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333U - 팬식 공기 안전 매트 - Google Patents

팬식 공기 안전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333U
KR20000019333U KR2019990005788U KR19990005788U KR20000019333U KR 20000019333 U KR20000019333 U KR 20000019333U KR 2019990005788 U KR2019990005788 U KR 2019990005788U KR 19990005788 U KR19990005788 U KR 19990005788U KR 20000019333 U KR20000019333 U KR 200000193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afety
fan
air
ty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2019990005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333U/ko
Publication of KR20000019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333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에 관한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몸체의 상부 매트의 각 모서리 부위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며, 상기 세로 기둥에 대향되는 하부 매트의 상면 각 모서리 부위에 세로 기둥의 내부를 향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기 공급 통로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안전 매트의 각 부분에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공급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을 최단시간 내에 성형(成形)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팬식 공기 안전 매트{Fan type air safety mat}
본 고안은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안전 매트의 각 부분에 보다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공급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을 최단시간 내에 부풀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세계의 도시는 적은 토지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최대의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점차적으로 모든 건물의 높이가 올라가는 고층화 추세에 있다. 사람의 주거 용도로 사용되는 아파트와, 사무실 그리고 백화점 등,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주변에 둘러보면 건물의 고층화 현상은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고층화 추세와 더불어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의 발생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각종 구명 기구, 소화 및 방화 기구, 그리고 긴급 피난을 위한 긴급 비상구의 설비를 법령으로 의무적으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람들의 부주의 등으로 높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되며, 또한 비상 계단이 굴뚝 역할을 하여 그 비상 계단을 타고 올라오는 유독 가스로 인해 탈출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당황한 나머지 각종 각종 구명 기구, 소화 및 방화 기구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허다함을 많이 보아왔다.
결국에 사람들은 화재로 인한 열기 및 유독 가스를 피해 창문을 통하여 탈출을 시도하거나 또는 옥상으로 대피하여 탈출을 시도하게 되는 바, 고층 건물의 화재시에는 창문 및 옥상에서 추락을 방지하면서 구조를 애타게 기다리다가, 상황의 악화로 더 이상 구조를 기다리지 못하고 뛰어내려 부상을 심하게 당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귀중한 생명을 잃는 경우가 빈번히 있어왔다.
한편, 최근들어서는 사회적인 병리 현상으로 자살을 할려고 높은 건물이나 다리 난간의 높은 곳을 올라가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 경우 적절한 인명구조 수단을 신속히 준비하지 못하여 아까운 생명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상기와 같이, 화재 등의 재난시 또는 자살을 위하여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인명구조 용구가 알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 공기 안전 매트(air safety mat)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안전 매트는 공기 주입 방식에 따라 팬식 공기 안전 매트와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로 분류할 수 있는 바, 그 중에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가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1995년 제9732호(명칭 ; 팬(FAN)식 이중 공기 안전 매트)에 알려지고 있다.
그 팬식 이중 공기 안전 매트에 의하면, 팬으로 공기 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매트를 상부 매트와 하부 매트로 구획 형성하되, 상부 매트와 하부 매트의 구획편에 여러개의 공기 유통공을 뚫고 상부 매트의 사방주면 중앙부에도 여러개의 가로 배기공을 뚫어 그 안쪽에서는 바람 막이편이 막고 있으며, 밖에서는 배기조절용 끈이 바람막이편의 토출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팬식 이중 공기 안전 매트에 의하면, 팬을 구동하여 안전 매트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 주면, 상부 매트 및 하부 매트가 부풀어 오르면서 펼쳐지게 됨으로써 쿠션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높은 건물이나 다리 난간 등, 높은 곳에서 사람이 떨어지게 되면, 상부 매트의 공기 쿠션 작용에 의해 추락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부상이나 생명을 잃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팬식 이중 공기 안전 매트에 있어서는, 내부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계속 공급하여 공기 쿠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곳에서 사람이 추락하여도 공기에 의한 쿠션 작용으로 인명을 다치지 않도록 구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점이 있으나, 실제로 상부 매트의 중앙부가 아니고 각 주변부로 낙하되는 경우 공기에 의한 쿠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상부 매트의 주변부에 부딪힌 후, 바닥에 떨어져 인체의 상해를 피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안전 매트의 각 부분에 팬의 회전에 따른 공기가 신속하게 공급되지 못하여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인명 사고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 매트의 각 부분에 보다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공급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이 최단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 A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주요부 구성인 안전 매트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7은 안전 매트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결합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6 ; 상부 매트
7 ; 상부 완충 공간 8 ; 하부 완충 공간
9 ; 하부 매트 11,12 ; 통풍망
13 ; 공기 주입 통로 14 ; 송풍수단
21,22 ; 세로 기둥 23,24 ; 안전부재
23a,24a ; 테두리 25 ; 스폰지 봉
26,27 ; 공기 공급 통로 28 ; 연결 지지편
29 ; 통풍공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략 직육면체 몸체의 내부에 상부 매트와 평행하도록 하부 매트가 설치되어 상부 완충 공간 및 하부 완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완충 공간 및 하부 완충 공간에 복수개의 통풍망이 세워져 연결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트의 각 모서리 부위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식 공기 안전 매트가 제공된다.
