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303Y1 -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 Google Patents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303Y1
KR200202303Y1 KR2019980005342U KR19980005342U KR200202303Y1 KR 200202303 Y1 KR200202303 Y1 KR 200202303Y1 KR 2019980005342 U KR2019980005342 U KR 2019980005342U KR 19980005342 U KR19980005342 U KR 19980005342U KR 200202303 Y1 KR200202303 Y1 KR 200202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 tube
tumbling
tumbling mechanis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205U (ko
Inventor
채병연
Original Assignee
채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연 filed Critical 채병연
Priority to KR2019980005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30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2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2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303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에 관한 것으로, 공기주입시 팽창되어 중심부분에 공간부(22)를 이루는 고리형상의 몸체(24)가 형성되고, 그 고리형상의 몸체(24)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만큼 연장된 체결부(26)를 가진 에어튜브(20)와, 상기 에어튜브(20)의 공간부(22)가 막아지도록 형성된 매트(40)와, 상기 매트(40)와 상기 에어튜브(20)의 체결부(26)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탄성로프(50)로 이루어져 텀블링 기구(10)로 사용하며, 상기 텀블링 기구(10)의 매트(40)부분이 저면에 닿도록 구성하고, 상기 매트(40)를 포함하여 몸체(24)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매트(40)를 포함하는 에어튜브(20)의 상면에 씌워지며 그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끼움 구멍(112)에 삽입되는 고정로프(114)에 의해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측 하단에 고정되는 방수커버(110)로 이루어져 물놀이 기구(100)로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기구
본 고안은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주입하여 소정형상을 갖는 에어튜브에 탄성로프에 의해 결합되도록 매트를 설치하여 텀블링 기구로 사용하고, 그 텀블링 기구의 매트부분이 저면에 닿도록 하고, 상기 텀블링 기구의 매트를 포함하여 몸체에 접촉되도록 방수커버를 설치한 후 물을 채워 물놀이 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링 기구는 재질이 금속인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소정형상을 갖도록 바닥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기둥부재의 상단 소정위치에 용수철이나 탄성력을 갖는 로프에 의해 고정되도록 소정의 폭과 넓이를 갖는 매트를 설치하여 유아들이 그 매트상에서 뜀을 뛰며 놀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고, 물놀이 기구는 대체로 소정형상과 넓이를 갖는 폐쇄된 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방향으로 소정높이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그 내부에 물을 넣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그 공간부에 물을 넣어 물놀이를 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물놀이 기구 및 텀블링 기구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거나 중량체이므로 그 이동과 보관이 매우 어렵고 이에 따라 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에서만 놀이를 할 수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고, 기둥재질이 금속이므로 놀이 중에 기둥에 부딪쳤을 경우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놀이를 하기위해 별도의 물놀이 기구를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제품으로 두 개의 놀이를 겸할 수 있고, 에어튜브가 공기주입식이어서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성을 증대하기 위한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주입시 팽창되어 중심부분에 공간부를 이루는 고리형상의 몸체가 형성되고, 그 고리형상의 몸체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만큼 연장되고, 내부에 보강층이 형성된 체결부를 가진 에어튜브와, 