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748A - 전자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748A
KR20000016748A KR1019980710355A KR19980710355A KR20000016748A KR 20000016748 A KR20000016748 A KR 20000016748A KR 1019980710355 A KR1019980710355 A KR 1019980710355A KR 19980710355 A KR19980710355 A KR 19980710355A KR 20000016748 A KR20000016748 A KR 2000001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ylinder
electronic
lock
powe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메래이 쟈닉
Original Assignee
마조리즈네 드루그리버 포츈
일렉트로닉 키 시스템스 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조리즈네 드루그리버 포츈, 일렉트로닉 키 시스템스 살 filed Critical 마조리즈네 드루그리버 포츈
Publication of KR2000001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74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6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sliding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62Feeding by generat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7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i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몸통부에 탑재된 전자키가 자물쇠를 열기 위해 자물쇠 실린더의 대응하는 하우징에 삽입시키는 키 몸대(shank)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는 고정자(stator) 부분과 텅(tongue)으로 고정된 회전자(rotor) 부분을 갖추고 있으며, 제1기계적 수단과 제1전자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키가 실린더에 완전히 삽입될 때 실린더의 대응하는 하나의 수단과 함께 동작하고 키의일치코드와 자물쇠의 대응코드가 매치할 때 자물쇠가 열리도록 하는 제2기계적 수단과 제2전자적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키의 전자적 수단(16, 18, 20)에는, 단지 키 몸통부의 키 몸대를 전치시킴으로써 동작되는 독립된 전력발생기 수단(14)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Description

전자로킹장치
종래에는, 예컨대 노치(notch)형으로 실행되는 기계식 인코딩(encoding)이 키와 자물쇠 사이에 전송되는 전자식 인코딩과 관련하여 자물쇠가 발전되어 왔다. 유럽특허출원 제0,277,432호에는 자물쇠를 열기 위한 기계식 인코딩뿐만 아니라, 키가 삽입되었을 때 자물쇠에 미리 프로그램된 일치코드를 전달하기 위해 동작하는 전자회로로 구성되어진 키가 있는 전자기계식 자물쇠와 같은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키에는, 외부소스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자물쇠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있다. 또한, 프랑스 특허출원 제2,561,292호에는 전자기계적인 자물쇠에 사용될 수 있는 전자 키와, 키에 직접 배치된 재충전 배터리로부터 얻은 전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 기계적인 인코딩과 전자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해 양 노치를 가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양자물쇠는, 사용되는 실린더형을 만드는 것이 특히 복잡하여 매우 비싸다는 사실로부터 생기는 주요 결함 때문에 나빠진다. 자물쇠형에 있어서, 부가적인 전자 인코딩없이 최대 보안성을 보증하는 실린더의 기계적인 프로파일을 복제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만약 키를 잃어버리면 전자회로와 관련되든지 아니든지 실린더를 대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럽특허출원 제0,388,997호에 있어서, 출원인은 키와 자물쇠의 일치코드 사이가 매치(match)됨으로써 단지 열리는 전자 자물쇠를 전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또, 전자식으로 잠기는 자물쇠형은, 특히 외부소스 또는 재충전 배터리로부터 일반적으로 얻게 되는 전력 공급에 대해 어떤 장애 때문에 나빠진다. 그러나, 자물쇠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에서 사용하는 외부소스는 항상 유효하지 않고, 동작에서의 재충전과 신뢰도의 심각한 어려움 때문에, 키 또는 키와 자물쇠 양쪽 다 동시에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장치의 수단에 의해 재충전될 수 있는 외부형태든지 하나 이상의 배터리의 형태로든지, 전자 자물쇠와 전적으로 독립적인 키 어셈블리를 제안함으로써 상기 열거된 장애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으로 간단하게 저비용으로 만들 수 있는 각 자물쇠 실린더와 키를 제공하는 것인데, 시스템이 완벽하게 보안적이라는 것을 보증한다.
본 발명은, 주어진 장소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예컨대 랙(rack) 또는 전자 캐비넷(cabinet)과 같은 정해진 장치가 동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계(electromechanical) 또는 전자 키(key) 및 자물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로킹시스템에서 사용된 전자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로킹시스템에서 사용된 자물쇠의 이중 실린더의 개략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전자수단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수단의 정류기와 저장수단의 2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실린더와 키 각각의 전자적 수단에 유효한 여러가지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로킹 시스템에 대한 전력발생기 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기능도,
도 9는 수축시킨 제1위치에서 몸대의 압전 모듈을 가지는 전자 키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제2위치에서 몸대의 압전 모듈을 가지는 전자 키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전자 키의 몸대의 실시예에서의 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전자 키와 함께 동작하기에 적당한 자물쇠 실린더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로킹 시스템에 대해 전력발생기 수단의 제2예의 기능도,
도 14는 도 2의 실린더의 제1실시예에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 XV-XV에서 본 횡단면도,
도 16은 도 2의 실린더의 제2실시예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의 평면 XVII-XVII에서 본 횡단면도,
도 18은 도 2의 실린더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의 실린더의 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의 실린더의 키 익스펠링 피스톤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도 18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키의 2개의 연속하는 위치에 대해 키와 실린더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키가 완전히 삽입된 후에 키와 실린더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텅이 해제될 때의 키와 실린더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 몸통부에 탑재된 전자키가 자물쇠를 열기 위해 자물쇠 실린더의 대응하는 하우징에 삽입시키는 키 몸대(shank)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는 고정자(stator) 부분과 텅(tongue)으로 고정된 회전자(rotor) 부분을 갖추고 있으며, 제1기계적 수단과 제1전자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키가 실린더에 완전히 삽입될 때 실린더의 대응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함께 동작하고 키의 일치코드와 자물쇠의 대응코드가 매치할 때 자물쇠가 열리도록 하는 제2기계적 수단과 제2전자적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되며, 상기 키는 키의 전자적 수단이 단지 키 몸통부의 키 몸대를 전치시킴으로써 동작되는 독립된 전력발생기 수단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이 특정 구조에 따라, 일치코드의 교환과 검증 및 자물쇠의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키의 전자적 수단은, 키 몸대와 어떤 외부 전원장치의 몸대를 이동함으로써 단독으로 동작시키는 싱글 모듈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은, 전력발생기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교류신호로부터 직류전원전압을 발생시키는 정류기와 저장수단에 전력링크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정류기와 저장수단 자체는 실린더를 여는데 요구되는 데이터를 교체하기 위해 제공하는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에 접속하는 통신링크에 의해 어떤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력링크와 통신링크는 전력발생기 수단에서 싱글 링크로 구성되어 있고, 제2전자적 수단은 정류기와 저장수단 양쪽 모두와 프로세서 수단에 전력발생기 수단을 접속하기 위해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 제2전자적 수단은, 프로세서 수단의 출력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매치와 필터시키기 위해 프로세서 수단과 전력발생기 수단 사이에 배치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변형례에 있어서, 정류기와 저장수단은 키가 자물쇠에 삽입되었을 때 자물쇠의 실린더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발생기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린더는 어떤 내부전원[예컨대, 배터리 또는 주전원(mains)]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된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전력발생기 수단은 키 몸대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연속적인 벤딩 움직임으로부터 전하를 발생시키기 위해 설계된 압전소자를 적어도 하나 정도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 압전소자는 키 몸통부의 두 개의 가장자리중 하나에 끼워 넣은 싱글 압전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싱글 압전 플레이트는 키가 실린더에 삽입될 동안에 실린더의 압전소자의 콘택트 팁(contact tip)을 적어도 하나 갖추어 함께 동작하기 위해 설계된 톱니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거나, 또는 그 밖의 자유롭게 남겨진 상기 압전 플레이트의 끝은 콘택트 팁을 가지고 키 몸통부로부터 또는 키 몸통부로 몸대의 뽑아냄/끌어들임 동안에 키 몸대의 톱니모양의 프로파일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키 몸대는, 키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에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고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설계된 추가적인 압전소자를 가지고 있다.
상기 키 몸대는, 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되고 키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에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영역을 더 포함하고 있다. 또, 콘택트영역은 키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에 자물쇠로부터 실린더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정류기와 저장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키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 몸대는 십자형이다.