상기 세로 기둥에 대향되는 하부 매트의 상면 각 모서리 부위에 세로 기둥의 내부를 향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기 공급 통로를 각각 형성하여, 하부 완충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먼저 세로 기둥에 채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공급 통로의 외주면과 세로 기둥의 내주면을 소정의 폭을 갖는 복수개의 연결 지지편으로 연결하고, 그 연결 지지편의 사이에 통풍공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 기둥은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각각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부재의 상단 내부에 탄성을 갖는 와이어 형상의 지지물을 내장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부재의 상단부를 잇는 테두리를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함과 아울러 양측의 세로 기둥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세로 기둥으로 전달되는 공기가 안전부재의 테두리에 채워져 안전부재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인명 구조는 물론이고 인체의 상해를 방지하며, 또한 안전 매트의 각 부분에 보다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공급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이 최단시간 내에 성형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 - A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주요부 구성인 안전 매트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는,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팬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전제로 하고 있다.
즉, 대략 직육면체 몸체(1)는 하면(2) 및 각 측면(3)(4), 그리고 상부 매트(6)로 각 육면이 막혀진 형태이며, 그 몸체(1)의 내부에는 공간을 서로 통하는 상부 완충 공간(7) 및 하부 완충 공간(8)으로 구획하는 하부 매트(9)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완충 공간(7) 및 하부 완충 공간(8)에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통풍망(11)(12)이 각각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부 완충 공간(7) 및 하부 완충 공간(8)에 설치되는 통풍망(11)(12)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 그 개수를 증가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하부 완충 공간(8)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기 주입 통로(13)가 형성되어 있어, 그 공기 주입 통로(13)를 통해 외부의 송풍팬 등의 송풍수단(14)의 구동으로 외부 공기를 몸체(1)의 내부로 송풍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송풍수단(14)의 개수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음도 물론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송풍수단(14)을 이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송풍수단(14)을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상부 완충 공간(7)를 이루는 각 측면(3)(4)의 소정 부위에는 각각 공기 배출공(15)(1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공기 배출공(15)(16)에는 각 측면(3)(4)에 부착된 커버(17)(18)에 의하여 가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공기 주입 통로(13)를 통해 하부 완충 공간(8)을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부 완충 공간(7)으로 공급되어 소정의 형상을 이루게 되며, 팬식 공기 안전 매트가 사용되는 동안 송풍수단(14)이 지속적으로 동작을 계속하여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상부 매트(6)의 각 모서리 부위에 그 상부 매트(6)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세로 기둥(21)(22)을 각각 형성하고, 그 세로 기둥(21)(22)에 안전부재(23)(24)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안전부재(23)(24)는 그물망인 형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부재(23)(24)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기둥(21)(22) 및 안전부재(23)(24)의 결합 부위에 소정량의 강력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여 접착 고정한다.
