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121U -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 Google Patents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121U
KR20000019121U KR2019990005423U KR19990005423U KR20000019121U KR 20000019121 U KR20000019121 U KR 20000019121U KR 2019990005423 U KR2019990005423 U KR 2019990005423U KR 19990005423 U KR19990005423 U KR 19990005423U KR 20000019121 U KR20000019121 U KR 200000191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afety
safety mat
cylindrical air
vertica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2019990005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9121U/ko
Publication of KR20000019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121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에 관한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몸체를 이루는 세로 기둥의 상단부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보조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보조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안전 매트 몸체의 소정 부위에 이동용 바퀴 및 손잡이 등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나 중앙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또한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여, 안전 매트의 기능 향상에 크게 기여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cylinder type air safety mat}
본 고안은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나 중앙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도를 보다 향상시키며, 또한 운반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세계의 도시는 적은 토지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최대의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점차적으로 모든 건물의 높이가 올라가는 고층화 추세에 있다. 사람의 주거 용도로 사용되는 아파트와, 사무실 그리고 백화점 등,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주변에 둘러보면 건물의 고층화 현상은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고층화 추세와 더불어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의 발생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각종 구명 기구, 소화 및 방화 기구, 그리고 긴급 피난을 위한 긴급 비상구의 설비를 법령으로 의무적으로 엄격히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람들의 부주의 등으로 높은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되며, 또한 비상 계단이 굴뚝 역할을 하여 그 비상 계단을 타고 올라오는 유독 가스로 인해 탈출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당황한 나머지 각종 각종 구명 기구, 소화 및 방화 기구가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허다함을 많이 보아왔다.
결국에 사람들은 화재로 인한 열기 및 유독 가스를 피해 창문을 통하여 탈출을 시도하거나 또는 옥상으로 대피하여 탈출을 시도하게 되는 바, 고층 건물의 화재시에는 창문 및 옥상에서 추락을 방지하면서 구조를 애타게 기다리다가, 상황의 악화로 더 이상 구조를 기다리지 못하고 뛰어내려 부상을 심하게 당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귀중한 생명을 잃는 경우가 빈번히 있어왔다.
한편, 최근들어서는 사회적인 병리 현상으로 자살을 할려고 높은 건물이나 다리 난간의 높은 곳을 올라가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 경우 적절한 인명구조 수단을 신속히 준비하지 못하여 아까운 생명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상기와 같이, 화재 등의 재난시 또는 자살을 위하여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인명구조 용구가 알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 공기 안전 매트(air safety mat)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안전 매트에는 공기주입 방식에 따라 실린더식 및 팬식 공기 안전 매트로 분류할 수 있는 바, 알려진 바와 같은 실린더식 인명구조용 공기 안전 매트는 대략 직육면체 몸체의 각 모서리 및 변부에 복수개의 세로 기둥이 세워져 있고, 그 세로 기둥의 상,하부에서 가로 기둥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로 기둥 및 가로 기둥은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로 기둥의 상단부 및 중간부에는 상부 매트 및 하부 매트가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 매트의 각측면에는 복수개의 공기 배출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내부와 외부의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는 고층 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인명 구조를 필요로 하는 경우, 그 고층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바, 콤프레서 등을 이용하여 세로 기둥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그 압축 공기는 세로 기둥 및 가로 기둥으로 전달되어, 공기 안전 매트의 형상을 부풀어 오르게 한다. 이 후, 세로 기둥 및 가로 기둥에 충분한 양의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 안전 매트 형상을 이루게 되면, 압축 공기의 주입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에 의하면, 높은 건물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를 향하여 떨어지게 되면, 압축 공기에 의한 쿠션 작용에 의해 추락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부상이나 생명을 잃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에 있어서는, 세로 기둥 및 가로 기둥의 내부에 압축 공기를 채워 넣어 공기 쿠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곳에서 사람이 추락하여도 공기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인명을 다치지 않도록 구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점이 있으나, 실제로 상부 매트의 중앙부가 아니고 각 주변부로 낙하되는 경우 압축 공기에 의한 완충 효과를 부분적으로 받고 바닥으로 떨어져 인체의 손상 방지를 보장할 수 없으며, 상부 매트의 중앙부에 정확하게 낙하되어도 완충 작용으로 튕겨진 후,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로 흘러내려 지면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역시 인체의 손상 방지를 보장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전체적인 모양이 제대로 성형된 후에는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여,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나 중앙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 구조는 물론이고, 인체의 상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주요부 구성인 안전매트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구성 및 사람이 높은 곳에서 낙하되는 경우의 공기 배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3 ; 세로 기둥
2a,3a ; 보조 세로 기둥 4,5 ; 가로 기둥
6 ; 상부 매트 7 ; 하부 매트
8,9 ; 측면 10,11 ; 공기 배출공
12 ; 압축 공기 주입구 21,22 ; 안전부재
23 ; 이동용 바퀴 24 ; 이동용 손잡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략 직육면체 몸체의 각 모서리 및 중간부에 복수개의 세로 기둥이 세워지고, 그 세로 기둥의 상,하부에 복수개의 가로 기둥이 상기 세로 기둥과 통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세로 기둥의 상단부 및 중간부에 상부 매트 및 하부 매트가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 기둥의 상단부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보조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보조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가 제공된다.
