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753Y1 - 놀이용 튜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놀이용 튜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753Y1
KR200176753Y1 KR2019990024980U KR19990024980U KR200176753Y1 KR 200176753 Y1 KR200176753 Y1 KR 200176753Y1 KR 2019990024980 U KR2019990024980 U KR 2019990024980U KR 19990024980 U KR19990024980 U KR 19990024980U KR 200176753 Y1 KR200176753 Y1 KR 200176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rod
assembly
ring
fixing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영
Original Assignee
권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영 filed Critical 권태영
Priority to KR2019990024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07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played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63B2225/605Fl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물놀이 보조 기구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수중 농구 또는 링 던지기 등의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놀이용 튜브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놀이용 튜브 조립체는 물위에 부유가능한 부유 부재 및 상기 부유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향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을 구비한다. 상기 부유 부재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지지봉 본체 및 상기 지지봉 본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스트립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스트립은 상기 튜브의 외주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그 양단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의 양 단부를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링 조립체가 장착된다. 상기 링 조립체는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튜브 및 상기 링 튜브의 내경 둘레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하향 연장하는 네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 조립체는 상기 지지봉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튜브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튜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링 던지기 및 수중 농구 등과 같은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상기 링 조립체와 지지봉을 제거한 상태에서 튜브만을 사용하여 물놀이를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놀이용 튜브 조립체 {TUBE ASSEMBLY}
본 고안은 놀이용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놀이 보조 기구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수중 농구 또는 링 던지기 등의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놀이용 튜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장이나 강가 또는 해변에서 물놀이 보조 기구로서 튜브(tube)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튜브는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이 형성되어 물위를 부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영실력이 모자라는 사람들, 특히, 어린이나 노인들의 물놀이 보조기구로서 활용되고 있다.
상기 튜브와 같은 물놀이 보조기구 이외에,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비치볼 등을 사용하여 물놀이를 즐기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튜브 또는 비치볼만을 이용한 놀이의 종류는 매우 단순하며, 해변 또는 수영장에서 다양한 물놀이를 즐기기에는 적합치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해변 또는 수영장 등에서 수중 농구 또는 링 던지기 등의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놀이용 튜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지지봉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놀이용 튜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의 지지봉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튜브 조립체 110 : 튜브
120 : 지지봉 122 : 지지봉 본체
124 : 공기 주입구 126 : 고정 스트립
130 : 체결부 230 : 링 조립체
232 : 링 튜브 234 : 네트
310 : 부착편 312 : 고정 버튼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위에 부유가능한 부유 부재; 및 상기 부유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향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부유 부재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에는 4개의 지지봉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지지봉 본체 및 상기 지지봉 본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스트립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스트립은 상기 튜브의 외주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그 양단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의 양 단부를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 버튼부 및 상기 암 버튼부에 계합되는 수 버튼부를 구비한다. 상기 암 버튼부는 상기 고정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므로써, 상기 지지봉이 다양한 단면적을 갖는 튜브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링 조립체가 장착된다. 상기 링 조립체는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튜브 및 상기 링 튜브의 내경 둘레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하향 연장하는 네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암 버튼 등과 같은 고정구가 제공되며, 상기 링 조립체의 저면에는 상기 암 버튼과 계합되는 숫 버튼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100)는 물위에 부유가능한 부유 부재(110) 및 상기 부유 부재(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향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120)을 구비한다.
상기 부유 부재(1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튜브 외에 스티로폼 등과 같은 소정의 부력을 갖는 부재가 상기 부유 부재(110)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상기 부유 부재(110)로서 튜브가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튜브(110)에는 4개의 지지봉(120)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개 이상 또는 이하의 지지봉(120)을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튜브(110)의 크기와 지지봉(120)의 크기 그리고 놀이 장소의 공간적인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상기 지지봉(120)은 링 던지기 놀이를 수행할 때 링이 걸리게 되는 걸림봉의 역할을 한다.