상기 안전부재(23)(24)의 고정수단은 꼭 강력 접착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로 기둥(21)(22)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공이 나열된 고정편을 접착 고정하고, 상기 안전부재(23)(24)의 양측연부에도 복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강도가 높은 와이어(wire)로 묶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23)(24)의 상단 내부에는 탄성 및 강도가 우수한 스폰지 봉(25)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스폰지 봉(25)을 대신하여 로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세로 기둥(21)(22)은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기둥(21)(22)에 대향되는 하부 매트(9)의 상면 각 모서리 부위에 세로 기둥(21)(22)의 내부를 향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기 공급 통로(26)(27)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공기 공급 통로(26)의 외주면과 세로 기둥(21)(22)의 내주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 지지편(28)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공기 공급 통로(26)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신속하게 세로 기둥(21)(22)으로 공급되어 세로 기둥(21)(22)를 신속하게 바로 세우게 되며, 계속 공급되는 공기는 연결 지지편(28)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통풍공(29)을 통해 하측으로 흘러 상부 완충 공간(7)을 채우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층 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위험에 처한 사람들이 뛰어내릴 위치에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를 펼치고, 공기 주입 통로(13)에 송풍수단(14)을 연결하여 공기를 직육면체 몸체(1)의 내부로 강제 송풍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 주입 통로(13)를 통해 몸체(1)의 하부 완충 공간(8)으로 공급된 공기는 하부 완충 공간(8)에 채워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하부 완충 공간(8)에는 복수개의 통풍망(12)으로 구획되어 있는 바, 그 통풍망(12)을 통해 공기가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공기의 일부는 하부 완충 공간(8)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공기 공급 통로(26)를 통해 상승하게 되는 바, 그 공기는 먼저 상부 매트(6)의 각 세로 기둥(21)(22)으로 공급되어 그 세로 기둥(21)(22)을 똑바로 세우게 되며, 계속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공급 통로(26)를 지지하고 있는 연결 지지편(28)의 사이에 형성된 통풍공(29)을 통해 상부 완충 공간(7)을 채우게 된다.
상기 상부 완충 공간(7)은 몸체(1)의 각 측면(3)(4)에 각각 형성된 공기 배출공(15)(16)에 의해 외부와 통하도록 되어 있으나, 송풍수단(14)의 계속되는 구동에 의한 공기의 공급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는 그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긴급 상황의 발생으로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도움을 청하고 있는 사람이 상황의 악화로 구조를 기다리지 못하고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상부 매트(6)를 향하여 뛰어내리면, 그 낙하 충격으로 상부 완충 공간(7)의 공기를 순간적으로 압축시켜 커버(17)(18)를 밀치면서 공기 배출공(15)(16)을 통해 배출되므로, 상부 매트(6)의 탄발력을 줄여 에어 쿠션을 역할을 함으로써 높은 곳에서 뛰어내린 사람이 상해를 입지 않고 보다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부 매트(6)의 잔여 충격은 하부 매트(9)로 전달되어 그 하부 매트(9)에서 흡수함으로써 안전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이 후, 높은 곳에서 떨어진 사람이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상부 매트(6)에서 내려와 다른 곳으로 피난하게 되면, 계속되는 송풍수단(14)의 구동으로 공기가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경로를 따라 공급되어 상부 완충 공간(7)을 채우게 되어, 다시 도 1에 도시한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다음 사람의 낙하 또는 추락에 대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상부 매트(6)의 중앙부에 정확히 떨어지지 못하고 그 주변부에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매트(6)의 주변부를 돌아서 소정의 높이로 그물망 형태의 안전부재(23)(2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안전부재(23)(24)를 잡거나 의지하여 외측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안전부재(23)(24)를 지지하는 세로 기둥(21)(22)이 외측을 향하여 각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하여,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사람들에게 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안전부재(23)(24)의 상단부를 잇는 테두리(23a)(24a)의 내부를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테두리(23a)(24a)의 양단부를 양측의 세로 기둥(21)(22)과 서로 통하도록 접착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앞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1)의 공기 주입 통로(13)를 통해 하부 완충 공간(8)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그 공기의 일부가 하부 완충 공간(8)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공기 공급 통로(26)를 통해 상승하면서 세로 기둥(21)(22)을 똑바로 세우게 되는 바, 상기 세로 기둥(21)(22)을 각각 연결하는 안전부재(23)(24)의 각 테두리(23a)(24a) 내부에도 공기가 채워져 안전부재(23)(24)를 처짐없이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송풍수단(14)의 구동으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몸체(1)의 상부 완충 공간(7)을 채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높은 곳에서 사람이 낙하 또는 추락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동일한 공기의 쿠션 작용으로 인명 구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팬식 공기 안전 매트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몸체의 상부 매트의 각 모서리 부위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며, 상기 세로 기둥에 대향되는 하부 매트의 상면 각 모서리 부위에 세로 기둥의 내부를 향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기 공급 통로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안전 매트의 각 부분에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공급하여 그 전체적인 형상을 최단시간 내에 부풀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대략 직육면체 몸체의 내부에 상부 매트와 평행하도록 하부 매트가 설치되어 상부 완충 공간 및 하부 완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완충 공간 및 하부 완충 공간에 복수개의 통풍망이 세워져 연결된 팬식 공기 안전 매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매트의 각 모서리 부위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식 공기 안전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기둥에 대향되는 하부 매트의 상면 각 모서리 부위에 세로 기둥의 내부를 향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공기 공급 통로를 각각 형성하여, 하부 완충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먼저 세로 기둥에 채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식 공기 안전 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통로의 외주면과 세로 기둥의 내주면을 소정의 폭을 갖는 복수개의 연결 지지편으로 연결하고, 그 연결 지지편의 사이에 통풍공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식 공기 안전 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기둥은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각각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식 공기 안전 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상단 내부에 탄성을 갖는 와이어 형상의 지지물을 내장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식 공기 안전 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상단부를 잇는 테두리를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함과 아울러 양측의 세로 기둥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세로 기둥으로 전달되는 공기가 안전부재의 테두리에 채워져 안전부재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식 공기 안전 매트.
