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382B1 -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382B1
KR920004382B1 KR1019890017159A KR890017159A KR920004382B1 KR 920004382 B1 KR920004382 B1 KR 920004382B1 KR 1019890017159 A KR1019890017159 A KR 1019890017159A KR 890017159 A KR890017159 A KR 890017159A KR 920004382 B1 KR920004382 B1 KR 92000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rt
coil
power suppl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002A (ko
Inventor
유영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382B1/ko
Publication of KR91001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CRT장치의외관도.
제 2a 도 및 제 2b 도는 본 발명의 따른 조절회로가 장착된 CRT의 구조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제1, 제 2기울기 조절회로 VR1, VR2 : 가변저항
L1, L2, L3, L4 : 제 1, 제 2, 제 3, 제 4코일
본 발명은 CRT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자계(Earth Magnetism)변화에 따른 화면의 기울음 및 편향요크(Deflection Yoke)장착 불안정에 따른 화면의 기울기(tilt)를 조절도록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CRT와 같이 전자빔에 의해 화면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전자빔을 편향하기 위한 편향요크(Yoke)를 가지고 있다. 상기 편향요크를 조절하여 빔의 방향을 제어하게 되어있다.
제 1 도의 CRT 디스플레이장치내의 CRT주변 부품을 나타낸 것으로, CRT와 CRT의 넥크부분 주위에 설치된 편향요크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법으로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하지만 화면의 기울기가 발생시 조절할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지자기의 변화에 따른 퓨리티 및 기울음의 변화를 변화를 조정하기 위하여 에지퓨리티 마그네트를 사용하여 조정할수 있는 방법이 있으나 이 역시 판매지역 또는 완성된 세트의 이동에 의한 지자계 변화시 화면의 기울기를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할수 없었다.
즉 종래의 CRT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지자계 변화에 대하여 외부에서 조절할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CRT 디스플레이장치 제조자로 판매지역의 지자계를 감안하여 그에 맞도록 화면을 세팅하면 그만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자계 변화에 의하여 변화되는 빔에 의해 발생되는 화면의 기울음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화면 조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다른 조절회로가 부착된 CRT 구조도로서, 제 2a 도는 CRT의 편향요크 부분의 상측과 하측에 제 1, 제 2 수직조절 코일(L1)과 (L2)을 직렬접속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수직코일(L2)의 일측에는 제 2 전원전압(+VCC2)가 인가되면 제 1 수직코일(L1)에는 제 1 기울기 조절회로(10)의 출력이 접속되며,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회로((10)는 제 1 전원전압(VCC1)과 접지사이에 접속된 가변저항(VRI)의 출력에 따라 제 1 또는 접지레벨인 제 3 전압(GND)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제 2b 도는 CRT의편향요크 부분의 좌측과 우측에 제 1, 제 2 수평조절코일(,L3)과 (L4)을 직렬접속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2 수평코일(L4)의 일측에는 제 2 전원전압(+VCC2)가 인가되며 제 1 수평코일(L3)에는 제 2 기울기 조절회로(20)의 출력이 접속되며,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회로 (20)은 제 1 전원전압(VCC1)과 접지사이에 접속된 가변저항(VR2)의 출력에 따라 제 1 또는 접지레벨인 제 3 전압(GND)을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제 3 도는 제 2a 도 및 제 2b 도의 수직코일(L1)(L2)와 수평코일(L3)(L4) 및 제 1, 제 2기울기 조절회로(10)(20)의 상세도이다.
제 1 전원전압(VCCI)과 제 2a 도 및 제 3전압(GND)사이에 접속되어 전압분압 출력하는 가변저항(VR1) 및 (VR2)와 상기 제 1 전원전압(VCC1)과 제 3 전원전압(GND) 사이에 2개의 트랜지스터가 퓨쉬풀 접속되며, 베이스로 입력되는 상기 가변저항(VRI)또는(VR2)의 출력에 따라 제 1전원전압(VCC1)또는 제 3전압(GND)를 출력하는 제 1, 제 2기울기 조절회로(10)(20)와, 상기 제 1기울기 조절회로(10)의 전압출력에 따라 전자력을 형성하는 수직 제 1 코일(L1) 및 수직 제 2코일(L2)과 상기 제 2 기울기 조절회로(20)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전압(VCC2)사이에 직력 접속되어 제 2 기울기 조절회로(20)의 전압출력에 따라 전장력을 발생하는 수평 제 1 코일(L3) 및 수평 제 2 코일(L4)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제 2 도 및 제 3 도의 동작예를 설명하기에 있어 제 2 도의 CRT의 캐소드에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CRT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고 가정하에 설명한다.
먼저 CRT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이 남, 북 지자계의 영향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치우쳐(기울어져)있다고 가정하면, 이는 가변저항(VR1)의 조절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가변저항 (VR1)을 조절하여 트랜지스터(Q1)가 온될수 있는 전압(이하 편의상 트랜지스터 Q1 및 Q3가 온되는 조건을 "하이", 트랜지스터 Q2와 Q4가 "온"되는 조건을 "로우"라 한다)을 인가하면, 트랜지스터(Q1)이 온,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된다.
따라서 제 1 전원전압(VCC1)은 트랜지스터(Q1)으 콜렉터와 에미터간을 통해 제 1 수직코일 (L1)에 입력된다(VCC1=12VDC, VCC2=5VDC) 이때 전류는 제 1 수직코일(L1)으로 부터 제 2 수직코일(L2)로 흐르게되며, 제 1, 제 2 수직코일(L1)(L2)은 앙페르의 오른나사법칙에 의거하여 자계의 힘(F)은 상측으로 발생함으로 CRT의 전자빔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가변저항(VRI)을 조정하여 트랜지스터(Q1)를 오프, 트랜지스터(Q2)을 시키면 제 2전원전압(VCC2)가 제 2 수직코일(L2)와 제 1 수직코일(L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를 통해 바이패스 됨으로 자계의 힘(F)은 하측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CRT내의 전자빔을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CRT내의 전자빔은 가변저항(VRI)의 조정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변화되는 수직코일(L1)(L2)의 자계힘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가변저항(VR2)을 조정하여 트랜지스터(Q3)만을 "온"시키면, 제 1 전원전압(VCC1)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에미터를 통해 제 1 수평코일(L3)에 입력된다. 이때 전류는 제 1 수평코일(L3)으로 부터 제 2 수평코일(L4)로 흐르게 되며, 제 1, 제 2 수평코일(L3)(L4)은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에 의거하여 자계의 힘(F)은 우측으로 발생함으로 CRT의 전자빔은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가변저항(VR2)을 조정하여 트랜지스터(Q3)를 오프, 트랜지스터(Q4)을 온시키면 제 2 전원전압(VCC2)가 제 2수평코일(L4)와 제 1수평코일(L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를 통해 바이패스됨으로 자계의 힘(F)은 좌측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CRT내의 전자빔을 좌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CRT내의 전자빔은 가변저항(VR2)의 조정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변화되는 수평코일(L3)(L4)의 자계힘에 의하여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 2a 도내에서 제 1 기울기 조절회로 (10)에서 제 1 전원전압(VCC1)을 출력하면, 자기힘은 F1방향으로 형성되어 빔은 상측으로 이동되고 제 3 전압(GND)을 출력하면 이와 반대로 자계힘은 F2방향으로 발생되어 빔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CRT 디스플레이장치가 갖는 지자계 영향의 화면의 기울음을 전기적 회로 조정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고, 지자계 영향으로 부터의 간섭을 최소화 할수있다.