도2에는 상기 지지봉(1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2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지지봉 본체(122) 및 상기 지지봉 본체(12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스트립(126)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 본체(122)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 주입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스트립(126)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튜브(110)의 외주부, 즉, 내경과 외경 사이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고정 스트립(126)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126)이 상기 튜브(110)의 외주부를 감싼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고정 스트립(126)의 양 단부를 서로 체결시키므로써 상기 지지봉(120)을 상기 튜브(11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130)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13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 버튼부(129) 및 상기 암 버튼부(129)에 계합되는 수 버튼부(127)를 구비한다.
상기 수 버튼부(127)는 하나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 이상의 수 버튼부(127)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암 버튼부(129)와 수 버튼부(127)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암 버튼부(129)는 상기 고정 스트립(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므로써, 상기 지지봉(120)이 다양한 단면적을 갖는 튜브(1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단면적이 큰 튜브(110)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126)의 말단에 배치된 암 버튼부(129)에 상기 수 버튼부(127)를 체결시키며, 단면적이 작은 튜브(110)의 경우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126)의 길이 방향 내측에 배치된 암 버튼부(129)에 상기 수 버튼부(127)를 체결시키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봉(120)을 상기 튜브(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최초 제작단계에서부터 상기 지지봉(120)과 튜브(110)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봉(120)을 별도로 제작한 후, 고주파 용접을 사용하여 상기 튜브(110)의 상부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도3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200)는 물위에 부유가능한 부유 부재(210), 상기 부유 부재(2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향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220) 및 상기 지지봉(220)의 상부에 장착되는 링 조립체(2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 조립체(230)는 수중 농구와 같은 놀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부유 부재(2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210)에는 4개의 지지봉(220)이 장착된다. 그러나, 4개 이상 또는 이하의 지지봉(220)을 장착시킬 수도 있으며, 튜브가 아닌 다른 부유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는 상기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200)는 링 조립체(230)를 제외하면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100)와 유사하다. 이를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튜브(2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지봉(22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지지봉 본체(222) 및 상기 지지봉 본체(22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스트립(226)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 본체(222)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 주입구(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스트립(226)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튜브(210)의 외주부, 즉, 내경과 외경 사이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고정 스트립(226)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226)이 상기 튜브(210)의 외주부를 감싼 상태로 되었을 때, 상기 고정 스트립(226)의 양 단부를 서로 체결시키므로써 상기 지지봉(220)을 상기 튜브(21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235)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235)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 버튼부(229) 및 상기 암 버튼부(229)에 계합되는 수 버튼부(227)를 구비한다.
상기 수 버튼부(229)는 하나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 이상의 수 버튼부(227)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암 버튼부(129)와 수 버튼부(127)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암 버튼부(229)는 상기 고정 스트립(2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므로써, 상기 지지봉(220)이 다양한 단면적을 갖는 튜브(21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링 조립체(230)는 상기 지지봉(22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튜브(230) 및 상기 링 튜브(230)의 내경 둘레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하향 연장하는 네트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링 조립체(230)가 상기 지지봉(22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220)의 상부에는 암 버튼 등과 같은 고정구(223)가 제공되며, 상기 링 조립체(230)의 저면에는 상기 암 버튼과 계합되는 숫 버튼 등과 같은 체결구(도시 안됨)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구(223)와 체결구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지봉(220)의 상부에 숫 버튼이 제공되고, 상기 링 튜브(232)의 저면에 암 버튼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4에 도시된 지지봉(220)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봉(220)의 상부에 가요성 부착편(310)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상기 부착편(310)에 암 버튼 등과 같은 고정구(312)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구(312)를 제조하는 공정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상기 지지봉(220)을 제작하는 공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를 링 튜브(232)의 체결구에 체결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튜브 조립체(100, 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영장이나 해변 등지에서 물놀이 보조기구로서 튜브(110, 210)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봉(110, 210)과 링 조립체(230)를 상기 튜브(110, 210)로부터 착탈시킨 후 상기 튜브(110, 210) 만을 사용하면 된다.
