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528U -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528U
KR20000012528U KR2019980025525U KR19980025525U KR20000012528U KR 20000012528 U KR20000012528 U KR 20000012528U KR 2019980025525 U KR2019980025525 U KR 2019980025525U KR 19980025525 U KR19980025525 U KR 19980025525U KR 20000012528 U KR20000012528 U KR 200000125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hopper
box
soil
chain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2019980025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528U/ko
Publication of KR200000125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528U/ko

Links

Landscapes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를 기르기 위한 육묘상자에 흙과 볍씨를 자동으로 뿌려주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모터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 위에 상자투입기, 상토홉퍼통, 관수장치, 모터장치 부설의 파종홉퍼, 복토홉퍼를 설치한 파종기는 관수량이 많아 파종과 육묘 및 이앙시에 높은 불량율이 나타나고, 작업성 및 이동성이 떨어졌다. 본 고안은 하나의 체인 컨베이어(1) 연동방식으로 바꾸면서 파종기 자체를 트랙터에 의하여 이동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토를 연속적으로 단단하게 눌러줄 수 있는 상토가압장치(18)를 부가하며, 대량으로 쌓인 육묘상자를 자동 공급시키는 상자공급장치(15)를 설치한 것이다. 많은 육묘상자가 신속, 정확하게 공급되고 적은 양의 관수로도 파종과 육묘 및 이앙시에 불량율이 없으며 작업성 및 이동성이 좋다.

Description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본 고안은 연속 공급되는 육묘상자에 상토 투입, 상토 가압, 볍씨 산파, 물뿌리기, 복토의 순으로 연속 작업하는 육묘상자 자동파종기(Automatic Earth and Sowing Machine on Pot Growing Sapling)에 관한 것이다.
육묘상자(또는 모판)는 볍씨를 싹 띄워 일정 길이로 자라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직사각형의 낮은 상자로서 밑판에 구멍이 촘촘히 뚫려 있다. 이 육묘상자에는 일정 두께의 흙 위에 볍씨를 뿌리고 나서 그 위에 얇게 복토를 행하게 되는데 이때 물뿌리기(관수)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농촌인구의 노령화로 말미암아 부분적으로 기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용신안공개 제86-3246호는 육묘상자에 볍씨를 파종하는 홉퍼에서 볍씨를 일정량 배출시키는 롤러를 모터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이고, 실용신안공고 제95-6867호는 상기 실용신안공개 제86-3246호에다가 단순히 교류모터 속도제어회로를 부가시킨 것이다.
본 고안의 선행기술로 삼고자 하는 종래의 기술은 도 5에서 제시하는 육묘상자 자동파종기이다. 이 파종기는 상기한 공지의 기술, 즉 실용신안공고 제95-6867호를 파종홉퍼에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종기는 각각 모터장치(51,52)로 구동시킬 수 있는 2개의 컨베이어 벨트(53,54)를 가지고 있다. 왼쪽의 컨베이어 벨트(53) 위에는 도 6과 같이 10개 이내의 육묘상자(55)를 비스듬히 쌓아 1개씩 오른쪽으로 보내기 위한 상자투입기(5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상자투입기(56)를 빠져나온 육묘상자(55)는 모터장치(51)에 의하여 구동되는 상토홉퍼통(57)을 지나면서 그 위에 상토(흙)가 뿌려진다. 동시에 도 7과 같이 내부의 솔(58)에 의하여 상토면이 골라진다. 모터장치(51)를 지난 육묘상자(55)는 관수장치(59)를 지나면서 뿌려지는 물에 흠뻑 젖은 채로 모터장치(60)를 지나 파종홉퍼(61)내를 지나간다. 파종홉퍼(61)에서는 일정량의 볍씨가 육묘상자(55)의 상토 위에 산파되고 이렇게 볍씨가 뿌려진 육묘상자(55)는 복토홉퍼(62)를 지나면서 흙이 얇게 뿌려진다. 복토가 된 육묘상자(55)는 최종적으로 모터장치(52)를 지나면서 일련의 파종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에서 상토홉퍼통(57)의 내부에 있는 롤러(미도시)와 솔(58)은 왼쪽의 모터장치(51)로 구동시키고, 복토홉퍼(62)의 롤러(미도시)와 솔(58)은 오른쪽의 모터장치(52)로 구동시키며, 파종홉퍼(61)의 롤러(미도시)는 가운데에 있는 모터장치(60)에 의하여 구동시키는데, 이 가운데의 모터장치(60)가 상기한 실용신안공고 제95-6867호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파종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관수장치에서 너무 많은 물을 뿌려주기 때문에 육묘와 이앙시에 높은 불량율이 나타나고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물을 많이 뿌려주지 않으면 상자의 구멍으로 많은 양의 흙이 빠져나가게 되고 이동시 볍씨와 흙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육묘가 잘 되지 않으며 이앙시 결주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을 많이 뿌려주게 되는데 이것 또한 문제를 낳는다. 수분함량이 많으면 파종이 끝난 상자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직으로 쌓고 나서 이동후 다시 분리시킬 때 위에 있는 상자의 저면에 밑의 상자에 있는 흙이 달라붙기 때문에 밑의 상자의 볍씨가 붙어난다. 그렇게 되면 육묘에도 문제가 생기며 육묘후 이앙시에도 결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종을 마친 상자를 말려서 수분함량을 줄이게 되는데, 이렇게 하면 육묘후 이앙 작업시 모가 잘 뜯어지지 않아서 결주가 발생한다. 위의 어떤 경우를 따르더라도 종래의 파종기에서는 물을 많이 뿌려줄 수밖에 없으며 그것은 상자의 이동시 흙의 양이 적어져 모 덩어리가 얇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이앙시 이앙기의 공급 경사면에서 모덩어리가 접혀지는 일도 발생하게 된다.
