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607U -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607U
KR20000015607U KR2019990000172U KR19990000172U KR20000015607U KR 20000015607 U KR20000015607 U KR 20000015607U KR 2019990000172 U KR2019990000172 U KR 2019990000172U KR 19990000172 U KR19990000172 U KR 19990000172U KR 20000015607 U KR20000015607 U KR 200000156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signal
screen
display device
posi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준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0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607U/ko
Publication of KR20000015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607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틸트 코일을 장착하지 않고도 화상의 틸트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는, 틸트 개선용 키의 조작시 발생하는 직류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회로 및 상하 이동변위 지정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의 가로 중심선을 상기 이동변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의 상하 이동변위 지정신호로서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신호인 1 차 직선파형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화면의 가로 중심선이 갖는 경사도가 상기 1차 직선의 기울기에 따라 보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틸트 보정기에 의하여, 틸트 코일 사용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틸트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으로 저하된 화면의 맑기(Purity)가 보상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Tilt adjustment for a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틸트 보정작업에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를 이용함으로써 틸트 코일 없이도 화면의 기울어짐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를 이용한 신호처리의 결과를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화상으로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화상 표시 수단으로서 음극선관(Cathod Ray Tube : 이하, CRT로 약칭함)이 채용된다.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에서 출력된 영상신호(R,G,B)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되면 CRT에 장착된 전자총은 영상신호에 부합되는 전자빔을 발사하고, 발사된 전자빔은 편향요크(Deflection Yoke : 이하, DY로 약칭함)에 의해 편향되어 CRT의 형광면 상에 주사된다. 이때 고압을 인가받은 애노드가 주사되는 전자빔의 속도를 가속한다.
이와 같은 영상신호의 처리 및 출력 과정에서, 애노드에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강한 전자장이 형성되고, 이 전자장이 DY에 영향을 미쳐 전자빔의 편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된다.
또한, 지구 자체의 강한 자성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지자계)도 CRT 내 전자빔의 궤도를 방해하고 형광막상에 착지되는 전자빔의 착지점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선명한 화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곳이 북반구인지, 남반구인지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 또는 지자계의 영향으로 전자빔의 편향 각도 및 착지점이 변경됨에 따라 화상의 가로축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지 못한 채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현상, 즉 화면의 틸트(TILT)가 발생된다.
이러한 화면의 틸트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틸트 보정회로의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틸트 보정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틸트 보정회로는, 음극선관(이하, CRT라 함)의 외주면에 장착된 틸트 코일(L1)과, 틸트 코일(L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류량 조절수단(OP1,OP2)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A는 애노드를, DY는 편향요크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은 전류량 조절 수단(OP1,OP2)으로서 연산 증폭기가 사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 종래 틸트 보정회로의 작동설명은 상기 연산 증폭기의 동작을 바탕으로 하여 전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이 가로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져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화면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동작패널(미도시)에 구비된 틸트 개선용 키를 조작한다.
이와 같이 틸트 개선용 키를 조작할 때 발생하는 직류(DC)신호는 저항(R1)을 거쳐 제 1 전류량 조절수단(OP1)의 반전 단자(-)에 입력된다. 이때, 제 1 전류량 조절수단(OP1)의 비반전 단자(+)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전압(통상 14V)이 저항(R2,R3)을 통해 분배되어 인가된다.
비반전 단자(+)와 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의 처리결과 제 1 전류량 조절수단(OP1)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 2 전류량 조절수단(OP2)의 비반전 단자(+)에 입력된다. 또한, 제 1 전류량 조절수단(OP1)의 출력신호는 저항(R4)을 거쳐 반전단자(-)로 궤환된다.
제 2 전류량 조절수단(OP2)의 반전 단자(-)는 병렬 연결된 저항들(R5,R6)을 거쳐 접지된다. 제 2 전류량 조절수단(OP2)의 출력단과 접지된 반전 단자(-) 사이에는 틸트 코일(L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2 전류량 조절수단(OP2)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틸트 코일(L1)에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틸트 보정회로는 사용자의 틸트 개선 요구에 따라 틸트 코일(L1)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전자빔의 편향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지자계 또는 전자장의 영향으로 기울어진 화면이 정위치에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CRT의 외주면에 틸트 코일(L1)을 장착하는 경우, 틸트 코일(L1)에 따른 부대비용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생산가격이 상승된다. 또한, 틸트 보정시 틸트 코일(L1)에 흐르는 전류는 CRT의 형광면에 출력되는 영상의 맑기(Purity)를 다소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제기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를 이용해 화면의 틸트를 보정함으로써 틸트 코일 사용에 따르는 부대비용을 줄이고, 틸트 코일의 전류에 의해 저하된 화면의 맑기를 향상시키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는, 틸트 개선용 키의 조작시 발생하는 직류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회로 및 상하 이동변위 지정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의 가로 중심선을 상기 이동변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의 상하 이동변위 지정신호로서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신호인 1 차 직선파형의 신호를 입력하여 화면의 가로 중심선이 갖는 경사도가 상기 1차 직선의 기울기에 따라 보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분회로는 전자빔의 수평 주사주기에 동기되어 동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틸트 보정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틸트 보정기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L1: 틸트 코일 10: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
11: 적분회로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틸트 보정기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틸트 보정기는, 화면의 가로 중심선을 상하로 이동시켜 화상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10)와,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10)에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신호 조절수단(OP3)과, 신호 조절수단(OP3)에 병렬로 연결되고, 틸트 개선용 키 조작시 발생되는 직류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회로(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10)로서 동 기능의 집적 회로(IC)가 사용되고, 신호 조절수단(OP3)으로서 연산 증폭기가 사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하 본 고안의 틸트 보정기의 작동설명은 상기 집적 회로와 연산 증폭기의 동작을 바탕으로 하여 전개한다.
CRT의 형광면에 출력되는 화상의 가로축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포착되면, 사용자는 화면의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동작패널(미도시)에 구비된 틸트 개선용 키를 조작한다.
이와 같이 틸트 개선용 키를 조작할 때 발생하는 일정 전압의 직류신호는 적분회로(11)에 입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분회로(11)는 저항(R7)과 저항(R7)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를 포함하며, 캐패시터(C1)를 거쳐 출력되는 적분신호는 신호 조절수단(OP3)의 출력단에 인가되어 신호 조절수단(OP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합성된다.
또한, 캐패시터(C1)에는 블랭킹(H-BLK)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가 병렬로 연결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은 적분회로(11)의 저항(R7)에, 컬렉터단은 신호 조절수단(OP3)의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틸트 보정작업을 개시함에 따라 적분회로(11)에 입력되는 직류신호는 전자빔의 수평 주사주기에 맞춰 적분된다. 부연하면, 캐패시터(C1)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는 전자빔의 수평 주사주기에 따라 발진되는 수평 블랭킹 펄스(H-BLK)가 저항(R8)을 거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 온(TURN ON)/오프(TURN OFF) 시킨다.
트랜지스터(Q1)가 턴 온되면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과 에미터단이 도통되므로 저항(R7)과 캐패시터(C1)가 병렬로 연결되고, 직류신호에 대한 적분신호로서 1 차 직선파형의 신호가 출력되어 신호 조절수단(OP3)의 출력단에 인가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1)가 턴 오프되면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과 에미터단이 단락되므로 저항(R7)과 캐패시터(C1)가 직렬로 연결되고, 적분회로(11)는 본래의 적분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적분회로(11)의 직류신호 적분작업과는 별도로, 신호 조절수단(OP3)의 비반전 단자(+)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전압(통상 14V)이 저항(R9,R10)을 통해 분배되어 일정한 크기로 상시 인가된다.
비반전 단자(+)와 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의 처리결과로서 신호 조절수단(OP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수평 주사주기에 동기화된 적분신호와 합성되고, 합성된 신호는 평활 캐피서터(C2)를 거쳐 정류된 후 저항(R11)을 통해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10)에 입력된다.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10)는 본래 화면의 가로 중심선을 상하로 이동시켜 출력화상 전체를 수직 이동시키는 회로이다. 따라서, 화상의 수직 이동변위를 조절하는 신호로서 본 고안의 회로를 통해 생성된 1 차 직선파형의 신호가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10)에 입력되는 경우,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10)는 출력화면의 가로 중심선을 상기 1 차 직선의 경사도만큼 기울인다.
따라서, 본래 지자계 또는 전자장의 영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던 화면의 가로 중심선이 상기 1 차 직선파형의 기울기에 따라 역경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화면의 틸트가 보정된다.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에 의하여, 틸트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도 화면의 틸트를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틸트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으로 저하된 화면의 맑기가 보상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생산비용도 절감된다.

