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339B1 -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 Google Patents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339B1
KR100891339B1 KR1020080110462A KR20080110462A KR100891339B1 KR 100891339 B1 KR100891339 B1 KR 100891339B1 KR 1020080110462 A KR1020080110462 A KR 1020080110462A KR 20080110462 A KR20080110462 A KR 20080110462A KR 100891339 B1 KR100891339 B1 KR 10089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erson
safety mat
base portio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숙
Original Assignee
(주)성연피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연피에스씨 filed Critical (주)성연피에스씨
Priority to KR1020080110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는 상측에서 떨어진 사람이나 물체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람이나 물체가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사람 등을 안전하게 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는 화재 등의 재난 대피 교육을 위한 체험기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소방, 화재, 안전매트, 낙하, 공기, 기둥

Description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Safety mat of air pillar type}
본 발명은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측에서 떨어진 사람이나 물체의 낙하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람이나 물체가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는 화재시 인명구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재난 대피교육을 위한 체험기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안전매트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되는 튜브로서, 상측으로부터 떨어지는 사람이나 물체가 안전하게 착지되도록 충격을 완화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전매트(10)는 매트본체(12)와, 매트본체(12)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주입관(14) 및, 매트본체(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트임부(16)를 포함한다.
안전매트(10)는 상측으로부터 떨어지는 사람이나 물체에 가해지는 낙하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매트본체(12)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적정한 양의 압축공기를 주입관(14)을 통하여 매트본체(12)에 주입함과 동시에 일정한 양의 공기가 트임부(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트임부(16)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매트의 일부가 서로 겹쳐진 부분으로서, 매트본체(12) 내부의 공기가 매트 사이의 틈(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평상시에는 주입관(14)을 통하여 공급되는 양만큼의 공기가 트임부(1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사람이나 물체가 매트본체(12)에 떨어진 경우에는 주입되는 양보다 더 많은 양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낙하충격을 줄여준다.
그러나, 트임부(16)를 이용한 낙하충격 완화는 그 완화 정도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사람이나 물체가 튕겨져 나가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매트(10)는 압축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측에서 떨어진 사람이나 물체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람이나 물체가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는,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팽창되는 베이스부; 및,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위로 팽창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측으로부터 소정 중량의 물체나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 옆으로 휘거나 아래로 함몰되거나 꺾여져서 완충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는 상기 복수 개의 기둥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덮개부의 둘레는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덮개부의 가운데 부분은 기둥을 덮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덮개부의 둘레 중 일부는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베이스부에 결합되지 않아서 덮개부에 물체나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 덮개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충작용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간격은 상측으로부터 사람이 기둥 사이에 떨어진 경우에 상기 사람에 의하여 기둥이 옆으로 휘어질 수 있는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와 기둥은 타포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상측에서 떨어진 사람이나 물체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고 사람이나 물체가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 인명구조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화재 등 각종 재난 대피교육을 위한 체험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매트(100)는 베이스부(20)와, 베이스부(20)의 상면에 형성된 기둥(3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20)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팽창되는 튜브로서, 상면에 복수개의 기둥(30)이 형성될 수 있는 너비(W)와 길이(S)를 가진다. 또한, 베이스부(20)는 기둥(30)과 함께 상측으로부터 떨어진 물체(미도시)나 사람(미도시)의 낙하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정도의 높이(H1)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H1)는 50cm이다. 베이스부(20)는 타포린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는 팬(미도시)과 주입관(22)을 통하여 베이스부(20)의 내부에 주입된다.
기둥(30)은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위로 팽창되도록 베이스부(20)의 상면에 위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30) 내부의 하단은 베이스부(20)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주입관(22)을 통하여 베이스부(20)의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기둥(30)이 팽창된다. 기둥(30)은 상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체나 사람의 낙하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높이(H2) 예를 들어, 1m를 가진다. 기둥(30)은 타포린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아울러, 기둥(30)은 상측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체나 사람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아래로 함몰되거나 꺾여질 수 있는 두께(D)를 가진다. 나아가, 기둥(30)의 내부에는 상측으로부터 떨어지는 사람이나 물체에 의하여 기둥(30)이 휘어지거나 아래로 함몰되거나 꺾여질 수 있을 정도의 공기압력이 유지된다.
기둥(30)은 베이스부(20)의 상면에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간격은 상측로부터 사람(미도시)이 기둥(30) 사이로 떨어진 경우에 기둥(30)이 사람에 의하여 옆으로 휘어질 수 있는 간격을 의미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람이 기둥(30) 사이(도 5의 A)로 떨어지면 기둥(30)이 옆으로 휘어지면서 낙하충격을 완충시킨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람이 기둥(30)의 직상부(도 5의 B)로 떨어지면 기둥(30)은 아래로 함몰되거나 꺾여지고, 함몰되거나 꺾여지는 기둥(30) 양측의 기둥(30)은 옆으로 휘어지면서 낙하충격을 완화시킨다. 이 때, 함몰되거나 꺾여지는 기둥(30) 속의 압축공기는 베이스부(20)로 이동된다. 도 7의 화살표는 함몰 되거나 꺾여지는 기둥(30) 속의 압축공기가 이동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매트(100)는 기둥(30)을 덮는 덮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40)의 둘레(42)는 베이스부(20)에 결합되고 덮개부(40)의 가운데 부분(44)은 기둥(30)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덮개부(40)는 복수 개의 기둥(30)을 덮음으로써, 낙하하는 물체나 사람의 낙하충격을 여러 개의 기둥(30)이 협력하여 완충하도록 한다.
또한, 덮개부(40)는 덮개부(40)와 베이스부(2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낙하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즉, 낙하하는 물체나 사람에 의하여 덮개부(40)가 아래로 함몰되면 상기 공기층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둘레(42) 중의 일부는 베이스부(20)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베이스부(20)에 결합되지 않는다. 이것은 덮개부(40)에 물체나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 덮개부(40)와 베이스부(20)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둘레(42)와 베이스부(20)의 결합은 접착제 또는 봉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부(40)는 타포린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매트(100)는 덮개부(40) 아래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기둥(30)이 옆으로 휘어지거나 함몰되거나 꺾여지면서 완충작용을 하기 때문에 사람이나 물체가 옆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40)와 기둥(30)만으로도 낙하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 기 때문에 트임부(도 1,2의 16)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아울러, 트임부(16)를 통한 공기배출이 없기 때문에 안전매트(100)를 설치할 때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그 이후에는 압축공기를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매트(100)는 화재 등 각종 재난대피 교육을 위한 체험기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재시의 대피 훈련에는 건물에서 뛰어내리는 연습 등이 포함되는데, 상기 안전매트(100)는 이러한 재난체험 교육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매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전매트에 구비된 트임부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V'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물체나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 안전매트가 변형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에 물체나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 안전매트가 변형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베이스부 30 : 기둥
40 : 덮개부 100 :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Claims (6)

