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166A - 차량에서 제어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에서 제어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166A
KR20000016166A KR1019980709734A KR19980709734A KR20000016166A KR 20000016166 A KR20000016166 A KR 20000016166A KR 1019980709734 A KR1019980709734 A KR 1019980709734A KR 19980709734 A KR19980709734 A KR 19980709734A KR 20000016166 A KR20000016166 A KR 2000001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input signal
switch
energy supply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발테르 슈미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1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 제어장치의 작동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장치를 활성화시키는 수단들이 배치되어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에 의해 제어장치는 항상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대응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은 활성화된 제어장치 보다 더 작은 에너지소모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은 단지 적은 자체 에너지소모를 갖고 높은 자체 전류소모를 갖는 제어장치는 요구될 때에만(입력신호의 변화) 비로소 활성화되기 때문에, 과도한 에너지소모 없이 본 발명에 따라 제어장치의 높은 작동확실성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에서 제어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예컨대 오토매틱 기어를 갖춘 차량의 경우 운전자에 의해 작동되는 선택레버(조절위치 P, R, N, D, 3, 2, 1)를 구비시키고 그 레버의 작동에 의해 기어의 일정 작동상태를 예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들 작동상태는 예컨대 일정한 기어열의 선택 또는 기어의 고정을 조절하는 것(주차 모드)에 관한 것이다. 오토매틱 기어의 전자제어기를 갖춘 차량의 경우, 상기한 선택레버를 다극 전기 스위치(예컨대, 조향핸들 축관에 있음, 이하에서는 선택스위치로 호칭됨)에 의해 대치하여 여태까지는 기계적으로 실시되던 선택레버/선택스위치의 기능을 전자기적으로, 예컨대, 전기모터에 의해 실시할 가능성도 있다.
차량의 경우 보통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차량을 시동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주행 또는 점화스위치가 있다. 사람들은 기동스위치 또는 차단스위치라는 말을 사용한다. 점화가 차단전환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해당 전자 제어장치가 더 이상 전류/전압 공급을 받지 않는다. 운전자가 이제 점화가 차단전환되었을 때에 선택스위치를 작동하면, 스위치의 위치와 제어장치에 의해 도입될 기능은 더 이상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점화가 차단된 후에 비로소 선택스위치를 위치 'P'(주차)로 전환하고 그런 뒤 기어의 제동/고정을 마무리할 때에는, 위험한 상황에 이를 수 있다. 비슷한 효과(상황)는 소위 자동화된 수동변속기어의 경우에도 생각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자동화된 수동변속기어는, 클러치페달과 변속레버 모두 또는 이들 장치중의 단 하나가 전자기식 장치로 대치되어 있는 정상 또는 변형된 수동변속기어이다.
상기한 문제점의 표준적 해법은, 제어장치를 지속적으로, 그러니까 점화가 차단되었을 때에도 차량배터리와 연결되어 있게 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이때에도 그런 시스템에 있어서는 많은 전류를 소모하는 결점이 있는데, 이로 인해 특히 차량의 정차시간이 길 때에는 배터리가 나가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항 청구범위의 특징을 가진 차량의 제어장치의 작동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로배치를 도시한 회로도.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에너지소비 없이 높은 제어장치의 작동확실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독립항 청구범위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 제어장치의 작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있어 제어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장치를 활성화시키는 수단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에 의해 제어장치는 항상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대응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은 활성화된 제어장치 보다 더 작게 에너지를 소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은 단지 에너지를 작게 소모하는 높은 자체 전류소모를 갖는 제어장치는 요구될 때에만(입력신호의 변화) 비로소 활성화되기 때문에, 과도한 에너지소모 없이 본 발명에 따라 제어장치의 높은 작동확실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수단은 특별히 고 전기저항적으로 설계된 인식결선 및/또는 전환수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적은 에너지수용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의 에너지공급을 위해 제공되어 있는 제 1 에너지공급장치는 제어장치의 에너지공급을 위해 제공되어 있는 제 2 에너지공급장치 보다 더 작게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수단뿐 아니라 제어장치도 비슷하게 적은 에너지소모를 갖는 에너지공급장치, 예컨대 전압조절기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당연히,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 1 에너지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받는 본 발명에 의한 수단자체도 제어장치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추가양태에 있어,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단은 제 1 에너지공급장치를 갖고 있다. 또한 제어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제 2 에너지공급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 2 에너지공급장치는 제어장치의 활성화를 위해 활성화된다.