Claims (3)

  1.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에 있어서, 제 1 전원전압(VCC1)과 제 3 전압(GND)사이에 접속되어 전압분압 출력하는 가변저항(VR1)및 (VR2)돠, 상기 제 1전원전압(VCC1)과 제 3 전원전압(GND) 사이에 2개의 트랜지스터가 퓨쉬풀 접속되며, 베이스로 입력되는 상기 가변저항(VR1) 또는 (VR2)의 출력에 따라 제 1 전원전압(VCC1) 또는 제 3 전압(GND)를 출력하는 제 1, 제 2 기울기 조절회로(10)(20)와,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회로(10)의 출력단자와 제 2 전원전압(VCC2)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제 1 기울기 조절회로(10)의 전압출력에 따라 전자력을 형성하는 수직 제 1코일(L1) 및 수직 제 2 코일(L2)과 상기 제 2 기울기 조절회로(20)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 2 전원전압(VCC2)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제 2 기울기 조절회로(20)의 전압출력에 따라 전장력을 발생하는 수평 제 1 코일(L3) 및 수평 제 2 코일(L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수직코일(L1)(L2)각각이 CRT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입력전압에 따른 전류방향에 의한 전자력을 발생하여 CRT내빔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수평코일(L3)(L4) 각각이 CRT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입력전압에 따른 전류방향에 의한 전자력을 발생하여 CRT내 빔을 좌우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890017159A 1989-11-24 1989-11-24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KR92000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159A KR920004382B1 (ko) 1989-11-24 1989-11-24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159A KR920004382B1 (ko) 1989-11-24 1989-11-24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02A KR910011002A (ko) 1991-06-29
KR920004382B1 true KR920004382B1 (ko) 1992-06-04

Family

ID=1929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159A KR920004382B1 (ko) 1989-11-24 1989-11-24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3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02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382B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 기울기 조절회로
JP2000295490A (ja) ビデオ表示装置
KR930002097Y1 (ko) 지자계 보상회로
GB2340707A (en)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EP0740462A2 (en) Circuit for correcting tilt of a monitor
US4979044A (en) Automatic contrast circuit for instantaneous compensation
US487033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picture display device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size of the picture displayed
US6246448B1 (en) Purity adjustment device for video display appliance
US5742128A (en) Apparatus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ambient magnetic fields on the operation of a CRT
US5942861A (en) Front/back porch voltage-regulator of vertical focus control signal
KR100228387B1 (ko) 톱니파를 이용한 틸트 보정 회로
KR100208992B1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JPH05145781A (ja) Crt画像のローテーシヨン歪補正方法、crtの偏向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US7183713B2 (en) Auxiliary coil driver circuit for a cathode ray tube
JP3031925B2 (ja) 電磁集束ブラウン管装置
JP2990747B2 (ja) 水平偏向センタリング回路
KR20000015607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 보정기
KR900008515Y1 (ko) 지자기 (地磁氣) 소자회로
KR20000005541U (ko) 모니터의 틸트 보정 회로
KR200162127Y1 (ko) 단전원 지자계 보정회로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JP2505821Y2 (ja) 映像出力回路
KR200149497Y1 (ko) 전압중첩을 이용한 화면 기울기 보정 회로
JPH0514754A (ja) 垂直画面位置制御回路
JPH04227188A (ja) 地磁気自動補正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