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541U -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541U
KR20000005541U KR2019980016381U KR19980016381U KR20000005541U KR 20000005541 U KR20000005541 U KR 20000005541U KR 2019980016381 U KR2019980016381 U KR 2019980016381U KR 19980016381 U KR19980016381 U KR 19980016381U KR 20000005541 U KR20000005541 U KR 20000005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tilt
tilt correction
voltage
correc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6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5541U/ko
Publication of KR20000005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541U/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장치는 CRT 네트 부위에 감겨 있어,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자계를 발생하여 화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틸트 보정 코일(10)과 ; 사용자가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업/다운 키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20) ; 상기 키입력에 따라 0∼5V의 가변적인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0) ; 상기 마이콤(30)으로부터 보정신호를 입력받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Va∼-Va의 가변적인 저전압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OP) ; NPN형 제 1 트랜지스터(Q1)와 PNP형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의 접점이 상기 차동 증폭기(OP)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이 양전원전압(+Vcc)을 입력받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이 음전원전압(-Vcc)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의 접점이 상기 틸트 보정 코일(10)에 연결되는 푸시풀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틸트 보정 코일의 양단 전압을 변화시켜 틸트 보정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조 과정 중에 혹은 지자계에 따른 영향으로 발생되는 화면 기울어짐 현상을 보정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A circuit of compensating tilt in a monitor)
본 고안은 CRT의 제조 과정중에 혹은 지자계에 의해 발생되는 화면의 기울어짐 현상을 보정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Cathode Ray Tube)는 R,G,B 전자총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집속 및 가속시킨 후 샤도우 마스크상의 일점을 통해 R,G,B 형광면에 충돌시켜 화소를 형성하고, 수직 및 수평 편향 코일에 톱니파 전류를 흘려 2차원 화면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CRT는 좁은 화면상에 고밀도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매우 정밀한 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에 각종 보정 장치들 예컨데, 푸우리트 마그네트, 컨버전스 마그네트 등이 CRT의 네크 부위에 장착되어 있고, 지자계 및 잔류 자기에 의해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자 코일이 CRT의 패널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CRT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CRT는 베이스(1), 전자총(2), 네트(3), 코운(4), 패널(5), 형광판(7), 샤도우 마스크(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는 전기적인 신호를 CRT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네트(3)에는 R,G,B 전자빔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총(2)이 있으며, 이 전자총에서 방출되어 집속 및 가속된 전자빔이 샤도우 마스크(8)상에 집중된 후 형광면(7)에 충돌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CRT의 제조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면과 샤도우 마스크(8)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화면이 약간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지자계의 영향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약간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구는 거대한 자석으로 지자계를 형성하고 있어, 이 지자계는 CRT 등과 전기적인 자계에 의해 작동되는 표시 소자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 지자계는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보정하기도 어렵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화면이 기울어지는 현상을 틸트( tilt )라 하며, 이를 전자기적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모니터에는 틸트 보정 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로써,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보정 회로는, CRT 네트(3) 부위에 틸트 보정 코일(L)을 감은 후 상기 틸트 보정 코일(L)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기울어진 화면을 회전시켜 틸트를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키 입력을 하면, 마이콤이 이를 감지하여 틸트 보정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보정신호를 출력한다.
차동 증폭기(OP1)는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0∼5V 사이의 보정신호를 입력받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그 차 만큼을 버퍼(OP2)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퍼(OP2)의 입력측(A)과 출력측(B) 전압 차이에 의해, 상기 틸트 보정 코일(L)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한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버퍼(OP2)의 출력 전압은 커패시터(C1)를 통해 틸트 보정 코일(L)의 한쪽단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틸트 보정 코일(L)의 다른 한쪽단이 상기 버퍼(OP2)의 (-)입력단자와 궤환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퍼(OP2)의 입력측(A) 전압과 출력측(B) 전압 즉, 틸트 보정 코일(L)의 양단 전압이 변하게 되어, 보정전류의 방향 및 크기가 조절된다.