이어서, 해변가 또는 물 속에서 링 던지기 놀이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당한 개수의 지지봉(110, 210)을 상기 튜브(110, 210) 둘레에 고정시킨다. 상기 지지봉(110, 210)을 고정시키는 작업은 상기 고정 스트립(126, 226)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30, 235)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 체결부(130, 235)는 상기 지지봉(110, 210)을 상기 튜브(110, 2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써 링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지지봉(110, 210)의 위치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또한, 물 속에서 수중 농구를 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봉(220)의 상부에 상기 링 조립체(230)를 장착시키고, 튜브 조립체(200)를 물위에 부유 시킨 상태에서 비치볼 등을 이용하여 수중 농구 경기를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는 튜브에 지지봉을 장착한 상태에서 링 던지기 등과 같은 놀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링 조립체를 추가로 장착하여 수중 농구 등과 같은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놀이용 튜브 조립체는 상기 지지봉과 링 조립체를 착탈시켜 물놀이용 튜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물위에 부유가능한 부유 부재; 및
    상기 부유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향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부재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에는 4개의 지지봉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지지봉 본체 및 상기 지지봉 본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스트립은 상기 튜브의 외주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그 양단에는 상기 고정 스트립의 양 단부를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암 버튼부 및 상기 암 버튼부에 계합되는 수 버튼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 버튼부는 상기 고정 스트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므로써, 상기 지지봉이 다양한 단면적을 갖는 튜브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고주파 용접에 의해 상기 튜브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장착되는 링 조립체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링 조립체는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링 튜브 및 상기 링 튜브의 내경 둘레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하향 연장하는 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암 버튼 등과 같은 고정구가 제공되며, 상기 링 조립체의 저면에는 상기 암 버튼과 계합되는 숫 버튼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가요성 부착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착편에는 암 버튼 등과 같은 고정구가 제공되고, 상기 링 조립체의 저면에는 상기 암 버튼과 계합되는 숫 버튼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튜브 조립체.
KR2019990024980U 1999-11-15 1999-11-15 놀이용 튜브 조립체 KR200176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980U KR200176753Y1 (ko) 1999-11-15 1999-11-15 놀이용 튜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980U KR200176753Y1 (ko) 1999-11-15 1999-11-15 놀이용 튜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753Y1 true KR200176753Y1 (ko) 2000-04-15

Family

ID=1959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980U KR200176753Y1 (ko) 1999-11-15 1999-11-15 놀이용 튜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7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59B1 (ko) 2007-10-19 2007-12-21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물놀이 튜브의 제조방법
US20210260456A1 (en) * 2020-02-23 2021-08-26 Lit Lombardini Integrated Technologies Multiple gam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59B1 (ko) 2007-10-19 2007-12-21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물놀이 튜브의 제조방법
US20210260456A1 (en) * 2020-02-23 2021-08-26 Lit Lombardini Integrated Technologies Multiple gam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647B2 (en) Reversible floating game
US4935970A (en) Child&#39;s pool
US6736740B2 (en) Collapsible structures
US20090081919A1 (en) Floating collapsible play structures
US4844478A (en) Racket game for beach and kit therefor
KR200176753Y1 (ko) 놀이용 튜브 조립체
US20030046755A1 (en) Floating bug, sun and privacy dome
US5141440A (en) Underwater buoyancy training obstacle course target set
US8337339B2 (en) Floating gyrating swimming pool exercise ball game
KR100542638B1 (ko) 조립식 수영장
US3809406A (en) Tether-ball support assembly
KR200290251Y1 (ko) 레저용 놀이기구
KR200276715Y1 (ko) 유아용 야구놀이 완구
GB2307173A (en) Inflatable play enclosure
JP2008012104A (ja) 水上バスケットゴール
KR101080687B1 (ko) 물놀이용 튜브
KR200424943Y1 (ko) 다기능 물놀이 튜브
KR200239964Y1 (ko) 물놀이용 부구
KR200321340Y1 (ko) 텐트
KR950008619Y1 (ko) 자바라형 튜브 보트
KR200440041Y1 (ko) 수영 보조기구
KR20000021312U (ko) 해태(김) 양식용 망 지지대
KR920002142Y1 (ko) 수구 경기장
JPH045179Y2 (ko)
KR200265535Y1 (ko) 도약유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