  1.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팽창되는 베이스부;
    압축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위로 팽창되도록 베이스부의 상면에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기둥; 및
    상기 복수 개의 기둥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측으로부터 소정 중량의 물체나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 옆으로 휘거나 아래로 함몰되거나 꺾여져서 완충작용을 하고,
    상기 덮개부는 덮개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덮개부의 둘레 중 일부는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베이스부에 결합되지 않아서 덮개부에 물체나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 상기 공기층의 공기가 상기 나머지 일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상측으로부터 사람이 기둥 사이에 떨어진 경우에 상기 사람에 의하여 기둥이 옆으로 휘어질 수 있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기둥은 타포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KR1020080110462A 2008-11-07 2008-11-07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KR100891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462A KR100891339B1 (ko) 2008-11-07 2008-11-07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462A KR100891339B1 (ko) 2008-11-07 2008-11-07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339B1 true KR100891339B1 (ko) 2009-04-01

Family

ID=4075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462A KR100891339B1 (ko) 2008-11-07 2008-11-07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33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62B1 (ko) * 2014-02-25 2015-09-01 와바다다 (주) 레포츠 체험시설용 계단 겸용 안전완충장치
CN106581876A (zh) * 2016-12-26 2017-04-26 重庆君正新型复合材料有限公司 设置有行走装置的快速救援装置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CN108741912A (zh) * 2018-06-07 2018-11-06 武汉市顾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温充气垫芯及其制作方法
CN109432621A (zh) * 2018-11-05 2019-03-08 吴昊璋 一种消防安全气垫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3392U (ko) * 1974-05-15 1975-11-26
US4722105A (en) 1986-09-02 1988-02-02 Owen Douglas Fluid support systems
WO1995008936A1 (en) 1993-09-30 1995-04-06 Graebe Robert H Ventilated access interface and cushion support system
KR20000019333U (ko) * 1999-04-09 2000-11-15 김종원 팬식 공기 안전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3392U (ko) * 1974-05-15 1975-11-26
US4722105A (en) 1986-09-02 1988-02-02 Owen Douglas Fluid support systems
WO1995008936A1 (en) 1993-09-30 1995-04-06 Graebe Robert H Ventilated access interface and cushion support system
KR20000019333U (ko) * 1999-04-09 2000-11-15 김종원 팬식 공기 안전 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62B1 (ko) * 2014-02-25 2015-09-01 와바다다 (주) 레포츠 체험시설용 계단 겸용 안전완충장치
CN106581876A (zh) * 2016-12-26 2017-04-26 重庆君正新型复合材料有限公司 设置有行走装置的快速救援装置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CN108741912A (zh) * 2018-06-07 2018-11-06 武汉市顾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温充气垫芯及其制作方法
CN109432621A (zh) * 2018-11-05 2019-03-08 吴昊璋 一种消防安全气垫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339B1 (ko) 공기 기둥형 안전매트
CN206404209U (zh) 蹦床
US20090256391A1 (en) Door trim-integrated pelvic impact energy-absorbing construction for vehicle
US7114200B1 (en) Pool and bathtub cushion
RU2017130764A (ru)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расширением
CN106080278A (zh) 用于儿童座椅的支撑装置
WO2005109637A3 (en) Tool case for engaging a ladder
KR101066890B1 (ko) 엘리베이터의 내벽 보호용 맞춤형 보양재
USD861563S1 (en) Vehicle floor mat
US7401368B1 (en) Tractor bed system
JP2005538909A5 (ko)
USD931653S1 (en) Bed sheet loops
US8317353B1 (en) Decorative roof light covering system
WO2009115739A3 (fr) Agencement de structure d&#39;un vehicule automobile
JP6065254B2 (ja) 洗い場床パン
KR20120065176A (ko) 선박의 횡동요 감쇠장치
WO2007060405A3 (en) A seat cushion for absorbing shocks from exploding mines
USD601376S1 (en) Car seat cover for a car back seat
KR101682180B1 (ko)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커버 기능을 갖는 보호패드
KR102012079B1 (ko) 건물 구조물의 벽체에 포함되는 완충 장치
KR20000019333U (ko) 팬식 공기 안전 매트
KR100737699B1 (ko) 종늑골의 응력집중을 완화시키는 선박의 스켈롭
JP2018184030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ジャンプ台
JP3137203U (ja) 家具転倒防止用具
KR20000019121U (ko)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