제2변형례에 있어서, 전력발생기 수단은 첫째로 자기코어를 구성하는 자기화된 몸대와, 둘째로 링에 접속되고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월(wall)에 의해 분리되며 자체가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고 상기 자기화된 몸대를 위해 시스(sheath)를 형성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몸통부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고 있고, 그것의 시스로부터 시스로 상기 몸대를 뽑아냄/끌어들임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출(ejection)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자기화된 몸대는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월에 의해 규칙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바이폴라 애뉼러(annular) 자석을 가지고 있고, 상기 월 사이의 거리는 첫째로 키의 시스를 형성하는 몸통부의 대응하는 월 사이의 차이와 거의 일치시키고, 둘째로 실린더의 상기 튜브의 월과 일치시키는 방법으로 결정된다.
상기 바이폴라 애뉼러 자석은, 몸대의 세로축에 평행한 자석의 N극/S극을 갖춘 2개의 인접한 자석이 서로 반발하는 방법으로 결정되는 양극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자기화된 몸대는, 키가 실린더에 완전히 삽입될 때 자기회로를 닫기 위해 키 몸통부를 형성하는 시스의 외부 자기 분리 월과 접촉하는 상기 월에 연철(soft iron)과 같은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월을 더 포함하고 있다.
또, 상기 4개의 코일중 2개의 인접 코일의 감는 방향이 다른 2개 코일의 감는 방향과 반대인 상기 4개의 코일을 구비한 것다른 2개의 코일의 감는 방향이 반대인 상기 4개의 코일에서 2개의 인접 코일의 감는 방향을 갖는 4개의 코일이 있고, 4개의 코일은 키의 제2전자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링크와, 자물쇠의 실린더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링크가 각각 제공됨으로써, 2개의 다른 전자 콘택트 터미널을 갖추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전자키를 얻기 위해 설계된 자물쇠 및, 동작되는 동안 또는 실린더의 제1전자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키의 삽입 끝에 적어도 하나의 전력발생기 수단을 갖추고 있는 실린더의 자물쇠를 제공한다.
또한, 제1의 유리한 변형례에 있어서, 전력발생기 수단은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 사이에 커플링(coupling)을 제공하고, 키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에 실린더와 키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특히 일치코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공급한다.
또한, 제2의 유리한 변형례에 있어서, 전력발생기 수단은 자물쇠를 열도록 전치된 텅을 차단하기 위한 소자를 야기할 수도 있다.
전력발생기 수단은 전력링크를 통해 전력발생기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교류신호로부터 직류전원전압을 발생시키는 정류기와 저장수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정류기와 저장수단 자체는 전력발생기 수단에 접속하는 통신링크를 통해 전력발생기 수단의 텅을 차단하기 위한 소자를 방출하기에 충분한 기간에 결정되어지는 제어펄스를 전달하는 제어수단을 구동하기 위해 공급하는 프로세서수단에 접속되며, 자물쇠의 실린더를 열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공급한다. 이에 따라 자물쇠를 열게 된다.
또, 실린더의 제1전자적 수단은, 프로세서 수단과 제어수단 양쪽에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된 전력발생기 수단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제1변형례에 있어서, 실린더의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은, 콘택트 터미널에 전하를 발생시키는 키의 삽입동안 연속적인 벤딩 움직임에 따라 전자 콘택트 터미널을 가지는 압전소자를 적어도 하나 정도 구비하고 있다.
이 압전소자는, 실린더의 회전자 부분의 두 개의 끝중 하나에 끼워 넣은 싱글 압전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실린더의 회전자 부분에 끼워 넣은 중앙부분의 바이모프(bimorp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압전소자의 각 자유 끝은, 키의 몸대와 레스트 위치에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소자와 함께 동작하고, 실린더의 고정자 부분에 관련되는 텅의 어떤 회전(rotation)을 막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팁을 갖추고 있다.
제2변형례에 있어서, 실린더의 전력발생기 수단은 실린더의 입구에서 하우징 둘레에 탑재되어 있고, 링에 접속되고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일정 간격을 둔 월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연철과 같은 높은 자기 투자율 재료의 튜브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코일은 첫째로 자기코어를 형성하는 자기화된 몸대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키에 의해 운반되고, 둘째로 하우징에 미끄려져 움직이기에 적당한 키 익스펠링(expelling) 피스톤을 갖추고 있어 텅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소자와 더불어 제공된다.
또, 다른 2개의 코일의 감는 방향이 반대인 상기 4개의 코일에서 2개의 인접 코일의 감는 방향을 갖는 4개의 코일이 있고, 4개의 코일은 키의 제1전자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링크와, 자물쇠의 실린더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링크가 각각 제공됨으로써, 2개의 다른 전자 콘택트 터미널을 갖추고 있다.
유리한 일례에 있어서, 텅은 첫째로 원통형상의 몸통부와 둘째로 상기 몸통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뻗는 핀(fin)을 구비하고 있고, 몸통부는 높은 자기 투자율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외부 면적에 일치하는 상기 조각의 내부 면적의 텅 빈 디스크형상의 스페이스를 그들 사이에 방치하는 동안 하나는 다른 하나에 반대로 배치된 2개의 오목한 애뉼러 조각을 얻기 위한 오프닝을 가지고 있으며, 텅 빈 스페이스에 접촉된 애뉼러 조각의 각 내부 월은 상기 차단소자를 얻기 위해 설계된 차단슬롯을 포함하고 있다. 이 핀은, 스프링에 달린 볼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되고 볼을 얻기 위한 캐비티를 갖춘 실린더의 고정자 부분의 대응하는 수단과 함께 동작하기 위해 설계된 센터링(centering)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키 익스펠링 피스톤은, 각각의 축에 대해 탑재된 2개의 각 끝에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중앙코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차단소자는 약간 자기화된 회전식 블레이드(blade)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차단 블레이드는 전력발생기 수단이 동작될 때 텅의 상기 로킹 슬롯중 하나로 되도록 주축이 된다. 이 중앙코어는 비자기화 재료로 덮여 있고, 회전식 커플을 전송하기 위한 키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수단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각각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소자에 의해 양 끝에서 종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키 및 관련된 자물쇠가 제공되는 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키와 전자 자물쇠 및 키와 자물쇠의 결합에 관한 것으로, 전자로킹 시스템으로서 본 출원과 관련된다. 종래 방법에 있어서, 자물쇠는 키를 넣기 위한 하우징과, 키가 하우징에 삽입될 때와 키의 일치코드가 자물쇠의 대응하는 일치코드와 매치될 때 자물쇠를 열도록 하는 전자기계적 소자를 가지고 있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동작되어 자물쇠의 실린더에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형상과 면적의 몸대를 형성하는 첫 번째 끝과, 키의 몸통부에 구성하고 회전될 때 실린더의 텅을 동작시키고 자물쇠(종래의 기계적 자물쇠 수단에 의해, 도시하지 않음)의 볼트를 구동하기 위해 공급하는 헤드를 형성하는 두 번째 끝을 구비하고 있는 키(10)의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내고 있다.
이 키는, 키로부터 자물쇠에 로터리 커플을 전달하기 위한 제2기계적 인터페이스 수단(12)을 갖추고 있다. 키가 자물쇠와 결합되면 자물쇠가 키와 자물쇠의 일치코드의 매칭에 따라 열리도록 하기 위한 조건일 때 동작되는 볼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키와 자물쇠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링크와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링크로 동작하기 위한 제1전력발생기 수단(14)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력발생기 수단에 접속된(전력링크를 통해) 제1정류 및 에너지 저장수단(16)은, 키가 자물쇠에 삽입될 때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축적하기 위해 제공된다. 정류 및 에너지 저장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가지는 제1프로세서 수단(18)에 접속되어 있고, 그것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며 일치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전달을 교대로 관리(키와 자물쇠의 일치코드를 비교함으로써)하고 제어한다. 이 인코드된 데이터의 교환은, 교환이 일어나는 제1프로세서 수단(18)과 전력발생기 수단(14)에 접속된(통신링크를 통해) 제1통신 인터페이스 수단(20)에 의해 임의적으로 실행된다. 실린더에 전원수단이 없을 때, 정류기와 저장수단(16)으로부터의 추가적인 출력링크는 실린더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발생기 수단(14)으로부터 저장된 에너지를 전달받기 위해 공급된다.