상기 에어튜브의 공간부가 막아지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보강층이 형성된 매트와, 상기 매트와 상기 에어튜브의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매트가 탄성을 가지고 소정높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탄성로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겸용 텀블링 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에 따르면, 매트부분이 저면에 닿도록 놓여진 텀블링 기구와, 상기 텀블링 기구의 매트를 포함하여 몸체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그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끼움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로프에 의해 상기 에어튜브의 외측 하단에 고정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인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단면도,
도 3은 도 1의 물놀이 기구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텀블링 기구, 20:에어튜브,
22:공간부, 24:몸체,
26:체결부, 30:이동손잡이,
32:공기주입/배기밸브, 34:안전밸브,
40:매트, 50:탄성로프,
60:보강층, 100:물놀이 기구,
110:방수커버, 112:끼움 구멍,
114:고정로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인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텀블링 기구(10)는 공기주입시 팽창되어 평면모양이 대략 사각형이고 그 중심부분에 대략 사각형의 공간부(22)를 이루는 고리형상의 몸체(24)가 되고, 그 고리형상의 몸체(24)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만큼 연장된 체결부(26)를 가진 에어튜브(2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튜브(20)의 외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개의 이동손잡이(30)가 접설되는 동시에 공기의 주입 및 배기를 위한 공기주입/배기밸브(32)와 상기 공기주입/배기밸브(32)를 통해 주입된 공기로 인해 상기 에어튜브(20)가 심하게 팽창되어 예컨대 예리한 물체에 접촉하거나 태양관선이 직접적으로 장시간 조사되는 경우에는 파손의 우려가 발생되는 점을 고려해서 그 에어튜브(20)내의 기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안전밸브(34)가 기밀적(氣密的)으로 부착된다. 상기 에어튜브(20)의 공간부(22)에는 대략 그 공간부(22)가 막아지도록 매트(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매트(40)와 상기 에어튜브(20)의 체결부(26)를 관통하여 상기 매트(40)가 탄성을 가지고 소정높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탄성로프(50)가 설치된다.
상기 텀블링 기구(10)의 평면형상은 사각형 이외에 어떠한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A-A선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텀블링 기구(10)는 공기주입시 팽창되어 그 중심부분에 공간부(22)를 이루는 고리형상인 몸체(24)가 형성되고, 그 몸체(24)의 재료는 고강도 합성수지이며, 일측 단면형상은 대략 속이 빈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고리형상의 몸체(24)의 상부 소정위치에는 내측면을 따라 그 몸체(24)로부터 상기 공간부(22)를 향하여 연장되고 접착제에 의해 기밀적(氣密的)으로 접착되는 체결부(26)가 형성되고, 그 체결부(26)의 내부에는 체결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재료가 고강도 수지제 원단인 보강층(6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에어튜브(20)와, 대략 상기 에어튜브(20)의 공간부(22)가 막아지도록 형성되고 재료가 상기 에어튜브(20)와 동일하며 내부에는 체결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재료가 고강도 수지제 원단인 보강층(60)이 형성된 매트(40)와, 상기 매트(40)와 상기 에어튜브(20)의 체결부(26)를 관통하여 상기 매트(40)가 탄성을 가지고 소정높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탄성로프(50)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h는 상기 에어튜브(20)의 몸체(24)의 저면에서 상기 매트(40)의 저면까지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고, h1은 상기 매트(40)가 상측에서 가해지는 힘(F)에 의해 하방향으로 내려온 높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h1의 높이는 h의 높이보다 같거나 낮다.
상기 에어튜브(20)의 몸체(24)의 단면형상은 원형 이외에 어떠한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텀블링 기구(10)는 상기 매트(40)의 상측에서 힘(F)이 가해지면 상기 매트(40)가 하방향으로 h1만큼 내려왔다가 탄성로프(5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올라가도록 구성되어 유아들의 놀이기구로 사용한다.
