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368A -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368A
KR20000022368A KR1019980710799A KR19980710799A KR20000022368A KR 20000022368 A KR20000022368 A KR 20000022368A KR 1019980710799 A KR1019980710799 A KR 1019980710799A KR 19980710799 A KR19980710799 A KR 19980710799A KR 20000022368 A KR20000022368 A KR 20000022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hip
propulsion
propulsion unit
incorpo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랑 쟝-이브 르
쓰미르노프 올리비에 드
다니엘 베르쏭
끄리스띠앙 질르 푸르니에
Original Assignee
에따 프랑세 르프레장떼 빠르 르 델레게 제네랄 뿌르 라르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따 프랑세 르프레장떼 빠르 르 델레게 제네랄 뿌르 라르망 filed Critical 에따 프랑세 르프레장떼 빠르 르 델레게 제네랄 뿌르 라르망
Publication of KR2000002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3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4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the underpart of which being partly provided with channels or the like, e.g. catamaran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와, 추진 수단과, 컨테이너의 적재 그리고 하역 수단과, 평형 수단을 포함하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선체(1, 6)는 추진 유닛이 통합된 선체이며 상기 선박은 컨테이너의 적재와 하역 수단들을 갖추고 있는 대규모 항구로부터 4미터 미만의 수심이고 그 같은 장비들이 없는 소항구에까지 컨테이너 수송을 담당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단들은 외양에서의 선박의 순항 속도와 하구와 항구에서의 속도를 동시에 확보하는 추진수단(5)과, 설비를 갖추지 못한 항구에 알맞은 적재와 하역수단(2, 3)과, 컨테이너 수송 작업시 선박의 안정성과 균형에 소용되는 바다에서의 선박 평형수단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본 발명은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 선박은 화물을 적재하고 하역하는 수단들을 갖추고 있는 대규모 항구들에서부터 이 같은 장비들을 갖추고 있지 못한 작은 항구까지의 컨테이너 수송을 담당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소항구에서 소항구로 화물 수송을 담당할 수 있게 해주는, 한 범위의 중소형 선박들에 관한 것이다.
이 범위는 최대 2, 4, 10, 20, 30, 50, 100개에 이르는 컨테이너들을 수송할 수 있는 선박들로 이루어져있다.
상기 선박의 중요 특징의 하나는 수송수단들을 갖추고 있지 않은, 4미터 미만의 얕은 수심의 항구에서 컨테이너를 적재, 하역할 수 있도록 해주는 완전한 자율성이다.
실제로, 화물 수송은 우리 시장 경제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국제 교역의 세계화, "정확히 제 시간에"라는 방침의 확장, 항상 좀 더 강해지는 반응의 요구는 언제나 육상 수송을 증가시키고, 환경에 해롭고 값비싼 도로 설비물들을 확장시키는 경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박들의 범위는 도로 수송과 수상 수송간의 상호 보충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생각으로 위와 같은 분석에서 나온 것이다.
일등급 또는 이등급 항구들에서부터, 화물 수송에 관해 거의 또는 전혀 개발되지 않은 수많은 관개(灌漑) 항구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수상 연결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종 목적은 배달의 지상 거리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근거리 분배를 위해 이 항구들에서부터 컨테이너 도로 수송장치 역할을 맡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도로망에서 이용하던 것에 보충하는 "수상 공수로"상에서 움직이는 설비물이 도로의 수송장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상당한 빈도로 적은 양을 보내면서 해상-육상간 수송의 반응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자율적인 중요한 조작, 부두와 부두간 거리의 최적화 그리고 여러 제약에 알맞게 맞추어진 화물을 적재하고 하역하는 시스템으로 해상 운항을 보장하는 것이다.
네 번째 목적은 도로의 것과 견줄 수 있는 킬로미터당 비용과 운항의 여건에서 운송을 담당하는 것이다.
제인(Jane)의 "각종 (수송)기관을 통합한 운송기관"이라는 저서, 315, 338, 341쪽에 기술된 것처럼, 높은 흘수와 상당한 컨테이너 수송 능력을 가진 수많은 컨테이너 선박들이 있다.
대규모 수송 능력을 지닌 컨테이너 선박들 가운데, 2200개의 컨테이너 수송 능력과 20.4 노트의 속도, 길이 200.23 미터, 흘수 12.02 미터의 알리앙카 브라질(ALIANCA BRASIL)을 들 수 있다. 컨테이너 선박들 가운데 가장 작은 것 중의 하나는 헤라(HERA)인데, 198개의 컨테이너 수용능력, 12.5 노트의 속도, 길이 88 미터, 흘수 4.6 미터이다.