둘째, 상자투입기에 10개 이내의 육묘상자 밖에 얹지를 못하기 때문에 연속적이고 신속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며, 잘못 쌓으면 윗쪽에 쌓이는 육묘상자가 쓰러진다는 것이다. 종래의 상자투입기는 상자와 상자를 수직으로 쌓았을 때 상자끼리 서로 끼워져 수평방향으로 빠지지 않기 때문에 비스듬하게 공급되도록 구성하였던 것인데 그 육묘상자의 공급을 유도하는 경사면이 공급방향에만 주어져 있기 때문에 많이 쌓지를 못하는 것이다.
셋째, 벨트 컨베이어가 2개로 나뉘어져 있어서 벨트의 긴장도나 회전속도가 맞지 않으면 육묘상자가 한쪽에서 정체를 일으켜 흙의 양이나 관수량 또는 볍씨 산파량이 맞지 않게 되는 일이 있다.
넷째, 파종기가 정치형이므로 정해진 장소에서만 작업할 수밖에 없으며, 장소를 달리할 경우에는 트럭에 옮겨 실어 운반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양의 물을 뿌려주어도 육묘와 이앙시에 수작업을 할 때와 같이 불량률이 없게 하면서 완전한 자동화를 이루게 하여 높은 작업성을 갖도록 하고 육묘상자를 10개 이상 쌓을 수 있으며 투여량의 적정화와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상자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상토가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그 배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자동파종기 사시도이며, 도 6은 그 상자투입기 종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의 홉퍼들 내부에 있는 솔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체인 컨베이어, 2: 길이방향 프레임, 4: 차륜, 5,6: 스프로킷, 7: 2줄의 체인, 8: 분할턱, 10: 긴장도 조절장치, 11: 연결로드, 12: 모터, 14a∼14d: 보조체인, 15: 상자공급장치, 15a: 가이드 프레임, 15b: 상자제한 프레임, 16: 상토홉퍼, 18: 상토가압장치, 20: 파종홉퍼, 22: 복토홉퍼, 24: 드럼, 25: 개구부, 31: 조정자, 32: 분무기, 33: 보조컨베이어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토 투입과 물뿌리기 및 볍씨 산파, 그리고 복토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행하되 대량으로 쌓인 육묘상자를 낱개씩 자동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상자공급장치를 설치하며, 육묘상자에 뿌려진 상토를 연속적으로 단단하게 눌러줄 수 있는 상토가압장치를 별도로 부가하고, 복수의 벨트 컨베이어와 복수의 모터구동 방식에서 하나의 체인 컨베이어 연동방식으로 바꾸면서 파종기 자체를 트랙터 등에 의하여 이동이 용이한 구조로 변경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토 투입과 볍씨 산파 및 복토는 물론 상토가압장치까지도 체인을 돌려주는 하나의 동력원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2줄의 체인간에 1개씩의 육묘상자를 안착시킬 수 있는 분할턱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연동되는 일련의 보조체인이 측면에 설치되며 후방에 차륜이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와, 이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쌓이는 육묘상자의 사방모서리를 여유있게 잡아줄 수 있도록 육묘상자의 공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쌓여있는 육묘상자 중에서 하단의 육묘상자가 상기 2줄의 체인에 의하여 낱개씩 공급되도록 한 상자공급장치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공급 중의 육묘상자에 상토를 뿌려주는 상토홉퍼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육묘상자 공급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묘상자 내의 상토를 눌러주는 드럼상의 상토가압장치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육묘상자의 가압된 상토 위에 볍씨를 뿌려주는 파종홉퍼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산파된 볍씨 위에 물을 뿌려주는 분무기, 그리고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육묘상자에 최종적으로 흙을 뿌려 복토를 행하는 복토홉퍼를 구비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파종기 사시도이다. 체인 컨베이어(1)는 길이방향 프레임(2)들에 의하여 긴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방인 왼쪽에는 4개의 다리(3)가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고 있는데 반하여 후방인 오른쪽은 차륜(4)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체인 컨베이어(1)는 동축상에 설치된 2개씩의 스프로킷(5,6)이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어 그 전후방의 스프로킷(5,6) 간에 2줄의 체인(7)이 무한궤도 형식으로 평행을 이루며 감겨져 있다. 