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900A -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900A
KR20000017900A KR1019990064202A KR19990064202A KR20000017900A KR 20000017900 A KR20000017900 A KR 20000017900A KR 1019990064202 A KR1019990064202 A KR 1019990064202A KR 19990064202 A KR19990064202 A KR 19990064202A KR 20000017900 A KR20000017900 A KR 20000017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tea
extract
injin
th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모
박양균
Original Assignee
정명모
박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모, 박양균 filed Critical 정명모
Priority to KR101999006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900A/ko
Publication of KR2000001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9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쑥을 물로 가열추출하여 만든 고유의 쓴맛과 향을 지닌 커피대용 인진쑥 엑기스 차와 과립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진쑥 건조물을 물로 가열추출한 후 감압농축한 40 - 50 브릭스의 인진쑥 엑기스 차와 정제 포도당에 이것의 추출 농축액 8 - 10%를 첨가하여 과립 제조기로 만든 인진쑥 과립차이다. 이것은 인진쑥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독특한 쓴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커피의 쓴맛에 익숙한 사람이 커피 대용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조하였다.

Description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Preparation of instant granule and extract of Artemisia spp.}
본 고안은 인진쑥 차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진쑥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물로 가열추출 후 농축한 엑기스 차와 과립형태로 만든 과립차로써 인진쑥의 독특한 유용성분과 색깔 및 풍미를 지녀 커피대용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쑥은 우리나라 전역의 산야, 전원,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자라며, 부드러운 어린잎은 나물이나 즙을 내어 먹고 쑥국이나 죽을 만들기도 하며 쌀가루와 섞어 쑥떡이나 쑥범벅을 만들어 식용해 오고 있다. 쑥에는 단백질, 지방질, 섬유질, 당질, 칼슘, 인, 비타민 에이, 비, 씨가 풍부한 식품자원이기 때문이다. 인진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생당쑥, 애탕쑥, 사철쑥, 인진초, 인진호, 더위지기 등으로 부르고 추운 겨울에 잎은 죽어도 줄기는 살아 있어 봄이 오면 다시 살아난다 하여 사철쑥이라 하기도 한다. 어린잎은 인진이라 불리우고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된다. 어린잎이 왕성하게 생성되는 때부터 봄 개화기 직전까지 유용성분의 함량이 가장 많아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오월 단오절에 잎이 붙어 있는 채로 줄기를 베어 그늘에서 건조하였다가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했으며,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는 그 효능을 식욕증진, 소화불량, 위장병, 손상된 간 회복, 지방간, 간암, 간염, 황달, 중풍, 혈액순환, 청혈작용, 당뇨 등에 사용된다고 기록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 함승시 교수는 더위지기 쑥이 흰쥐의 혈청지질 및 간지질 저하효과가 있음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8년 27권 338쪽에 보고하였으며, 또한 동 연구자는 더위지기 쑥이 발암억제효과가 있음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8년 27권 157쪽에 보고하였다.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는 1993년 연구보고서 441쪽에 인진호의 지표성분으로 쿠마린 화합물인 메틸에스큘레틴과 스코폴린 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현재 인진쑥은 건강보조식품으로 인진쑥 티백, 인진쑥 추출 엑기스, 인진쑥 정으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진쑥을 식용이나 약용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해 왔으며 최근의 연구에서도 여러 가지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식용으로 섭취할 때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잠재력이 막대하며 나아가 독특한 향과 쓴맛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조건을 구비하고 있음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커피대용 인진쑥 엑기스 차와 과립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인진쑥에 함유된 강한 쓴맛과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해야 하고, 추출액은 인진쑥의 유용성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농축이 필요하다. 인진쑥 엑기스 차와 이것에 부형제를 사용하여 과립형 차를 제조함으로써 커피의 쓴맛에 적응된 사람이 커피가 아닌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진쑥을 가열추출하고 농축한 인진쑥 고유의 강한 쓴맛과 향이 특징인 커피대용 인진쑥 엑기스 차의 제조와 이를 이용해서 과립차를 만드는 것으로 대별된다.
인진쑥 건조물을 세절한 후 세척하고 스테인레스 재질의 추출기에 담고 20배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95 - 100℃에서 4시간씩 2회 가열 추출하여 인진쑥 추출액을 만든다. 이것을 40 - 5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면 물이 증발되어 고형물의 농도가 높아지고 인진쑥 특유의 쓴맛과 향을 지닌 검은 갈색의 점질물인 40 - 50브릭스의 인진쑥 농축액인 엑기스 차가 제조된다. 과립차를 만들기 위해 정제 포도당 97%를 주 부형제로 하고 여기에 분말 덱스트린 2%와 솔비톨 1%를 혼합한 후 인진쑥 농축액 8 - 10%를 혼합하여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한 다음 과립제조기에서 과립화하여 35 - 45℃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정립하여 과립차를 완성하고 포장한다. 이때 인진쑥 고유의 강한 쓴맛과 향이 특징인 커피대용 차로써 인진쑥 엑기스 차는 뜨거운 물에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이것을 병이나 통조림통에 포장하고, 과립차는 병이나 일회용 단위로 포장한다.
예로부터 기록이나 구전으로 전해오는 인진쑥의 식품학적 및 약리학적 효능과 최근의 연구에서 밝혀진 유효성분, 그리고 현재 인진쑥의 이용형태를 볼 때에 본 발명의 내용처럼 인진쑥으로 만든 추출 농축 엑기스 차와 과립차는 건강지향성 소비자에게는 기능성 식품으로 인식될 것이며, 또한 커피의 쓴맛에 적응된 사람이 커피가 아닌 음료를 음용하고자 할 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인진쑥 건조물에 20배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95 - 100℃에서 4시간씩 2회 가열 추출하여 강한 쓴맛과 고유의 향을 지닌 인진쑥 추출액을 만들고, 이것을 감압 농축하여 검은 갈색의 점질물인 40 - 50 브릭스의 인진쑥 농축액을 만들어 인진쑥 고유의 강한 쓴맛과 향이 특징인 커피대용 차로써 뜨거운 물에 희석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인진쑥 농축 엑기스 차와 이것을 병이나 통조림통에 포장한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인진쑥 농축 엑기스 차를 사용하여 음용하기에 편리한 과립차를 만들기 위해 정제 포도당 97%를 주 부형제로 하고 여기에 분말 덱스트린 2%와 솔비톨 1%를 혼합한 후 당의 총량에 대해 인진쑥 농축액 8 - 10%를 혼합하여 과립화한 쓴맛이 강하고 고유의 향을 지닌 인진쑥 과립차와 이것을 병이나 일회용 단위로 포장한 제품.
KR1019990064202A 1999-12-28 1999-12-28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 KR200000179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202A KR20000017900A (ko) 1999-12-28 1999-12-28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202A KR20000017900A (ko) 1999-12-28 1999-12-28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00A true KR20000017900A (ko) 2000-04-06

