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587A -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의 경로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의 경로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587A
KR20000017587A KR1019990035821A KR19990035821A KR20000017587A KR 20000017587 A KR20000017587 A KR 20000017587A KR 1019990035821 A KR1019990035821 A KR 1019990035821A KR 19990035821 A KR19990035821 A KR 19990035821A KR 20000017587 A KR20000017587 A KR 2000001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mobile
network switch
terminator
mobile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195B1 (ko
Inventor
니타요시오
Original Assignee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히사시, 닛폰 덴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네코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0001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안전한 패킷 통신을 보장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공되며, 복수의 무선 영역들이 명시된다. 또한,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라디오 링크를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 상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연결되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가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에 제공된다.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들은 서로 연결된다.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액티브 또는 정지 상태인 패킷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터미네이터들중 어느 하나까지의 경로 설정을 무선 터미네이터들 각각이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의 경로 설정 방법{A PATH SETTING METHOD IN A MOBILE PACKET COMML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패킷 단말기가 상이한 무선 영역을 이동하는 이동 패킷 통신 네트워크(a mobile packet communication network)의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 및 경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8은 이동 패킷 단말기가 하나의 무선 영역에서 다른 무선 영역으로 이동하는 종래의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8에서, 종래의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 패킷 통신은 아래와 같이 개략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면에서의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은 외부 통신 네트워크(85)에 연결된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86)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도시된 예에서,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86)는 기지국(87, 88) 각각에 의해 복수의 무선 영역(81, 82)을 구비한다. 기지국(87)은 무선 터미네이터(83)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85)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89)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88)은 무선 터미네이터(84)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85)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90)에 연결된다.
이동 패킷 단말기(80)가 무선 영역(81)에서 무선 영역(82)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이동 패킷 단말기(80)가 무선 영역(81)에 존재하지 않을 때, 기지국(87)은 정보(이동 패킷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89)에 알린다. 그 정보에 대응하여 이동 네크워크 교환기(89)는 외부 통신 네트워크(85)와 이동 패킷 단말기(80)를 연결하는 경로를 단절한다.
한편, 이동 패킷 단말기(80)가 무선 영역(82)에 나타나면, 기지국(88)은 이동 패킷 단말기(80)를 인식하고 그 정보(이동 패킷 단말기가 나타났다는 정보)를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90)에 알린다. 그 정보에 대응하여 이동 네크워크 교환기(90)는 외부 통신 네트워크(85)와 이동 패킷 단말기(80)를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이동 패킷 단말기가 패킷 통신을 액티브하게 실행하는 경우, 이전 경로가 단절되고 새로운 경로가 설정될 때까지 패킷 통신이 불능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에도 패킷 통신을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는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 하나의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공되고, 복수의 무선 영역들이 명시되며,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반복 구간들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영역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각 반복 구간들은 이동 패킷 단말기와 라디오 링크를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기지국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연결되고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이동 패킷 통신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경로 설정 방법은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서로 연결하며, 각 무선 터미네이터는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이동 패킷 단말기의 패킷 통신 상태에 따라 이동 패킷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터미네이터들중 어느 하나까지의 경로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액티브 상태에서 이동할 때,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는 제1 무선 영역과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들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또한 이동 패킷 단말기와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한다.
또한,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정지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는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제1 무선 영역의 기지국을 연결하는 경로를 단절하기 위해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하며, 이동 패킷 단말기와 제2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한다.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액티브 상태로 이동하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제 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는 액티브 상태를 인식하고,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간의 경로를 설정하고 또한 이동 패킷 단말기와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한다. 또한, 무선 터미네이터는 정지상태를 인식하고, 재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제1 무선 영역의 기지국을 연결하는 경로를 단절하기 위해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하며, 이동 패킷 단말기와 제2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한다.
또한,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이동할 때, 제 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는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또한 이동 패킷 단말기와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한다. 그런 다음, 무선 터미네이터는 이동 패킷 단말기의 패킷 통신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동 패킷 단말기의 패킷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이동 패킷 단말기의 이동 패킷 통신 상태가 정지 상태이면, 무선 터미네이터는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제1 무선 영역의 기지국을 연결하는 경로를 단절하기 위해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하고, 이동 패킷 단말기와 제2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제어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설정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블럭도.