이 2줄의 체인(7)은 체인 컨베이어(1)의 윗부분으로 지나가는 부분이 컨베이어(1)의 길이방향 프레임(2) 상면를 수평으로 미끄러지면서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줄의 체인(7) 외면에는 여러 개의 분할턱(8)이 등간격으로 가로질러 용접되어 있다. 이 분할턱(8)들은 육묘상자(9) 전후의 모서리 부분을 잡아줄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1)의 차륜(4)이 있는 후방 양쪽에는 체인이 느슨해질 때 그 긴장도를 조정하기 위한 긴장도 조절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긴장도 조절장치(10)는 실린더 내에 장볼트가 관통하면서 체결된 것으로서 실린더는 체인 컨베이어(1)의 길이방향 프레임(2)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장볼트의 일단은 후방의 스프로킷(6)축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때 장볼트는 스프로킷(6)축이 회전되도록 고정된다.
체인 컨베이어(1)의 전방에서 다리(3) 양쪽에는 트랙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로드(11)가 뻗쳐 있다. 체인 컨베이어(1)의 전방을 들어 연결로드(11)를 트랙터의 후방으로 돌출된 훅에 걸면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리(3) 사이에는 교류 모터(12)와 감속기(13)가 설치되어 있고 감속기(13)는 2줄의 체인(7)에서 전방의 스프로킷(5)축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조체인(14a,14b,14c,14d)은 길이방향 프레임(2)의 한쪽 측면에 4개가 연속해서 설치된다. 그 하나는 상자공급장치(15)측의 스프로킷(5)축과 상토홉퍼(16) 하부에서 상토홉퍼(16)의 롤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해 설치된 풀리(17)축 사이에 감겨 있고, 이 상토홉퍼(16)측의 풀리(17)축과 상토가압장치(18)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스프로킷(19)축 사이에 감겨 있으며, 상토가압장치(18)측의 스프로킷(19)축과 파종홉퍼(20)측의 풀리(21)축, 그리고 파종홉퍼(20)측의 풀리(21)축과 복토홉퍼(22)측의 풀리(23)축 간에 각각 감겨 있는데, 이러한 보조체인(14a,14b,14c,14d)은 각 축(5,17,19,21,23)에 2중으로 병설된 스프로킷에 의하여 연동한다.
도 2는 상자공급장치와 그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자공급장치(15)에는 육묘상자(9)를 수직방향으로 쌓았을 때 전후방에서 육묘상자(9)들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15a)이 육묘상자 공급방향으로 약 75°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15a)은 약 20개 이상 쌓이는 육묘상자(9)가 요동하지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네 모서리가 서로 안쪽을 향하여 기역자형 단면을 이루고 있다. 이 가이드 프레임(15a) 중에서 후방쪽, 즉 상토홉퍼(16)쪽의 가이드 프레임(15a) 하부에는 상자제한 프레임(15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자제한 프레임(15b)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할턱(8)보다 높은 위치를 갖는 것으로서, 1개의 육묘상자(9)만이 여유 있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분할턱(8)과 분할턱(8) 사이에 있는 육묘상자(9)가 상자제한 프레임(15b)을 지나간 후에는 제2층의 육묘상자가 후속하는 분할턱(8) 사이로 내려앉게 되는 일련의 동작을 간헐적으로 계속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상토가압장치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토가압장치(18)는 폭방향으로 180°구간이 열려진 드럼형태의 가압롤러이다. 드럼(24)의 열려진 개구부(25)는 지나가는 육묘상자(9a)와 육묘상자(9b),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분할턱(8)과 드럼(24)이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드럼(24)의 중심축은 브래킷(25a)에 의하여 가로방향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25a)은 중간이 관절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역자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중간을 힌지로 연결하고 있으며 드럼(24)에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스프링(26)으로 당겨져 있다. 드럼(24)의 중심축에는 풀리(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풀리(27)는 가로방향 프레임(2)에 설치된 풀리(28)와 벨트로 연결되어 있고, 벨트의 중간에는 브래킷(25a)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아이들러(29)에 의하여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당겨지고 있다.
