)는, 한쪽의 대향부(16)에 고정되어 있다.
제동 장치(121)는, 돌출 축부(23a)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123)와, 회전체(123)와 부착 부재(12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체(123)가 접촉하는 슬라이드판(제동체)(124)과, 회전체(123)를 슬라이드판(124)에 가압하는 가압 장치(125)를 가지고 있다. 제동 장치(121)는,, 지지체(13) 및 부착 부재(122)에 대해서, 제 2 로프 끼움체(93)와 함께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체(123)와 돌출 축부(23a)와의 사이에는,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키(key)(126)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123)는, 돌출 축부(23a)에 대해서, 제 2 회전축(23)의 축선 방향에 대해서는 변위 가능하게 되고, 회전체(123)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되고 있다.
슬라이드판(124)은, 돌출 축부(23a)가 중앙부를 통하게 된 원형판이다. 슬라이드판(124)의 외주부에는, 제 2 로프 끼움체(93)가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볼트 통과 장공(長空)(127)이 설치되어 있다. 각 볼트 통과 장공(127)에는, 부착 부재(122)에 부착된 복수의 스토퍼 볼트(128)가 통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판(124)은, 부착 부재(122)에 대해서, 볼트 통과 장공(127)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슬라이드판(124)의 원주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되고 있다.
가압 장치(125)는, 돌출 축부(23a)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압 장치(125)는, 회전체(123)가 슬라이드판(124)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회전체(123)를 가압하는 접시 스프링(가압체)(129)과, 접시 스프링(129)이 돌출 축부(23a)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긋남 방지판(130)을 가지고 있다. 접시 스프링(129)은, 어긋남 방지판(130)과 회전체(123)와의 사이에서 축소되어 있다.
회전체(123)는, 회전체 본체(131)와, 회전체 본체(131)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판(124)에 접촉하는 마찰 부재(132)를 가지고 있다. 회전체(123)는, 슬라이드판(124)에 접촉하면서, 가압 장치(125)에 의해서 슬라이드판(124)에 항상 가압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판(124)과 마찰 부재(132)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항상 발생하고 있다. 제 2 회전축(23) 및 제 2 롤러(24)의 회전은, 슬라이드판(124) 과 마찰 부재(13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동된다. 또한, 슬라이드판(124)과 마찰 부재(132)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제 1 롤러(22) 및 제 2 롤러(24)와 각 메인 로프(9)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4와 같다.
이와 같이, 제 1 롤러(22)의 회전을 제동 장치(103)에 의해 상시 제동함과 동시에, 제 2 롤러(24)의 회전을 제동 장치(121)에 의해 항상 제동하도록 함으로써, 각 메인 로프(9)에 부여하는 제동력의 크기를 제동 장치 103 및 제동 장치 125로 분담할 수 있어, 제동 장치 103 및 제동 장치 121의 각각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4)에 의한 로프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는, 엘리베이터 칸(10)의 통상 정지시에만,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0)의 낙하를 저지하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했을 때 등의 비상시에, 각 메인 로프(9)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의 이동을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9)
- 삭제
- 삭제
- 제 1 롤러를 포함한 제 1 로프 끼움체와, 제 2 롤러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로프 끼움체에 상기 메인 로프를 가압하는 작동 위치와 상기 메인 로프로부터 개리되는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제 2 로프 끼움체와, 상기 작동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 2 로프 끼움체를 변위시키는 로프 끼움체 변위 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 2 로프 끼움체가 상기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의 각각이 상기 메인 로프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제동 롤러로 되어 있는 로프 끼움 장치, 및상기 제동 롤러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접촉하는 제동체를 가지며, 상기 제동체의 상기 회전체로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동 롤러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를 구비하고,상기 제동 롤러의 회전을 제동하고, 또한 상기 제 2 로프 끼움체를 상기 작동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메인 로프의 이동을 제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로프 끼움체 변위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작동 위치와 상기 해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 2 로프 끼움체를 변위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메인 로프에 