도2는 이동 패킷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한다는 가정하에 경로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블럭도.
도3은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정지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한다는 가정하에 경로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블럭도.
도4는 이동 패킷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하며 정지 상태로 전환한다는 가정하에 경로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블럭도.
도5는 도1의 무선 터미네이터의 구성도.
도6은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정지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한다는 가정하에 경로 설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블럭도.
도7은 이동 패킷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하며 정지 상태로 전환한다는 가정하에 경로 설정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블럭도.
도8은 종래 방법에서 경로 설정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외부통신 네트워크 15 : 이동 네크워크 교환기
16 : 기지국 21 : 패킷 통신상태 제어기
22 : 외부통신 제어기 23 : 신호 제어기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1에서,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13)을 구비하며, 도시된 예에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13)는 복수의 무선 영역들(17, 18)을 포함한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13)에서, 복수의 기지국들(16)이 설치, 배치되며, 각 기지국(16)은 무선 터미네이터(12)를 통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14)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에 연결된다. 즉, 무선 터미네이터(12)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13)과 외부 통신 네트워크(14)를 연결하기 위해 이동 패킷 단말기(11)를 이용한 패킷 통신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한다. 기지국 쌍들,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들, 무선 터미네이터들은 반복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2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11)는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이동했다고 가정한다. 도시된 예에서, 무선 터미네이터(12a, 12b)는 각각 무선 영역들(17, 18)을 위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액티브한 상태(패킷 통신이 액티브하게 진행되는 상태)로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이동한 경우, 시작 단계에서 무선 터미네이터로 사용된 무선 터미네이터(12a)를 종착지에서도 사용한다.
도3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11)는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정지 상태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정지 상태 또는 논리 링크는 설정되었으나 패킷 통신은 진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이동한 경우, 시작 단계에서 무선 터미네이터로 사용된 무선 터미네이터(12a)는 종착지에서 사용되지 않으나 이동 패킷 단말기(11)와 단절되며 무선 터미네이터(12b)는 이동 패킷 단말기(11)에 다시 연결된다.
도4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11)는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액티브 상태로 이동한 다음, 정지 상태로 전환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액티브한 상태로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이동한 경우, 시작 단계에서 무선 터미네이터로 사용된 무선 터미네이터(12a)를 종착지에서도 사용한다. 이 예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11)는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이동한 후 액티브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전환하였으므로, 무선 터미네이터(12a)는 이동 패킷 단말기(11)로부터 단절되며 가장 근접한 무선 터미네이터(12b)는 이동 패킷 단말기(11)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킷 통신 상태가 액티브인 경우,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하더라도 이동 패킷 단말기와 현재 무선 터미네이터 사이의 연결은 무선 터미네이터를 전환하지 않고도 유지된다. 패킷 통신이 정지 상태로 전환되면, 이동 패킷 단말기로부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위치한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가장 근접한 무선 터미네이터까지의 경로가 새롭게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액티브 상태로 패킷 통신에서 전송된 패킷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터미네이터(12a, 12b)는 패킷 통신 상태 제어기(21), 외부 통신 제어기(22), 신호 제어기(23), 무선 구간 프로토콜 터미네이터(24), 외부 통신 네크워크 연결기(25)를 구비한다. 무선 구간 프로토콜 터미네이터(24)는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와 함께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연결 인터페이스는 무선 구간 프로토콜 터미네이터(24)의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한다.
외부 통신 네트워크 연결기(25)는 외부 통신 네트워크(14)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기기이다. 외부 통신 네트워크가 인터넷인 경우, 외부 통신 네트워크 연결기로서 루터(router)를 사용한다. 외부 통신 제어기(22)는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중계, 연결하기 위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 연결기(25)와 신호 제어기(23)사이에 위치한다. 신호 제어기(23)는 제어 신호및 데이터 신호 스트림의 중심에 위치하며, 특히, 제어 신호의 배분을 제어한다. 패킷 통신 상태 제어기(21)는 경로 설정에 요구되는 전송/수신 제어 신호들에 대한 각 패킷의 패킷 통신 상태를 제어, 감시한다.
