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595U - 도어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595U
KR20080002595U KR2020070007618U KR20070007618U KR20080002595U KR 20080002595 U KR20080002595 U KR 20080002595U KR 2020070007618 U KR2020070007618 U KR 2020070007618U KR 20070007618 U KR20070007618 U KR 20070007618U KR 20080002595 U KR20080002595 U KR 200800025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door
housing
couple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송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슈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슈머
Priority to KR2020070007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2595U/ko
Publication of KR20080002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5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62Feeding by gener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Abstract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전원을 발생하고 이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전원 인가시 작동 가능하며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잠금쇠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구동원이 작동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하우징과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유닛과, 하우징과 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자기장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자기장 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회전부재의 회전시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 변화에 의해 코일에 전원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 발전유닛, 자기장, 발전기

Description

도어록 장치{Door lock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어록 장치에 구비된 발전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전유닛에서 발전된 전원을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가속기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 11...수용부
20...키패드 21...래치볼트
22...잠금쇠 30...발전유닛
31...회전부재 32...제1삽입공
33...N극 34...S극
35...영구자석 36...코일
40...핸들 41...제1로터리부재
42...결합부 43...핸들부
44...제2로터리부재 45...제2삽입공
48...회전축 50...클러치
51...결합부재 52...걸림턱
60...정류유닛 70...축전지
80...가속기어유닛 81...제1가속기어
82...제2가속기어 83...제3가속기어
84...제4가속기어 85...피봇축
86...구동축 100...도어록 장치
D...도어 O...회전중심축
본 고안은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되며, 최근에는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번호입력, 지문인식 등의 방법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외측 하우징에 설치된 키패드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구동신호가 모터로 출력되고,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모터가 회전하면 모터에 연동되어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부로 몰입됨으로써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키패드 및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실내측 하우징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다. 한편,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실외측 하우징에 구비된 비상충전단자에 외부의 비상건전지를 접촉하면, 비상건전지의 전원이 도어록 장치에 설치된 축전지에 충전되거나 비상건전지의 전원이 키패드 및 모터에 직접 인가되므로, 키패드와 모터가 작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패드 및 모터가 작동 가능한 상태에서는,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는, 배터리의 방전시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비상충전단자를 통하여 키패드 및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건전지가 필요하므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비상건전지를 확보할 때까지 도어의 록킹을 해제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나아가 비상건전지의 구매비용이 발생하며 비상건전지가 1회 사용되고 방치되어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충전단자가 본연의 목적, 즉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건전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목적이 아닌 해킹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도어록 장치의 보안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침입자가 비상충전단자를 통해서 도어록 장치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도어록 장치의 전자회로가 쉽게 파손 되며, 고전압에 의해 전자회로가 오작동하여 도어의 록킹이 해제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적으로 전원을 발생하고 이 발생된 전원을 이용하여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와, 전원 인가시 작동 가능하며 상기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구동원이 작동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유닛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자기장 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코일에 전원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도어록 장치에 구비된 발전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발전유닛에서 발전된 전원을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장치(100)는 잠금쇠(22)와, 구동원(24)과, 하우징(10)과, 입력부(20)와, 발전유닛(30)과, 핸들(40)과, 클러치(50)를 구비한다.
잠금쇠(22)는 도어(D)에 설치되어, 도어(D)를 록킹 및 록킹해제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쇠(22)가 문설주(미도시)에 형성된 잠금쇠 삽입공(미도시)에 삽입 및 이탈됨에 따라 도어(D)가 록킹 및 록킹해제 된다.
구동원(24)은 전원 인가시 도어(D)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잠금쇠(22)를 구동한다. 구동원(24)은 전원 인가시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 가능한 것으로서, 모터,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구동원은 모터(24)로 구성되며, 모터(24)는 도어록 장치(100), 특히 실내측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모터(24)는 잠금쇠(22)와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24)의 회전시 잠금쇠(22)가 도어(D)에 대해 돌출 및 몰입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 하게 된다.