접촉하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동 롤러와 상기 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제동 장치에 의해서 상기 회전체에 주어지는 제동력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로프 끼움체는 복수의 상기 제 1 롤러를 가지고, 상기 제 2 로프끼움체는 복수의 제 2 롤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로프 끼움체는, 복수의 상기 제 1 롤러와, 각 상기 제 1 롤러를 한데 모아 둘러싸도록 각 상기 제 1 롤러에 감겨진 제 1 무단(無端) 모양 벨트를 가지고,상기 제 2 로프 끼움체는, 복수의 상기 제 2 롤러와, 각 상기 제 2 롤러를 한데 모아 둘러싸도록 각 상기 제 2 롤러에 감겨진 제 2 무단 형상 벨트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메인 로프는, 상기 제 1 무단 형상 벨트와 상기 제 2 무단 형상 벨트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제동 롤러에 감겨진 무단 형상 벨트와 상기메인 로프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제동 장치에 의해서 상기 회전체에 주어지는 제동력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7006706A KR100889129B1 (ko) | 2007-03-23 | 2005-06-17 |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7006706A KR100889129B1 (ko) | 2007-03-23 | 2005-06-17 |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8535A KR20070088535A (ko) | 2007-08-29 |
KR100889129B1 true KR100889129B1 (ko) | 2009-03-17 |
Family
ID=3861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6706A KR100889129B1 (ko) | 2007-03-23 | 2005-06-17 |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91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77505A (zh) * | 2016-08-26 | 2018-03-09 | 山东莱茵艾佳电梯有限公司 | 电磁式限速器夹绳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21352A (en) * | 1997-09-09 | 1999-07-13 | Otis Elevator Company | Device for enhancing elevator rope traction |
JP2004189395A (ja) * | 2002-12-10 | 2004-07-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巻上機及びそのブレーキ装置 |
-
2005
- 2005-06-17 KR KR1020077006706A patent/KR1008891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21352A (en) * | 1997-09-09 | 1999-07-13 | Otis Elevator Company | Device for enhancing elevator rope traction |
JP2004189395A (ja) * | 2002-12-10 | 2004-07-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巻上機及びそのブレーキ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88535A (ko) | 2007-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8638B1 (ko) |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행 보디의 잠금 디바이스 | |
EP2688825B1 (en) | Elevator braking system | |
JP5112342B2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KR20140042771A (ko) | 비상정지장치의 작동 | |
CN114787062B (zh) | 用于作动电梯制动装置的触发单元 | |
KR20060132506A (ko) | 순차적 안전기어 | |
KR20100082851A (ko) | 승강실을 구동 및 지탱시키기 위한 승강기 구동장치 및 방법, 대응하는 방법 및 승강실을 감속 및 지탱시키기 위한 제동 장치 및 방법, 및 관련된 방법 | |
JP6854974B2 (ja) |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安全システム | |
EA013582B1 (ru) | Лифт и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лифта | |
US9862569B2 (en) | Brake and an elevator | |
JP6732695B2 (ja) | 電磁ブレーキ解放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 |
JPWO2011004468A1 (ja) | エレベータの直動式ドラムブレーキ装置 | |
JPWO2006134661A1 (ja) | エレベータのロープブレーキ装置 | |
KR100889129B1 (ko) | 엘리베이터의 로프 브레이크 장치 | |
KR102022235B1 (ko) | 엘리베이터 제동 장치 | |
EP3517473A1 (en) | Inertia brake for braking a governor rope of a governor system of an elevator system | |
US20170349406A1 (en) | Brake assembly of elevator system | |
WO2019220550A1 (ja) |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 |
JP4855384B2 (ja) | エレベータの巻上機 | |
KR100847175B1 (ko)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 |
EP1897835A1 (en) | Brake device for elevator | |
JP2019116964A (ja) | 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ブレーキ装置の強制解除方法 | |
KR100777513B1 (ko) |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 |
KR100844633B1 (ko) |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 |
KR20060087174A (ko) |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