도 2는 종래의 기계적인 이중 실린더 자물쇠와 유사한 외부 형상과 사이즈의 2개의 입구(2개의 실린더)를 가지는 대칭적인 유럽 프로파일의 실린더(30)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이에 따라 매우 용이하게 하는 대신 상술한 형의 키와 함께 동작하는데 특히 적합한 독립된 전력발생기 수단과 자체 전력발생기 수단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이 이중 실린더 자물쇠는 업스트림 부분(32)과, 다운스트림 부분(34) 및 키가 2개의 실린더의 2개의 하우징(38)중 어느 쪽에 삽입될 때 기계적인 제2인터페이스의 수단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중간 로터리 부분 또는 텅(36)을 갖추고 있어, 제공하는 일치코드가 매치한다. 이 실린더는 텅(36)으로 행해지는 어떤 외부 동작을 막고, 텅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적인 제2인터페이스 수단(12)과 함께 동작하기 위한 키 익스펠링 피스톤을 구성하는 움직이는 셔터수단(40)을 갖추고 있다. 또한, 유사하고 자물쇠에 전력을 공급(전력링크를 통해)할 뿐만 아니라, 첫째로 키와 자물쇠 사이의 통신기능(통신링크를 통해)을 둘째로 통신링크를 통해 자물쇠(그것의 텅을 해제함으로써)를 여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공급하는 이중 실린더 자물쇠의 업스트림 부분(32)과 다운스트림 부분(34)과 각각 관련된 제2 및 제3전력발생기 수단(42, 44)을 갖추고 있다. 키에 대해서와 같이, 2개의 각 전력발생기 수단은, 키가 자물쇠에 삽입될 때 수단(42, 44)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정류하고 축적하기 위해 전력링크에 의해 각각의 제2(또는 제3)의 정류기 및 에너지 저장수단(46 또는 48)에 접속되어 있다. 제2 및 제3의 정류기 및 에너지 저장수단은, 키와 자물쇠의 일치코드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이동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각각의 제2 및 제3프로세서 수단(50, 5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접속되어 있다. 이 인코드된 데이터의 이동(키와 자물쇠 사이의)은, 첫째로 제2 또는 제3전력발생기 수단(그것의 통신링크를 통해)에 접속되고 둘째로 제2 또는 제3프로세서 수단에 접속된 각각의 제2 및 제3통신 인터페이스 수단(54, 56)에 의해 임의적으로 실행된다(신호매칭과 필터링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 수단이 필요할 때).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제어수단(58, 60; 즉, 트랜지스터 스위치형의)은, 제3 또는 제2전력발생기 수단(44, 42)의 통신링크를 통해 펄스로 방출되는 제2 또는 제3정류기 및 에너지 저장수단(46, 48)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야기시킴으로써, 제2 및 제3프로세서 수단(50, 52)으로부터 각각의 명령하에 자물쇠의 해제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 실린더가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실린더 구조일 때, 실린더의 정해진 부분(즉, 업스트림 부분)의 정류기 및 저장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는, 실린더의 다른 부분(이 경우에는 다운스트림 부분)의 전력발생기 수단으로 방출되고, 역으로도 가능하다. 에너지가 통신링크를 통해 방출되기 때문에, 전력발생기 수단으로부터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54, 56)에 또는 그 밖의 제어수단(58, 60)에 통신 출력을 지시하기 위한 프로세서 수단(50, 52)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수단(62, 64; 즉 판별필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링크와 전력링크가 자물쇠에서와 같이 키에서도 싱글 링크를 구비하고 있을 때, 즉 데이터가 전원라인을 통해 전송될 때 정류기 및 에너지 저장수단(16, 46, 48)에 또는 그 밖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20, 54, 56)에 상기 싱글 링크를 지시하기 위해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수단(66; 도 3 참조)을 제공할 필요가 있고, 역으로도 가능하다[가능한 한 스위치수단(62, 64)에 의해]. 또, 자물쇠는 키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때, 이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수단(66)은, 이러한 복귀 전원이 가능하도록 정류기 및 저장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및 제3프로세서 수단은 최소 벌크이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는 싱글 프로세서 수단[도 12의 회로(51)를 참조]의 이용을 막을 수 없는 것이 명백하다. 또, 비록 본 발명이 이중 실린더 구조의 수단에 의해 설명될지라도, 국제 프로파일, 예컨대 또는 어떤 다른 유사한 기계구조의 노브(knob)를 가지는 싱글 실린더형 구조를 갖추어 실행하는 본 발명을 관찰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다. 또, 상술한 여러 가지 전자수단의 실린더 몸통부내의 배치는 배타적이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텅에서 모든 전자수단이 서로 그룹핑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예컨대,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것이, 다른 전력발생기 수단의 배치에도 적용된다(업스트림/다운스트림이 실린더의 세로축의 한쪽과 다른쪽에 있는 것을 대신하는 배치를 위한 도 16 및 도 17을 참조).
도 4 및 도 5는 키 또는 실린더(14, 42, 44)의 각 전력발생기 수단과 관련된 정류기 및 저장수단의 2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필터와 캐패시터(202)와 같은 에너지 저장소자에 따르는 다이오드 브리지(200)에 의해 단지 구성될 수 있다. 입력(210)에 대해 이 브리지는 전력발생기 수단(14, 42, 44)로부터 교류전압을 받고, 먼저 예컨대 텅의 해제를 위해서나[실린더의 전력발생기 수단(42, 44)의 경우에 있어서] 또는 키로부터 실린더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키의 대응하는 수단(14)의 경우에 있어서], 둘째로 전압출력(212)에 대해서는 의도된 직류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며, 둘째로 분압기를 통해 프로세서 수단(28, 50, 5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출력(212)에 대해 의도된 직류 출력전압을 발생시킨다. 정류기와 저장수단을 실행하기 위한 또 다른 가능한 솔루션은 다이오드 전압증배기(220; 도 5 참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전압증배기는 복수의 정류기와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로 각각 구성된 6개의 스테이지(222~232)인 전압상승 스테이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 따라, 프로세서 수단(18, 50, 52)에는 증배기의 스테이지중 하나, 즉 제2스테이지(224)의 출력으로부터 직접 전력이 공급되고, 프로세서 수단에 대해 희망 전원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구조에 따라 키에서 실린더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여러 가지 직류전압을 전달하도록 공급하는 증배기의 중간출력으로부터 직접 전력이 공급된다(도 1과 유사).
도 6 및 도 7은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에 삽입되는 키에 의해 발생되는 자물쇠에 대한 전력의 특정 경우에 대해 상술한 여러 가지 전자수단의 출력에서 유효한 전자신호를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이다. 도 6의 a는 키(10)가 실린더(30)에 삽입된 후, 자물쇠의 전력발생기 수단(42, 44)으로부터의 출력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는 정류기와 저장수단(46, 48)에 의한 출력전류를 나타내고 있다(전하전압을 보여주는 대시선 곡선). 도 6의 c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54, 56)으로부터의 출력에서 자물쇠와 키 사이의 코드교환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d는 커플링수단(42, 44)의 키의 삽입으로 저장수단(46, 48)에 축적되어 있는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텅이 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세서 수단(50, 52)의 출력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나타내고 있다[도 6의 e의 제어수단(58, 60)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참조]. 또, 도 7의 a는 키의 전력발생기 수단에 의한 출력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b는 정류기와 저장수단(16)에 의한 출력전류를 나타내고 있고(전하전압을 보여주는 대시선 곡선), 도 7의 c는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20)으로부터의 출력에서 자물쇠와 키 사이의 교환되는 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히스토그램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전자수단이 3개의 연속적인 스테이지에 위치함으로써 실행된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첫째로, 교류는 자물쇠와 키에서 병렬로 발생되는데, 교류는 자물쇠와 키의 각 프로세서 수단에 전원전압을 전달하기 위해 정류되고(제1스테이지), 프로세서 수단은 그 후 활성화된다. 그리고 나서, 그것들은 일치코드를 교환하기 위해 진행되어 그들을 비교할 수 있다. 이 교환후에 그리고 이 코드의 매치를 가정하면, 자물쇠는 텅과 실린더를 해제하도록 저장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방출함으로써 열 수 있게 되고,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자물쇠에 키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때, 직류전압의 형태를 직접 전달되는 자물쇠의 전력발생기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전압으로 인해, 정류기 수단(46, 48)을 생략함으로써 실린더의 전자수단 구조는 간단하게 될 수 있다(그러나, 실린더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키에 직류/교류 컨버터를 부가할 수 있다).
도 8은 압전소자의 형태로 자물쇠와 키의 전력발생기 수단의 제1실시예의 매우 개략적이고 기능적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자물쇠(42 또는 44)의 전력발생기 수단은, 통신링크와 전력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콘택트로 제공된 압전 플레이트(68)와 같은 압전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이 플레이트는 실린더(30) 몸통부의 자유 끝과 피벗(pivot)하기 쉽고 키의 특정 톱니모양 프로파일(70b)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다른쪽 끝 콘택트 팁(68b)을 가지는 2개의 끝중 하나에 끼워져 있다.