예컨데, 상기 버퍼(OP2)의 입력측(A) 전압이 출력측(B) 전압보다 작으면 출력측 (B) 전압이 틸트 보정 코일(L)에 인가되어 상기 틸트 보정 코일(L)에 I1 방향의 틸트 보정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대로, 상기 버퍼(OP2)의 입력측(A) 전압이 출력측(B) 전압보다 크면 입력측(A) 전압이 틸트 보정 코일(L)에 인가되어 상기 틸트 보정 코일(L)에 I2 방향의 틸트 보정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정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자계가 발생되어 편향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화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틸트 보정 회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OP 앰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의 PCB 기판과 같이 제한된 공간내에 소자를 배치하는데 있어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회로 구성이 간단하면서 화면의 기울어짐 현상을 보정하는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는, CRT 네트 부위에 감겨 있어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자계를 발생하여 화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틸트 보정 코일과 ; 사용자가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업/다운 키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 ; 상기 키입력에 따라 0∼5V의 가변적인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 ;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보정신호를 입력받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Va∼-Va의 가변적인 저전압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 ; NPN형 제 1 트랜지스터와 PNP형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의 접점이 상기 차동 증폭기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이 양전원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이 음전원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과 제 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의 접점이 상기 틸트 보정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틸트 보정 코일에 흐르는 틸트 보정 전류의 방향 및 크기를 가변시키는 푸시풀 증폭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CRT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 : 틸트 보정 코일 20 : 키 입력부
30 : 마이콤 30 : 구동부
40 : 전류 공급부 OP1 : 차동 증폭기
Q 1,2 : 푸시풀 증폭기 R 1,2,3,4 : 저항
C1 : 커패시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틸트 보정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CRT 네트 부위에 감겨 있어,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자계를 발생하여 화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틸트 보정 코일(10)과 ; 사용자가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업/다운 키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20) ; 상기 키입력에 따라 0∼5V의 가변적인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0) ; 상기 마이콤(30)으로부터 입력되는 보정신호에 따라 +Va∼-Va의 가변적인 저전압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40) ; 및 상기 구동부(4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틸트 보정 코일(10)에 충분한 틸트 보정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공급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마이콤(30)으로부터 입력되는 보정전압을 입력받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 차 만큼을 구동전압(+Va∼-Va)으로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OP)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류 공급부(50)는 NPN형 제 1 트랜지스터(Q1)와 PNP형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의 접점이 상기 구동부(30)로부터 구동전압(Va)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이 양전원전압(+Vcc)을 입력받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이 음전원전압(-Vcc)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의 접점이 상기 틸트 보정 코일(10)에 연결되는 푸시풀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전압(Va)에 따라 틸트 보정 코일(10)에 흐르는 틸트 보정 전류의 방향 및 크기가 가변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효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입력부(20)는 사용자가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키를 입력하는 부분으로, 보정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업/다운 키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의 업/다운 키입력에 따라 마이콤(30)은 틸트 보정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보정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보정신호은 O∼5V 사이의 가변적인 직류전압이다.
상기 마이콤(30)으로부터 출력된 보정신호는 저항(R1)을 통해 차동 증폭기`입력된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만큼을 출력한다.
상기 차동증폭기(OP1)의 출력 전압(+Va∼-Va)은 푸시풀 증폭기의 제 1,2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단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이 +Vcc(+12V)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이 -Vcc(-12V)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2 트랜지스터(Q 1,2)의 베이스 전압에 따라 +12V∼-12V 가변전압이 상기 푸시풀 증폭기(Q1,Q2)를 통해 틸트 보정 코일(10)로 공급된다.
예컨데, 상기 제 1,2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단에 양구동전압(+Va)이 인가되면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상기 +12V의 전원전압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을 통해 에미터단에 인가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상기 틸트 보정 코일(10)에 I1 방향의 틸트 보정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반대로 푸시풀 증폭기(Q1,Q2)의 베이스단에 음구동전압(-Va)이 인가되면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고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상기 -12V의 전원전압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을 통해 에미터단에 인가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상기 틸트 보정 코일(10)에 I2 방향의 틸트 보정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틸트 보정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자계가 발생되어 편향 전류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화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틸트 보정 코일의 양단 전압을 변화시켜 틸트 보정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조 과정 중에 혹은 지자계에 따른 영향으로 발생되는 화면 기울어짐 현상을 보정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CRT 네트 부위에 감겨 있어,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자계를 발생하여 화면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틸트 보정 코일(10)과 ;
    사용자가 틸트를 보정하기 위해 업/다운 키를 입력하는 키 입력부(20) ;
    상기 키입력에 따라 0∼5V의 가변적인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0) ;
    상기 마이콤(30)으로부터 보정신호를 입력받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Va∼-Va의 가변적인 저전압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OP) ;
    NPN형 제 1 트랜지스터(Q1)와 PNP형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의 접점이 상기 차동 증폭기(OP)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이 양전원전압(+Vcc)을 입력받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이 음전원전압(-Vcc)을 입력받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과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의 접점이 상기 틸트 보정 코일(1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틸트 보정 코일(10)에 흐르는 틸트 보정 전류의 방향 및 크기를 가변시키는 푸시풀 증폭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틸트 보정회로.
KR2019980016381U 1998-08-31 1998-08-31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KR200000055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381U KR20000005541U (ko) 1998-08-31 1998-08-31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381U KR20000005541U (ko) 1998-08-31 1998-08-31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541U true KR20000005541U (ko) 2000-03-25

Family

ID=6952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381U KR20000005541U (ko) 1998-08-31 1998-08-31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55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992B1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US5420483A (en) Televisio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KR20000005541U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KR200153719Y1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회로
KR20000014589U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회로
KR20000014588U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회로
KR19980035722A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KR19990055314A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회로
US6246448B1 (en) Purity adjustment device for video display appliance
JP3633115B2 (ja) 偏向装置
US4639644A (en) High voltage dynamic focusing system
KR930002097Y1 (ko) 지자계 보상회로
KR940005876B1 (ko) 칼라 콘버젼스 자동 보상회로
JPH01166672A (ja) 画像表示装置用回路配置
JP3031925B2 (ja) 電磁集束ブラウン管装置
KR100195701B1 (ko) 수평 다이나믹 컨버젼스의 제어 장치
KR20000028446A (ko) 모니터에서 틸트 자동 보정회로
KR20010076333A (ko) 영상 신호용의 감마 보정 회로 및 감마 보정 회로를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28387B1 (ko) 톱니파를 이용한 틸트 보정 회로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KR920004382B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KR100588139B1 (ko) 영상표시기기의 포커스 전압 자동조절방법 및 자동조절장치
JPH1051657A (ja) センタリング調整回路
KR100318624B1 (ko) 수평 편향 직선성 제어 회로
KR100351384B1 (ko) 전자 포커스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