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834B1 -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834B1
KR960015834B1 KR1019930016330A KR930016330A KR960015834B1 KR 960015834 B1 KR960015834 B1 KR 960015834B1 KR 1019930016330 A KR1019930016330 A KR 1019930016330A KR 930016330 A KR930016330 A KR 930016330A KR 960015834 B1 KR960015834 B1 KR 96001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incushion correction
screen
unit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461A (ko
Inventor
이홍우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834B1/ko
Publication of KR95000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가 적용된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블록구성의 상세회로도.
제3도(a)와 (b)는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에서의 화면일그러짐과 보정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파형정형부 12 : 제2파형정형부
14 : 휘도신호추출부 16 : 휘도신호증폭출력부
18 : 핀쿠션보정제어부 20 : 핀쿠션보정부
22 :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
본 발명은 다화면 컬러텔레비전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화면(Picture-in-Picture)기능을 갖춘 컬러텔레비전에서 CTR에 흐르는 비임전류의 변동에 따라 부화면의 일그러짐이 발생되는 경우에 휘도신호의 흑·백성분 차이를 적분하여 휘도차이에 따른 핀쿠션(Pin Cushion) 보정량을 가변시켜 부화면이 일정한 직선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화면의 일그러짐이 개선되도록 한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텔레비전은 3색(R·G·B)전자총에서 방사된 전자비임이 섀도우마스크의 원추형 구멍을 통과해서 각각 해당하는 형광면의 형광점을 조사하여 색을 표시하게 되는 바, 통상 CRT의 화면 표시영역은 구형상이기 때문에 CRT후단에 편향코일을 설치하여 3전자총으로부터의 전자비임을 편향시켜 화면의 주변부로 주사시키게 된다.
그런데, 다화면 표시기능을 갖춘 컬러텔레비전에서는 CRT에 흐르는 비임전류의 변동에 따라 화면의 진폭이 어느 정도 변하게 되는 소위 라스터레귤레이션(Raster Regulation)이 초래되는 바, 이러한 상태에서 다화면을 표시하게 되면 화면구성에 따른 진폭의 변화시 부화면의 표시상태가 반전되어 CRT의 표시범위를 초과(Over Scan)하여 부화면의 일부가 CRT상에 나타나지 않게 되거나 일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현재 25인치 이상의 대형 컬러텔레비전에서는 상기한 CRT의 라스터레귤레이션을 고려하여 화면표시상태의 상하좌우방향에서의 직선성을 양호하게 개선시키기 위해 핀쿠션(Pin Cushion)보정회로가 채용되는바, 이 핀쿠션보정회로는 CRT의 화면표시영역의 기계적 곡률이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전자총으로부터 비임의 도달거리가 다르게 되는 것을 보완하여 실제 화면이 일정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대형 컬러텔레비전에서 비임의 도달거리차에 따른 직선상의 왜곡현상을 보정하기 위한 핀쿠션보정회로에 의하면 일반적인 화면에 대해서는 핀쿠션보정동작에 의해 정상적인 상태로 표시되도록 보정이 가능하게 되지만, 예컨대 부화면이 표시되는 다화면의 텔레비전의 경우에는 그 핀쿠션보정회로의 동작이 화면의 밝기, 즉 비임의 양에 따라 화면의 직선성이 일정하게 보정됨으로 인해 다화면 표시기능의 수행시 어두운 화면에 비해 밝은 화면구성에서 부화면의 가장자리부분이 잘리게 되는 일그러짐 현상(제3(a)도 참조)이 발생되기 쉽다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상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화면의 밝기 즉, 휘도신호의 흑·백성분 차이를 적분하여 휘도차이에 따른 핀쿠션보정량을 가변시킴으로써 다화면 표시기능이 수행되더라도 부화면이 일정한 직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는 수평동기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제1파형정형부, 수직동기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제2파형정형부, 휘도/색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버퍼링하고 증폭하여 CRT의 화면표시신호를 발생하는 휘도신호증폭출력부, 상기 파형정형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중첩하여 핀쿠션보정량을 제어하는 핀쿠션보정제어부,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 핀쿠션보정을 행하는 핀쿠션보정부를 갖춘 컬러텔레비전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증폭출력부의 휘도레벨을 검출적분하여 핀쿠션보정전류를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에 인가하여 수평핀쿠션보정량을 조절하는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는 상기 휘도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와 그 적분회로의 출력측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컬렉터에서는 상기 적분된 휘도신호에 의한 핀쿠션보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다화면표시기능을 갖춘 컬러텔레비전에서 휘도/색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의 레벨차를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에서 검출적분하여 수평핀쿠션보정신호를 얻고, 그 수평핀쿠션보정신호를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에 인가하여 수평핀쿠션보정량을 조절함으로써 부화면의 수평진폭이 축소되도록 하여 일정한 화면표시상태를 확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가 채용된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블록구성의 상세회로도이다.
