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314A -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314A
KR20000020314A KR1019980038874A KR19980038874A KR20000020314A KR 20000020314 A KR20000020314 A KR 20000020314A KR 1019980038874 A KR1019980038874 A KR 1019980038874A KR 19980038874 A KR19980038874 A KR 19980038874A KR 20000020314 A KR20000020314 A KR 2000002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implantation
ldd
forming
region
field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명국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3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314A/ko
Publication of KR2000002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0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 H01L21/2651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in group IV semiconductors of electrically active spe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14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ource or drain structures, e.g. specific source or drain implants or silicid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or raised source or drai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의 엔모스 트랜지스터(NMOSFET)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단채널 효과를 개선하고 포화전류를 증가시키며, 누설전류 특성 및 HCI(Hot Carrier Injection)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NMOSFET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LDD 이온주입시 인(P) 이온주입 후 추가적으로 비소(As)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기술이다. 비소(As)를 추가로 이온주입하면 비소(As)가 거의 확산되지 않으므로, 단채널 효과가 개선되며, 외인성(Extrinsic) 저항(Source/Drain Parasitic Resistance)의 감소에 의하여 포화전류가 증가된다. 그리고, 인(P)이 LDD 구조의 외각의 도펀트 프로파일을 결정지어 주므로 누설전류의 특성 및 HCI 특성이 인(P)만을 사용하여 LDD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경우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접합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의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NMOSFET)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회로 중 저전압, 고속 특성을 요구하는 모든 집적회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논리회로, 또는 저전압, 고속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에서는 LDD 구조의 NMOSFET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NMOSFET은 LDD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일 도펀트(Dopant)를 사용함으로써 도펀트의 특성에 지배받아 고유한 동작 특성을 나타낸다. 즉, LDD 구조 형성을 위하여 인(Phosphorus)만을 사용하는 경우, 인(P)의 확산 계수가 크기 때문에 정상적인 CMOS(Complementary MOS) 공정에서 열공정의 많고 적음에 따라 소위 단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가 심하게 나타나는 단점을 보인다.
또한, 비소(Arsenic)만을 사용하여 LDD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인(P)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단채널 효과가 개선되며, 트랜지스터 턴-온(turn-on)시의 포화전류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에 의하여 턴-오프(turn-off)시의 누설전류가 크게 증가되는 단점을 보인다. 그리고, 인(P)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접합 캐패시턴스가 증가하고, 핫 캐리어 주입(Hot Carrier Injection, HCI) 특성이 열화되어 소자의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형성된 LDD 구조의 NMOSFET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 부호는 공정 순서에 입각한 것으로, '10'은 실리콘 기판(p웰), '11'은 게이트 산화막, '12'는 폴리실리콘 게이트, '13'은 LDD(n-) 이온주입 영역, '14'는 게이트 측벽 스페이서, '15'는 n+이온주입 영역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LDD(n-) 이온주입 영역(13) 및 n+이온주입 영역(15)은 이온주입 프로파일(profile)을 나타낸 것으로, 후속 열처리 공정에 의해 재배치된다.
본 발명은 단채널 효과를 개선하고 포화전류를 증가시키며, 누설전류 특성 및 HCI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NMOSFET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된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의 NMOSFET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LDD 구조의 NMOSFET 단면도.
도 3은 NMOSFET의 문턱전압(VTN)에 따른 LDD 구조 형성을 위한 도펀트별 누설전류 특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리콘 기판 21 : 게이트 산화막
22 : 폴리실리콘 게이트 23 : 인(P) LDD 영역
24 : 비소(As) LDD 영역 25 : 산화막 스페이서
26 : n+이온주입 영역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특징적인 NMOSFET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활성 영역에 인(P)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제1 LDD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LDD 영역에 비소(As)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제2 LDD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LDD 영역보다 n형 도펀트가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LDD 이온주입시 인(P) 이온주입 후 추가적으로 비소(As)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기술이다. 비소(As)를 추가로 이온주입하면 비소(As)가 거의 확산되지 않으므로, 단채널 효과가 개선되며, 외인성(Extrinsic) 저항(Source/Drain Parasitic Resistance)의 감소에 의하여 포화전류가 증가된다. 그리고, 인(P)이 LDD 구조의 외각의 도펀트 프로파일을 결정지어 주므로 누설전류의 특성 및 HCI 특성이 인(P)만을 사용하여 LDD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경우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접합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한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LDD 구조의 NMOSFET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이를 참조하여 그 제조 공정을 살펴본다.
우선, 실리콘 기판(10) 상에 필드 산화막(도시되지 않음) 및 웰(well)을 형성하고, 그 활성 영역에 게이트 산화막(11)을 성장시킨다.
다음으로, 폴리실리콘 게이트(12)를 형성한다.
이어서, 노출된 활성 영역에 인(P)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여기서, 도면 부호 '23'은 인(P) LDD 영역을 나타낸 것이며, 이온주입 에너지는 30∼60keV, 도즈는 1.0×1013∼3.0×1013/㎠으로 설정하여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이때, CMOS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PMOSFET 형성 영역을 덮는 LDD 마스크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노출된 활성 영역에 비소(As)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이때, 도면 부호 '24'는 비소(As) LDD 영역을 나타낸 것이며, 이온주입 에너지는 30∼60keV, 도즈는 5×1012∼1.5×1013/㎠으로 설정하여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계속하여, 폴리실리콘 게이트(12) 측벽에 산화막 스페이서(25)를 형성하고, n+이온주입을 실시한다. 도면 부호 '26'은 n+이온주입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이후,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LDD 구조의 소오스/드레인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형성된 NMOSFET는 통상의 인(P)만을 사용한 LDD 구조의 NMOSFET에 비해 포화전류가 30~40% 이상 증가하는데, 이는 비소(As)만을 사용한 LDD 구조의 NMOSFET와 거의 같은 수준이며, 누설전류 특성은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좋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NMOSFET의 문턱전압(VTN)에 따른 LDD 구조 형성을 위한 도펀트별 누설전류 특성을 도시한 것으로, 실온(25℃)에서의 NMOSFET의 문턱전압(VTN)에 따른 누설전류를 LDD 구조 형성을 위해 도펀트로 인(P)만을 사용한 경우, 비소(As)만을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P)과 비소(As)를 함께 사용한 경우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NMOS 트랜지스터의 포화전류 특성 및 누설전류 특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 고속 회로 및 누설전류 조건이 엄격한 회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층 특성을 개선하여 게이트 아래 부분에서의 고전계의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HCI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소자의 수명을 연장하여 소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Claims (3)