풀리(28)축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로킷(19)축과 연결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로킷(19)과 풀리(28)의 양 축이 기어(30a,30b)에 의하여 맞물려 있다. 그래서 드럼(24)의 회전방향은 2줄의 체인(7) 또는 보조체인(14a∼14d)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를 이룬다. 또한 드럼(24)의 개구부(25) 일측에는 각각 선단이 드럼(24)의 접선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며 드럼(24)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용접되어 있는 조정자(31)가 있다. 이 조정자(31)는 드럼(24)의 비정상적인 회전으로 말미암아 분할턱(8)이 개구부(25)의 정중앙에 오지 않았을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동작 중에 분할턱(8)의 측면끝(도 3에서 오른쪽 상단 모서리)과 조정자(31) 사이에 작은 갭이 생기게 되면 분할턱(8)이 조정자(31)를 약간 밀어주어 조정자(31)가 항상 정위치에 오도록 만든다.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상토홉퍼(16)와 파종홉퍼(20) 및 복토홉퍼(22) 등은 그 구조 자체가 반자동의 부분적인 파종을 위해 만들어진 공용의 것이지만 각각 전자동화된 본 고안의 체인 컨베이어(1)의 적정위치에 설치하여 보조체인(14a∼14d)으로 작동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그러니까 상토홉퍼(16)와 복토홉퍼(22)에는 흙을, 파종홉퍼(20)에는 볍씨를 각각 넣을 수 있는 것인데, 이 각각의 홉퍼 내에는 내용물을 서서히 내려오게 할 수 있는 롤러(미도시)가 하부 중앙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 각각의 홉퍼가 가지는 롤러의 축에 풀리를 설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체인(14a∼14d)측의 각각의 풀리(17,21,23)축과 벨트로 연결하고 있다. 분무기(32)는 파종홉퍼(20)와 복토홉퍼(22)의 사이에서 체인 컨베이어(1) 상에 고정시킨 것으로, 물 또는 물과 농약을 선택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파종기의 이동은 체인 컨베이어(1)의 전방을 들어서 연결로드(11)를 트랙터의 후방에 있는 훅에 걸면 후방이 차륜(4)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예시한 보조컨베이어(33)는 무동력의 롤러 컨베이어로서,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업과정을 설명한다. 도 1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20개 이상의 육묘상자(9)를 상자공급장치(15)의 가이드 프레임(15a) 사이에 적층시킨다. 모터(12)를 구동시키면 그 동력이 감속기(13)를 거쳐 2줄의 체인(7)과 보조체인(14a∼14d)에 공히 전달된다. 그러면 상자공급장치(15)측의 분할턱(도 2에서 오른쪽에 연장된 부분으로 도시되지 않음)과 분할턱(8a) 사이에 끼워져 있던 1번째의 육묘상자(9a)가 도 2와 같이 2줄의 체인(7)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1번째 육묘상자(9a)의 왼쪽 분할턱(8a)이 상자제한 프레임(15b)쪽에 가까워질 때 2번째 육묘상자(9b)는 왼쪽이 다음 분할턱(8b) 내로 내려앉는다. 왼쪽 분할턱(8a)이 상자제한 프레임(15b)을 막 지나면 2번째 육묘상자(9b)의 오른쪽이 내려앉아 1번째 육묘상자(9a)와 같은 순서를 밟게 된다.