하우징(1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도어(D)의 실외측에 고정된다. 하우징 내부에는 수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 이다. 입력부(20)는 구동원 ,즉 모터(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명령의 입력시 모터(24)를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모터(24)로 출력한다. 입력부는 키패드,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부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20)로 구성된다. 키패드(20)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입력명령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키패드(20)에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발전유닛(30)은 전원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전원은 모터(24) 및 키패드(20)로 공급된다. 발전유닛(30)은 회전부재(31)와, 자기장 발생유닛(35)과, 코일(36)을 포함한다.
회전부재(3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회전부재(31)는 하우징의 수용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재(31)의 회전중심축(O)은 회전부재(31)의 중심을 통과하며 도어(D)의 두께 방향과 평행하다. 회전부재(31)에는 제1삽입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장 발생유닛(35)은 하우징(10)과 회전부재(3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자기장 발생유닛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전자석, 영구자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영구자석(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영구자석(35)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31)의 회전중심축(O)이 배치된다. 한 쌍의 영구자석(35) 사이에는 회전부재(31)가 끼워진다. 각각의 영구자석(35)은 도 3에 가상선으로 구분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N극(33)과 S극(34)을 구비 한다. 한 쌍의 영구자석(35)은 서로 다른 극끼리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영구자석(35) 사이에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영구자석(35) 각각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상에 회전부재(31)의 회전중심축(O)이 배치된다.
코일(36)은 하우징(10)과 회전부재(31)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31)에 고정된다. 코일(36)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 구비되며, 각 코일(36)은 영구자석(35)에서 발생된 자기장 내에 배치된다. 각 코일(36)은 회전부재(31)의 회전중심축(O)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코일(36)은 회전부재(31)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부재(31)의 회전시 코일(36)도 회전부재(31)와 함께 회전하며, 이때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 변화에 의해 전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자속 변화에 의해 전원이 발생되는 발전기의 원리는 공지의 사실이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핸들(40)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핸들(40)은 핸들(4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부재(31)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재(31)에 연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핸들(40)은 제1로터리부재(41)와, 제2로터리부재(44)를 포함한다.
제1로터리부재(41)에는, 결합부(42)와 핸들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2)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42)는 회전부재(31)와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결합부(42)의 단부는 하우징(10)에 끼워진다. 그리고, 결합부(42)의 외측면은 결합부(42)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43)는 결합부(42)로부터 길게 연장 형성된 부분이다. 핸들부(43)는 결합부(42)의 회전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43)는 록킹 해제된 도어(D)를 열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핸들부(43)는 래치볼트(21)가 도어(D) 외부로 완전히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 즉 초기위치와, 래치볼트(21)가 도어(D) 내부로 완전히 몰입되도록 하는 위치, 즉 최대회전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제2로터리부재(44)는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로터리부재(44)의 단부는 하우징(10)에 끼워진다. 그리고, 제2로터리부재(44)는 제1로터리부재(41)의 결합부(42)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2로터리부재(44)가 삽입되어, 제2로터리부재(44)와 제1로터리부재(41)는 상호 동축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2로터리부재(44)와 제1로터리부재(41)는 매개부재(46)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47)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제2로터리부재(44)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초기위치 쪽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핸들부(43)를 잡고 회전시키면 핸들부(43)는 초기위치에서 최대회전위치까지 회전되며, 제2로터리부재(44)도 핸들부(4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후 핸들부(43)를 놓으면 토션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로터리부재(44)가 핸들부(43)와 함께 초기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2로터리부재(44)에는 제2삽입공(45)이 관통 형성된다. 제2로터리부재(44)에는 입력부, 즉 키패드(20)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50)는 핸들(40)의 회전력을 회전부재(31)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50)는 결합부재(51)와 걸림턱(52)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결합부재(51)는 일방향, 즉 도어(D)의 두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51)는 제2삽입공(45)에 끼워져서, 도어(D)의 두께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다. 결합부재(51)는 도 2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이탈위치와, 도 2에 실선으로 표시된 삽입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위치 가능하다. 이탈위치에서는 결합부재(51)가 제1삽입공(32)과 제2삽입공(4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51)가 제1삽입공(32)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핸들(40)의 회전력이 회전부재(31)로 전달되지 않으며, 그 결과 핸들(40)의 회전시 핸들(40)과 회전부재(31)가 상대회전한다. 그리고 이탈위치에 위치한 결합부재(51)가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면, 삽입위치로 배치된다. 삽입위치에서는 결합부재(51)가 제1삽입공(32) 및 제2삽입공(45)에 모두 삽입된다. 따라서, 결합부재(51)를 통하여 핸들(40)의 회전력이 회전부재(31)로 전달되어, 회전부재(31)가 핸들(40)과 함께 회전한다.