KR2019990005788U 1999-04-09 1999-04-09 팬식 공기 안전 매트 KR200000193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88U KR20000019333U (ko) 1999-04-09 1999-04-09 팬식 공기 안전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788U KR20000019333U (ko) 1999-04-09 1999-04-09 팬식 공기 안전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333U true KR20000019333U (ko) 2000-11-15

Family

ID=5476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788U KR20000019333U (ko) 1999-04-09 1999-04-09 팬식 공기 안전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333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47B1 (ko) * 2006-01-20 2007-05-30 (주) 서한에프앤씨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0746662B1 (ko) * 2006-07-27 2007-08-09 이종락 구명망(救 命 網)
KR100849712B1 (ko) * 2007-05-23 2008-08-01 양건이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차량
KR100891339B1 (ko) * 2008-11-07 2009-04-01 (주)성연피에스씨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KR101046365B1 (ko) * 2009-09-28 2011-07-04 한진호 이동식 안전망을 이용한 낙하물 구조 시스템
KR20210014470A (ko) 2019-07-30 2021-02-09 충청남도 가스팽창식 인명구조 안전매트
KR20230086083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공기안전매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047B1 (ko) * 2006-01-20 2007-05-30 (주) 서한에프앤씨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0746662B1 (ko) * 2006-07-27 2007-08-09 이종락 구명망(救 命 網)
KR100849712B1 (ko) * 2007-05-23 2008-08-01 양건이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차량
KR100891339B1 (ko) * 2008-11-07 2009-04-01 (주)성연피에스씨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KR101046365B1 (ko) * 2009-09-28 2011-07-04 한진호 이동식 안전망을 이용한 낙하물 구조 시스템
KR20210014470A (ko) 2019-07-30 2021-02-09 충청남도 가스팽창식 인명구조 안전매트
KR20230086083A (ko)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미래디앤에스 공기안전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9333U (ko) 팬식 공기 안전 매트
US20080245612A1 (en) Moldular, External Emergency Structure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as a Fire Escape
KR101875772B1 (ko) 인명구조용 매트
KR100723047B1 (ko)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20000019121U (ko)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KR101191757B1 (ko) 초고층 건축물 초고층 아파트 화재 무동력 다수인 피난설비(무동력 접이식 수납형 피난데크)
US4035970A (en) Prefabricated modular helical escape structure for multiple story buildings
KR101447141B1 (ko) 공기주입형 인명구조매트
KR200344310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0290251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CN105107098B (zh) 高楼救援器
KR100849712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차량
US20130098708A1 (en)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200280654Y1 (ko) 구명용쿠션매트의프레임
KR20230086083A (ko) 공기안전매트
CN207934390U (zh) 逃生通道及楼房
KR102471462B1 (ko) 비상탈출용 완강 조립체
CN210138394U (zh) 高层建筑登高装置
KR102219131B1 (ko) 인명구조용 매트
CN211158225U (zh) 一种房屋建筑逃生结构
WO2004067879A1 (en) Safety cushion apparatus
CN115853335B (zh) 一种建筑内适老适幼的抗震掩体
JP3109234U (ja) 屋内用避難テント
CN111371008A (zh) 一种带防撞围栏的建筑电气配电柜
KR102436059B1 (ko) 가스팽창식 인명구조 안전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