도6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패킷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이동 통신 네트워크(13)는 내부적으로 복수의 기지국(16), 복수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 무선 터미네이터(12a, 12b)를 구비한다. 기지국(16)은 전파 또는 라디오 링크를 통해 이동 패킷 단말기(11)로/부터 무선 패킷을 송신/수신한다.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28)는 이동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요청 제어, 이동 제어, 무선 제어를 실행한다. 무선 터미네이터(12a, 12b)는 무선 패킷 통신 실행시에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하고 외부 통신 네트워크(14)와의 연결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2및 도5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17)에서 무선 영역(18)으로 이동하면, 무선 터미네이터(12a)를 위한 패킷 통신 상태 제어기(21)는 패킷 통신 상태가 액티브임을 인식하고,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현재의 무선 터미네이터(12a)를 후속 영역 또는 무선 영역(18)에 연결하는 경로를 루트하기 위해 교환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내부 영역에 있는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 방법을 앵커(anchor) 방식이라고 한다.
도5및 도6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정지 상태로 무선 영역(17)으로부터 무선 영역(18)으로 이동하면, 무선 터미네이터(12a)를 위한 패킷 통신 상태 제어기(21)는 패킷 통신 상태가 정지임을 인식하고,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정지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현재 경로를 단절하기 위해 교환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내부 영역에 있는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 방법을 드리프트(drift) 방식이라고 한다.
또한, 도5및 도7에서, 패킷 통신 상태가 액티브이고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무선 영역을 이동한 후 정지 상태로 전환한 경우를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하면, 무선 터미네이터(12a)를 위한 패킷 통신 상태 제어기(21)는 패킷 통신 상태가 액티브임을 인식하고, 이동 패킷 단말기(11)가 액티브 상태로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현재 무선 터미네이터(12a)를 후속 영역 또는 무선 영역(18)에 연결하는 경로를 루트하기 위해 교환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내부 영역에 있는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에 전송한다. 그런 다음, 무선 터미네이터(12a)가 패킷 통신 상태가 정지 상태임을 인식하면, 무선 터미네이터(12a)는 현재 경로를 단절하기 위해 교환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내부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에 전송한다. 또한, 무선 터미네이터(12a)는 이동 패킷 단말기(11)와 무선 터미네이터(12b)를 연결하기 위해 교환을 요구하는 제어 신호를 내부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15)에 전송한다.
상기한 예에서,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경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해 무선 터미네이터는 패킷 통신 상태를 판단하나, 이동 패킷 단말기가 무선 영역을 이동하기 전후에 패킷 통신 상태는 판단되지 않고 무선 터미네이터가 도2에 도시된 패턴에 따라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 패킷 단말기가 영역을 떠난 후 무선 영역의 패킷 통신 상태를 감시하며, 패킷 통신이 정지 상태에 있거나 정지 상태로 전환되면, 도3및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로는 무선 터미네이터로 전환되는 다른 방법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방법으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들간의 제어 신호 전송을 단순화하기 위해 패킷 통신 상태에 의한 경로 설정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이동중에 정지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제어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무선 터미네이터들은 분리되어 있으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가 무선 터미네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패킷 통신 상태가 액티브하면, 무선 영역을 이동 패킷 단말기가 이동하는 것과 상관없이 무선 터미네이터의 전환 없이 후속 영역으로 경로가 지정된다. 즉, 경로 설정을 위해 앵커 방법이 사용된다. 이렇게 하면 패킷 통신이 안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경로 지정후에 패킷 통신 상태가 정지 상태가 되면, 이전 무선 영역의 무선 터미네이터는 단절되고 즉시 내부 영역의 무선 터미네이터로 경로가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경로 지정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공되고, 복수의 무선 영역들이 명시되며, 상기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반복 구간들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영역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반복 구간들은 각각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연결되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무선 구간 프로토콜(protocol)을 종료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이동 패킷 통신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상기 무선 영역을 이동할 때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의 패킷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위치하는 무선 영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터미네이터들중 어느 하나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2. 하나 이상의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공되고, 복수의 무선 영역들이 명시되며, 상기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반복 구간들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영역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반복 구간들은 각각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라디오 링크를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연결되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이동 패킷 통신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상기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간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3. 