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800A -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 Google Patents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800A
KR20110130800A KR1020100050303A KR20100050303A KR20110130800A KR 20110130800 A KR20110130800 A KR 20110130800A KR 1020100050303 A KR1020100050303 A KR 1020100050303A KR 20100050303 A KR20100050303 A KR 20100050303A KR 20110130800 A KR20110130800 A KR 2011013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door lock
self
electrically operated
operat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915B1 (ko
Inventor
오경주
김형진
권수현
이준희
조현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91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62Feeding by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고, 일측에 축결합부가 형성되는 백세트와, 백세트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백세트의 축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과, 핸들축 일단에 결합되는 핸들과,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축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기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도어락의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전기를 발생시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의 핸들을 백세트 방향 또는 백세트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별도의 핸들 또는 도어에 이미 설치된 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ELECTRICALLY ACTUATED DOOR-LOCK HAVING SELF CHARGEABLE DEVI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도어락에 관한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에 관한 분야이다.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비밀번호, 지문 등을 이용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대부분이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배터리의 방전에 따른 작동정지를 항상 염두에 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락의 외부에 배터리 단자를 노출시킨 사례가 있었다.
그 경우 배터리의 방전에 따른 작동정지를 보다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나, 배터리 방전에 대비한 배터리를 소지하여야 하므로 기계식 도어락이 가지고 있는 불편함을 그대로 답습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핸들을 일반적인 회전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핸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핸들의 일반적인 회전각도 범위 외의 각도에서 핸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핸들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력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셋째, 별도의 핸들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고, 일측에 축결합부가 형성되는 백세트와, 백세트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백세트의 축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과, 핸들축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과,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축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기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전기발생부는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종동수단과 종동수단에 결합되어 종동수단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구동수단은 구동기어이고, 종동수단은 종동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구동수단은 구동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지고, 종동수단은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풀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핸들축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축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핸들축은 축결합부에서 분리되며, 핸들축에 결합된 구동기어는 종동기어와 상호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백세트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고, 핸들축은 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커버의 일측에는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핸들축이동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핸들축이동부는 핸들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회전축이동부재의 회전시 핸들축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핸들축이동부는 일측에 제1 캠(cam)이 형성되고,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타측이 커버의 일측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캠부재와, 제1 캠과 맞닿는 제2 캠(cam)이 형성되고,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캠부재를 포함하고, 제2 캠부재의 회전시 제1 캠이 제2 캠을 이동시켜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제1 캠부재에는 제1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노브(kno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핸들축에는 일측이 커버를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백세트와, 백세트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도어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과, 핸들축 일단에 결합되는 핸들과,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축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기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전기발생부는 핸들축에 결합되어 핸들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구동수단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에 결합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도어의 일면에는 핸들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핸들축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공에 삽입배치되고, 핸들축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상호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도어의 일면에는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핸들축이동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핸들축이동부는 핸들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이동부재를 포함하고, 회전축이동부재의 회전시 핸들축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핸들축이동부는 일측에 제1 캠(cam)이 형성되고,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타측이 도어의 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캠부재와, 타측에 제1 캠과 맞닿는 제2 캠(cam)이 형성되어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캠부재를 포함하고, 제1 캠부재의 회전시 제1 캠이 제2 캠을 이동시켜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제1 캠부재에는 제1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노브(kno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핸들축에는 도어의 타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핸들을 일반적인 회전각도로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핸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의 백세트와 핸들의 핸들축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핸들을 보다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어에 별도의 핸들을 설치하고, 별도의 핸들을 회전시켜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블록선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일측이라 함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중 A측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타측이라 함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중 B측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이라 함)은 백세트(back set, 100), 배터리(120), 핸들축(200), 핸들(210) 및 전기발생부(300)로 이루어진다.
백세트(100)는 도어락의 설치시 도어(600)의 실내측 패널에 고정되어 제어부(130, 도 8 참조)의 신호에 따라 래치볼트(도면 미도시)와 데드볼트(도면 미도시)를 출몰시켜 도어(600)를 개폐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백세트(100)의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결합부(110)가 형성된다.
배터리(120)는 백세트(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충전될 수 있거나, 불가능한 배터리가 사용되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2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결합부(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200)이 결합되며, 핸들축(200)의 일단에는 핸들(210)이 결합된다.
핸들(210)이 결합되는 핸들축(2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200)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기발생부(300)가 결합된다.
이때 전기발생부(300)는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120)에 공급하여 배터리(120)를 충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발생부(300)는 핸들축(200)에 결합되어 핸들축(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수단(310)과, 구동수단(31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종동수단(320) 및 종동수단(320)에 결합되어 종동수단(320)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330)로 이루어진다.
구동수단(310)은 핸들축(200)에 결합되어 핸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되는 핸들축(200)에 연동되어 회전을 한다.
