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712B1 -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 Google Patents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712B1
KR100556712B1 KR1020040029902A KR20040029902A KR100556712B1 KR 100556712 B1 KR100556712 B1 KR 100556712B1 KR 1020040029902 A KR1020040029902 A KR 1020040029902A KR 20040029902 A KR20040029902 A KR 20040029902A KR 100556712 B1 KR100556712 B1 KR 10055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film
soil
convey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573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그린
Priority to KR102004002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71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2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에 대해 덤핑 회동하는 덤프프레임과, 상기 덤프프레임을 덤핑 회동시키는 덤핑실린더를 갖는 이동차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필름권취롤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권취롤에서 필름을 인출하여 지면에 밀착시키는 필름인출롤과, 상기 필름인출롤을 지면에 접근 및 이격 승강시키는 필름롤승강유닛을 갖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전방상부에 지지되는 용토수용호퍼와, 상기 용토수용호퍼 하부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덤프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토수용호퍼에서 배출되는 용토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용토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감속모터를 갖는 용토공급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어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을 수용하는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물을 적정량씩 배출시키는 혼합물배출롤과, 상기 혼합물배출롤을 회전시키는 혼합롤구동모터를 갖는 혼합물구동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으로 이송되는 용토 및 상기 배출되는 혼합물을 수령하는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호퍼 내에서 상기 용토와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축과, 상기 교반날개축을 회전시키는 교반축구동모터와, 상기 교반호퍼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된 용토와 혼합물을 수령 받아 상기 지면에 깔리는 필름 상부면으로 낙하시키는 교반물배출컨베이어와, 상기 교반물배출컨베이어를 구동 시키는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을 갖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호퍼의 후방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면에 깔리는 필름을 사이에 두고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용토다짐롤과; 상기 덤핑실린더의 구동을 조작하는 덤핑실린더조작부와, 상기 필름롤승강유닛의 구동을 조작하는 필름롤승강조작부와, 상기 컨베이어구동감속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용토컨베이어조작부와, 상기 교반축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교반모터조작부를 갖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용토와 씨앗 및 비료가 혼합된 교반물이 필름의 상부면에 균일한 두께와 양으로 산포되도록 하여 초본식물의 생성영역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기기의 부하를 줄여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가 제공된다.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덤프, 필름, 용토, 씨앗

Description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Seeding machine for Carpet type Plant Sod}
도 1은 종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D" 영역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5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우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덤핑 동작을 도시한 우측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A"영역 필름롤승강유닛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의 "B"영역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C"영역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초본식물 파종영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초본식물 파종기를 이용하여 재배된 카페트형 잔디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필름 5 : 용토
7 : 혼합물 10 : 이동차
13 : 적재프레임 15 : 덤프프레임
17 : 덤핑실린더 20 : 필름공급부
21 : 필름권취롤 23 : 필름인출롤
27 : 필름롤승강유닛 30 : 용토공급부
31 : 용토수용호퍼 33 : 용토배출컨베이어
35 : 용토컨베이어구동유닛 40 : 혼합물공급부
41 : 혼합물수용호퍼 43 : 혼합물배출롤
45 : 혼합롤구동유닛 50 : 교반부
51 : 교반호퍼 52 : 교반날개축
53 : 교반축구동유닛 55 : 교반물배출컨베이어
56 :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 58 : 교반물배출댐퍼
71 : 용토다짐롤 80 : 조작부
81 : 덤핑실린더조작부 83 : 필름롤승강조작부
85 : 용토컨베이어조작부 87 : 교반모터조작부
본 발명은,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잔디구장이나 골프장 및 공원 등에 잔디 등과 같은 초본식물을 조성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자라있는 초본식물을 떼어 해당 장소에 떼를 입히는 방법과, 초본식물을 조성할 지면에 적절한 토양을 조성한 후 초본식물의 씨앗을 뿌려서 장기간 직접 재배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초본식물 조성 방법 중 전자는 운반 및 이식 조건에 따라 초본식물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고, 후자는 많은 시간 및 경비 및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농장에서 미리 재배된 카페트형 초본식물을 해당 장소로 운반하여 초본식물을 단시간에 조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카페트형 초본식물의 재배방법은 평탄한 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합성수지 필름을 소정의 길이만큼 깔고, 필름상부면 전 영역에 균일한 두께로 용토를 깔아 산포시킨 후,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고, 소정의 기간 동안 비료와 용수를 공급하여 초본식물을 재배하도록 되어 있다.