상기 보조 세로 기둥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한 것을 한다.
상기 안전 매트 몸체의 하면에 복수개의 이동용 바퀴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안전 매트 몸체의 소정 부위에 복수개의 이동용 손잡이를 설치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가로 기둥에 그 가로 기둥과 내부가 통하는 별도의 수평 보조 매트를 각각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최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부재의 상단 내부에 탄성을 갖는 와이어 형상의 지지물을 내장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나 중앙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또한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여, 안전 매트의 기능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주요부 구성인 안전매트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구성 및 사람이 높은 곳에서 낙하되는 경우의 공기 배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를 전제로 하고 있다.
즉, 대략 직육면체 몸체(1)의 각 모서리 및 중간부에 복수개의 세로 기둥(2)(3)이 세워져 있고, 그 세로 기둥(2)(3)의 상,하부에서 가로 기둥(4)(5)이 상기 세로 기둥(2)(3)과 통하도록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로 기둥(2)(3)의 상단부 및 중간부에는 상부 매트(6) 및 하부 매트(7)가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 기둥(2)(3) 및 가로 기둥(4)(5)을 각각 연결하는 측면(8)(9)에는 내,외부를 통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공기 배출공(10)(1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세로 기둥(2)(3)의 최하단부에는 베이스를 연결하는 경우도 있으나 꼭 필수적인 사항은 아닌 것이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가로 기둥(4)(5)의 소정 부위에는 압축 공기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12)와, 오버 밸브(over valve)(13)와, 배기 밸브(14)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축 공기 주입구(12)는 1개 또는 용량에 따라서 그 이상의 개수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압축 공기 주입구(12)는 콤프레서, 산소통 등의 공기주입수단의 주입부분을 분리시키면 자동적으로 공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다.
상기 오버 밸브(13)는 과도한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과도한 양만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배기 밸브(14)는 공기 안전 매트를 사용한 후,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에 사용한다. 상기 배기 밸브(14)의 설치 개수도 한정하지 않음도 물론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세로 기둥(2)(3)의 상단부에 상부 매트(6)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보조 세로 기둥(2a)(3a)을 각각 형성하고, 그 보조 세로 기둥(2a)(3a)에 안전부재(21)(22)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안전부재(21)(22)는 그물망인 형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부재(21)(22)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기둥(2)(3)의 보조 세로 기둥(2a)(3a) 및 안전부재(21)(22)의 결합 부위에 소정량의 강력 접착제를 각각 도포하여 접착 고정한다.
상기 안전부재(21)(22)의 고정수단은 꼭 강력 접착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조 세로 기둥(2a)(3a)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공이 나열된 고정편을 접착 고정하고, 상기 안전부재(21)(22)의 양측연부에도 복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강도가 높은 와이어(wire)로 묶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안전부재(21)(22)의 상단 내부에는 탄성 및 강도가 우수한 스폰지 봉(22')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스폰지 봉(22')을 대신하여 로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보조 세로 기둥(2a)(3a)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층 건물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위험에 처한 사람들이 뛰어내릴 위치에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를 펼치고, 압축 공기 주입구(12)에 콤프레서 또는 산소통 등의 주입 부분을 결합하면, 압축 공기가 가로 기둥(4)(5) 및 세로 기둥(2)(3)으로 신속히 퍼져 부풀어 오르게 되며, 결국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매트(6) 및 하부 매트(7)가 평평하게 펴지면서 전체적으로 공기 안전 매트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충분한 양의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전체적인 공기 안전 매트의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콤프레서 또는 산소통 등의 주입 부분을 제거하면, 압축 공기 주입구(12)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내부의 압축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는 없다.