본 컨테이너 선박들은 일반적으로 중요한 수송수단을 갖춘 터미널 항구에 하역한다. 현행의 이 컨테이너 선박들을 수용할 수 있는 항구들은 많지 않으며 상기 항구들은 사용 장소 가까이 물품의 배달을 보장할 수 없다.
선체는 각기 다른 형태들일 수 있다.
그것은 단형 선체일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두 개 또는 세 개의 선체로 구성되었냐에 따라서 다형 선체, 쌍동선 또는 3 동선 형태가 될 수 있다.
특별한 필요에 따라서, 선체는 단형쌍동선이라 지칭되는, 다시 말해서 앞쪽은 단형 선체, 뒤쪽은 쌍동선인, 복합형이 될 수 있다.
미국 특허 5038696은 단형쌍동선 선박에 대해서 묘사하고 있는데 이 선박의 선체는 선박의 속도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흘수선 아래로의 수력학적 배수에 대한 고찰에 따라 특별하게 구상되었다. 이런 목적들, 다시 말해, 특히 배수량에 비해 큰 유효 적재량과 수송 작업시 선박의 안정성은, 본 발명에서 연구되고 있다.
선박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연료비용을 절감할 목적으로, 추진장치들, 특히 프로펠러가 달린 추진장치들을 설치할 수 있는 터널식 선체가 또한 제안되었다.
미국 특허 4371350은 추진기를 위한 터널이 부착된 선박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흐르는 물을 따라 수력학적 배수에 알맞은 횡방향 형태를 지니고 있다. 수력학적 배수를 향상시키고자하는 연구는 본 발명에서 다시 볼 수 있는데, 아래에 규정된 목표들에 부합하는 고유한 건조 원리에서 완전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의 뒤쪽에 위치한, 터널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돌출 되지 않는 추진 시스템을 선체에 통합한다.
- 얕은 바다에서의 항해에 의한 충돌에서 추진기관의 보호를 담당한다.
- 선박의 뒤쪽을 향하는 가는 물줄기의 배수로 추진 시스템의 능률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선박의 후미가 둑에 가장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이 후미 부분을 없애버린다.
앞서 규정된 목표들에 부합하기 위해서, 발명은 선체, 추진수단, 선박의 적재와 하역수단, 평형수단들을 포함하고 있는 형태의 자율 컨테이너 선박을 대상으로 하고있는데, 여기서 선체는 추진수단을 통합하는 선체 형태의 특징을 띄며, 선박은 컨테이너의 적재와 하역 수단을 갖춘 대규모 항구로부터 4미터 미만의 수심이고 그 같은 장비들이 없는 소항구에까지 컨테이너 수송을 담당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들을 포함하고있다. 이들 수단에는 외양(外洋)에서 선박의 순항속도와 하구와 항구에서의 속도를 동시에 확보하는 추진수단, 장비를 갖추지 못한 항구에 알맞은 적재와 하역수단, 수송 작업시 선박의 안정성과 균형에 소용되는 바다에서의 선박 평형수단들이 포함되어있다.
게다가 이 선박은 항구내에서의 배의 조종성을 확보하게 하는 추진 수단들을 포함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배수량에 비해 큰 유효 적재량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목표는 상기 추진과 상기수송을 위한 공동 동력을 담당하는 설비들과 선박과 육상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수송수단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들의 범위는 2, 4, 10, 20, 30, 50, 그리고 100개의 컨테이너를 수송할 수 있는 선박들을 포함하고 있다.
컨테이너의 크기에는 두 가지가 있다:
- 20 피트 컨테이너 (6,058×2,438×2,591 meter)
- 40 피트 컨테이너 (12,116×2,438×2,591 meter)
본 발명에 따른 이 범위의 선박들의 적재량은 아래 도표에 언급되어있다:
컨테이너 수 2 4 10 20 30 50 100
전체길이 (m) 25 35 48 65 74 88 111
적재량(t) 100 200 500 1000 1500 2500 5000
이 선박들은 동일한 건조 원리에 따라서 구상된다. 따라서 이 선박들의 제조는 기준 규격에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작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은 디젤-교류발전기를 통해서 공급된다.
추진력은 디젤기관, 굴대와 프로펠러 혹은 수력제트기(hydrojets)에 의해 확보된다.