제1도와 제2도에서 참조부호 10은 도시되지 않은 동기분리회로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의 파형을 정형하는 제1파형정형부이고, 12는 상기한 동기분리회로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sync)의 파형을 정형하는 제2파형정형부이다.
14는 복합컬러영상신호의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처리하여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출력하는 휘도/색신호 처리부이고, 16은 그 휘도/색신호처리부(14)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증폭하여 도시되지 않은 CRT에 출력하는 휘도신호증폭출력부로서, 그 휘도신호증폭출력부(16)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휘도/색신호 처리부(14)의 휘도신호출력단(-Y)에 저항(R1, R2)을 매개하여 베이스가 접속되고 컬렉터에는 동작전원(B+)이 접속된 NPN형 버퍼트랜지스터(Q1)와 그 버퍼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3)의 중간노드에 저항(R4)을 매개하여 베이스가 접속되고 컬렉터는 직렬 접속된 저항(R4)과 다이오드(D1)를 매개하여 동작전원(B+)에 접속된 PNP형 휘도신호증폭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된다.
또, 참조부호 18은 상기 제1파형정형부(10)로부터의 파형정형된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제2파형정형부(12)에서 파형정형된 수직동기신호를 중첩하여 핀쿠션보정신호(핀쿠션보정량)를 발생하는 핀쿠션보정제어부로서, 그 핀쿠션보정제어부(1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형정형부(10)의 출력단에 콘덴서(C4)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가 접속되고 컬렉터에 동작전원(B+)이 접속됨과 더불어 그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는 수평보정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R10)이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4)와, 상기 제2파형정형부(12)의 출력단에 직렬접속된 콘덴서(C5)를 통해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동작전원(B+)과 일단이 직렬접속 된 분압용 저항(R11)과 수직보정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저항(R12)의 중간노드에 컬렉터가 접속된 NPN형 트랜지스터(Q5), 상기 가변저항(R10, R12)의 중간탭에 공통으로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전원(B+)에 대해 저항(R14, R15)의 일단을 통해 접속되어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중첩하는 PNP형 트랜지스터(Q6)로 구성된다.
20은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18)의 핀쿠션보정신호에 따라 화면의 핀쿠션을 보정하는 핀쿠션보정부로서, 그 핀쿠션보정부(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18)에 구성된 트랜지스터(Q6)의 컬렉터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저항(R14, R15)의 중간노드에 저항(R16)을 매개로 하여 컬렉터가 접속된 NPN형 증폭트랜지스터(Q7)와, 그 증폭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와 저항(R16)의 중간노드에 쵸크코일(20a)과 직렬 접속된 콘덴서(C6)의 중간노드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참조부호 22는 상기 휘도신호증폭출력부(16)로부터의 휘도신호(-Y)를 적분하여 수평핀쿠션보정량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로서, 그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2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R6)을 매개하여 상기 버퍼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저항(R3)의 중간노드에 접속된 캐패시터(C3)와 저항(R7)으로 구성된 적분회로(22a)와 그 적분회로(22a)의 저항(R7)에 접속된 온도보상용 다이오드(D2), 상기 적분회로(22a)의 출력측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컬렉터에는 저항(R8)을 매개로 동작전원(B+)이 접속됨과 더불어 그 컬렉터측에서 저항(R9)를 통해 핀쿠션보정제어신호(CTS)를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18)에 인가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4)에 베이스전류를 제어하여 화면의 수평진폭이 감소되도록 하는 NPN형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동기신호분리회로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가 각각 제1 및 제2파형정형부(10, 12)에서 파형정형되어 출력되는 한편, 휘도/색신호처리부(14)의 휘도신호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휘도신호(-Y)가 저항 (R1, R2)에서 레벨조정된 다음 버퍼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됨에 따라 그 버퍼트랜지스터(Q1) 및 증폭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휘도신호성분을 CRT(도시되지 않음)에 인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휘도신호(-Y)는 저항(R6)을 통해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22)의 적분회로(22a)에서 저분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그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측에서는 상기 버퍼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에 나타나는 휘도신호에 대응하는 핀쿠션보정제어신호(CRT)가 얻어져서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18)의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4)는 베이스에 인가되는 상기 핀쿠션보정신호(CTS)에 기초하여 수평보정이 이루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핀쿠션보정제어부(18)에서는 콘덴서(C4, C5)를 통해 인가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sync, Vsync)에 대해 상기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22)에서 출력되는 핀쿠션보정제어신호(CTS)에 의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전류레벨이 제어되므로, 결국 저항(R10)에 흐르는 수평보정신호의 전류레벨도 제어된다.