한편, 긴급 상황에 고층 건물의 높은 곳에서 도움을 청하고 있는 사람들이 상황의 악화로 구조를 기다리지 못하고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상부 매트(6)를 향하여 뛰어내리게 되면, 상부 매트(6)의 공기 쿠션 작용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이 때 상부 매트(6)와 하부 매트(7)의 사이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순간적으로 압축되면서 각각의 측면(8)(9)에 형성된 공기 배출공(10)(11)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매트(6)의 공기 쿠션 작용으로 뛰어 내린 사람이 순간적으로 튕겨져 올라가게 되지만 상부 매트(6)의 주변부를 돌아서 소정의 높이로 그물망 형태의 안전부재(21)(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안전부재(21)(22)를 잡거나 의지하여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매트(6)의 각 모서리 부위 및 그 중간부에 형성된 세로 기둥(2)(3)의 보조 세로 기둥(2a)(3a)은 외측을 향하여 각각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하여,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사람들에게 심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실제로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사람이 상부 매트(6)의 중앙부에 떨어지지 못하고 그 주변부에 떨어질 경우에 상기 보조 세로 기둥(2a)(3a)을 연결하고 있는 안전부재(21)(22)를 잡거나 의지하여 기존의 경우와 같이 상부 매트(6)에 떨어졌다가 튀어올라 다시 땅으로 떨어져 상해를 입거나 사망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는 하면에 복수개의 이동용 바퀴(23)를 설치하여 이동을 보다 자유롭게 함으로써 긴급 상황 대처를 보다 신속하게 하며, 또한 세로 기둥(2)(3) 등을 포함하는 소정 부위에 복수개의 손잡이(24)를 설치하여 이동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안전 매트(1)의 각각의 상부 가로 기둥(4)에는 그 가로 기둥(4)과 내부가 통하는 별도의 수평 보조 매트(25)를 각각 형성하여, 상부 매트(6)의 주변부로 추락되는 사람이 안전부재(21)(22)의 그물망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튕겨져 외측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한 수평 보조 매트(25)에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낙하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안전 낙하 면적을 최대로 하여 그 안전도 향상에 더욱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는 대략 직육면체 몸체를 이루는 세로 기둥의 상단부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보조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보조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여 구성함으로써 고층 건물 등과 같이 높은 곳에서 사람이 상부 매트의 각 주변부나 중앙부를 향하여 추락하여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도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또한 이동용 바퀴, 손잡이 등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대략 직육면체 몸체의 각 모서리 및 중간부에 복수개의 세로 기둥이 세워지고, 그 세로 기둥의 상,하부에 복수개의 가로 기둥이 상기 세로 기둥과 통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상기 세로 기둥의 상단부 및 중간부에 상부 매트 및 하부 매트가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된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 기둥의 상단부에 상부 매트의 높이 보다 소정 높이 만큼 높도록 보조 세로 기둥을 각각 형성하고, 그 보조 세로 기둥에 안전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세로 기둥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각각 벌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매트 몸체의 하면에 복수개의 이동용 바퀴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매트 몸체의 소정 부위에 복수개의 이동용 손잡이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로 기둥에 그 가로 기둥과 내부가 통하는 별도의 수평 보조 매트를 각각 형성하여, 안전 낙하 면적을 최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재의 상단 내부에 탄성을 갖는 와이어 형상의 지지물을 내장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KR2019990005423U 1999-04-02 1999-04-02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KR200000191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23U KR20000019121U (ko) 1999-04-02 1999-04-02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23U KR20000019121U (ko) 1999-04-02 1999-04-02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121U true KR20000019121U (ko) 2000-11-06

Family

ID=5476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423U KR20000019121U (ko) 1999-04-02 1999-04-02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912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65B1 (ko) * 2009-09-28 2011-07-04 한진호 이동식 안전망을 이용한 낙하물 구조 시스템
KR101128980B1 (ko) * 2009-10-01 2012-03-23 곽순이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KR20210014470A (ko) * 2019-07-30 2021-02-09 충청남도 가스팽창식 인명구조 안전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365B1 (ko) * 2009-09-28 2011-07-04 한진호 이동식 안전망을 이용한 낙하물 구조 시스템
KR101128980B1 (ko) * 2009-10-01 2012-03-23 곽순이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KR20210014470A (ko) * 2019-07-30 2021-02-09 충청남도 가스팽창식 인명구조 안전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981A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CA2082026A1 (en) Safety net arrangement for building elevator shafts
NZ544548A (en) Airbag for cushioning the fall of an individual from a height
KR20000019121U (ko)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KR101128980B1 (ko)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KR101875772B1 (ko) 인명구조용 매트
KR100723047B1 (ko)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20000019333U (ko) 팬식 공기 안전 매트
CN105107098B (zh) 高楼救援器
CN209874371U (zh) 一种电梯井道防护装置
CN110681079A (zh) 一种高空逃生救援设备
KR101918232B1 (ko) 슬라이드가 결합된 인명 구조용 팽창식 덤블링
KR101447141B1 (ko) 공기주입형 인명구조매트
KR100290251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2219131B1 (ko) 인명구조용 매트
KR200280654Y1 (ko) 구명용쿠션매트의프레임
WO2004067879A1 (en) Safety cushion apparatus
KR102436059B1 (ko) 가스팽창식 인명구조 안전매트
RU2150980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ируемых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объектов
JP5592437B2 (ja) 津波避難用シェルター
KR101125512B1 (ko) 인명구조 그물망이 구비된 사다리차용 탭 박스
CN111371008A (zh) 一种带防撞围栏的建筑电气配电柜
KR20100074533A (ko) 소방교육용 에어바운스
KR200251835Y1 (ko) 비상구조매트의3차충격방지구조
KR0109433Y1 (ko) 구난용 에어쿳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