추진수단은 전기 발동기에 의해 작동된다.
적재와 하역수단은 이동기(un portique)와 램프(une rampe)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서로 다른 특성의 결합은 이 범위의 선박들에 하나의 건조원리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선박은 투자가들에게 육로수송의 대안이 될 수 있게 하는 비용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성이 있는 기술적 해결책들이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제시하여야만 한다.
선박은 그 배수량에 비해 큰 유효 적재량을 수송할 수 있어야한다.
장비들은 가능한 한 최대로 많은 기능을 지니고 있어야하는데, 이것은 추진과 수송을 위한 공동 동력, 선박과 육상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수송수단과 선박의 순항속도, 하구와 항구에서의 속도와 동시에 항구에서 배의 조종성을 보증하는 추진수단과 수송 작업시 바다에서 선박의 균형에 소용되는 평형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시스템은 다음의 범위안에서 완벽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 항해 : 느리고 빠른 추진과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의 항해수단
- 선상생활 : 3명에서 5명의 승무원이 선박에서 며칠 동안 살 수 있게 해주는 설비
- 수송 : 장비를 갖추지 못한 항구에서 컨테이너를 선박에 적재하고 하역할 수 있게 해주는 수송수단
- 평형 : 컨테이너 수송 작업 시 그리고 항해 중에 선박의 가로방향 안정성과 균형을 확보하는 평형 시스템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이동기가 설치된 단형 쌍동선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측면 저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후미에 이동기와 램프가 설치된 단형쌍동선 형태의 동일한 선박의 측면 상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터널이 달린 단형 선체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측면 저면도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후미에 이동기와 램프가 설치된, 터널이 달린 단형선체 형태의 동일한 선박의 측면 상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보인다.
- 선두는 단형선체, 선미는 쌍동선 형태의 선체(1)
- 이동기(2)
- 컨테이너(4)
- 프로펠러(5)를 갖는 추진시스템
도시된 선박은 15에서 20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는, 앞서 규정된 난형쌍동선 형태의 선체를 갖고 있다.
작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은 디젤-교류발전기에서 공급된다.
추진수단은 전기 발동기, 굴대와 후미의 프로펠러로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 따르면, 프로펠러는 수력제트기로 대체된다.
선박에 컨테이너를 싣고 이것들을 부두의 트럭 트레일러에 놓을 수 있게 해주는, 후미에 설치된 이동기(2)와 램프에 의해 수송이 확보된다.
선박의 안정 특성에 속하는 밸러스트 시스템에 의해 선박의 평형이 확보된다.
도시된 선박은 다음의 특성들을 갖고 있다:
- 전체 길이 : 65m
- 너비 : 11m
- 가득 적재하였을 때의 배수량 : 1100t
- 흘수 : 2,6m
- 컨테이너 수 : 20
- 최고 속도 : 17노트
도 2는 후미에 설치된 수송수단를 보인다.
여기서 화물을 적재, 하역하는 이동기(2)와 램프(3)이 보인다.
이동기(2)는 이동기 혹은 이동기의 바퀴에 설치된 전기 발동기에 의해 작동된다.
도 3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나타낸다: - 선체의 후미와 굴대에 터널(7)이 달린 단형 선체 형의 선체(6)
- 이동기(2)
- 램프(3)
- 컨테이너(4)
- 프로펠러(5)를 갖는 추진 시스템
선체의 터널은, 특히, 얕은 수심의 항구에서 추진력의 효능을 향상시킨다.
좀 달리하여, 2, 3개의 터널이 2, 3개의 추진 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게 고안될 수 있다.
터널의 황방향 형태는 동그스름한 부분이 있거나 없는 오메가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작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은 디젤-교류발전기에서 공급된다.
추진 수단은 전기 발동기, 굴대와 후미의 프로펠러로 구성되어있다.
미도시된 변형예에 따르면, 프로펠러는 터널내의 수력 제트기로 대체된다.
후미에 설치된 이동기(2)와 램프(3)은 수송을 담당한다.
도시된 선박의 안정 특성에 속하는 밸러스트 시스템은 선박의 평형을 담당한다.
도시된 선박은 다음의 특성들을 갖는다:
- 전체길이 : 65m
- 너비 : 11m
- 배수량 : 1100t
- 흘수 : 2,8m
- 컨테이너 수 : 20
- 최고 속도 : 18 노트
도 4는 후미에 설치된 수송수단 장치를 보인다.