키의 전력발생기 수단(14)은, 콘택트 팁(68a)으로부터의 압력하에서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자유롭게 되는 그것의 다른 끝과 더불어 전자 콘택트(70a)로 제공되고 키(10)의 몸통부의 끝중 하나에 끼워 넣은 압전 플레이트(70)와, 유지하는 톱니모양 프로파일(70b)을 마찬가지로 구비하고 있다.
압전 플레이트는 공지된 성분이므로,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압전 세라믹의 다중층 혼합구조가 독립된 전력발생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진폭의 벤딩 이동을 제공하는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고(즉, 재충전 배터리와 같은 부가적인 전원소스에 대한 어떤 필요성도 없으면, 특히 키가 복잡한 프로그래밍 기능을 가지고 있을 때 외부 소스의 사용이 당연히 제외된다), 자물쇠와 키의 프로세서 수단의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자물쇠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은 면적(40㎜×10㎜×1㎜)의 플레이트는, 스트레스의 영향하에서 ±0.5㎜ 폭을 통해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축적된 에너지의 무시할 수 없는 양을 허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하에 있어서, 복수의 변형으로 종속하는 플레이트는(실제 문제로서, 변형의 수는 범위 10~40에 놓일 수 있다) 키의 모든 성분에 전력을 공급하고 부가적인 전원에 대한 어떤 필요성 없이 자물쇠를 해제하도록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한다. 이러한 연속적인 변형으로부터의 결과와 키와 자물쇠(68a, 70a)의 전자 콘택트 터미널에서 가능한 전하의 교대로 주기적인 플로우에 의해 구성된 압전기 에너지는, 전력이 공급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정류기와 저장수단(16, 46, 48)에 전송되고 축적된다. 반대로, 이러한 압전 플레이트의 주어진 가역성과 그것의 콘택트 터미널(68a, 70a)을 가로지르는 방출하는 충분한 에너지는 이동하기 위해 그것을 야기시킬 것이고, 그것은 텅의 해제를 활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이러한 압전 플레이트는 자물쇠와 키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키가 실린더(30)에 완전히 삽입될 때, 키의 압전 플레이트(70)와 자물쇠의 압전 플레이트(68) 양쪽은 구부러지기 쉬워서 기계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통신 반송주파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자체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결합된 오실레이터를 형성한다. 이 주파수는, 자물쇠의 프로세서 수단에 저장되는데, 프로세서 수단은 상기 주파수에서 상기 오실레이터의 짧은 여기 주기의 형태로 데이터 교환을 시작하기 위한 신호를 줄 수 있고, 그때 이 키는 기준 로직값 0을 줄 수 있다. 로직값 1은 키로부터 자물쇠로 또는 자물쇠에서 키로 위상 또는 기준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그리고 검출되는 변경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길이의 시간을 줌으로써 단지 종래의 방법으로 이러한 상황하에서 전달될 수 있다. 통신 대역폭은 기계적인 커플링의 그것과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전자 키의 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내고 있다. 수동(즉, 톱니모양 버튼)이든 자동으로든 이 키는, 어떤 공지된 수단에 의해 얻게 되고 자물쇠의 하우징(38)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몸대(82)를 포함하는 박스형[키 몸통부(80)]으로 되어 있다. 끌어들인 위치에 나타낸 몸대는, 박스(80)에 끼워 넣은 하나의 끝을 가지고, 콘택트 팁(84a)의 자유로운 이동하의 반대쪽 끝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플레이트(84)]의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팁(84a)과 함께 동작하기 위한 외부 톱니모양의 프로파일(82a)을 가지고 있다. 이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끌어낸 몸대(82)는 2개의 반대면에 대칭적인 톱니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고, 거기에는 2개의 소자를 동시적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제공하는 각각의 콘택트 팁(84)과 함께 4개의 압전소자가 있다. 물론 이 배치는 설명으로 단지 주어지고, 제조될 필요가 있는 전력량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예를 위해, 도 11은 4개의 압전소자(88a, 88b, 88c, 88d)를 여기시키는 십자형 부분의 몸대(86)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키는 압전소자[정류기와 저장회로(16)는 큰 캐패시턴스의 캐패시터 또는 저장 또는 재충전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다)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변환하기 위한 회로와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접속된 회로(16)에 의해 직접 전력이 공급되는 집적회로(18)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형을 포함하고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20)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세서 회로(18)는, 몸대(82)에 탑재되고 일치코드 교환의 목적을 위해 자물쇠[도 8의 기준소자(68)]의 대응하는 압전소자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압전소자(70)에 접속되어 있다.
도 10은 몸대(82)를 배치된 위치 또는 제2위치에 나타낸 도 9의 키의 변형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례에 있어서, 코드교환을 위한 통신링크가 자물쇠를 위해 요구되고 정류기와 저장회로(16)의 출력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구역의 몸대(82; 키가 다른 라운드 방법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페이스마다 하나의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영역(82b)을 통해 배치되어 있다(이러한 접촉구역은 도 11의 변형례에 나타내고 있다). 키의 다른 소자는 도 9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설명한 여러 가지 실시예는 어떤 방법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키(82)의 몸대가 키로부터 자물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영역(82b)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압전소자도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키의 전력발생은 수동이든 자동(몸대가 자물쇠에 삽입됨으로써 대립하는 것으로)이든지 그것의 박스로부터 끌어내는(또는 박스로 끌어들이는) 몸대로부터 발생한다. 이에 따라 키의 압전소자를 여기시키고 대응하는 저장수단(16)에 축적된 에너지를 야기시킨다. 그 후에, 이 에너지는 키와 자물쇠 사이의 통신을 관리하는 프로세서 수단(18, 20)에 전력을 공급하고, 변형례에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자물쇠에 충분한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도 12는 도 10에 대해 상술한 종류의 전자 키를 더 특별히 얻기 위한 자물쇠 실린더를 매우 개략적인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실린더 배치에 있어서, 전력발생기 수단(42, 44)에는 다만 키의 콘택트영역(82c)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되고 콘택트영역(42a, 44a)과 자물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요구된 에너지뿐만 아니라, 일치코드를 체크하기 위해 요구된 데이터를 통과시키는 콘택트영역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전자 프로세서 회로(51)는, 이들 코드가 매치하면 관리하고 실린더를 차례로 해제하는 제어수단을 해제하는데 제공된다.
도 13은 자기 소자의 형태로 자물쇠와 키의 전력발생기 수단의 제2실시예를 매우 개략적이고 기능적인 방법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자물쇠(42, 44)의 전력발생기 수단은, 링모양으로 접속되고 높은 자기 투자율의 튜브에 탑재된 복수의 동일 코일(90, 92, 94, 96)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동일 코일은 연철 케이스(98)를 가지고 있어 코일 사이의 자기간격을 제공한다. 2개의 인접하여 따라오는 코일(94, 96)이 반대방향(원 내에 도트가 있는 모양으로 나타내는 각각의 감는 법으로)으로 감겨지는 동안, 첫번째 2개의 코일(90, 92)은 한방향(십자표시로 나타냄)으로 감겨진다. 전력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제1전자콘택트(100)는 첫째와 넷째 코일(90, 96) 사이의 제1링크 포인트 사이에 주어지고, 제2링크 포인트는 둘째와 셋째 코일(92, 94) 사이에 주어지며, 제2전자콘택트(102)는 첫째와 둘째 코일(90, 92) 사이의 제3링크 포인트와 셋째와 넷째 코일(94, 96) 사이의 제4링크 포인트로부터의 통신링크를 제공하도록 주어진다. 이들 코일(90, 92, 94, 96)은, 자속이 주기적으로 반대로 되는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실린더 외부의 자기코어와 함께 동작하게 설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콘택트(100, 102)에서 교류를 야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압전 구조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 자기구조는 마찬가지로 가역적이고, 전자 콘택트 터미널 수단에 의해 코일에 흐르는 전기를 야기시키는 것은 텅 로킹 소자를 해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자속을 발생시킬 수 있다.
