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981A -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 Google Patents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981A
KR20000019981A KR1019980038350A KR19980038350A KR20000019981A KR 20000019981 A KR20000019981 A KR 20000019981A KR 1019980038350 A KR1019980038350 A KR 1019980038350A KR 19980038350 A KR19980038350 A KR 19980038350A KR 20000019981 A KR20000019981 A KR 20000019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skin preparation
bamboo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951B1 (ko
Inventor
조준환
이기무
공우식
서충석
강원형
이성낙
Original Assignee
안용찬
애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찬, 애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용찬
Priority to KR101998003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9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죽여(竹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죽여추출물에 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치료에 유효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죽여추출물이 피부외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5중량% 함유되어 있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죽여추출물은 여드름 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기 때문에 여드름치료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본 발명은 죽여(竹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죽여추출물에 의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여드름치료에 유효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피부의 모낭피지선에서 일어나는 염증성 질환으로 남성호르몬, 각질생산, 피지와 세균의 상호관계에 의해 생긴다. 사춘기가 되면 남녀 모두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져 모낭 옆에 붙어있는 피지선을 자극하게 되고 그 결과 피지선이 커져 많은 피지가 분비된다. 이와 동시에 털구멍, 즉 모공 입구의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접착력이 높아져 모공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공이 막히게 되면 세균(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의 증식이 쉬어지게 되고 이 세균에 의한 피지의 분해로 인해 유리지방산이 생성된다. 이 때 유리지방산은 모공벽을 자극하고 피부 깊숙히 들어가 염증을 야기한다. 염증성 여드름은 면포 주위를 빨갛게 불거지게 하고 모공벽을 파괴하여 주위조직을 파괴하기 때문에 흉터를 생기게 한다.
이러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제; 항염증 작용하는 비 스테로이드계 소염제; 항균효과가 있는 레조시놀, 유황 및 벤조일퍼옥사이드; 항생효과가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및 메크로사이클린 등을 사용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레티노익산 등의 비타민 A유도체를 이용한 치료방법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부작용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호르몬제의 사용으로 인해 표피의 생장이 억제되거나, 호르몬제의 과다사용으로 인해 부작용이 유발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레티노익산과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사용으로 인해 피부자극과 접촉성 피부염을 야기할 우려가 있으며,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물질은 내성균을 출현시킬 수 있고 광 과민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여드름의 원인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에 대해 특이적인 항균작용을 가지며 장기간 사용해도 안정성이 높은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각종 식물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계속해 오던 중,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죽여가 여드름 균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5중량% 함유되어 있는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죽여추출물은 하기의 시험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드름 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기 때문에 여드름치료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낸다.
죽여는 대나무의 녹색 외피에 해당되는 것으로 죽세공품 생산지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것이다. 죽여는 옛날부터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성질은 차고, 열(熱)로 일어나는 해수(咳嗽), 담(痰), 번열(煩熱) 또는 어린이의 설사나 토사(吐瀉), 임부(姙婦)의 복통하혈(腹痛下血)에 사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죽여추출물은 죽세공품 산지에서 부산물로 수득된 죽여를 통상의 분쇄기로 분쇄하고 용매로 추출하는 것으로 추출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사용되는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들 수 있다. 분쇄된 죽여를 5∼10배의 용매에 첨가하여 상온에서 1∼14일 동안 침적 추출하거나, 1∼5시간 동안 중탕하여 농축 죽여추출물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죽여추출물을 피부외용제에 적용하는 경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로 한다. 죽여추출물을 피부외용제에 사용하는 경우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한다. 즉 죽여추출물을 10∼100배의 용매에 용해시킨 후 그 용액을 통상의 구성성분과 혼합하여 피부외용제를 제조한다. 죽여추출물이 피부외용제에 5중량% 이상 함유되면 경시변화에 따른 색변화와 냄새가 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용매에 잘 용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에는 죽여추출물 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분말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죽여추출물은 의약품 또는 의약부외품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래 여드름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등의 항균제; 항안드로겐제, 스테로이드 등의 호르몬류; 레티노익산 등의 비타민 A 유도체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의 제형은 크림, 로션, 스킨로션, 팩, 화운데이션 등의 화장료뿐만 아니라 비누, 세안폼 등의 세안료로도 가능하다. 이와같은 화장료나 세안료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죽여추출물은 하기의 시험예와 같이 여드름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의 활성을 저해한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예)
건조 분쇄된 죽여 100g을 에탄올 1ℓ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0일 동안 침적하여 추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증발하여 7.5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
통상의 방법에 따라 하기와 같은 조성비로 화장료 및 세안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유연화장수
성 분 함량(중량%)
살리실산 0.5
1,3-부틸렌글리콜 5.0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3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7
에탄올 15.0
향료 0.2
방부제 적량
죽여추출물 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2) 수렴화장수
성 분 함량(중량%)
구연산 0.1
살리실산 0.5
1,3-부틸렌글리콜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0.8
에탄올 30.0
향료 0.15
방부제 적량
죽여추출물 1.0
정제수 잔부
(실시예 3) 크림
성 분 함량(중량%)
마카데미아오일 2.0
스쿠알란 3.0
스테아린산 7.0
바셀린 3.0
1,3-부틸렌글리콜 7.0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 에틸렌소르비탄 1.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4.0
향료 0.25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죽여추출물 0.5
정제수 잔부
(실시예 4) 로션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0.5
에탄올 10.0
바셀린 1.0
스쿠알란 2.5
유동파라핀 6.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3-부틸렌글리콜 8.0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 0.05
트리에탄올아민 0.8
향료 0.2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죽여추출물 0.25
정제수 잔부
(실시예 5) 유액상 파운데이션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세틸스테아릴알코올 0.5
액상라놀린 1.5
유동파라핀 3.5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4.5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3
벤토나이트 1.0
글리세린 1.0
이산화티탄 5.0
탈크 6.0
착색안료 적량
향료 0.15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죽여추출물 0.1
정제수 잔부
(실시예 6) 비누
성 분 함량(중량%)
야자유지방산 1.5
이산화티탄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디나트륨 0.15
향료 0.7
색소 적량
죽여추출물 0.7
비누칩베이스 잔부
(시험예 1)
죽여추출물의 항균활성시험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죽여추출물에 대해 시험관 희석법에 의해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항균력시험은 가열 멸균한 뮬러 힌톤 액체배지(Muller Hinton Broth)에 죽여추출물을 50, 100, 200, 400, 800ppm으로 희석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시험관에 시험균 KCTC 3314(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균;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은행에서 분양)을 넣고 37℃에서 혐기 배양을 실시하였다. 48∼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의 증식(배지의 혼탁유무) 상태를 확인한 바, 최소발육저지농도(MIC)가 200ppm이었다.
(시험예 2)
벤조일퍼옥사이드의 항균활성시험
종래의 여드름치료제에 사용되는 벤조일퍼옥사이드를 사용하여 상기의 시험예 1과 같이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MIC가 1000ppm이었다.
시 료 MIC(ppm)
죽여추출물 200ppm
벤조일퍼옥사이드 1000ppm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죽여추출물이 종래의 여드름치료제에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벤조일퍼옥사이드에 비해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여드름 치료효과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유연화장수를 사용하여 여드름치료에 대한 임상시험을하였다. 여드름 보유자 30명을 15명씩 2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에 의한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를 사용한 군을 시험군으로 하고, 죽여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종래의 유연화장수를 사용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매일 2회씩 6주 동안 얼굴에 적용하여 여드름치료 상태를 육안 및 사진촬영에 의해 확인하였다. 그 효과에 대한 판정을 표 2에 나타낸다.
시험군(명) 대조군(명)
우수 5 -
양호 8 6
무변화 2 7
악화 - 2
15 1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가 죽여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보다 여드름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Claims (2)