걸림턱(52)은 결합부재(5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걸림턱(52)은 결합부재(51)가 도어(D)의 실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로터리부재(44)의 내측면에 걸려서, 결합부재(51)가 제1삽입공(3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어록 장치는 정류유닛(60)과, 축전지(70)를 더 구비한다.
정류유닛(60)은 코일(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정류유닛(60)은 회전부재(31)의 회전시 발생하는 전원을 정류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회전부재(31)가 회전하면 회전부재(31)에 결합된 코일(36)이 회전부재(31)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코일(36) 내부를 통과한는 자속이 변하게 되어 코일(36)에 전류가 유도되게 된다. 이때 유도되는 전류의 방향은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유도되며 이를 소위 렌츠의 법칙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핸들부(43)를 잡고 핸들(40)을 돌리면 핸들(40)은 초기위치에서 최대회전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며, 핸들(40)에 결합된 회전부재(31)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하게 되고, 이 자속 변화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유도된다. 이후 핸들부(43)를 놓게 되면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40)이 최대회전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앞선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부재(31)도 핸들(40)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이 변화하게 된다. 단 이때에는 앞서 회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부재(31)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도 반대로 나타나므로, 앞선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코일(36)에 전류가 유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부(43)를 잡고 돌렸다가 핸들부(43)를 놓아 핸들(40)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동안 발생하는 전류는 그 흐름 방향이 교차하는 교류의 형태를 띄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터(24) 및 키패드(20)가 직류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는 경우에는 코일(36)에 유도되는 전원을 직접 모터(24) 및 키패드(20)로 인가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코일(36)에 유도되는 전류를 정류유닛(60)을 이용하여 직류로 전환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류유닛(60)은 공지의 구성요소로 정류자와 브러쉬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 또는 전기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축전지(70)는 정류유닛(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축전지(70)는 회전부재(31)의 회전시 발생하는 전원을 정류유닛(60)을 통하여 인가받아 내부에 저장한다. 축전지(70)는 내부에 저장된 전원을 모터(24) 및 키패드(20)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100)를 사용하여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평상시에 배터리의 전원이 충분한 경우에는, 키패드(20)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모터(24)를 작동시킴으로써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에는 결합부재(51)가 눌림 해제된 상태이므로 핸들부(43)의 회전시 회전부재(31)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핸들부(43)를 회전할 때 전원이 발생하지 않고, 그 결과 축전지(70)의 사용수명이 길어진다. 왜냐하면 핸들부(43)가 회전할 때마다 전원이 발생하고 이 전원이 축전지(70)에 저장된 후 시간이 경과하여 축전지(70)가 방전되는 과정이 반복되면 축전지(70)의 사용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배터리가 방전되어 키패드(20) 및 모터(24)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록 장치(100) 내에서 전원을 발생시켜 키패드(20) 및 모터(24)에 공급한 후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결합부재(51) 를 눌러 제1삽입공(32)에 삽입한다. 그 후 핸들부(43)를 잡고 초기위치에서 최대위치까지 회전시키면, 핸들(40)과 회전부재(31)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31)에 결합된 코일(36)이 회전하게 되어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에 변화가 생긴다. 이와 같이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에 발생하면 전자기 유도법칙에 의해 코일(36)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부(43)를 놓으면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40)은 최대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이 앞서 발생한 자속의 변화와 반대로 발생한다. 즉, 앞서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이 증가하도록 변화하였으면 반대로 이번에는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이 감소하도록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발생한 유도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유도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즉, 핸들부(43)가 초기위치에서 최대위치까지 회전한 후 다시 초기위치로 돌아가는 동안 발생하는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 변화에 의해 교류전류가 코일(36)에 유도되게 된다. 이렇게 유도되는 교류전류는 코일(36)에 연결된 정류유닛(60)으로 입력되고 정류유닛(60)에 의해 직류로 전환되어 축전지(70)에 충전되게 된다. 축전지(70)에 충전된 전원이 모터(24) 및 키패드(20)로 공급되어 모터(24) 및 키패드(20)가 작동가능하게 되면, 키패드(20)에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도어(D)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록 장치(100)는 핸들부(43)의 회전에 의해 전원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터리의 방전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비상건전지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비상건전지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비상건전지가 한번 사용되고 방치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방전시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비상충전단자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외부침입자가 비상충전단자를 통하여 도어록 장치(100)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도어록 장치를 파손한 후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방전시에만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클러치(50)가 구비되어 있어, 축전지(70)가 충전 및 방전과정을 반복하여 빨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와 달리, 도어록 장치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기어유닛(8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속기어유닛(80)은 핸들(40)의 회전력을 소정의 가속비로 가속하여 회전부재(31)로 전달하여 핸들부(43)의 회전시 핸들부(43)가 회전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부재(31)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31)에 설치된 코일(36) 내부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더 많은 양의 전원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가속기어유닛(80)은 제1가속기어(81)와, 제2가속기어(82)와, 제3가속기어(83)와, 제4가속기어(84)를 포함한다.
