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661A -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 Google Patents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661A
KR20000012661A KR1019990058519A KR19990058519A KR20000012661A KR 20000012661 A KR20000012661 A KR 20000012661A KR 1019990058519 A KR1019990058519 A KR 1019990058519A KR 19990058519 A KR19990058519 A KR 19990058519A KR 20000012661 A KR20000012661 A KR 20000012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section
vehicle
north
south
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홍
Original Assignee
민병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홍 filed Critical 민병홍
Priority to KR101999005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661A/ko
Publication of KR20000012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4Road crossings on different levels; Interconnections between roads on different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으로 연장되는 사방향 교차로와, 직진하는 차량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의 상부에 남북방향 또는 동서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직진용 고가차도와, 남에서 서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북에서 동으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동에서 남으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서에서 북으로 좌회전하는 차량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의 하부에 깊이를 달리하여 각각 설치되는 좌회전용 지하차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교차로상에 직진용 고가차도와 좌회전용 지하차도를 입체적으로 설치하여 사방향에서 오는 차량이 일단 정지함이 없이 자신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non-stop crossroads}
이 발명은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교차로상에 직진용 고가차도와 좌회전용 지하차도를 입체적으로 설치하여 사방향에서 오는 차량이 일단 정지함이 없이 자신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도심 및 도시 외곽도로에서의 교통체증과, 평균 운행속도의 저하로 인하여 막대한 금액의 교통혼잡비용이 발생됨으로써 엄청난 국가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한 교통혼잡비용은 자동차가 교통혼잡으로 인하여 정상속도 이하로 운행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시간가치의 손실과, 차량운행비의 증가와 같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총체적인 비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1992년 이후 교통개발연구원에서 매년마다 교통혼잡비용을 산출하여 발표하고 있는데, 1996년도의 전국 교통혼잡비용은 약15조 9,200억원에 달하고 있고, 1997년도의 전국 교통혼잡비용은 약 18조 3,734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해마다 그 비용이 증가추세에 있다. 이와같이 국가발전의 저해요소인 막대한 교통혼잡비용은, 교통시설에 대한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투자, 교통수요관리, 기존시설의 운영효율화, 대중교통을 우선하는 적극적인 교통정책 등을 통해서 감소시켜야 하겠지만, 도로자체의 교통처리능력을 높이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교통처리능력은,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남에서 북으로 진행하는 차량(11, 12)과 북에서 남으로 진행하는 차량(21, 22)과 동에서 서로 진행하는 차량(31, 32)과 서에서 동으로 진행하는 차량(41, 42) 등과 같이 사방향에서 오는 차량이 각각 직진 방향과 좌회전 방향으로 나뉘게 되는 교차로(50)에서 그 용량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교차로(50)에서는 신호등(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하여 각 방향별로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직진 및 좌회전 신호를 줌으로써 차량이 소통되도록 하고 있으나 한꺼번에 차량이 많이 몰리게 되는 경우에는 어쩔수 없이 체증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차로에서 발생되는 체증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차로상에 직진방향 고가차도를 설치하거나 또는 직진방향 지하차도를 설치하여 교차로를 입체화시킴으로써 교차로에서 병목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도로의 통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교차로 입체 구조는, 고가차도 또는 지하차도를 이용하여 직진방향의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되도록 할 수는 있어도 좌회전 차량은 처리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상의 교차로에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사방향에서 오는 좌회전 차량이 신호 대기선에 일시 정지하도록 한 뒤에 신호등을 이용하여 각 방향별로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좌회전 신호(직진신호도 병행)를 주어 차량이 소통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체증현상이 완전하게 해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차로상에 직진용 고가차도와 좌회전용 지하차도를 입체적으로 설치하여 사방향에서 오는 차량이 일단 정지함이 없이 자신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차로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3, 21~23, 31~33, 41~43 : 차량 50 : 교차로
61~64 : 좌회전용 지하차도 70 : 직진용 고가차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으로 연장되는 사방향 교차로와, 직진하는 차량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의 상부에 남북방향 또는 동서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직진용 고가차도와, 남에서 서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북에서 동으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동에서 남으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서에서 북으로 좌회전하는 차량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의 하부에 깊이를 달리하여 각각 설치되는 좌회전용 지하차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는,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으로 연장되는 사방향 교차로(50)와, 남에서 북으로 직진하는 차량(11)과 북에서 남으로 직진하는 차량(21)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50)의 상부에 왕복4차선으로 남북방향으로 설치되는 직진용 고가차도(70)와, 남에서 서로 좌회전하는 차량(12)과 북에서 동으로 좌회전하는 차량(22)과 동에서 남으로 좌회전하는 차량(32)과 서에서 북으로 좌회전하는 차량(42)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50)의 하부의 지하 1층 및 2층에 각각 설치되는 좌회전용 지하차도(61, 62, 63, 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지하차도(61~64)는 대각선 방향이 같은 한쌍의 지하차도가 각각 지하1층 및 지하 2층으로 깊이를 달리하여 나뉘어 설치됨으로써 지하에서 서로 교차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진용 고가차도(70)가 남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왕복 4차선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가차도가 동서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왕복4차선이 아닌 왕복2차선 이상의 차선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교차로(50)상에 각 방향마다 우회전 차량을 위한 차선이 확보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남에서 북으로 직진하는 차량(11)은 직진용 고가차도(70)를 이용하여 계속 직진하고, 남에서 서로 좌회전하는 차량(12)은 좌회전용 지하차도(61)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고, 남에서 동으로 우회전하는 차량(13)은 우회전용 지상차도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게 된다.