도 3은 도 1의 물놀이 기구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놀이 기구(100)는 상기 매트(40)부분이 저면에 닿도록 놓여진 텀블링 기구(10)와, 상기 텀블링 기구(10)의 매트(40)를 포함하여 몸체(24)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그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끼움 구멍(112)에 삽입되는 고정로프(114)에 의해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측 하단에 고정되는 방수커버(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물놀이 기구(100)는 방수커버(110)의 상면으로 소정높이만큼 물을 채워 유아들이 물놀이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는 에어튜브(20)에 공기를 주입하여 텀블링 기구(10)로 사용하고, 상기 텀블링 기구(10)의 매트(40)부분을 저면에 닿도록 하고 방수커버(110)를 설치한 후 물을 채워 물놀이 기구(100)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에 의하면, 물놀이 기구와 텀블링 기구를 겸하여 사용하므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에어튜브가 공기주입식으로 이동과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안전성을 증대하고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공기주입시 팽창되어 중심부분에 공간부(22)를 이루는 고리형상의 몸체(24)가 형성되고, 그 고리형상의 몸체(24)의 내측면을 따라 소정길이 만큼 연장되고, 내부에 보강층(60)이 형성된 체결부(26)를 가진 에어튜브(20)와;
    상기 에어튜브(20)의 공간부(22)가 막아지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보강층(60)이 형성된 매트(40)와;
    상기 매트(40)와 상기 에어튜브(20)의 체결부(26)를 관통하여 상기 매트(40)가 탄성을 가지고 소정높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탄성로프(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40)부분이 저면에 닿도록 놓여진 텀블링 기구(10)와;
    상기 텀블링 기구(10)의 매트(40)를 포함하여 몸체(24)상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그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끼움 구멍(112)에 삽입되는 고정로프(114)에 의해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측 하단에 고정되는 방수커버(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 기구.
KR2019980005342U 1998-04-07 1998-04-07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KR200202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42U KR200202303Y1 (ko) 1998-04-07 1998-04-07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42U KR200202303Y1 (ko) 1998-04-07 1998-04-07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05U KR19990039205U (ko) 1999-11-05
KR200202303Y1 true KR200202303Y1 (ko) 2000-11-15

Family

ID=1953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342U KR200202303Y1 (ko) 1998-04-07 1998-04-07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3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96Y1 (ko) * 2011-03-07 2013-03-22 위니코니 주식회사 물놀이 기구
WO2020022533A1 (ko) * 2018-07-24 2020-01-30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컴퍼니 조립식, 복합형 수영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6226A (ko) 2019-10-18 2021-04-28 조기상 다용도 트램펄린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379B1 (ko) * 2007-12-26 2008-03-07 나종선 물놀이기구
KR102219131B1 (ko) * 2019-04-12 2021-02-24 (주)서한에프앤씨 인명구조용 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96Y1 (ko) * 2011-03-07 2013-03-22 위니코니 주식회사 물놀이 기구
WO2020022533A1 (ko) * 2018-07-24 2020-01-30 주식회사 에스앤더블유컴퍼니 조립식, 복합형 수영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6226A (ko) 2019-10-18 2021-04-28 조기상 다용도 트램펄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05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695A (en) Water trampoline device
US4576375A (en) Flotation trampoline
CA1234455A (en) Playpen and exercise structure
US8047926B2 (en) Fluid chamber inflatable apparatus
US2562080A (en) Buoyant sustaining seat
US3176982A (en) Resilient repelling amusement device
US3677539A (en) Buoyant aquatic amusement device with reinforcing cover
US20100229296A1 (en) Self Inflating Pool
KR200202303Y1 (ko) 물놀이 기구 겸용 텀블링(tumbling ) 기구
US6174266B1 (en) Playground equipment
KR101842876B1 (ko) 수영장 설치용 에어 바운스
KR200429494Y1 (ko) 조립식 수영장
WO1993016762A1 (en) Aquatic trampoline
EP3752258B1 (en) Trampoline
KR200178699Y1 (ko) 유희구조물
KR200485179Y1 (ko) 뜨개실로 제작된 운동 및 놀이기구
KR200395706Y1 (ko) 점핑유희구
JP5919078B2 (ja) 遊戯具
US2995370A (en) Skipping device
KR200325894Y1 (ko) 트램펄린
KR200488513Y1 (ko) 수영장 기능을 갖는 에어바운스
KR900009768Y1 (ko) 트램폴린 (Trampolin) 의 안전장치
KR101046619B1 (ko) 점핑보드
KR200273649Y1 (ko) 어린이용 승좌형 놀이구
KR200176753Y1 (ko) 놀이용 튜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