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131B1 - 인명구조용 매트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131B1
KR102219131B1 KR1020190043352A KR20190043352A KR102219131B1 KR 102219131 B1 KR102219131 B1 KR 102219131B1 KR 1020190043352 A KR1020190043352 A KR 1020190043352A KR 20190043352 A KR20190043352 A KR 20190043352A KR 102219131 B1 KR102219131 B1 KR 102219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ody
cushioning sheet
tube
outer cushion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429A (ko
Inventor
윤철구
Original Assignee
(주)서한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한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서한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19004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1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입체상으로 형성되는 골조 튜브(110); 상기 골조 튜브(1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140)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120); 및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상부 시트(131); 하부 시트(132); 및 상기 상부 시트(131)와 하부 시트(132)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상기 상부 시트(131)까지의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측면 시트(13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133)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134)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매트{LIFESAVING MAT}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를 구비하는 인명구조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는 화재나 비상시에 낙하자를 구조할 수 있는 구조 장비를 갖추도록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다. 고층건물의 화재나 인명 구조를 위한 장비로는, 다수의 사람이 넓게 펼쳐 일정 높이로 유지한 상태에서 떨어지는 낙하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트램벌린과 같은 인명구조용 시트 및 낙하자가 떨어지는 위치의 지면에 설치되어 떨어지는 낙하자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낙하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인명구조용 매트 등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램벌린과 같은 인명구조용 시트의 경우, 높은 곳으로부터 떨어지는 사람의 가속도에 따른 충격을 견디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 두명 정도로는 이를 사용할 수 없고, 이러한 인명구조용 시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수의 인원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인명구조용 매트는 공기 충전 방식에 따라, 크게 실린더 방식과 전기팬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인명구조용 매트는 화재 발생시 사람이 건축물 내에서 외부로 긴급히 뛰어 내릴 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공기 등을 주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인명구조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낙하자가 높은 곳에서 인명구조용 매트로 떨어질때, 인명구조용 매트에 구비된 외측 완충 시트체가 신장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데, 아무리 외측 완충 시트체가 신축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신장의 한계가 존재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는, 높은 곳에서 낙하하는 사람이 받게 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기에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낙하자가 인명구조용 매트에 떨어진 후 그 매트로부터 벗어나 지면으로 떨어지게 되어 2차적인 충격을 받게 될 염려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낙하자가 고층 건물 등의 높은 곳에서 외측 완충 시트체로 떨어질 때,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를 지지하는 탄성체에 의해, 낙하자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가 낙하자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낙하자가 빠르게 떨어진 후 매트로부터 벗어나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인명구조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입체상으로 형성되는 골조 튜브; 상기 골조 튜브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 및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는 상부 시트; 하부 시트; 및 상기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상기 상부 시트까지의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측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에서, 상기 골조 튜브는 루프 형상의 상부 튜브; 루프 형상의 하부 튜브; 및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관형 연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가 상기 상부 튜브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에서, 상기 루프 형상의 상부 튜브 및 하부 튜브는 각각 다각 형상의 관형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탄성체는 상기 상부 튜브의 꼭지점에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에서, 상기 상부 튜브는 꼭지점에 복수의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탄성체는 상기 체결부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와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와 상기 탄성체는 비너, 후크 및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에서, 상기 탄성체는 탄력 밴드, 고무 및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에서,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에서,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는 상기 골조 튜브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명구조용 매트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입체상으로 형성되며, 다각 형상의 관형 상부 튜브; 다각 형상의 관형 하부 튜브; 및 상기 상부 튜브와 상기 하부 튜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관형 연결 튜브를 포함하는 골조 튜브; 상기 골조 튜브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 및 상기 골조 튜브로의 공기 주입에 의해 기립하여 입체상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에 연결되는 내측 상부 시트; 내측 하부 시트; 및 상기 내측 상부 시트와 내측 하부 시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측면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는, 상기 골조 튜브의 상기 연결 튜브를 둘러싸는 외측 측면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를 구비하는 인명구조용 매트는 낙하자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낙하자가 매트로부터 벗어나 지면으로 떨어져 발생하는 2차 충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내측 완충 시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입체상으로 형성되는 골조 튜브(110), 상기 골조 튜브(1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140)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120) 및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골조 튜브(110)의 상부 튜브(111)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부 튜브(111)의 높이의 대략 중간 부위 또는 하단부에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골조 튜브(110)의 임의의 위치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140)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120) 및 그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 및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낙하자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신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 또는 비상 대피 등 급박한 상황에서, 고층 빌딩과 같은 높은 곳으로부터 사람이 뛰어내려야 하는 경우, 낙하자를 안정적으로 구조하기 위한 인명구조용 매트(100)가 지면에 설치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낙하자는 상기 인명구조용 매트(100)의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 뛰어내리고,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는 낙하자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한다.