키의 전력발생기 수단(14)은, 마찬가지로 링형상으로 접속되고 연철 케이스(118)에 탑재된 4개의 코일(110, 112, 114, 116)을 가지고 감은 방향과 접속이 상술한 것과 유사한 코일 사이의 자기 분리기 월을 가지는 구조, 특히 사이즈에 관해서 동일하다. 제1 및 제2전자 콘택트(120, 122)는 전력링크와 통신링크에 대해 유사하게 제공된다. 그러나, 키의 수단(14)은, 상기 키 몸대(124)의 한쪽 끝에 나란히 배치되고 자기 분리 월을 형성하는 연철의 와셔(washer; 138, 140, 142, 144)에 의해 분리되며 2개의 인접 자석이 서로 반발하도록 선택되는 자석의 양극을 갖춘 4개의 바이폴라 애뉼러 자석(130, 132, 134, 136)을 더 포함하고 있다. 애뉼러 자석은 자석 사이의 분리 월이 케이스의 코일 사이의 분리 월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둘레 케이스(98, 118)의 사이즈를 정확히 매치하는 사이즈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말하자면 자석 하나의 자석과 하나의 코일을 각각 포함하는 4개의 닫힌 자기 박스를 제공한다. 자석과 와셔는, 나사 로드(threaded rod; 146)의 수단에 의해 자석과 와셔가 고정된 몸대(124)상에 탑재된다. 더욱이, 자기분리 월을 형성하는 추가적인 연철 와셔(148)는 가장 가까운 와셔(144)로부터의 거리에서 몸대의 다른 끝(124)에 탑재되어 있는데, 이 거리는 키가 자물쇠의 실린더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따라서 완전한 자기 커플링은 달성된다), 자기 회로를 완전히 닫도록 키의 케이스(118)의 외부 분리 월과 정확하게 함께 동작하고, 이에 따라 주어지는 어떤 부정의 전자기 동작을 막고 매우 강력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프링(150)에 의해 단지 부호로 나타낸 종래의 몸대 방출 수단은, 그들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자물쇠(98)의 연철 케이스[그리고 그것의 코일(90~96)]와 함께 실린더 레벨로 키가 완전히 삽입되기 전에(워킹 위치에서) 해제되도록 초기에 둘러싸는(그들의 레스트 위치에서) 키의 시스를 형성하는 조각의 자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방법으로 일단 클로우즈되면, 키의 코일과 실린더의 코일에 의해 구성된 자기회로와 키의 자기화된 몸대는, 자체 공명 주파수를 가지는 손실없는 결합된 변압기를 형성한다. 그때, 코드는 어떤 직접 전자 콘택트의 사용없이 고주파수에서 유도 커플링과 종래 위상 또는 주파수 변조를 이용함으로써 교환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압전 전력발생기 수단에 제공된 전자 키(10)를 얻기 위해 설계된 이중 실린더(30)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이 실린더는, 텅(36)에 대해 고정되고 고정자 소자(302)에 의해 둘러싸인 회전자 소자(300)를 구비하고 있다. 키 익스펠링 피스톤(34)의 키(10)를 얻기 위한 하우징(38)은, 회전자 소자를 오른쪽으로 미끄러져 통과할 수 있다.
회전자 소자(300)는, 실질상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린더(3)를 통해 세로로 지나가는 싱글 플레이트(308)에 의해 형성된 압전소자를 얻기 위한 캐비티(306)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바이모프는 중립의 중앙 존(zone; 즉 압전 시점으로부터 활동하지 않는 존)에 의해 결합된 업스트림 부분(308a)과 다운스트림 부분(308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첫째로 실린더의 세로축에 대해 하우징(38)의 캐비티(306)에 리드하는 대응하는 오프닝(316, 318)을 통해 레스트 위치(즉, 여기되지 않을 때)를 지나가는 콘택트 팁(312, 314)의 각각의 끝과, 둘째로 상술한 레스트 위치에서 트리헤드럴(trihedral) 핀(320, 322)을 형성하는 차단소자를 가지며, 고정자 소자의 오프닝(324, 326)에 삽입됨으로써 고정자 소자에 회전자 소자(300)를 고정시키고, 따라서 텅의 어떤 회전도 막을 수 있다. 또, 키(10)가 하우징(38)에 삽입될 때, 압전 플레이트(308)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 부분은 탄력성이 있는 수단, 즉 콘택트 팁(312)을 얻는 그것의 페이스의 반대편에 반해 플레이트(308)의 각 자유 끝에 배치된 스프링(328)에 반해 생기게 된다. 물론, 압전 플레이트(308)의 각각의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부분은, 레퍼런스(332)에 의해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텅(36)에 유리하게 위치한 실린더의 전자수단에 접속된 자체 전자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키는 다른 페이스가 자유로운 동안, 톱니모양의 프로파일(338)을 지탱하는 스페이스를 가지는 키의 몸통부(336)의 끝중 하나에 끼워 넣은 압전 플레이트(334)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334)와 같은 것은 키가 실린더에 삽입되는 동안 톱니모양의 프로파일(338)을 따라 움직이는 콘택트 팁(312, 314)으로부터의 압력의 결과로서 앵커(anchor) 포인트에 대해 피벗 동작을 왕복이동시키기 쉽다. 실린더의 플레이트(308)와 같이, 키의 플레이트(334)는 키의 전자수단(342)에 접속된 전자 콘택트(340)를 갖추고 있다.
이 방법으로 만들어진 로킹 시스템의 동작은 매우 간단하다. 키가 이중 실린더(30)의 하우징에 삽입될 때, 키의 플레이트(334)와 실린더의 프론트(front) 플레이트(308a)의 연속적인 벤딩은 키와 자물쇠의 양쪽의 정류기 및 저장수단(332, 342)에 축적하도록 에너지를 야기시킬 것이다(도 1, 도 2, 도 6, 도 7 참조).
일단 키가 완전히 삽입되면, 업스트림 차단 소자(320)는 해제되고 축적된 에너지는 최대로 된다. 그때, 압전 플레이트는 프로세서 수단(332, 342) 사이의 교환될 수 있는 일치코드를 통해 결합된 오실레이터를 형성한다. 만약 이 코드가 매치하면, 축적된 에너지는 상기 에너지 영향하에서 다운스트림 플레이트(308b)의 콘택트를 통해 접속될 수 있고, 구부러질 것이므로 시간의 짧은 순간동안 다운스트림 차단소자(332)를 해제하며, 시간의 짧은 순간동안 이 방법으로 해제된 텅을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여러 가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키는 하나의 완전한 턴(turn)이 실행되기까지 빼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된다(즉, "캡티브 훅(captive hook)"으로 알려진 장치). 또한, 키가 삽입되는 동안 자물쇠가 하나의 키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뒤로 밀어내는 키 익스펠링 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압전 전력발생기 수단이 제공되는 실린더와 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린더는 텅(36)에 고정되고 고정자 소자(402)에 의해 둘러싸인 회전자 소자(400)을 갖추고 있다. 회전자 소자는 키 익스펠링 피스톤(404)이 오른쪽을 통해 미끄러져 통과할 수 있는 키(10)를 얻기 위한 하우징(38)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실리더의 실시예에 있어서 압전소자는, 중립의 중앙 존을 가지는 싱글 압전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새로운 실시예에 있어서 압전소자는 실린더의 전체 길이를 통해 대체로 각각 확장하는 회전자 소자(400)의 2개의 캐비티(409, 410)에 배치된 2개의 다른 압전 플레이트(406, 40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압전소자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가 그것의 면적에 비레하기 때문에, 이 구조는 상기 경우와 같은 실질상 2배의 에너지를 회복하기 위해 동일 키를 가능하게 할 잇점이 있다. 각 플레이트(406, 408)는 2개의 반대 콘택트 팁(412, 414, 416, 418)를 가지는 다른 끝과 더불어, 회전자 소자의 끝중 하나에 끼워 넣고, 상술한 레스트 위치에 있어서, 고정자 소자(402)로 회전자 소자(400)를 고정시키고, 고정자 소자의 오프닝(424, 426)에 삽입된다. 차단수단(420, 422)을 지지하는 페이스로부터 반대쪽에, 하우징(38)에 키(10)의 삽입으로 압전 플레이트(406, 408)의 하나 또는 다른 벤딩은 플레이트(406, 408)의 각각의 자유 끝에 배치된 탄력성이 있는 수단, 즉 스프링(428, 430)에 반해 실행될 수 있다. 또, 각각의 압전 플레이트는 실린더의 전자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전자 콘택트(도시하지 않음)를 갖추고 있다.