제1가속기어(81)는 회전축(48)에 끼워져 고정되며, 회전축(48)은 핸들(40), 특히 제2로터리부재(44)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제1가속기어(81)는 핸들(40)과 상호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40)의 회전시 제1가속기어(81)는 핸들(40)과 함께 회전한다. 제1가속기어(81)에는 복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가속기어(82)는 피봇축(85)의 일측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피봇축(85)은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제2가속기어(82)는 피봇축(8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2가속기어(82)에는 복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가속기어(82)의 직경은 제1가속기어(8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가속기어(82)는 제1가속기어(81)와 기어결합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맞물려 있다. 제2가속기어(82)는 제1가속기어(8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제3가속기어(83)는 피봇축(85)의 타측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제2가속기어(82)의 회전시 제3가속기어(83)도 함께 회전한다. 제3가속기어(83)는 제2가속기어(82)로부터 도어(D)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가속기어(82)와 상호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제3가속기어(83)에는 복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3가속기어(83)의 직경은 제2가속기어(8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4가속기어(84)는 구동축(86)에 끼워져 고정되며, 구동축(86)은 회전부재(3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4가속기어(84)의 회전시 회전부재(31)도 함께 회전한다. 제4가속기어(84)는 제1가속기어(81)로부터 도어(D)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가속기어(81) 및 회전부재(31)와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제4가속기어(84)는 제3가속기어(83)와 기어결합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맞물려 있다. 제4가속기어(84)는 제3가속기어(83)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제4가속기어(84)에는 복수의 치(齒)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4가속기어(84)의 직경은 제3가속기어(8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도어록 장치에는 클러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핸들(40)의 회전시 항상 회전부재(31)도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핸들부(43)를 돌리면 핸들(40)에 결합된 제1가속기어(81)가 핸들(40)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제1가속기어(81)가 회전하면 이와 맞물려 있는 제2가속기어(8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가속기어(81)의 직경이 제2가속기어(82)의 직경보다 더 크므로, 제2가속기어(82)의 회전각이 제1가속기어(81)의 회전각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제2가속기어(82)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제3가속기어(83)가 제2가속기어(82)의 회전각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며, 제3가속기어(83)의 회전력은 제4가속기어(84)로 전달되어 제4가속기어(84)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3가속기어(83)의 직경이 제4가속기어(84)의 직경보다 크므로 제4가속기어(84)의 회전각이 제3가속기어(83)의 회전각보다 더 크게 된다.