따라서, 수평 및 수직편향전류의 이득을 가변시키는 저항(R10, R1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전류가 상기 핀쿠션보정제어신호(CTS)에 의해 가변제어되고, 그 가변제어된 수평 및 수직보정신호의 전류가 상기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중첩적으로 인가되며, 그에 따라 그 중첩레벨에 의해 트랜지스터(Q7)가 온되어 수평핀쿠션전류를 증폭하게 되는 바, 그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에 많은 전류가 인가되면 수평핀쿠션보정부(20)의 쵸크코일(20a)에는 전류가 적게 인가되어 상기 쵸크코일(20a)의 인덕턴스는 증가하게 되므로 수평진폭이 넓어지는 수평핀쿠션보정이 수행되는 반면에 상기 트랜지스터(Q7)의 컬렉터에 적은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수평핀쿠션보정부(20)의 쵸크코일(20a)에는 전류가 많이 인가되어 상기 쵸크코일(20a)의 인덕턴스는 감소하게 되므로 수평진폭이 좁아지는 수평핀쿠션보정이 이루어져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화면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에 의하면, 고압비임전류의 변화에 따라 수평편향전류를 제어함에 따라 수평편향제어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또한 고압비임전류의 변동률을 줄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부화면 표시의 경우에 고압비임전류의 변화에 대한 진폭의 변동이나 화면의 일그러짐이 개선될 수 있다.

Claims (2)

  1. 수평동기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제1파형정형부(10)와, 수직동기신호의 파형을 정형하는 제2파형정형부(12), 복합컬러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휘도/색신호처리부(14), 상기 휘도신호를 증폭출력하는 휘도신호증폭출력부(16), 상기 파형정형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중첩하여 핀쿠션보정량을 제어하는 핀쿠션보정제어부(18),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18)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핀쿠션보정을 행하는 핀쿠션보정부(20)를 갖춘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에 있어서, 상기 휘도신호의 레벨을 검출적분하여 반전출력된 핀쿠션보정제어신호(CTS)를 상기 핀쿠션보정제어부(18)로 인가하여 수평편향이 조정되도록 하는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22)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쿠션보정신호발생부(22)는 상기 휘도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22a)와 그 적분회로(22a)의 출력측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컬럭터에는 저항(R8)을 매개로 동작전원(B+)이 접속되며 그 컬렉터 일측에 접속된 저항(R9)을 통해 상기 적분된 휘도신호에 의한 핀쿠션보정제어신호(CTS)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3)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 보정회로.
KR1019930016330A 1993-08-23 1993-08-23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KR96001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330A KR960015834B1 (ko) 1993-08-23 1993-08-23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6330A KR960015834B1 (ko) 1993-08-23 1993-08-23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61A KR950007461A (ko) 1995-03-21
KR960015834B1 true KR960015834B1 (ko) 1996-11-21

Family

ID=1936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330A KR960015834B1 (ko) 1993-08-23 1993-08-23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8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61A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0895A (en) Circuit for maintaining operating point stability of an amplifier
US5237246A (en) Process and device for adjusting pictures
KR100272736B1 (ko) 빔 전류 표시 신호 발생용 장치
CA1241108A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display device bias
KR960015834B1 (ko) 다화면 컬러텔레비전의 화면일그러짐보정회로
KR930020954A (ko) 코너핀 쿠션변형 보정회로와 텔레비젼수상기
US4622589A (en) Television receiver on-screen character display
KR100204430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 장치
KR100397907B1 (ko) 표시 장치
US4503366A (en) Individual deflection control signals for plural pickup-tubes in a television camera
US5942861A (en) Front/back porch voltage-regulator of vertical focus control signal
US7199533B2 (en) Convergence control apparatus for video display
KR100285903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비디오 안정화회로
KR940009478B1 (ko) 화면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KR910007196Y1 (ko) 칼라 브라운관의 휘도 보정회로
KR100226692B1 (ko) 고압분리형 모니터에서 다이나믹 포커싱회로
JPH07283959A (ja) 水平振幅補正回路
KR200143628Y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KR100257256B1 (ko) 텔레비젼의 핀쿠션 보정장치
US5032770A (en) Image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KR910007197Y1 (ko) 브라운관의 휘도 보정회로
KR0137063Y1 (ko) 영상표시기기의 코너 핀쿠션 왜곡보정 제어회로
KR100268479B1 (ko) 영상표시기기의 밝기조정에 따른 색좌표 보상장치
KR0145460B1 (ko) 모니터의 트래피조이드 보정회로
KR100283561B1 (ko) 음극선관의휘도균등도자동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