특히, 상술한 실린더형과 함께 동작하기 위한 의도된 키(10)는 도 16에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키는 톱니모양의 프로파일(438)과 함께 압전 플레이트(434)를 갖추고 있고(프로파일된 수지에서 플레이트를 덮음으로써, 프로파일이 간단하게 된다), 키가 실린더에 삽입되도록 키의 몸통부(436)에 끼워 넣은 끝중 하나를 갖추고 있으며, 톱니모양의 프로파일(338)을 따라 반대로 움직이는 콘택트 팁(412, 414, 416, 418)의 압력은 상기 플레이트(434)가 앵커(anchor) 포인트에 대해 피벗 동작을 왕복이동시키는 것을 야기시킨다. 압전 플레이트를 보호하기 위해 콘택트 팁으로 되는 것과 다른 어떤 외부 콘택트로부터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는 키에서의 옆의 홈을 통해 단지 접근할 수 있다. 실린더의 플레이트(406, 408)와 같이, 키의 플레이트(434)는 싱글 레퍼런스(442)가 주어진 키의 여러 가지 전자수단에 접속된 전자 콘택트(440)를 갖추고 있다.
이 변형례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코드가 매치할 때, 이 새로운 변형례에 있어서 키가 삽입되는 동안 축적된 에너지는 제2플레이트(408)를 통해 방출되고, 솔(sole) 플레이트(308b)의 제2부분을 통하는 것은 상기와 같지 않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방출은 키의 삽입에 의해 해제되는 제1차단수단(420)과 더불어, 제2차단수단(422)을 해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전력발생기 수단이 자기형태로 실행되는 실린더(30)와 키(10)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린더는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여 상세히 나타낸 다양한 컴포넌트 부품의 단지 싱글 로터리 텅(36)에 의해 구성된 이 실시예에서의 회전자 소자(500)를 둘러싸는 고정자 수단(502)에 의해 구성된다. 고정자 수단(502)은, 실린더(30)의 입구에서 각각 수신된 2개의 유사 모듈(506, 508)과, 키(10)를 얻기 위해 통과하는 하우징(38)을 갖추고 있고, 이것은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나타낸 구조의 키 익스펠링 피스톤을 미끄러지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각 모듈(506, 508)은 연철로 이루어지고 하우징(38) 둘레의 튜브에 배치된 4개의 코일(514, 516, 518, 520. 524. 526. 528)을 분리하도록 공간적으로 규칙적으로 떨어진 복수의 와셔가 제공되는 연철 튜브(510, 512)에 의해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코일의 감기와 그들의 상호연결은, 상술한 것(도 13 참조)과 같이 되고, 여러 가지 전자수단(46~64)의 그들의 링크는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도 2 참조)와 같이 된다.
또한, 자기 콤포넌트를 가지는 실린더형과 함께 동작하기 위한 키의 실시예는 도 18에 나타내고 있다. 이 키는, 4개의 바이폴라 애뉼러 자석(536, 538, 540, 542)이 제공되는 연철 몸통부를 구비하고 4개의 코일(544, 546, 548, 550)을 위한 자기코어를 형성하는 이동하는 자기화된 몸대[532; 전치수단(534)으로부터의 구동하에서 이동할 수 있는]를 가지고 있다.
도 19a(및 도 19b의 종단면도인 도 19b)에 더 상세히 나타낸 텅(36)은,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핀(562)으로부터 원통모양의 몸통부(560)을 갖춘 종래의 외부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핀은 센터링장치(566)가 배치된, 즉 스프링에 달린 볼 어셈블리(568, 570)에 의해 형성되고 고정자 소자(502)의 레지스터에 형성된 보완적인 캐비티(574, 576)와 함께 동작하기에 적당한 그것을 통해 통과하는 구멍(564)을 갖추고 있다. 또한, 몸통부(560)는 그들 사이의 텅 빈 디스크 형상의 스페이스(584)를 떠나는 동안, 다른 것에 반해 하나에 배치된 연철(580, 582)의 2개의 오목한 애뉼러 조각을 얻기 위한 오프닝(578)에 의해 관통된다. 또한, 텅 빈 스페이스의 접촉에서 이들 애뉼러 조각의 내부 월(586, 588)은, 텅 해제 위치에서 키 익스펠링 피스톤(504)에 의해 전달된 약간 자기화된 로터리 차단 블레이드를 얻는 각각의 슬롯(590, 592)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피스톤은, 정면도와 프로파일도를 나타내는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그것은 미끄러지는 하우징에 고정하는 몸통부(600)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축(604, 606)에 대해 중추적으로 탑재되는 약간 자지화된 로터리 블레이드(608, 610)와 함께 연철의 중앙코어(602)가 제공되며, 각각의 블레이드는 중앙코어를 지나서 그리고 일치하여 확장하는 부분을 갖추고 있다(레스트 위치에서).
어셈블리는, 황동 또는 수지(612)와 같은 비자기화 재료로 덮여 있다[각 축(604, 606)에 대해 피벗하기 자유로운 블레이드(608 또는 610)를 제외함]. 2개의 연철 기계적인 인터페이스(614, 616)는 피스톤의 각 끝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키의 기계적인 인터페이스 수단을 정확히 얻기에 알맞은 디스크 구조는 완성된다(예컨대, 블레이드/슬롯 시스템은 이러한 로터리 드라이브 링크를 제공하기에 적당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도 21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키(10)의 2개의 다르면서 연속적인 위치의 기능으로 실린더(30)의 코일의 자속분배를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하나의 톱니모양이 쌍의 인접자석에 의해 전달된 반대의 양극 때문에 각 코일에 의해 인지되는 흐름을 역으로 함으로써 키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양극은 흐름의 방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완전히 삽입하는 키는 정류와 저장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정류와 더불어, 교대로 증가하는 진폭의 교류의 4개의 교대를 발생시킨다. 자기화된 몸대는, 삽입의 순간에 키의 압전기 버전에 관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되는 키에 앞서 그것의 시스로부터 방출된다. 이에 따라, 키가 독립된 전원과 통신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우즈된 자기회로에는 키가 자물쇠의 실린더에 완전히 삽입될 때, 키와 자물쇠의 코일을 통해 이동하는 자속과 더불어, 키의 구조로부터의 기여를 포함하고 자기화된 몸대를 통해 루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 있어서, 어셈블리는 정류기와 저장수단에 의해 미리 전력이 공급된 키와 자물쇠의 프로세서 수단 사이의 통신을 위해 반송주파수로서 선택될 수 있는 공명 주파수의 완전히 결합된 변압기를 형성하고 있다(또, 단지 삽입에 의한 통신링크는 관찰될 수 있다). 코드가 교환된 후 그리고 그들이 매치한다고 가정하면, 키의 삽입동안 축적된 에너지는 제2모듈의 전자 콘택트에 의해 방출된다. 이에 따라, 피벗하기 위해 키 익스펠링 피스톤(504)의 로터리 블레이드(610)를 야기시키는 강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텅의 슬롯에 삽입되기 시작함으로써 그것은 피스톤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어셈블리가 키의 몸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기계적인 인터페이스 수단(12)에 의해]. 결정된 짧은 주기 후나 또는 키를 끌어낼 때, 자물쇠는 초기의 수평위치에서 리턴하는 자기화된 로터리 블레이드와 함께 동작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자기화 버전과 압전기 버전 양쪽으로 키의 전력 발생기 수단에 관련된 자물쇠의 전력 발생기 수단이 시스템의 3개의 기본 기능을 실행하기에 충분한 특히 최적화된 로킹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전력 발생의 기능은,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전하를 야기시키는 변형(압전기 버전) 또는 전치(자기화 버전)의 전자기(mechano-electrical) 접속에 의해 실행된다. 통신 기능은, 자물쇠와 키의 수단 사이의 고주파수 커플링에 의해 실행되고, 사용된 수단의 가역성이 주어진 작동기 기능은 변형 또는 전치로 미리 저장된 전하의 전자기계적인 변환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완전히 최적화된 버전은 더 한정된 배치, 특히 자물쇠와 키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와 직접적인 전자 콘택트의 수단에 의해 키로부터 단독으로 이동되는 에너지를 위해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Claims (35)

  1. 키 몸통부에 탑재된 전자키에 있어서, 자물쇠를 열기 위해 자물쇠 실린더의 대응하는 하우징에 삽입시키는 키 몸대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는 고정자 부분과 텅으로 고정된 회전자 부분을 갖추고 있으며, 제1기계적 수단과 제1전자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는 키가 실린더에 완전히 삽입될 때 실린더의 대응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함께 동작하고 키의 일치코드와 자물쇠의 대응코드가 매치할 때 자물쇠가 열리게 하기 위한 제2기계적 수단과 제2전자적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키(16, 18, 20)의 전자적 수단은, 단지 키 몸통부의 키 몸대(82, 124)를 전치시킴으로써 동작되는 독립된 전력 발생기 수단(14)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이, 전력발생기 수단(14)에 의해 전달된 교류 신호로부터 직류 전원전압을 발생시키는 정류기와 저장수단(16)의 전력링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정류기와 저장수단(16) 자체는 실린더를 열기 위해 요구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제공하는 프로세서 수단에 전력 발생기 수단(14)에 접속하는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3. 제2항에 있어서, 전력링크와 통신링크가 전력발생기 수단(14)에서 싱글 링크를 구성하고, 제2전자적 수단이 정류기와 저장수단 양쪽과 프로세서 수단(18)에 전력발생기 수단을 접속하기 위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전자적 수단이, 프로세서 수단(14)과 프로세서 수단의 출력에서 전달된 신호를 매치하고 필터링하기 위한 전력발생기 수단(14) 사이에 배치된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20)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정류기와 저장수단(16)이, 키가 자물쇠에 삽입될 때 자물쇠의 실린더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발생기 수단(14)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발생기 수단(14)이, 키 몸대의 전치에 의해 발생된 연속적인 벤딩 이동으로부터 전하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70, 8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전소자가, 키(10, 336, 436, 80) 몸통부의 2개의 끝중 하나에 끼워 넣은 싱글 압전 플레이트(70, 33, 434, 8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플레이트가, 키가 실린더에 삽입되는 동안 실린더(68)의 압전소자중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팁(68b, 312, 314, 412, 414)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톱니모양의 프로파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9. 