이러한 구동수단(310)으로 풀리와 벨트 등 다양한 기구적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종동수단(320)는 구동수단(31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구동수단(310)이 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구동수단(310)의 벨트가 안착되어 회전하는 풀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310)이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경우, 종동수단(320)은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로 이루어진 구동수단 및 종동수단이 채용되었다. 다만, 도면은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구동수단 및 종동수단이 채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발전기(330)는 구동수단(320)에 결합되어 구동수단(320)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직류형 발전기, 교류형 발전기 등 다양한 발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되므로, 교류형 발전기가 사용되는 경우 정류기가 부수적으로 발전기(330)에 부가되어야 하나 이러한 정류기 등은 이미 공지된 장치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어를 개폐시킬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핸들의 회전각도인 0 ~ 60도 범위 내에서 핸들을 회전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도어락의 일부절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의 핸들축(2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축(200)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핸들축(200)은 백세트(100)의 축결합부(110)에서 분리되어, 도어를 개폐시킬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핸들의 회전각도인 0 ~ 60도 범위를 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축(200)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핸들축(20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상호 치합되도록, 종동기어가 백세트(100)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돌출배치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종동기어가 구동기어에 비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핸들축(20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백세트(100)의 일측에는 관통공(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결합되고, 핸들축(200)은 관통공(41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400)의 일측에는 핸들축(200)을 이동시키는 핸들축이동부(5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축이동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20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10)과, 나사산(510)에 나사결합되고 관통공(4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이동부재(5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이동부재(520)가 관통공(410)에서 회전되는 경우, 회전축이동부재(520)는 회전방향에 따라 핸들축(200)을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회전축(200)이 회전축이동부재(520)의 회전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축(200)에 결합된 구동기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종동기어에 치합된다.
핸들축이동부(5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부재(560)와 제2 캠부재(5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캠부재(560)는 일측에 제1 캠(cam, 561)이 형성되고, 핸들축(2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 캠부재(560)의 타측이 커버(400)의 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캠부재(570)는 제1 캠(561)과 맞닿는 제2 캠(571, cam)이 형성되어 핸들축(2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캠부재(570)를 회전시키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561)의 상사점이 제2 캠(571)의 상사점으로 이동하며 핸들축(20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백세트(100)의 축결합부(110)와 핸들축(2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들축(200)에 결합된 구동기어는 종동기어에 치합된다.
이러한 제2 캠부재(570)의 일측은 핸들(210)과 맞닿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210)의 회전시 회전하는 핸들(210)과 맞닿은 제2 캠부재(570)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2 캠부재(570)의 일측에는 베어링(572)이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의 일부분해 사시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부재(560)에는 제1 캠부재(56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브(knob, 5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축(200)에는 핸들축(200)을 이동시켜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핸들축(200)과 핸들(210)을 충전이 되지 않는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커버(400)의 타측면을 가압하고 탄성부재(220)의 타측이 회전축(2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20)로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다양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분해사시도인 도 7을 참조하여 도어락의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은 백세트(100)와, 배터리(120), 핸들축(200), 핸들(210) 및 전기발생부(300)로 구성된다.
배터리(120)은 이미 앞에서 살펴본바 백세트(100), 핸들축(200), 핸들(210) 및 전기발생부(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백세트(100)는 도어락의 설치시 도어(60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제어부(130, 도 8 참조)의 신호에 따라 래치볼트(도면 미도시)와 데드볼트(도면 미도시)를 출몰시켜 도어(600)를 개폐시키는 장치로 본 실시예의 백세트(100)에는 핸들축(200)과 결합되는 축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으며, 핸들축(200)과 핸들(210)은 백세트(100)와 별도로 도어(6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축(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0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핸들축(200) 일단에는 핸들(210)이 결합된다.
이러한 핸들축(200)에는 핸들축(200)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120)에 공급하는 전기발생부(300)가 결합된다.