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는 탄성체(140)에 의해 골조 튜브(110)의 상부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탄성체(140)는 낙하자를 받을 때 지면측으로 늘어난다.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가 낙하자를 받으면서 탄력적으로 늘어나게 되고,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에서, 상기 탄성체(140)는 탄력 밴드, 고무 및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탄성체(140)는 탄력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골조 튜브(110)의 상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외측 완충 시트체(120) 및 상기 상부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사람이 시트체의 반동에 의해 지면으로 굴러떨어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를 비스듬하게 설치하여, 떨어지는 사람을 외측 완충 시트체(120)가 주머니처럼 감싸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인명구조용 매트(100)는 상기 탄성체(140)에 의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가 지지되고, 상기 탄성체(140) 및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가 충격을 받으면서 둘 다 신장되기 때문에 충격을 완충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외측 완충 시트체(120)의 테두리에는 야간에도 고층 건물의 높은 곳에서 인명 구조용 매트(100)의 존재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형광 또는 야광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테두리 외의 영역에도 형광 또는 야광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완충 시트체(120)의 중앙부에는 낙하 목표 지점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중앙부에만 표시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에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 구멍(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가 일어난 경우, 소방관이 불을 끄기 위해 물을 분사하는 호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쪽으로 물이 고일 수 있다. 물이 고이게 되면, 낙하자가 고인 물과 함께 충돌하여 부상당할 수도 있고, 낙하자의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는 것에 어려움이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배수 구멍(121)은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에 고이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상부 시트(131), 하부 시트(132); 및 상기 상부 시트(131)와 하부 시트(132)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상기 상부 시트(131)까지의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측면 시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시트(133)는 골조 튜브(110)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낙하자가 외측 완충 시트체(120)와 골조 튜브(110) 사이 틈새로 떨어져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측면 시트(133)의 높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완충 시트체(130)의 상부 시트(131)의 높이와 골조 튜브(110)의 상부의 높이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상기 골조 튜브(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133)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13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층 건물과 같은 높은 곳에서 사람이 뛰어내릴 때, 외측 완충 시트체(120)에서 낙하자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내측 완충 시트체(130)에서 낙하자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데, 이때, 순간적인 압력에 의해,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의 내부 공기가 상기 측면 시트(133)에 형성된 통공(13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상당한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한 측면 시트(133)에 6개의 통공(134)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 측면 시트(133)에 2개, 4개 또는 8개의 통공(134)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133)에 손잡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160)를 이용하여 구조자는 인명구조용 매트(100)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하나의 측면 시트(133)에 2개의 손잡이가 도시되어 있지만,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골조 튜브(110)는 루프 형상의 상부 튜브(111), 루프 형상의 하부 튜브(112) 및 상기 상부 튜브(111)와 상기 하부 튜브(112)를 연결하는 복수의 관형 연결 튜브(1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에서는 상부 튜브(111) 및 하부 튜브(112)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골조 튜브(110)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루프 형상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입체 형상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원 기둥 형상, 팔각 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튜브의 재질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 또는 하이팔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튜브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루프 형상의 상부 튜브(111) 및 하부 튜브(112)는 각각 다각 형상의 관형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탄성체(140)는 상기 상부 튜브(111)의 꼭지점에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튜브(111)는 꼭지점에 복수의 체결부(114)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탄성체(140)는 상기 체결부(114)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튜브(111)의 꼭지점에 체결부(114)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114)에 탄성체(140)를 장착시키는 경우, 외측 완충 시트체(120)를 지지하는 힘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상부 튜브(111)의 모서리의 대략 1/2 지점에 복수의 체결부(114)를 더 구비하고, 이에 따라 복수의 탄성체(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140)는 외측 완충 시트체(120)가 상부 튜브(111)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곳에서 사람이 떨어지는 경우, 반동에 의해 지면으로 굴러 떨어져 2차적으로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140)를 비스듬하게 설치하여, 외측 완충 시트체(120)가 낙하자를 주머니처럼 감싸도록 받으면서 보다 안전하게 인명 구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완충 시트체(120)의 반동에 의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낙하자를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에서, 상기 체결부(114)와 상기 탄성체(140)는 비너, 후크 및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체결부(114)와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언급한 체결 장치에 의해 체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봉제 또는 접합 등에 의한 직접 연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 완충 시트체(120)와 상기 탄성체(140)도 비너, 후크 및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외부 완충 시트체(120)와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언급한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봉제 또는 접합 등에 의한 직접 연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상 대피 또는 화재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를 설치할 때, 구조자는 공기를 주입하여 골조 튜브(110)를 입체의 형상으로 만들고, 탄성체(140) 및 상기 골조 튜브(110)의 체결부(114)를 비너로 체결할 수 있다. 