여기서 화물을 적재, 하역하는 이동기(2)와 램프(3)이 보인다.
이동기(2)는 이동기 혹은 이동기의 바퀴에 설치된 전기 발동기로 작동된다.

Claims (10)

  1. 선체와, 추진수단과,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수단과, 평형수단을 포함하는 유형의 자율 컨테이너 선박으로서, 상기 선체(1, 6)는 추진 유닛을 통합하는 선체 유형이고 상기 선박은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수단들을 갖춘 대규모 항구에서부터 수심 4m 미만의 이 같은 장비들을 갖추지 못한 소항구에까지의 컨테이너 수송을 보장하게 해주는 수단들을 가지며, 상기 수단들은 외양(外洋)에서의 선박의 순항 속도와 하구 그리고 항구에서의 속도를 동시에 보장하는 추진 수단(5)과, 장비를 갖추지 못한 항구에 알맞게된 적재 및 하역수단(2, 3)과, 컨테이너 수송 작업 시 선박의 균형과 안정에 소용되는 바다에서의 선박의 평형수단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수단(5)은, 또한, 항구에서의 조종성을 확보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추진 및 수송을 위한 공동 에너지를 확보하는 장치들과 선박과 육상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수송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는 앞에는 단형 선체 뒤에는 쌍동선인 혼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6)는 적어도 하나의 터널(7)을 갖춘 단형 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6)는 두 개의 터널을 갖춘 단형 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7. 제 1 항에 있어서, 디젤-교류발전기를 통해 에너지 공급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5)은 디젤 기관, 굴대와 프로펠러 혹은 수력제트기에 의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수단(5)은 전력 발동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및 하역수단은 이동기(2)와 램프(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KR1019980710799A 1997-04-29 1998-04-27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KR200000223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5252A FR2762579B1 (fr) 1997-04-29 1997-04-29 Navire porte-conteneurs autonome a coque integrant un ensemble propulsif
FR97/05252 1997-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368A true KR20000022368A (ko) 2000-04-25

Family

ID=950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799A KR20000022368A (ko) 1997-04-29 1998-04-27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584923B2 (ko)
EP (1) EP0907551B1 (ko)
JP (1) JP2000515096A (ko)
KR (1) KR20000022368A (ko)
CN (1) CN1096986C (ko)
AU (1) AU722929B2 (ko)
CA (1) CA2259269A1 (ko)
DE (1) DE69808006T2 (ko)
DK (1) DK0907551T3 (ko)
ES (1) ES2183364T3 (ko)
FR (1) FR2762579B1 (ko)
NO (1) NO986149D0 (ko)
PL (1) PL330875A1 (ko)
PT (1) PT907551E (ko)
RO (1) RO117440B1 (ko)
TR (1) TR199802733T1 (ko)
WO (1) WO1998049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8252B1 (fr) * 2000-04-26 2004-05-28 France Etat Navire porte conteneur autonome
AU2009310624B2 (en) * 2008-10-28 2014-05-22 Piet Ellnor Ocean going transport vessel with docking arrangements
FR3077555A1 (fr) * 2018-02-02 2019-08-09 Christophe Verna Bateau destine au transport d'un seul conteneur
CN110920810A (zh) * 2019-12-09 2020-03-27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一种用于集装箱快速装卸的滚装船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7255A (en) * 1922-12-02 1929-06-11 Gen Electric Ship propulsion
US3162169A (en) * 1964-01-23 1964-12-22 Theodore E Ferris & Sons Ship of reduced structural weight for given cargo weight carrying capacity
US3397664A (en) 1966-09-16 1968-08-20 Hydronautics Vessel stabilizer
US3426717A (en) * 1967-02-28 1969-02-11 Asaf Alexandrovich Oskolsky Shallow draught vessel
US3450090A (en) * 1968-03-18 1969-06-17 Coe M Best Jr Hull form for boats
US3591023A (en) 1969-01-30 1971-07-06 Rudolph Allen Mechanically programmable marine transport cargo handling and stowage system
US3587505A (en) * 1970-04-23 1971-06-28 Paul S Wells Partially submersible carrier vessel
FR2133290A5 (ko) 1971-04-15 1972-11-24 Mac Gregor Comarain Sa
NO132896C (ko) 1973-11-26 1976-01-28 N B Pran
BE811668A (fr) * 1974-02-28 1974-06-17 Perfectionnements dans la construction de bateaux-ateliers combines avec transport par conteneurs.