전기발생부(300)는 도어(600)의 패널과 패널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어(600)의 실내측 패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도어(600)의 실외측 패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210)과 핸들축(200)은 배터리(120) 충전을 위한 별도의 핸들(210) 및 핸들축(200)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핸들축(200)의 회전시 전기발생부(300)에서 발생된 전기가 배터리(120)를 충전시켜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백세트(100)를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경우, 시각적 신호 또는 청각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120)가 백세트(100)를 구동시키기에 충분한 경우, 사용자는 핸들축(200)을 다시 이동시켜 백세트(100)의 축결합부(110)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미리 정해진 번호, 지문 등의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확인작업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확인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백세트(100)의 데드볼트를 이동시켜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발생부(300)는 핸들축(20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축(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구동수단(31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에 결합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600)의 일면에는 핸들축(200)이 삽입되는 관통공(610)이 형성되고, 핸들축(200)은 도어(600)의 일측 방향 또는 도어(6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공(610)에 삽입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축(200)은 앞에서 살펴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600)의 일측 방향 또는 도어(6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상호 치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어(600)의 일측면에는 핸들축(200)을 이동시키는 핸들축이동부(5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축이동부(500)는 앞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나사산(510)과 회전축이동부재(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이동부재(520)는 도어(6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6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핸들축이동부(500)는 앞의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캠부재(560)와 제2 캠부재(57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캠부재(560)는 도어의 일측면과 맞닿도록 핸들축(2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캠부재(560)에는 제1 캠부재(560)를 회전시키는 노브(knob, 5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축(200)에는 일측이 도어(600)의 타측면을 가압하고 타측이 핸들축을 가압하는 탄성부재(2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이동부재(520)와 노브(562) 및 탄성부재(220)의 경우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백세트 110 : 축결합부
120 : 배터리 130 : 제어부
200 : 핸들축 210 : 핸들
220 : 탄성부재 300 : 전기발생부
310 : 구동수단 320 : 종동수단
330 : 발전기 400 : 커버
410 : 관통공 420 : 키패드
500 : 핸들축이동부 510 : 나사산
520 : 회전축이동부재 560 : 제1 캠부재
561 : 제1 캠 562 : 노브
570 : 제2 캠부재 571 : 제2 캠
572 : 베어링 600 : 도어
610 : 관통공

Claims (19)

  1. 전기 작동식 도어락에 있어서,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고, 일측에 축결합부가 형성되는 백세트;
    상기 백세트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백세트의 축결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
    상기 핸들축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축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기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부는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종동수단; 및
    상기 종동수단에 결합되어 종동수단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기어이고, 상기 종동수단은 종동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작동식 도어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풀리와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동수단은 상기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풀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작동식 도어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축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핸들축은 상기 축결합부에서 분리되며, 상기 핸들축에 결합된 구동기어는 상기 종동기어와 상호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백세트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핸들축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핸들축이동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이동부는
    상기 핸들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이동부재의 회전시 상기 핸들축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이동부는
    일측에 제1 캠(cam)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타측이 상기 커버의 일측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캠부재와,
    상기 제1 캠과 맞닿는 제2 캠(cam)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캠부재의 회전시 제1 캠이 제2 캠을 이동시켜 상기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재에는 제1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노브(kno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에는 일측이 상기 커버를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1. 전기 작동식 도어락에 있어서,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백세트;
    상기 백세트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
    도어의 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축;
    상기 핸들축 일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축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를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기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부는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되어 종동기어의 회전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면에는 상기 핸들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축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핸들축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는 상호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면에는 상기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핸들축이동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이동부는
    상기 핸들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동부재의 회전시 상기 핸들축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이동부는
    일측에 제1 캠(cam)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타측이 상기 도어의 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1 캠부재와,
    타측에 상기 제1 캠과 맞닿는 제2 캠(cam)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캠부재의 회전시 제1 캠이 제2 캠을 이동시켜 상기 핸들축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재에는 제1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노브(kno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에는 상기 도어의 타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19.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KR1020100050303A 2010-05-28 2010-05-28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KR10109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303A KR101096915B1 (ko) 2010-05-28 2010-05-28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303A KR101096915B1 (ko) 2010-05-28 2010-05-28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800A true KR20110130800A (ko) 2011-12-06
KR101096915B1 KR101096915B1 (ko) 2011-12-22

Family

ID=454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303A KR101096915B1 (ko) 2010-05-28 2010-05-28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7214A (zh) * 2022-03-29 2022-06-10 上饶市科特五金有限公司 一种带有连杆机构的自发电智能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959B1 (ko) 2021-10-26 2023-03-16 지에프텍 주식회사 비상전원을 구비한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7214A (zh) * 2022-03-29 2022-06-10 上饶市科特五金有限公司 一种带有连杆机构的自发电智能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915B1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8434B (zh) 齿轮总成及包括该齿轮总成的门装机构
US77957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ower for a low current device
US7952477B2 (en) Door lock assembly
US9748871B2 (en) System for harvesting energy from door or door hardware movement
CN105649899B (zh) 一种门锁锁体内的发电装置
CN104499831B (zh) 一种电机和电磁阀双驱动的电子锁
CN108590377A (zh) 一种蓝牙智能挂锁
KR101096915B1 (ko) 자체 충전부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도어락
CN201605899U (zh) 一种自发储电锁
CN205565172U (zh) 一种汽车充电插座
KR20180113310A (ko) 전자기 유도방식을 이용한 전자도어락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CN201080738Y (zh) 自发电ic卡电子门锁
CN204081804U (zh) 保险箱柜上的面板装置
CN207485132U (zh) 一种带自发电功能的智能门锁
CN107975298A (zh) 一种指纹密码锁
KR100931325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CN109339586A (zh) 一种具有互锁功能的防撬锁芯结构
CN209723896U (zh) 智能型工业用锁
CN209653629U (zh) 把手发电的虹膜锁和防盗门
CN209443945U (zh) 一种具有互锁功能的防撬锁芯结构
CN218669082U (zh) 一种可自发电的金库门
CN215108068U (zh) 一种智能门锁应急供电装置
CN204060212U (zh) 一种电子箱包锁
CN112438610B (zh) 烹饪器具
CN109267854A (zh) 一种抽屉柜微型电子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