  1. 죽여추출물이 피부외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5중량% 함유되어 있는 피부외용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화장료 또는 세안료인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19980038350A 1998-09-17 1998-09-17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061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350A KR100610951B1 (ko) 1998-09-17 1998-09-17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350A KR100610951B1 (ko) 1998-09-17 1998-09-17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81A true KR20000019981A (ko) 2000-04-15
KR100610951B1 KR100610951B1 (ko) 2007-04-25

Family

ID=1955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350A KR100610951B1 (ko) 1998-09-17 1998-09-17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9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65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9868B1 (ko) * 2001-04-18 2004-07-12 주식회사 태평양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90318B1 (ko) * 2002-04-26 2005-05-17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죽여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0529542B1 (ko) * 2003-03-05 2005-11-1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화장료 유효성분물질의 분리추출방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190003010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009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1518A (ja) * 1990-02-26 1991-11-11 Ichimaru Pharcos Co Ltd 竹から抽出されたフケ菌発育阻害成分を含有する皮膚・頭皮・頭髪剤
JP2521853B2 (ja) * 1990-07-25 1996-08-07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化粧料
JPH07187990A (ja) * 1993-12-24 1995-07-25 Toshiko Yamamoto 化粧料
JP3793612B2 (ja) * 1996-11-28 2006-07-05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65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39868B1 (ko) * 2001-04-18 2004-07-12 주식회사 태평양 대나무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490318B1 (ko) * 2002-04-26 2005-05-17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죽여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0529542B1 (ko) * 2003-03-05 2005-11-1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화장료 유효성분물질의 분리추출방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20190003010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3009A (ko) 2017-06-30 2019-01-09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951B1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9036B2 (en) Preparation for hair and/or scalp
KR101018352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4803069A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cne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H07277939A (ja) 皮膚外用剤
KR100407128B1 (ko) 송화가루 또는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JP2003532644A (ja) No合成酵素阻害剤としてのビティス・ビニフェラ種の植物抽出物とその使用
JP2014159493A (ja) チョウザメの卵からの抽出液
WO2003094908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eborrhea containing 4-hydroxy-5-methoxy-4-[2-methyl-3(3-methyl-2-butenyl)-2-oxiranyl]-1-oxaspiro[2,5]octan-6-one
KR100610951B1 (ko) 죽여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KR1022798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491608B (zh) 丙二醇单乙酸酯单硝酸酯
JPH03112912A (ja) 化粧料組成物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630903B1 (ko) 신규 용도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9503A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JPH04164013A (ja) フケ菌発育阻害成分含有物の抽出方法
KR100858196B1 (ko) 육두구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KR100909729B1 (ko)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8855B1 (ko) 송화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경구제
KR20110068203A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U2242218C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KR100538142B1 (ko) 창포 오일을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료조성물
CN116265007A (zh) 一种防脱控油舒缓精华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