Claims (2)

  1. 틸트 개선용 키의 조작시 발생하는 직류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회로; 및
    상하 이동변위 지정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화면의 가로 중심선을 상기 이동변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 포지션 제어회로의 상하 이동변위 지정신호로서 상기 적분회로의 출력신호인 1 차 직선파형의 신호를 입력하여 화면의 가로 중심선이 갖는 경사도가 상기 1차 직선의 기울기에 따라 보정되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회로는 전자빔의 수평 주사주기에 동기되어 동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KR2019990000172U 1999-01-12 1999-01-12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KR200000156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172U KR20000015607U (ko) 1999-01-12 1999-01-12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172U KR20000015607U (ko) 1999-01-12 1999-01-12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607U true KR20000015607U (ko) 2000-08-05

Family

ID=5475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172U KR20000015607U (ko) 1999-01-12 1999-01-12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6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14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a deflection circuit having function for correcting rotational distortion
KR940011701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및 표시 장치
KR20000015607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US6011593A (en) Cathode ray tube with apparatus for reducing variation of deflection size due to brightness changes
KR100204430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 장치
US6246448B1 (en) Purity adjustment device for video display appliance
KR20020032319A (ko) 표시 장치
JP3031925B2 (ja) 電磁集束ブラウン管装置
JPH05145781A (ja) Crt画像のローテーシヨン歪補正方法、crtの偏向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KR930002097Y1 (ko) 지자계 보상회로
KR1002750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다리꼴 국부 왜곡 보정 장치 및 방법
US7199533B2 (en) Convergence control apparatus for video display
KR100228387B1 (ko) 톱니파를 이용한 틸트 보정 회로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KR10066257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KR930010030B1 (ko) 시간축 회로 및 이 시간축 회로를 포함한 텔레비젼 수상기
JP2534030Y2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7187414B2 (en) Circuit for stabilizing high tension voltage of CRT, and method thereof
KR0136001B1 (ko) 화면밝기 변화에 따른 수평 상크기의 변동 보정회로
KR960015834B1 (ko)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JPH0548922A (ja) 偏向ひずみ補正回路
KR19990037258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편향 회로
JPH0993596A (ja) ランディング補正方法及び装置
KR20000005541U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MXPA97006994A (en) Purity adjustment device for vi deploy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