따라서 핸들부(43)의 회전시 회전부재(31)는 핸들부(43)의 회전각보다 제1가속기어(81)와 제2가속기어(82)의 직경비 및 제3가속기어(83)와 제4가속기어(84)의 직경비의 곱만큼 더 많이 회전하게 된다. 즉, 제1가속기어(81)의 직경이 제2가속기어(82) 직경의 2배이고, 제3가속기어(83)의 직경이 제4가속기어(84) 직경의 2배라면, 제1가속기어(81)가 50도 만큼 회전할 때 제4가속기어(84) 및 이에 연결된 회전부재(31)는 200도 만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부(31)를 조금만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부재(31)는 핸들부(43)의 회전보다 더 많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코일(36) 내를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량이 커지게 되므로 더 많은 전원이 발생하 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이 한 쌍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영구자석이 복수 쌍으로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이 하우징에 결합되고 코일이 회전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영구자석이 회전부재에 결합되고 코일이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키패드가 핸들에 설치되어 핸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키패드가 실외측 하우징에 설치되며 핸들에 대해 상대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상시에 모터 및 키패드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며 배터리의 방전시에만 도어록 장치에서 발생된 전원을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평상시에도 모터 및 키패드가 도어록 장치에서 발생된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록 장치 내부에 발전유닛이 구비되어 배터리의 방전시 별도의 비상건전지를 통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도 도어록 장치를 구동하여 도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도 어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고, 또한 비상건전지를 구비하기 위한 비용손실이나 자원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입자가 비상충전단자를 통해 고전압을 도어록 장치에 인가하여 도어록 장치를 파손한 후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록킹 및 록킹해제하는 잠금쇠;
    전원 인가시 작동 가능하며 상기 도어가 록킹 및 록킹해제되도록 상기 잠금쇠를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도어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구동원이 작동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도어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기장 발생유닛;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부재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에서 발생된 자기장 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코일에 전원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 사이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복수 구비되며,
    상기 각 코일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핸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의 회전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발생하는 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유닛;
    상기 정류된 전원을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 어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잡기 위한 핸들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제1로터리부재와, 상기 제1로터리부재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로터리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로터리부재에 결합되는 제2로터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로터리부재에 결합되며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또는 상기 제2로터리부재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핸들의 회전력이 소정의 가속비로 가속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되도록 상기 핸들 및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가속기어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장치.
KR2020070007618U 2007-05-09 2007-05-09 도어록 장치 KR200800025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18U KR20080002595U (ko) 2007-05-09 2007-05-09 도어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18U KR20080002595U (ko) 2007-05-09 2007-05-09 도어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595U true KR20080002595U (ko) 2008-07-14

Family

ID=4149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618U KR20080002595U (ko) 2007-05-09 2007-05-09 도어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25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977A (ko) * 2016-11-07 2019-07-02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기구, 조립체, 및 전자 잠금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977A (ko) * 2016-11-07 2019-07-02 아싸 아브로이 에이비 기구, 조립체, 및 전자 잠금 시스템
US11514734B2 (en) 2016-11-07 2022-11-29 Assa Abloy Ab Mechanisms, assemblies and electronic locking system
US11861958B2 (en) 2016-11-07 2024-01-02 Assa Abloy Ab Mechanisms, assemblies and electronic lock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870B1 (ko) 자기장력을 활용하는 전기기계식 잠금장치
JP3237374U (ja) 電気機械式ロック
JPWO2013085057A1 (ja) 発電装置
CN111279040A (zh) 利用磁场力的电动机械锁
US20200002973A1 (en) Pivoting magnet security latch
CN111886390B (zh) 释放机构、能量收集装置以及电子锁定系统
EP0299642B1 (en) Electrostatically activated gating mechanism
KR20080002595U (ko) 도어록 장치
KR20110130545A (ko) 도어록 장치의 실내측 핸들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록 장치
CN210003066U (zh) 一种扣手式电子锁体
JP5993145B2 (ja) 作動装置
CN209620867U (zh) 无孔房间门锁及钥匙
RU2151256C1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мок
JP6139101B2 (ja) 錠装置
CN110195316B (zh) 顶开式衣物处理设备及其内筒盖操作系统
EP0129042A2 (en) Method of modifying a closure member equipped with a latch or a key-operated lock and unit for use in the method
CN112360240A (zh) 智能锁具
CN207228814U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KR200465868Y1 (ko) 좌수형 출입문 및 우수형 출입문 겸용 문 잠금장치
EP1588003A1 (en) Mechanically operated electromagnetic lock
KR101782060B1 (ko) 침입방지 도어록
JP2016163524A (ja) 扉用発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錠システム
KR100543957B1 (ko) 문 잠금장치
KR20110130800A (ko)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KR100574687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의 키뭉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