제어장치의 활성화는 단지 제어장치가 불활성화(비작동)되어 있는 작동상태에서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그 작동에 의해 제어장치가 불활성화에서 활성화로 이행되게 하는 주행스위치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 있어, 수단은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장치를 소정시간동안 활성화시킨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제어장치는 상기 수단에 기인하는 활성화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활성화상태에 유지되고, 활성상태, 즉 제어장치 내용을 보유하고 있게 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서는, 제어장치는 수단에 기인하는 활성화에 따라, 입력신호의 변화에 의해 소망되었던 동작(행동)이 제어장치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 활성화되어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에 있어서는, 입력신호는 위치, 특히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선택스위치의 위치를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특히 그 전환위치가 차량기어의 상이한, 특히 기계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서두부에 기재한 선택스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면 이 작동상태는 제어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비용유리한 양태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은 제어장치와 함께 케이싱 내에 설치된다.
그 위에, 그 작동에 의해 제어장치를 차량배터리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주행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배터리에의 연결이 주행스위치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은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장치 및/또는 제 2 에너지공급장치를 활성화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특히 제어장치에 대한 원래의 전류/전압공급이 이미 중단되었을 때에도 제어장치는 입력신호의 변화에 정연하게 반응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의 적은 자체 전류흡수의 상기한 방법 대신에 또는 그것에 보충적으로, 상기 수단이, 수단에 주기적으로 소정시간 동안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에너지공급장치를 갖고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 다른 방법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단이 주기적으로, 따라서 비연속적으로 에너지공급을 받게 함으로써 제어장치의 에너지 절약 준비상태가 유지된다.
이 방법에서도, 그 작동에 의해 제어장치가 활성화되거나 또는 불활성화되는 주행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수단의 주기적 에너지공급은 제어장치가 차량스위치에 의해 불활성화되어있는 상태, 따라서 일반적으로 배터리공급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일어난다.
추가의 유리한 양태는 종속항 청구범위에서 도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상에 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번호 1로 본 발명에 의한 회로가 표시되어 있는 데, 이 회로는 모두에 이미 언급한 선택스위치(7)와 제어장치(6)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회로(1) 및 제어장치(6)는 차량배터리(11)에 의해 에너지 공급된다. 제어장치(6)의 실제 전류- 및 전압공급부는 도면에는 제어장치(6) 내의 전압조절기(61)로 간단히 묘사되어 있다. 처음에 언급한 주행스위치 및 점화스위치는 번호 (12)와 (13)으로 표시되어 있다. 운전자가 점화열쇠를 작동하면 신호(S3)에 의해 스위치(13)는 주행작동으로 폐회로되고 제어장치(6)는 그에 따라 직접 차량배터리(양극)와 연결된다(DIN 표시: 클램프 15). 제어장치(6)에 대한 전류/전압공급은 스위치(13)가 개방되어야 비로소 중단된다. 제어장치(6)의 기타의 입구/출구는 번호 (8)로 표시되어 있다.
회로(1)는 자체전류소모가 적은 전압장치(2) 및 이 장치에 의해 공급받는 장치(3)를 포함하고 있는 데, 이 장치(3)는 역시 전류소모가 적으면서 선택스위치(7)에서의 관련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장치(3)가 그런 관련 변화, 예컨대 기어의 "주차"모드로의 이행을 인식하면, 제어장치(6)는 한정된 시간동안 전자 스위치 또는 릴레이(4)를 통하여 점화스위치(13)를 우회한 가운데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다(지속적 양극, DIN 표시: 클램프 30). 제어장치(6)는 그리하여 통전된다.
제어장치(3)의 작은 전류소모는 예컨대, 회로가 높은 전기저항으로 구성되고 아주 적은 전류만이 선택스위치(7)를 통해 흐름으로써 달성되고 있다.
작은 자체전류소모를 실현하는 다른 방법은, 스위치(7) 및 전체 회로(1)를 주기적으로 즉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단시간적으로 통전하고 선택스위치(7)의 위치가 변했는가를 질문하게 하는 것이다.
스위치(4)를 닫음으로써 선택스위치(7)의 위치변화에 따라 제어장치(6)가 에너지 공급을 받으면, 제어장치(6)는, 그 전에 조절된, 순간 존재 기어의 기계적 위치와 선택스위치 위치 사이에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 차이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제어장치(6)의 통전이 계속되고(도선 d) 기계적 위치가 적합하게 된다. 이 동작의 종료후 제어장치(6)는 다시 휴지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제어장치(6)는 자체통전을 조절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회로(1)와 같은 스위치(4)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선(d)은 회로(4 및 5)를 위한 제어장치(6)의 조절부이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제 2 도선은 신호(S1)를 조절하기 위해 제어장치(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두 공급선(a, b)[클램프(15, 30)]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짐에 의한 다른 제어장치의 역류통전을 방지하기 위해, 처음에 언급한 스위치(4)와는 반대 시기적으로 기능하고 공급선(a)[클램프 (15)도선]을 제어장치(6)에 연결되게 하는 추가의 스위치(5)를 도입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또는 보완적으로, 전압조절기(61)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두 다이오드를 통하여 차량배터리(11)와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회로(1) 및 제어장치(6)는 비용상의 이유에서 단일의 케이싱(10) 내에 일체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용 시에는 제어장치(6)는, 점화가 단절되었을 때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로 큰 전류를 소모함이 없이, 항상 대응동작 준비상태에 있다.