인명구조용 매트(100)의 신속한 설치는 매우 중요하므로, 구조자는 비너를 통해 간단하게 외측 완충 시트체(120)를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언급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체결부(114)와 상기 탄성체(140) 사이를 체결할 수 있는 장치이면 상기 인명구조용 매트(1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한, 상기 체결 장치에 의하여 외부 완충 시트체(120)는 분리 가능하므로, 따로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골조 튜브(110)의 하부 튜브(112)에 공기 주입 노즐(151), 압력 게이지(152) 및 공기 배출 노즐(153)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주입 노즐(151)을 통해 하부 튜브(114)로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면, 하부 튜브(112)와 연통되는 연결 튜브(113)와 상부 튜브(112)에 공기가 주입되고, 이에 따라 골조 튜브(100)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지될 수 있다. 구조자는 압력 게이지(128)를 통해 골조 튜브(110) 내에 공기 주입이 충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공기 배출 노즐(127)을 통해 골조 튜브(1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인명구조용 매트(100)는 공기가 과다하게 주입되는 경우,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주입되는 공기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안전밸브(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재 또는 비상 대피 등 급박한 상황에서, 상기 인명구조용 매트(100)는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 및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의 2단 구성에 의해, 고층 빌딩과 같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낙하자의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할 수 있다. 즉, 낙하자가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 떨어질 때, 상기 복수의 탄성체(140)가 신장되면서 외측 완충 시트체(120)도 함께 신장되고,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는 낙하자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데, 상기 충격은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로 전달되고,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낙하자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한다.또한,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의 측면 시트(133)에 형성되는 통공(134)은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면서 완충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인명구조용 매트(1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를 지지하는 탄성체(140)를 구비함으로써, 낙하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매트(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명구조용 매트(200)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입체상으로 형성되며, 다각 형상의 관형 상부 튜브(212), 다각 형상의 관형 하부 튜브(212) 및 상기 상부 튜브(212)와 상기 하부 튜브(212)를 연결하는 복수의 관형 연결 튜브(213)를 포함하는 골조 튜브(210), 상기 골조 튜브(2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240)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220) 및 상기 골조 튜브(210)로의 공기 주입에 의해 기립하여 입체상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2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낙하자가 높은 곳에서 인명구조용 매트(200)로 뛰어내릴 때, 상기 탄성체(240) 및 외측 완충 시트체(220)가 신장되면서 낙하자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상기 충격을 전달 받는 내측 완충 시트체(230)가 낙하자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23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35)에 의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220)에 연결되는 내측 상부 시트(231), 내측 하부 시트(232) 및 상기 내측 상부 시트(231)와 내측 하부 시트(232)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측면 시트(2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235)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끈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상기 복수의 내측 측면 시트(233)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통공(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통공(234)에 의해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23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낙하자에게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하나의 측면 시트(233)에 4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명구조용 매트(200)는 상기 골조 튜브(210)의 상기 연결 튜브(223)를 둘러싸는 외측 측면 시트(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측면 시트(280)는 낙하자가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220)와 상기 골조 튜브(210) 사이로 떨어져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이러한 구조가 상기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외측 측면 시트(280)에는 외측 통공(270) 및 손잡이(26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인명구조용 매트
110, 210 : 골조 튜브
120, 220 : 외측 완충 시트체
130, 230 : 내측 완충 시트체
114, 214 : 체결부
140, 240 : 탄성체

Claims (10)

  1.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입체상으로 형성되는 골조 튜브(110);
    상기 골조 튜브(1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140)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120); 및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13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상부 시트(131); 하부 시트(132); 및 상기 상부 시트(131)와 하부 시트(132)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상기 상부 시트(131)까지의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측면 시트(13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133)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공(134)을 포함하며,
    낙하자가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 떨어질 때, 상기 복수의 탄성체(140)가 지면 측으로 신장됨에 따라 외측 완충 시트체(120)도 함께 신장되고, 이에 따라 외측 완충 시트체(120)는 낙하자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며, 내측 완충 시트체(130)는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로부터 전달되는 낙하자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인명구조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튜브(110)는 루프 형상의 상부 튜브(111); 루프 형상의 하부 튜브(112); 및 상기 상부 튜브(111)와 상기 하부 튜브(112)를 연결하는 복수의 관형 연결 튜브(113)를 포함하는
    인명구조용 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0)는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가 상기 상부 튜브(111)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인명구조용 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형상의 상부 튜브(111) 및 하부 튜브(112)는 각각 다각 형상의 관형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탄성체(140)는 상기 상부 튜브(111)의 꼭지점에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를 연결하는
    인명구조용 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111)는 꼭지점에 복수의 체결부(114)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탄성체(140)는 상기 체결부(114)에 장착되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와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114)와 상기 탄성체(140)는 비너, 후크 및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되는 인명구조용 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40)는 탄력 밴드, 고무 및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명구조용 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120)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 구멍(121)을 포함하는
    인명구조용 매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133)는 상기 골조 튜브(110)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인명구조용 매트.