이 카페트형 초본식물은 소정의 재배기간이 지나면 하협과 뿌리가 상호 엉김으로써 필름 상부의 용토 층을 완전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용토와 초본식물은 도 13b와 같이, 필름 상부에 소정 규격의 카페트형태로 분리되고, 분리된 용토와 초본식물은 운동장이나 골프장 정원 등의 필요한 장소로 운반되어 해당장소에 깔아주기만 함으로써, 해당 장소에 손쉽게 초본식물을 조성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카페트형 초본식물의 재배방법은 필름을 지면에 까는 작업에서부터 필름 상부면에 용토를 적정두께로 산포시키는 작업 및 용토에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는 것과 비료공급 등의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본식물 파종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01)를 개발하여 특허출원(출원번호 : 제10-2003-33464호)한 바 있다.
이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01)는 이동차(110)의 적재부(113)에 마련된 용토수용호퍼(131)와 혼합물수용호퍼(141)에 각각 용토(105)와 혼합물(107)(초본식물 씨앗과 비료)을 채우고, 필름권취롤(121)에 필름(103)을 권취한 후, 이동차(110)를 농지의 파종영역으로 직선 운행하면, 운행방향을 따라 지면에 필름(103)이 자동적으로 깔리게 된다.
그리고, 용토수용호퍼(131)에 수용된 용토(105)는 용토배출컨베이어(133)에 의해 교반호퍼(151)로 공급되고, 혼합물수용호퍼(141)에 수용된 초본식물 씨앗과 비료는 교반호퍼(151)로 공급되어 용토(105)와 혼합된다. 혼합된 용토와 초본식물 씨앗 및 비료는 다시 교반물공급컨베이어(155)에 의해 필름(103)의 상부면에 지속적으로 자동 공급되어 깔리게 된다.
즉, 필름(103)을 지면에 까는 작업에서부터 필름(103) 상부면에 용토(105)를 적정두께로 산포시키는 작업 및 용토(105)에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는 것과 비료 공급 등의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여 초본식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01)는 교반물공급컨베이어(155)에서 필름(103)의 상부면으로 낙하하는 높이가 비교적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교반호퍼(151)에서 혼합된 교반물(용토(105)에 초본식물 씨앗과 비료가 혼합된 것)이 필름(103) 상부면에 산포될 때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층("E")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물결층("E")은 용토다짐롤(171)에 의해 다져지지만, 물결층("E")에 산포된 씨앗과 비료가 용토다짐롤(171)의 다짐 작용시 전방으로 밀려서 산포위치가 변경된다. 이에 의해, 용토(105)가 다져지고 난 후에는 물결층("E")이 형성되었던 자리에 도 4의 "F"영역과 같이, 씨앗이 남아 있지 않게 되어 초본식물 재배 영역이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01)는 용토배출컨베이어(133)와 혼합물수용호퍼(141) 내부에 마련되는 혼합물배출롤(143) 및 교반호퍼(151) 내부에 마련되는 교반날개(152) 등을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161) 등을 이용하여 이동차(110)의 바퀴(119)와 연동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력에 있어 많은 부하가 발생되어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토와 씨앗 및 비료가 혼합된 교반물이 필름의 상부면에 균일한 두께와 양으로 산포되도록 하여 초본식물의 생성영역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기기의 부하를 줄여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있어서,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에 대해 덤핑 회동하는 덤프프레임과, 상기 덤프프레임을 덤핑 회동시키는 덤핑실린더를 갖는 이동차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필름권취롤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권취롤에서 필름을 인출하여 지면에 밀착시키는 필름인출롤과, 상기 필름인출롤을 지면에 접근 및 이격 승강시키는 필름롤승강유닛을 갖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전방상부에 지지되는 용토수용호퍼와, 상기 용토수용호퍼 하부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덤프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토수용호퍼에서 배출되는 용토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용토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감속모터를 갖는 용토공급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어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을 수용하는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물을 적정량씩 배출시키는 혼합물배출롤과, 상기 혼합물배출롤을 회전시키는 혼합롤구동모터를 갖는 혼합물구동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으로 이송되는 용토 및 상기 배출되는 혼합물을 수령하는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호퍼 