하나 이상의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공되고, 복수의 무선 영역들이 명시되며, 상기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반복 구간들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영역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반복 구간들은 각각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라디오 링크를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연결되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이동 패킷 통신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정지 상태로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기지국간의 경로를 단절하도록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상기 제2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4. 하나 이상의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공되고, 복수의 무선 영역들이 명시되며, 상기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반복 구간들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영역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반복 구간들은 각각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라디오 링크를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 상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연결되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이동 패킷 통신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 상태가 정지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액티브 상태를 인식한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상기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간의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 패킷 단말기와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정지 상태를 인식한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기지국간의 경로를 단절하도록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고,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상기 제2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5. 하나 이상의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공되고, 복수의 무선 영역들이 명시되며, 상기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반복 구간들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영역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반복 구간들은 각각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라디오 링크를 이용하여 패킷 통신을 실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연결되며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무선 구간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이동 패킷 통신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가 제1 무선 영역에서 제2 무선 영역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상기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간의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를 연결하는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는 단계;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의 패킷 통신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의 패킷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의 정지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1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와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기지국간의 경로를 단절하도록 상기 제1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고, 상기 이동 패킷 단말기와 상기 제2 무선 영역에 대응하는 무선 터미네이터간의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2 무선 영역의 이동 네트워크 교환기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설정 방법.
KR10-1999-0035821A 1998-08-27 1999-08-27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의 경로 설정 방법 KR100376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155598A JP3358555B2 (ja) 1998-08-27 1998-08-27 移動体パケット通信におけるパス設定方式
JP98-241555 1998-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87A true KR20000017587A (ko) 2000-03-25
KR100376195B1 KR100376195B1 (ko) 2003-03-15

Family

ID=1707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821A KR100376195B1 (ko) 1998-08-27 1999-08-27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의 경로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80698B1 (ko)
JP (1) JP3358555B2 (ko)
KR (1) KR100376195B1 (ko)
SE (1) SE52141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0657B1 (en) * 2000-07-03 2005-09-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points of connectivity to subscriber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6968334B2 (en) * 2001-05-15 2005-11-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business process to maintain privacy in distributed recommendation systems
US7555287B1 (en) 2001-11-01 2009-06-30 Nokia Corporation Customized messaging between wireless access point and services
US6744753B2 (en) * 2001-11-01 2004-06-01 Nokia Corporation Local service handover
US7340214B1 (en) * 2002-02-13 2008-03-04 Nokia Corporation Short-range wireless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tags
US7102640B1 (en) 2002-03-21 2006-09-05 Nokia Corporation Service/device indication with graphical interface
JP3908589B2 (ja) 2002-04-24 2007-04-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コネクション管理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103313B2 (en) * 2002-06-05 2006-09-05 Nokia Corporation Automatic determination of access point content and services for short-range wireless terminals
WO2004051886A1 (ja) * 2002-12-04 2004-06-17 Fujitsu Limited 移動機,ドーマント状態における端末通信方法および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回路