상기한 케이싱 내 통합의 경우에는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는 신호선(c)을 통해, 선택스위치(7)의 위치에 관한 정보(I3)는 제어장치(6)에 전달된다.
정보도선(d)(신호 I3)을 통한 신호는, 이 도선이 검출된 선택스위치동작으로 인해 통전전환되었다는 것을, 스위치(4)에 의해 통전연결된 제어장치(6)에 알려주는 것이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또는 보완적으로는, 그런 정보(I2)가 스위치(5)에 의해서도 발신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제어장치에 인가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I3) 및 그 입력신호(I3)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장치(6)를 활성화시키는(기동하는) 수단(2, 3, 4)을 가지고 차량 내의 제어장치(6)를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6)의 활성화는 단지 제어장치(6)가 불활성화(비작동)되어 있는 작동상태에서만 일어나고, 거기에 있어 특히 그 작동에 의해 제어장치(6)가 불활성화에서 활성화로 이행되게 하는 주행스위치(1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제 1 에너지공급장치(2)를 갖고 있으며, 또한 제어장치(6)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제 2 에너지공급장치(61)가 배치되어 있어 입력신호(I3)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 2 에너지공급장치(61)는 제어장치(6)의 활성화를 위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수단(2, 3, 4)은 제어장치(6) 보다 적은 자체 전류소모(전류수용)를 가지며, 특히 그 수단은 특별히 고 전기저항적으로 설계된 인식결선(3) 또는 전환수단(4)을 갖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에너지공급장치(2)는 제 2 에너지공급장치(61) 보다 더 작은 자체 전류소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수단(2, 3, 4)은 입력신호(I3)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장치(6)를 소정시간동안 활성화시키며,
    제어장치는 수단(2, 3, 4)에 기인하는 활성화에 따라 소정시간 동안 활성화상태에 유지되어있으며,
    제어장치는 수단(2, 3, 4)에 기인하는 활성화에 따라, 입력신호(I3)의 변화에 의해 소망되었던 동작(행동)이 제어장치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신호(I3)는 특히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선택스위치(7)의 위치를 표시하고, 거기에 있어서 특히 선택스위치(7)의 위치는 차량기어의 작동상태의 상이한, 특히 기계적인 작동상태를 나타내도록 되어있고, 이 작동상태는 제어장치(6)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수단(2, 3, 4)은 제어장치(6)와 함께 케이싱(10) 내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그 작동에 의해 제어장치(6)를 차량배터리(11)에 연결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주행스위치(12)가 배치되어 있으며, 거기에 있어 차량배터리(11)에의 연결이 주행스위치(12)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단(2, 3, 4)이 입력신호(I3)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어장치 또는 제 2 에너지공급장치(61)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수단(3, 4)에 주기적으로 소정시간 동안 에너지를 공급하는 제 1 에너지공급장치(2)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그 작동에 의해 제어장치(6)가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되는 주행스위치(12)가 배치되어 있고, 수단(3, 4)의 주기적 에너지공급은 제어장치(6)가 차량스위치(12)에 의해 불활성화되어있는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19980709734A 1997-04-01 1998-03-30 차량에서 제어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KR20000016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3380 1997-04-01
DE19713380.0 1997-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66A true KR20000016166A (ko) 2000-03-25

Family

ID=782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34A KR20000016166A (ko) 1997-04-01 1998-03-30 차량에서 제어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84315A (ko)
EP (1) EP0906524A1 (ko)
JP (1) JP2000515955A (ko)
KR (1) KR20000016166A (ko)
DE (1) DE19814288A1 (ko)
WO (1) WO1998044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9089B1 (en) 1999-02-26 2010-07-06 Creative Kingdoms, Llc Multi-media interactive play system
US6437460B1 (en) * 1999-10-27 2002-08-2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Low power supervisor controller
US7878905B2 (en) 2000-02-22 2011-02-01 Creative Kingdoms, Llc Multi-layere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761637B2 (en) 2000-02-22 2004-07-13 Creative Kingdoms, Llc Method of game play using RFID tracking device
US7445550B2 (en) 2000-02-22 2008-11-04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DE10042561A1 (de) * 2000-05-10 2001-11-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nische Schaltungsanordnung und System zum Anschalten einer Kfz-Steuerung, sowie deren Verwendung
EP1282545A1 (de) * 2000-05-10 2003-02-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nische schaltungsanordnung und system zum anschalten einer kraftfahrzeugsteuerung, sowie deren verwendung
US7066781B2 (en) 2000-10-20 2006-06-27 Denise Chapman Weston Children's toy with wireless tag/transponder
US20070066396A1 (en) 2002-04-05 2007-03-22 Denise Chapman Weston Retail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duct to a consumer
US6967566B2 (en) 2002-04-05 2005-11-22 Creative Kingdoms, Llc Live-action interactive adventure game