내에서 상기 용토와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축과, 상기 교반날개축을 회전시키는 교반축구동모터와, 상기 교반호퍼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된 용토와 혼합물을 수령 받아 상기 지면 에 깔리는 필름 상부면으로 낙하시키는 교반물배출컨베이어와, 상기 교반물배출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을 갖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호퍼의 후방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면에 깔리는 필름을 사이에 두고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용토다짐롤과; 상기 덤핑실린더의 구동을 조작하는 덤핑실린더조작부와, 상기 필름롤승강유닛의 구동을 조작하는 필름롤승강조작부와, 상기 컨베이어구동감속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용토컨베이어조작부와, 상기 교반축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교반모터조작부를 갖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덤프프레임은 상기 이동차의 적재프레임 상부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용토수용호퍼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이동차의 적재공간 후방영역에서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교반호퍼를 적재하는 후방프레임부를 가지며;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의 경계영역이 상기 이동차의 적재프레임 후단부 영역에 마련된 덤핑회동축을 중심으로 덤핑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혼합롤구동모터는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DC모터로 마련되며, 상기 혼합물구동모터의 인접영역에는 상기 혼합물구동모터의 구동 및 회전수를 조작하는 혼합롤구동제어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교반부의 교반호퍼 내에 설치되는 교반날개축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교반축구동모터는 상기 양 교반날개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고, 상기 양 교반날개축은 상호 연동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차의 바퀴 중 어느 하나의 바퀴축에 결합되는 원동스프로킷과, 상기 이동차의 적재프레임 후방에 결합되는 중간스프로킷과, 상기 원동스프로킷과 상기 중간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원동체인을 갖는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와; 상기 중간스프로킷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구동력전달스프로킷과, 상기 교반물배출컨베이어의 컨베이어축에 결합되는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과, 상기 구동력전달스프로킷과 상기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교반컨베이어구동체인을 갖는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와; 상기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의 상기 중간스프로킷 회전축과, 상기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의 상기 구동력전달스프로킷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 구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방향전환기어를 갖는 구동방향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양단부가 상기 교반호퍼의 후방 하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물배출컨베이어 사이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교반물최종배출구를 자중에 의해 개폐하는 교반물배출댐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우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덤핑 동작을 도시한 우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는 덤프프레임(15)을 갖는 이동차(10)와, 이동차(10)의 덤프프레임(15) 후방 영역에 마련되어 지면(4)에 필름(3)이 깔리도록 공급하는 필름공급부(20)와, 이동차(10)의 덤프프레임(15) 상에 마련되어 지면(4)에 깔린 필름(3) 상부면에 용토(5)를 공급하는 용토공급부(30)와, 용토(5)에 초본식물(8) 씨앗과 비료의 혼합물(7)을 공급하는 혼합물공급부(40)와, 용토(5)와 혼합물(7)이 필름(3) 상부면으로 공급되기 전에 골고루 섞이도록 교반시키는 교반부(50)와, 이동차(10)의 후방에 마련되어 필름(3)에 공급된 용토(5)를 다져주는 용토다짐부(70)와, 이동차(10)의 운행과 후술할 용토공급부(30) 및 혼합물공급부(40) 그리고 교반부(50)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80)를 포함한다.
이동차(10)는 전방에 운전석(11)과 엔진(16)이 설치되어 있고, 운전석(11)의 후방에 적재프레임(13)이 형성되어 있는 트랙터 형태의 차량으로 마련되며, 적재프레임(13)에는 소정의 각도로 덤핑 회동하는 덤프프레임(15)과, 덤프프레임(15)을 덤핑 회동시키는 덤핑실린더(17)가 설치되어 있다.