Family

ID=1963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202A KR20000017900A (ko) 1999-12-28 1999-12-28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9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62A (ko) * 2001-01-15 2001-04-06 이명호 민들레 뿌리를 건조 분말화 또는 추출액을 이용한 대용커피 제조 방법
KR20020030342A (ko) * 2000-10-17 2002-04-25 유해규 인진 쑥의 유용 성분 중에 함유되어 있는 카로틴으로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020070010A (ko) * 2001-02-28 2002-09-05 박영주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는 쑥 농축엑기스 분말차 제조방법과 쑥농축엑기스 분말차와 쑥커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342A (ko) * 2000-10-17 2002-04-25 유해규 인진 쑥의 유용 성분 중에 함유되어 있는 카로틴으로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010025662A (ko) * 2001-01-15 2001-04-06 이명호 민들레 뿌리를 건조 분말화 또는 추출액을 이용한 대용커피 제조 방법
KR20020070010A (ko) * 2001-02-28 2002-09-05 박영주 시간과 비용이 절약되는 쑥 농축엑기스 분말차 제조방법과 쑥농축엑기스 분말차와 쑥커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5671B (zh) 异葎草酮化合物包合物及含有该包合物的组合物
CN103749872B (zh) 一种高附加值苦荞产品及其制备方法
KR20140103622A (ko) 양파껍질을 이용한 기능성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차
KR101542227B1 (ko)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CN101828617A (zh) 人参灵芝速溶茶
CN103027283A (zh) 香蕉果酱及其制备方法
Devi et al. The use of coconut in rituals and food preparations in India: a review
CN105285787A (zh) 一种多味冬瓜粒的加工方法
JPS6141543B2 (ko)
KR101978336B1 (ko) 아로니아 농축액의 제조방법
CN105028843A (zh) 一种果皮茶制备方法
CN104273293A (zh) 豆芽柠檬香味养生保健茶及其制备方法
Upadhyaya et al. Palmyrah palm and its products (Neera, Jaggery and Candy)—A Review on chemistry and technology
CN105613844A (zh) 一种茶树制品及其制备方法
KR100365528B1 (ko) 기능성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7900A (ko) 커피 대용 인진쑥 차의 제조방법
KR101335374B1 (ko) 인진쑥을 주원료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CN100393241C (zh) 一种含有西洋红参、红参的保健品及制备方法
CN107027890A (zh) 一种降脂奶片及其制备工艺
KR19990015197A (ko) 지구자 발효차 음료 제조방법
KR102055324B1 (ko)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 식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70292B1 (ko) 영지버섯과 양파의 추출물에 의한 건강음료
CN103027326A (zh) 大蒜饮料的制作方法及其制品
CN103190612B (zh) 一种树莓鞣花酸咀嚼片及其加工方法
KR20020030342A (ko) 인진 쑥의 유용 성분 중에 함유되어 있는 카로틴으로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