또한, 북에서 남으로 직진하는 차량(21)은 직진용 고가차도(70)를 이용하여 계속 직진하고, 북에서 동으로 좌회전하는 차량(22)은 좌회전용 지하차도(62)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고, 북에서 서로 우회전하는 차량(23)은 우회전용 지상차도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동에서 서로 직진하는 차량(31)은 직진용 지상차도를 이용하여 계속 직진하고, 동에서 남으로 좌회전하는 차량(32)은 좌회전용 지하차도(63)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고, 동에서 북으로 우회전하는 차량(33)은 우회전용 지상차도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서에서 동으로 직진하는 차량(41)은 직진용 지상차도를 이용하여 계속 직진하고, 서에서 북으로 좌회전하는 차량(42)은 좌회전용 지하차도(64)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고, 서에서 남으로 우회전하는 차량(43)은 우회전용 지상차도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각 방향에서 교차로(50)로 진행하는 모든 직진, 좌회전, 우회전 차량이 일시정지함이 없이 각자의 진행방향으로 계속 통행할 수가 있어서 교차로의 통행능력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교차로상에 직진용 고가차도와 좌회전용 지하차도를 입체적으로 설치하여 사방향에서 오는 차량이 일단 정지함이 없이 자신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도로 건축 분야에서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으로 연장되는 사방향 교차로와, 직진하는 차량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의 상부에 남북방향 또는 동서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직진용 고가차도와, 남에서 서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북에서 동으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동에서 남으로 좌회전하는 차량과 서에서 북으로 좌회전하는 차량을 위하여 상기한 교차로의 하부에 깊이를 달리하여 각각 설치되는 좌회전용 지하차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방향 교차로상에 각 방향마다 우회전 차량을 위한 차선이 별도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KR1019990058519A 1999-12-17 1999-12-17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KR20000012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19A KR20000012661A (ko) 1999-12-17 1999-12-17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519A KR20000012661A (ko) 1999-12-17 1999-12-17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61A true KR20000012661A (ko) 2000-03-06

Family

ID=1962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519A KR20000012661A (ko) 1999-12-17 1999-12-17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6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0797A (zh) * 2016-12-19 2017-03-08 叶活耀 十字路口无红绿灯的立交桥
CN114000386A (zh) * 2021-10-28 2022-02-01 李益安 十字路口钩子形状二层立交桥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673A (en) * 1982-01-27 1986-06-03 Lee Soo Yang Double-framed "H" form non-stop roadway interchange
KR910015754A (ko) * 1990-02-06 1991-09-30 이병홍 도심도로에 적합한 입체교차로
KR920004670A (ko) * 1990-08-22 1992-03-27 이병홍 도심도로에 적합한 입체교차로
KR960005216U (ko) * 1994-07-29 1996-02-16 임권신 K.s 교통공간법
US5921701A (en) * 1997-06-25 1999-07-13 Clayton; Robert F. Traffic interchan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673A (en) * 1982-01-27 1986-06-03 Lee Soo Yang Double-framed "H" form non-stop roadway interchange
KR910015754A (ko) * 1990-02-06 1991-09-30 이병홍 도심도로에 적합한 입체교차로
KR920004670A (ko) * 1990-08-22 1992-03-27 이병홍 도심도로에 적합한 입체교차로
KR960005216U (ko) * 1994-07-29 1996-02-16 임권신 K.s 교통공간법
US5921701A (en) * 1997-06-25 1999-07-13 Clayton; Robert F. Traffic interchan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0797A (zh) * 2016-12-19 2017-03-08 叶活耀 十字路口无红绿灯的立交桥
CN114000386A (zh) * 2021-10-28 2022-02-01 李益安 十字路口钩子形状二层立交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789B1 (ko) 교통흐름이 원활한 2현시 입체 교차로 시스템
KR100407561B1 (ko) 교통흐름이 원활한 삼거리교차로 시스템
US20070237576A1 (en) Signal-free roadway interchange
KR20100064404A (ko) 반(1/2) 입체 교차로를 이용한 논스톱(무정차 및 무 정지) 교통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교통방법
JPH0222801B2 (ko)
CN102268852A (zh) 一种城市道路交通系统的两相位实施方法
CN202247573U (zh) 一种城市十字路口立交桥
KR100512408B1 (ko) 교차로시스템
KR100405053B1 (ko) 교통흐름이 원활한 사거리교차로 시스템
KR101074294B1 (ko) 유턴 대기 및 회전 전용공간을 이용한 2현시 4지 교차로 시스템
CN202099708U (zh) 一种新型式道路十字路口的低立交桥
CN103161107A (zh) 一种公路路口桥
CN102392400A (zh) 一种无红绿灯十字路口交通系统
CN207672350U (zh) 一种城市干道集约型立交桥
KR20000012661A (ko) 사방향 논스톱 교차로 입체 구조
CN101906743A (zh) 城市交叉口处道路交通系统
CN101177927A (zh) 快速通行道路系统
CN211596228U (zh) 一种城市路段的非机动车交通优化系统
KR100401013B1 (ko) 원-스톱 입체교차로 시스템
CN202925409U (zh) 半层高的立交桥单元
CN110804915A (zh) 一种无红绿灯的城市双层交通道路结构
CN101748668A (zh) 半潜式全互通城市立交桥
WO2003087476A1 (fr) Structure d'autopont a voies en forme de demi-cercle
KR200255909Y1 (ko) 교통흐름이 원활한 사거리교차로 시스템
CN1131352C (zh) 提高繁华道路路口通流能力的交通设施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