위와 같이 하여 공급되는 육묘상자(9,9a,9b)는 상토홉퍼(16)를 지나면서 그 위에 상토가 비교적 두껍게 뿌려지고, 다시 상토가압장치(18)를 지날 때 상토가 드럼(24)에 의하여 눌려진다. 드럼(24)은 자중과 스프링(26)의 인장력에 의하여 하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고 보조체인(14b)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육묘상자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토는 비교적 단단하게 눌려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종홉퍼(20)를 지나 볍씨가 상토 위에 뿌려지면 분무기(32)에서 그 위에 물을 살짝 뿌려주게 된다. 이때의 관수량은 볍씨가 발아하기에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양이며 흙을 덩어리지도록 하기 위해 흠뻑 적시는 양이 아니다. 분무기(32)를 거친 육묘상자는 복토홉퍼(22)에서 얇게 복토된 후에 도 1에서 예시한 보조컨베이어(33)까지 도달한 다음 작업자의 손에 의하여 한쪽으로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육묘상자를 20개 이상 대량으로 안전하게 쌓아 순차적으로 자동공급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며, 상토가압장치에 의하여 상토를 눌러주므로 흙(상토)이 단단해져서 적은 양의 물을 뿌려주어도 육묘와 이앙시에 수작업을 할 때와 같이 불량률이 없어진다. 또 하나의 동력으로 모든 요소들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서 완전한 자동화를 이루게 되며, 그로 인해 공급계에 부하가 걸리는 오차발생이 없어서 투여량의 많거나 적어지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트랙터에 의한 이동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곳(못자리 근처 등)에서 작업할 수 있어 인력소모와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2줄의 체인간에 1개씩의 육묘상자를 안착시킬 수 있는 분할턱이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에 의하여 연동되는 일련의 보조체인이 측면에 설치되며 후방에 차륜이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와,
    이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쌓이는 육묘상자의 사방모서리를 여유있게 잡아줄 수 있도록 육묘상자의 공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쌓여있는 육묘상자 중에서 하단의 육묘상자가 상기 2줄의 체인에 의하여 낱개씩 공급되도록 한 상자공급장치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공급 중의 육묘상자에 상토를 뿌려주는 상토홉퍼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육묘상자 공급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육묘상자 내의 상토를 눌러주는 드럼상의 상토가압장치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육묘상자의 가압된 상토 위에 볍씨를 뿌려주는 파종홉퍼와,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산파된 볍씨 위에 물을 뿌려주는 분무기,
    그리고 상기 체인 컨베이어 상에서 상기 보조체인의 동력전달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육묘상자에 최종적으로 흙을 뿌려 복토를 행하는 복토홉퍼를 구비하는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KR2019980025525U 1998-12-18 1998-12-18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KR200000125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25U KR20000012528U (ko) 1998-12-18 1998-12-18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25U KR20000012528U (ko) 1998-12-18 1998-12-18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28U true KR20000012528U (ko) 2000-07-05

Family

ID=6950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525U KR20000012528U (ko) 1998-12-18 1998-12-18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5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286A (zh) * 2018-04-02 2018-07-27 广东海洋大学 一种甘蔗智能排种种植装备
CN108738895A (zh) * 2018-08-28 2018-11-06 庞自强 一种用于蜂窝育苗袋填土的传送装置以及蜂窝育苗袋育苗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286A (zh) * 2018-04-02 2018-07-27 广东海洋大学 一种甘蔗智能排种种植装备
CN108738895A (zh) * 2018-08-28 2018-11-06 庞自强 一种用于蜂窝育苗袋填土的传送装置以及蜂窝育苗袋育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489139U (zh) 一种果园双行开沟施肥机
JP6019897B2 (ja) 育苗方法
JP2014027902A5 (ko)
KR20000012528U (ko) 육묘상자 자동파종기
CN109831944A (zh) 折叠式智能化机采棉精量播种机
CN105612873B (zh) 预切种式甘蔗种植机同步装置
CN205567038U (zh) 预切种式甘蔗种植机同步装置
KR960009480B1 (ko) 자동 파종 시스템
KR0140109B1 (ko) 자주식 용토 혼합/산포 장치
JPH0132504Y2 (ko)
JPH0137368Y2 (ko)
JP2512280Y2 (ja) 播種装置
JPH08140443A (ja) 砂糖黍種苗の植付機に於ける肥料散布装置
KR100556712B1 (ko)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JP3111570B2 (ja) 播種機
JP3097325B2 (ja) 育苗用播種機
JP6361713B2 (ja) 育苗方法
JPS601532Y2 (ja) 手動条播種機
JP2907720B2 (ja) 多用途播種プラント
KR20000005063U (ko) 파종기
JPH07322716A (ja) 多用途播種プラント
JPS6332619Y2 (ko)
JP3219817B2 (ja) 豆若野菜の刈取収穫装置
JPH08256547A (ja) 育苗容器による播種育苗方法における施肥方法および播種施肥装置
JPH05168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