  1.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활성 영역에 인(P)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제1 LDD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LDD 영역에 비소(As)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제2 LDD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막 스페이서를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 영역에 상기 제1 및 제2 LDD 영역보다 n형 도펀트가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P) 이온주입이 30 내지 60keV의 이온주입 에너지와, 1.0×1013∼3.0×1013/㎠의 도즈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소(As) 이온주입이 30 내지 60keV의 이온주입 에너지와, 5×1012내지 1.5×1013/㎠의 도즈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19980038874A 1998-09-19 1998-09-19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000020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874A KR20000020314A (ko) 1998-09-19 1998-09-19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874A KR20000020314A (ko) 1998-09-19 1998-09-19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14A true KR20000020314A (ko) 2000-04-15

Family

ID=1955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874A KR20000020314A (ko) 1998-09-19 1998-09-19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120B1 (ko) * 2002-12-27 2009-09-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모스트랜지스터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120B1 (ko) * 2002-12-27 2009-09-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모스트랜지스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6758B1 (ko) 씨모스펫 제조방법
KR20010101506A (ko) 횡방향 박막 soi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453566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0444403C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KR100311170B1 (ko) 일방향, 경사형 채널 반도체 디바이스 형성 방법
KR20010016838A (ko) 모스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주입영역 형성 방법
KR20010065303A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H034623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00020314A (ko) 엔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H1027065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76295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457228B1 (ko) 모스펫의 제조방법
KR100219063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505618B1 (ko) 고성능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421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3727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71801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US20020089021A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n anti-doped region
JPH01123474A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
KR20050108197A (ko) 엔모스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JPH05226595A (ja) 相補型misトランジスタ装置
KR20000003628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10104013A (ko) 벌크 펀치쓰루우를 억제하기 위한 모스 트랜지스터
JP200006850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252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