제7항에 있어서, 자유롭게 남겨진 상기 압전 플레이트의 끝이, 키 몸통부로부터 또는 키 몸통부로 몸대의 뽑아냄/끌어들임 동안 키 몸대(82)의 톱니모양의 프로파일(82a)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콘택트 팁(84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0. 제9항에 있어서, 키 몸대(82)가, 프로세서 수단(18)에 접속되고 키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에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설계된 추가적인 압전소자(7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1. 제9항에 있어서, 키 몸대(82)가, 프로세서 수단(18)에 접속되고 키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에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영역(82b)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영역이, 키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 자물쇠로부터 실린더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정류기와 저장수단(16)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몸대가 십자모양(8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이, 첫째로 자기코어를 구성하는 자기화된 몸대(124)와, 둘째로 링모양으로 접속되고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월(138, 140, 142, 144)에 의해 분리되며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고 상기 자기화된 몸대를 위해 시스를 형성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몸통부(118)에 포함된 복수의 코일과, 시스로부터 시스에 상기 몸대를 뽑아내고 끌어들이도록 제공되는 스프링(150, 534)을 이용하는 방출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화된 몸대가,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월(138, 140, 142)에 의해 규칙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바이폴라 애뉼러 자석(130, 132, 134, 136)을 갖추고 있고, 상기 월 사이의 간격은 첫째로 키(10)의 시스를 형성하는 몸통부(118)의 대응하는 월 사이의 차이와 정확히 대응하는 방법으로 결정되고, 둘째로 실린더(30)의 상기 튜브(98)의 월과 정확히 대응하는 방법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애뉼러 자석이, 몸대(124)의 세로축에 평행한 자석의 N/S극과 더불어 2개의 인접한 자석이 서로 반발하는 방법으로 결정되는 양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화된 몸대가, 키(10)가 실린더(30)에 완전히 삽입될 때 자기회로를 닫는 키의 시스를 형성하는 몸통부(118)의 외부 자기 분리 월과 접촉하는 상기 월에 그 목적을 위해 연철과 같은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월(148)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코일중 2개의 인접 코일의 감는 방향이 다른 2개 코일의 감는 방향과 반대인 상기 4개의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코일이, 키의 제2전자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링크와, 자물쇠의 실린더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링크가 각각 제공됨으로써 2개의 다른 전자 콘택트 터미널(120, 12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20.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46~64, 51)의 제1전자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키의 삽입의 끝에서 활성화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전력발생기 수단(42, 44)을 가지는 실린더(30)인 자물쇠와 전자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이, 키와 자물쇠의 실린더 사이에 커플링을 제공하고, 키의 몸대가 실린더에 삽입된 후 실린더와 키 사이의 교환되는 데이터 특히 일치코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2. 제20항과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이, 자물쇠를 열도록 배치된 텅(36)을 차단하기 위한 소자를 야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이, 전력발생기 수단(42, 44)에 의해 전달된 교류신호로부터 직류전원전압을 발생시키는 정류기와 저장수단의 전력링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정류기와 저장수단 자체는 자물쇠의 실린더를 열기 위해 요구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제공하는 전력발생기 수단(42, 44)에 접속하는 통신링크를 통해 프로세서 수단(50, 52)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 수단은 통신링크를 통해 전력발생기 수단(42, 44)의 텅(36)을 차단하기 위한 소자를 해제하기에 충분한 기간동안 결정되는 제어펄스를 전달하는 제어수단(58, 60)을 구동하도록 제공하여 자물쇠는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제1전자적 수단이, 프로세서 수단(50, 52)과 제어수단(58, 60) 양쪽의 통신링크를 통해 접속된 전력발생기 수단(42, 44)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칭 수단(62, 64)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5. 제 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물쇠의 실린더의 상기 전력발생기 수단이 콘택트 터미널에서 전하를 발생시키는 키(10)의 삽입동안 연속적인 벤딩 이동과 함께 전자 콘택트 터미널(68a)을 가지는 압전소자(68)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자물쇠와 전자 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가, 실린더(400)의 회전자 부분의 2개의 끝중 하나에 끼워 넣은 싱글 압전 플레이트(68, 406, 408)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가, 실린더(300)의 회전자 부분에 끼워 넣은 중앙부분의 바이모프(308)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각 압전소자(68, 308, 406, 408)의 자유 끝이, 키 몸대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팁(68b, 312, 314, 412, 414, 416, 418)과, 레스트 위치에서 실린더(302, 402)의 고정자 부분에 관하여 텅(36)의 어떤 회전을 막기 위해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차단소자(320, 322, 420, 42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29. 제14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의 전력발생기 수단이, 실린더의 입구에서 하우징 둘레에 탑재되어 있고, 링에 접속되고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일정 간격을 둔 월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연철과 같은 높은 자기 투자율 재료의 튜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코일은 첫째로 자기코어를 형성하는 자기화된 몸대(124)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키(10)에 의해 운반되고, 둘째로 하우징에 미끄려져 움직이기에 적당한 키 익스펠링 피스톤(504)을 갖추고 있어 텅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소자와 더불어 제공되는 자물쇠와 전자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코일에서 2개의 인접 코일의 감는 방향이 다른 2개 코일의 감는 방향과 반대인 상기 4개의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코일이, 제1전자적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링크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차단소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통신링크가 각각 제공됨으로써 2개의 다른 전자 콘택트 터미널(100, 10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32. 제29항에 있어서, 텅이 첫째로 원통형상의 몸통부(560)와 둘째로 상기 몸통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뻗는 핀(562)을 구비하고 있고, 몸통부는 높은 자기 투자율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외부 면적에 일치하는 상기 조각의 내부 면적의 텅 빈 디스크형상의 스페이스(584)를 그들 사이에 방치하는 동안 하나는 다른 하나에 반대로 배치된 2개의 오목한 애뉼러 조각(580, 582)을 얻기 위한 오프닝(578)을 가지고 있으며, 텅 빈 스페이스에 접촉된 애뉼러 조각의 각 내부 월(586, 588)은 상기 차단소자를 얻기 위해 설계된 차단슬롯(590, 61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로킹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 스프링에 달린 볼 어셈블리(566, 568, 570)에 의해 형성되고 볼(574, 576)을 얻기 위한 캐비티를 갖춘 실린더의 고정자 부분의 대응하는 수단과 함께 동작하기 위해 설계된 센터링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익스펠링 피스톤이, 각각의 축(604, 606)에 대해탑재된 2개의 각 끝에 높은 자기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중앙코어(602)를 가지고 있고, 상기 차단소자는 약간 자기화된 로터리 블레이드(608, 61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차단 블레이드는 전력발생기 수단이 동작될 때 텅의 상기 로킹 슬롯(590, 592)중 하나로 되도록 주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코어가, 비자기화 재료(612)로 덮여 있고, 회전식 커플을 전송하기 위한 키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수단과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각각의 기계적 인터페이스 소자(614, 616)에 의해 양끝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로킹시스템.