US20040181517A1 (en) * 2003-03-13 2004-09-16 Younghee Jung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interaction
US20050136837A1 (en) * 2003-12-22 2005-06-23 Nurminen Jukka K.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using context in wireless networks
US20060075075A1 (en) * 2004-10-01 2006-04-06 Malinen Jouni I Method and system to contextually initiate synchronization services on mobile terminals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US8339317B2 (en) * 2005-06-28 2012-12-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simulcast communication signals
US20090270100A1 (en) * 2005-09-28 2009-10-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osition registering method
CN103720590B (zh) 2007-10-23 2015-09-30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送出装置
JP2010206248A (ja) * 2009-02-27 2010-09-16 Ntt Docomo Inc 位置登録システム、位置登録装置、及び位置登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9204A (en) * 1988-02-10 1991-01-29 Nec Corporation High throughpu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mobile station when crossing a zone boundary during a session
JPH088587B2 (ja) 1988-03-29 1996-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パケット交換システム
JP2683795B2 (ja) 1988-07-01 1997-12-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信中チャネル切替方式
CA2066538C (en) * 1991-07-09 1997-12-23 Brian David Bolliger Mobile-telephone system call processing arrangement
US5850607A (en) 1993-09-24 1998-12-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ol handoff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WO1995008899A1 (en) 1993-09-24 1995-03-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oft handoff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WO1995008897A1 (en) 1993-09-24 1995-03-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Inter-exchange soft handoff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CA2137383C (en) 1994-01-03 2001-02-13 Gary Len Griffith A switching arrangement for handling wireless terminals with switch features for handling wired terminals
JPH09511107A (ja) 1994-01-27 1997-11-04 ノキア テレコミュニカシオン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セルラー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ミ・ハード・ハンドオフ
JP3250129B2 (ja) 1994-07-29 2002-01-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サービス無中断ハンドオーバ方法
JPH0856378A (ja) * 1994-08-12 1996-02-27 Saitama Nippon Denki Kk 移動体パケット通信方式
JP2942162B2 (ja) 1995-01-05 1999-08-3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パケット通信方法
JPH10136439A (ja) 1996-10-30 1998-05-22 Fujitsu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及び基地局及び移動体交換局及び移動体通信制御方法
JPH10145425A (ja) 1996-11-14 1998-05-29 Hitachi Ltd パケット通信装置
US6246669B1 (en) * 1997-11-28 2001-06-12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connection set-up operations in a high speed digital network
US6963550B2 (en) * 2000-10-24 2005-11-08 Lg Electronics Inc. Handoff method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78190A (ja) 2000-03-14
SE9902981D0 (sv) 1999-08-24
JP3358555B2 (ja) 2002-12-24
SE521417C2 (sv) 2003-10-28
SE9902981L (sv) 2000-02-28
KR100376195B1 (ko) 2003-03-15
US6580698B1 (en) 200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195B1 (ko) 이동 패킷 통신 시스템의 경로 설정 방법
US6909895B2 (en) SGSN semi anchoring during the inter SGSN SRNC relocation procedure
US6081714A (en) Low traffic handoff method for CDMA cellular network using different frequencies among base stations
EP0987858B1 (en)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KR100309234B1 (ko) 서로 다른 이동 통신 교환국에 접속된 기지국 제어기들 간의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444565B1 (ko) 제어 부하를 감소시키는 이동 무선 통신의 핸드오버 제어방법
JPS63214029A (ja) 通信中チヤンネル切換方式
JP2001197544A (ja) 移動体から移動体への呼についての改良
JPH0719385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重接続方式
JP4708274B2 (ja)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及び装置
CN1305326A (zh) 带有改进的硬切换的移动无线电通信系统
JP2001275146A (ja) 無線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ヘッドゾーンを達成するための即座ハンドオフ
US6192037B1 (en) Method for changing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
JP2683795B2 (ja) 通信中チャネル切替方式
JP4638108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ベースによる通信のためにメディアパケットをスイッチ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H0423695A (ja) 移動体通信の通話路設定方式
EP1239631A2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communications of a mobile terminal
US20020126665A1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JPH1066131A (ja) Phs基地局の制御チャネル切替方式
JP2541134B2 (ja) ホ―ムメモリのル―チング番号更新方式
KR1004080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하드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데이터 호유지 방법
WO2000038451A1 (en) Communicating radio planning information among control nod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JP3005477B2 (ja) チャネル切り替え機能を有する移動体通信システ ム
KR100564342B1 (ko) 1x와 2g간 소프트 핸드오프를 위한 무선 구성 변경 방법및 시스템
JP398767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