US7674184B2 (en) 2002-08-01 2010-03-09 Creative Kingdoms, Llc Interactive water attraction and quest game
US7332227B2 (en) * 2003-03-14 2008-02-1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on-volatile lubricant system for medical devices
US9446319B2 (en) 2003-03-25 2016-09-20 Mq Gaming, Llc Interactive gaming toy
US7927216B2 (en) 2005-09-15 2011-04-19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US8313379B2 (en) 2005-08-22 2012-11-20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JP4805633B2 (ja) 2005-08-22 2011-11-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用操作装置
US8870655B2 (en) 2005-08-24 2014-10-28 Nintendo Co., Ltd. Wireless game controllers
JP4262726B2 (ja) 2005-08-24 2009-05-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8308563B2 (en) 2005-08-30 2012-11-13 Nintendo Co., Ltd. Game system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US8157651B2 (en) 2005-09-12 2012-04-17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151982B2 (ja) 2006-03-10 2008-09-17 任天堂株式会社 動き判別装置および動き判別プログラム
JP5127242B2 (ja) 2007-01-19 2013-01-23 任天堂株式会社 加速度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7984784B2 (en) * 2008-05-23 2011-07-26 Deere & Company Directional transmission control with ECU authorization
US10079594B2 (en) * 2016-10-03 2018-09-18 Infineon Technologies Ag Current reduction for activated load
FR3079176B1 (fr) 2018-03-21 2020-04-1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ysteme pour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dispositif fonctionnel, une interface d'entree et un dispositif de command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2447A (en) * 1970-08-17 1973-06-26 Essex International Inc Digital indicating a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3746876A (en) * 1972-09-18 1973-07-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providing a delayed vehicle control signal
FR2600285B1 (fr) * 1986-06-20 1988-10-07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electromecanique de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JP2595740B2 (ja) * 1990-01-25 1997-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指示装置
FR2659155B1 (fr) * 1990-03-01 1992-05-29 Renault Dispositif de commande de l'alimentation electrique d'une pluralite de modules electroniques.
DE4123811A1 (de) * 1991-07-18 1993-01-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ikroprozessors
US5572098A (en) * 1994-07-01 1996-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accessory control with control module having single power terminal
JP3203162B2 (ja) * 1995-08-31 2001-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負荷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15955A (ja) 2000-11-28
DE19814288A1 (de) 1998-10-08
US6084315A (en) 2000-07-04
WO1998044278A1 (de) 1998-10-08
EP0906524A1 (de) 199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166A (ko) 차량에서 제어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시스템
KR910004599B1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전원제어장치
US6406102B1 (en) Electrically operated parking brake control system
CN103322179B (zh) 线控换档控制系统
US20120186551A1 (en) Device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50002371B1 (ko) 자동변속장치 부설차량의 엔진시동장치
US6347030B1 (en) Battery supply control unit
KR100753736B1 (ko) 차량용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차량용 시동기
US6927962B2 (en) Submergence-responsive switching member driving circuit
KR20010006299A (ko) 자동변속기를 구비한 차량의 시동 인터로크 시스템
JP2001150980A (ja) 車両のドライブトレインに対する制御装置
US74421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rking lock holding magnet
CN110043404B (zh) 燃料泵的控制装置
KR100737482B1 (ko)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동 모터 제어장치
KR100457091B1 (ko) 차량의 자동 전원차단장치
CZ103796A3 (en) Control method of synchronous motor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20010064614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20000029218A (ko) 차량 시동 장치 및 방법
KR100526648B1 (ko) 차량용 동력 전달 장치의 제어 회로 이상 판정 장치
EP2182253B1 (en) Relay control of a transmission direction control system
KR20040096639A (ko) 시동 시스템
JP2819642B2 (ja) 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制御装置
JP2933345B2 (ja) 電気駆動型アクチュエータの保護装置
JP2605303Y2 (ja) エンジンの始動スイッチ
JP4961075B2 (ja) プログラム式モニタシステム、特にいわゆるハンズフリーモニタシステムが設けられた自動車用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