BE811670A (fr) 1974-02-28 1974-06-17 Perfectionnements dans la construction des bateaux destines a etre charges par conteneurs et conteneurs conditionnes a cette fin.
BE811669A (fr) * 1974-02-28 1974-06-17 Perfectionnements dans la construction des bateaux destines a etre charges par conteneurs et conteneurs conditionnes a cette fin.
US3934531A (en) * 1974-07-18 1976-01-27 Allen Rudolph A Ocean going cargo transport system
US4043285A (en) * 1976-02-25 1977-08-23 Nordstrom Immo R Container ship
DE3005682C2 (de) 1980-01-28 1982-11-11 Escher Wyss Gmbh, 7980 Ravensburg Schiffantriebsanlage
US4495880A (en) 1982-05-19 1985-01-29 Maniscalco Philip M Draft assisted delivery system
FR2579951A1 (en) * 1985-04-09 1986-10-10 France Etat Armement Hull forms for surface-effect ship with lateral keels and two modes of sailing
FR2597825A1 (fr) * 1986-04-29 1987-10-30 Caudart Alphonse Carene de bateau et equipement interieur d'un tel bateau
US5038696A (en) 1990-01-30 1991-08-13 Advanced Composite Marine, Inc. Ship's hull having monohull forebody and catamaran afterbody
SE500778C2 (sv) * 1991-01-30 1994-09-05 Stena Rederi Ab Skrov för flerskrovsfartyg
FR2724904B1 (fr) 1994-09-22 1996-12-27 Fountaine Pajot Structure navigante multico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2579A1 (fr) 1998-10-30
CN1096986C (zh) 2002-12-25
CA2259269A1 (fr) 1998-11-05
PL330875A1 (en) 1999-06-07
TR199802733T1 (xx) 1999-07-21
DE69808006T2 (de) 2003-06-05
AU7535898A (en) 1998-11-24
NO986149L (no) 1998-12-28
US20010054372A1 (en) 2001-12-27
AU722929B2 (en) 2000-08-17
WO1998049051A1 (fr) 1998-11-05
RO117440B1 (ro) 2002-03-29
US6584923B2 (en) 2003-07-01
ES2183364T3 (es) 2003-03-16
PT907551E (pt) 2003-01-31
FR2762579B1 (fr) 1999-06-04
JP2000515096A (ja) 2000-11-14
DE69808006D1 (de) 2002-10-24
NO986149D0 (no) 1998-12-28
EP0907551B1 (fr) 2002-09-18
CN1226866A (zh) 1999-08-25
EP0907551A1 (fr) 1999-04-14
DK0907551T3 (da) 200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531A (en) Ocean going cargo transport system
CZ2002312A3 (cs) Autonomní nákladní loď pro kontejnery
AU723398B2 (en) Self-sufficient container ship
EP2571750B1 (en) Double-ended trimaran ferry
KR100507853B1 (ko) 자항 바지선
JPH09511196A (ja) プッシングユニット
KR20000022368A (ko) 추진 유닛을 통합한 선체를 갖는 자율 컨테이너 선박
KR20080049111A (ko) 반잠수가능한 중량 화물선
US20030033967A1 (en) STOVL joint strike fighter carrier
Sahoo Principles of Marine Vessel Design: Concepts and Design Fundamentals of Sea Going Vessels
US20020078873A1 (en) System for the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ocean cargo
EP0453141B1 (en) A convertible cargo vessel and method for converting it.
Bačkalov et al. Shallow-draught vessels for the Vessel Train
Radojčić et al. Waterborne Transport—Representative Ship Types
Claes et al. An innovative LNG carrier
Radojčić et al. Concepts of Contemporary and Innovative Vessels
CN109334885A (zh) 一种可双向行驶的牵引船头
Mead SS MAINE Roll-On Roll-Off Concept
Prikhodko WATER VEHICLES
Bogdanow et al. SHALLOW-DRAFT VESSELS ON SOVIET INLAND WATER WAYS (FLACHGEHENDE SCHIFFE DER SOWJETISCHEN BINNENFLOTTE)
Carlson et al. Great Lakes Unitized Transportation System
BOYLSTON MERCHANT SHIP DESIGN FOR NATIONAL DEFENSE
Sheinberg et al. US coast guard Great Lakes icebreaker replacement
May DISTRIBUTED BY
Michel The Skaugran Class 42 400-DWT RO/R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