  9. 공기의 주입에 의해 입체상으로 형성되며, 다각 형상의 관형 상부 튜브(211); 다각 형상의 관형 하부 튜브(212); 및 상기 상부 튜브(211)와 상기 하부 튜브(212)를 연결하는 복수의 관형 연결 튜브(213)를 포함하는 골조 튜브(210);
    상기 골조 튜브(2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탄성체(240)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 완충 시트체(220); 및
    상기 골조 튜브(210)로의 공기 주입에 의해 기립하여 입체상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2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 완충 시트체(23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완충 시트체(23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235)에 의해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에 연결되는 내측 상부 시트(231); 내측 하부 시트(232); 및 상기 내측 상부 시트(231)와 내측 하부 시트(232)를 연결하는 복수의 내측 측면 시트(233)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 시트(233)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측 통공(234)을 포함하며,
    낙하자가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220)로 떨어질 때, 상기 복수의 탄성체(240)가 지면 측으로 신장됨에 따라 외측 완충 시트체(220)도 함께 신장되고, 이에 따라 외측 완충 시트체(220)는 낙하자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며, 내측 완충 시트체(230)는 상기 외측 완충 시트체(220)로부터 전달되는 낙하자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인명구조용 매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튜브(210)의 상기 연결 튜브(213)를 둘러싸는 외측 측면 시트(280)를 더 포함하는
    인명구조용 매트(200).
KR1020190043352A 2019-04-12 2019-04-12 인명구조용 매트 KR10221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2A KR102219131B1 (ko) 2019-04-12 2019-04-12 인명구조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52A KR102219131B1 (ko) 2019-04-12 2019-04-12 인명구조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29A KR20200120429A (ko) 2020-10-21
KR102219131B1 true KR102219131B1 (ko) 2021-02-24

Family

ID=7303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52A KR102219131B1 (ko) 2019-04-12 2019-04-12 인명구조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1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303Y1 (ko) * 1998-04-07 2000-11-15 채병연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KR20000008025U (ko) * 1998-10-14 2000-05-06 채병연 비상구조매트의 설치시간 단축용 공기유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72B1 (ko) * 2016-12-26 2018-07-06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29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67666A1 (en) Shock absorbing lanyard
US20070072689A1 (en) Human free-fall slide
KR20200004981A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KR102219131B1 (ko) 인명구조용 매트
US11555326B2 (en) Inflatable impact shield system
KR101128980B1 (ko) 인명 구조용 이동식 에어 매트리스
KR101875772B1 (ko) 인명구조용 매트
KR101573765B1 (ko) 도로의 시선유도봉
KR100723047B1 (ko) 이동식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1447141B1 (ko) 공기주입형 인명구조매트
KR20000019121U (ko) 실린더식 공기 안전 매트
KR101918232B1 (ko) 슬라이드가 결합된 인명 구조용 팽창식 덤블링
CN105107098B (zh) 高楼救援器
KR100290251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
KR100849712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차량
KR200423386Y1 (ko) 미끄럼봉 안전발판
KR20000019333U (ko) 팬식 공기 안전 매트
CN103463743A (zh) 高空逃生装置
KR102436059B1 (ko) 가스팽창식 인명구조 안전매트
RU25583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ания людей при пожарах
KR20220142118A (ko) 공기주입형 인명구조용 매트
CN204972732U (zh) 高楼救援器
RU2150980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ируемых людей с высотных объектов
KR20080005176U (ko) 충격흡수용 안전벨트
CN211675933U (zh) 一种高空逃生救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