KR1019980710355A 1996-06-17 1997-06-16 전자로킹장치 KR20000016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7481 1996-06-17
FR9607481A FR2749875B1 (fr) 1996-06-17 1996-06-17 Dispositif de verrouillage electron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48A true KR20000016748A (ko) 2000-03-25

Family

ID=949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355A KR20000016748A (ko) 1996-06-17 1997-06-16 전자로킹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37684B1 (ko)
EP (1) EP0922150A1 (ko)
JP (1) JP2000512354A (ko)
KR (1) KR20000016748A (ko)
CN (1) CN1129697C (ko)
AU (1) AU720103B2 (ko)
BR (1) BR9709836A (ko)
CA (1) CA2257935A1 (ko)
FR (1) FR2749875B1 (ko)
WO (1) WO19970488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95B1 (ko) * 2007-04-03 2008-05-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키 슬롯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168B1 (fr) 1998-05-27 2001-01-26 Euronetics France Serrure electronique a embrayage mecanique
DE19907654A1 (de) * 1999-02-23 2000-08-24 Wilka Schliestechnik Gmbh Schließzylinder mit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m Sperrstift
US6580177B1 (en) 1999-06-01 2003-06-17 Continuum Control Corporation Electrical power extraction from mechanical disturbances
AU5868000A (en) * 1999-06-01 2000-12-18 Continuum Control Corporation Electrical power extraction from mechanical disturbances
DE19943498C2 (de) * 1999-09-10 2002-03-07 Kiekert Ag Fahrzeugschlüssel für fernbedienbare Fahrzeugschliesssysteme
JP2002070375A (ja) * 2000-09-05 2002-03-08 Fujitsu Ltd 電子鍵および電子鍵システム
US6655035B2 (en) 2000-10-20 2003-12-02 Continuum Photonics, Inc. Piezoelectric generator
JP2003133971A (ja) * 2001-10-29 2003-05-09 Jigyo Sozo Kenkyusho:Kk 自己発電型発信装置
US6865916B2 (en) 2002-08-28 2005-03-15 Ilan Goldman Door cylinder lock
KR100664691B1 (ko) * 2005-02-28 2007-01-04 김갑식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디지탈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7798015B2 (en) * 2005-05-16 2010-09-21 Endress + Hauser Flowtec Ag Magneto-inductive flowmeter and measuring tube for such
EP2082378B1 (en) 2006-09-14 2016-05-18 The Knox Company Electronic lock and key assembly
EP2570574B1 (en) 2007-02-08 2014-09-17 Knock N'Lock Ltd. Solenoid operated electromechanical lock
DE102007000381A1 (de) * 2007-07-17 2009-01-22 Aug. Winkhaus Gmbh & Co. Kg Elektronischer Sperrmechanismus
CN101377104B (zh) * 2007-08-31 2011-08-17 查有根 电子机械防盗安全锁及其专用钥匙
US8047031B2 (en) * 2007-12-27 2011-11-01 Utc Fire & Security Americas Corporation, Inc. Lock portion with piezo-electric actuator and anti-tamper circuit
US8256254B2 (en) * 2007-12-27 2012-09-04 Utc Fire & Security Americas Corporation, Inc. Lock portion with solid-state actuator
US8276415B2 (en) 2009-03-20 2012-10-02 Knox Associates Holding coil for electronic lock
EP2408983B1 (en) * 2009-03-20 2017-11-01 Knox Associates, Dba Knox Company Holding coil for electronic lock
ES2392387T3 (es) * 2010-01-15 2012-12-10 Iloq Oy Cerradura electromecánica
CN101949239A (zh) * 2010-09-03 2011-01-19 深圳市科陆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源电力智能锁
CN102587733A (zh) * 2011-01-10 2012-07-18 苏季良 电子锁
US9041510B2 (en) 2012-12-05 2015-05-26 Knox Associates, Inc. Capacitive data transfer in an electronic lock and key assembly
US20150061831A1 (en) * 2013-08-28 2015-03-05 Invue Security Products Inc. Key and security device
JP2015140639A (ja) * 2014-01-30 2015-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
USD881677S1 (en) 2017-04-27 2020-04-21 Knox Associates, Inc. Electronic key
DE102021114243A1 (de) * 2021-06-01 2022-12-01 Assa Abloy Sicherheitstechnik Gmbh Schlüssel mit Generator und Echtzeituhr
DE102021114242A1 (de) * 2021-06-01 2022-12-01 Assa Abloy Sicherheitstechnik Gmbh Schlüssel mit einem Generator und einem Energiespeicher
CN113561998A (zh) * 2021-08-11 2021-10-29 吴永强 一种轨道交通踏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904702L (sv) * 1979-05-30 1980-12-01 Thelin & Co Id Select Elektroniskt las
FR2500520B1 (fr) * 1981-02-24 1988-03-04 Thomson Csf Dispositif de commande electromecanique d'une serrure
US4829296A (en) * 1986-04-30 1989-05-09 Carey S. Clark Electronic lock system
US4912460A (en) * 1987-07-16 1990-03-27 John Chu Electrostatically activated gating mechanism
EP0339102A1 (de) * 1988-04-26 1989-11-02 Herz GmbH Mechanische Energieumsetzung in elektrische für Betrieb von Elektronik und Elektromechanik in elektromechanischen Verschlusseinrichtungen
US4980680A (en) * 1988-08-02 1990-12-25 Gte Products Corp. And Gte Laboratories, Inc. Coded surface acoustical wave (saw) motor vehicle security device
US5061923A (en) * 1988-09-29 1991-10-29 C & M Technology, Inc. Computerized combination lock
US5140317A (en) * 1990-05-11 1992-08-18 Medeco Security Locks, Inc. Electronic security system
AT399193B (de) * 1991-03-15 1995-03-27 Evva Werke Elektronische schliessvorrichtung
JPH0537404A (ja) * 1991-07-25 1993-02-12 Tokai Rika Co Ltd 発信装置
AT400256B (de) * 1992-03-02 1995-11-27 Evva Werke Energieversorgungseinrichtung
JP2577167B2 (ja) * 1992-08-11 1997-01-29 国際技術開発株式会社 シリンダ錠
JPH0673930A (ja) * 1992-08-11 1994-03-15 Kokusai Gijutsu Kaihatsu Kk シリンダ錠
DE9419736U1 (de) * 1994-12-09 1995-02-02 Feig Electronic Gmbh Energieautarkes elektronisches Schloß
DE29618616U1 (de) * 1996-10-25 1996-12-19 Zabel Gmbh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Schließsysteme von Kraftfahrzeu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95B1 (ko) * 2007-04-03 2008-05-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자키 슬롯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12354A (ja) 2000-09-19
US6437684B1 (en) 2002-08-20
CN1129697C (zh) 2003-12-03
AU720103B2 (en) 2000-05-25
CA2257935A1 (en) 1997-12-24
BR9709836A (pt) 1999-08-10
CN1222216A (zh) 1999-07-07
FR2749875A1 (fr) 1997-12-19
FR2749875B1 (fr) 1999-10-08
WO1997048867A1 (fr) 1997-12-24
AU3348897A (en) 1998-01-07
EP0922150A1 (fr) 199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748A (ko) 전자로킹장치
US20200195171A1 (en) Electric door release powered by an energy harvester
RU2484224C2 (ru) Система запир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икродвигателя
US7140214B2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key combination with optical code
JP6955631B2 (ja) 磁界力を利用する電気機械式ロック
US5000018A (en) Hardware, in particular for doors or the like
US109382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using variable inductance magnetic flux switch
US20070176491A1 (en) Digital doorlock having ultra capacitor
ITVE940032A1 (it) Unita' di cilindro e chiave a funzionamento elettromeccanico per serrature
WO1980002710A1 (en) Electronic lock
KR20210078042A (ko) 전자장치의 전원공급 장치
JPH0673930A (ja) シリンダ錠
US20210062546A1 (en) Wirelessly powered, electronic door locking system
WO1997044557A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the electromagnetic release of a lock
JPH0673931A (ja) シリンダ錠
KR20080002595U (ko) 도어록 장치
KR19980030080U (ko) 도어 록킹 및 해제용 솔레노이드장치
BG62786B1 (bg) електронно заключващо устройство
JPH0673929A (ja) シリンダ錠
CN115917100A (zh) 用于锁定装置的致动装置以及锁定装置
JPH0610566U (ja) 鍵およびその保管装置
ITRM960358A1 (it) Dispositivo elettronico di sblocco elettromeccanico senza alimentazio= ne interna.
ITMI20130024U1 (it) Dispositivo di chiusura per contenitori e chiave ad esso relati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