덤프프레임(15)은 이동차(10)의 적재프레임(13) 상부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후술할 용토수용호퍼(31)를 적재하는 전방프레임부(15a)와, 이동차(10)의 적재공간 후방영역에서 후술할 혼합물수용호퍼(41)와 교반호퍼(51)를 적재하는 후방프레임부(15b)를 갖는 틀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덤프프레임(15)은 전방프레임부(15a)와 후방프레임부(15b)의 경계부분이 이동차(10)의 적재프레임(13) 후단부 영역에 마련된 덤핑회동축(13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덤핑실린더(17)는 운전석(11)에 인접한 적재프레임(13)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부(15a)의 전방 하부영역을 상향 가압함으로써 덤프프레임(15)을 덤핑회동축(13b)을 중심으로 덤핑 회동시킨다. 덤프프레임(15)이 덤핑 회동되면, 덤핑회동축(13b)을 중심으로 전방프레임부(15a)는 상향 회동하게 되고 후방프레임부(15b)는 지면(4)을 향해 하향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차(10)는 운행경로 상에 바퀴의 흔적이 비교적 적게 남고, 지면(4)의 평탄도를 저해하지 않도록 바퀴의 형태가 무한궤도 형태인 트랙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동차(10)의 전방에 엔진(16)을 설치하는 것은 이동차(10) 후방의 덤프프레임(15)에 적재되는 용토수용호퍼(31)에 의해 하중이 이동차(10)의 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차(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필름공급부(20)는 필름(3)이 권취되어 있는 필름권취롤(21)과,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3)을 인출하여 지면(4)에 밀착시키는 필름인출롤(23), 필름인출롤(23)의 전방에서 이동차(10)의 바퀴(19)에 의해 흐트러진 지면(4)을 고르는 지면정돈롤(25)과, 필름인출롤(23) 및 지면정돈롤(25)을 지면(4)에 접근 및 이격 되도록 소폭 승강 회동시키는 필름롤승강유닛(27)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름권취롤(21)은 덤프프레임(15)의 후방프레임부(15b) 하부에 마련된 권취롤지지부(15c)에 착탈 및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권취롤지지부(15c)는 후방프레임부(15b) 하부 양측에 상호 대향하게 마련된 권취롤지지편(15d)과, 양단부가 양 권취롤지지편(15d)에 지지되어 필름권취롤(21)을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권취롤지지축(15e)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권취롤지지축(15e)은 필름권취롤(21)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길이방향(이동차(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소폭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름(3)의 인출 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3) 인출 위치의 교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권취롤지지축(15e)의 적어도 양단부가 권취롤지지편(15d)에 나선 체결되도록 하고, 권취롤지지편(15d)의 일측에 권취롤지지축(15e)을 회전시킬 수 있는 권취롤지지축회전핸들(15f)을 마련하면, 권취롤지지축회전핸들(15f)을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권취롤지지축(15e)이 나선회전에 의해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폭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필름권취롤(21)에 권취되는 필름(3)은 불투명 합성수지로서 흑색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4)에 이미 자리잡은 잡초의 씨 및 잡초의 뿌리로 햇볕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여 잡초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필름권취롤(21)에 권취된 필름(3)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3a)이 형성되어 있다.
필름인출롤(23)은 필름권취롤(21)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지면(4)에 구름 접촉하도록 양단부가 후술할 롤회동지지대(27a)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지면정돈롤(25)은 필름인출롤(23) 전방에서 지면(4)에 구름 접촉하도록 양단부가 후술할 롤회동지지대(27a)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면정돈롤(25)은 외주면에 다수의 솔이 마련된 브러시 형태로 마련된다.
필름롤승강유닛(27)은 도 9a 및 도 9b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인출롤(23)과 지면정돈롤(25)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소폭 승강 회동하는 롤회동지지대(27a)와, 롤회동지지대(27a)를 승강 회동시키는 롤지지대승강실린더(27b)로 이루어져 있다.
롤회동지지대(27a)는 그 중앙영역이 이동차(10)의 적재프레임(13) 후방하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13a)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롤지지대승강실린더(27b) 동작에 따라 상하 승강 회동함으로써, 필름인출롤(23)과 지면정돈롤(25)을 지면(4)으로부터 상향 이격 시키거나 지면(4)에 접촉시킨다.
여기서, 필름공급부(20)로부터 필름(3)이 인출되어 지면(4)에 깔리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이동차(10)의 운행 전에 필름롤승강유닛(27)을 구동시켜서 필름인출롤(23) 및 지면정돈롤(25)을 지면(4)으로부터 상승시킨 후 작업자가 권취롤지지부(15c)에 지지되어 있는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3)을 소정 길이만큼 인출한다. 그런 다음, 인출된 필름(3)이 필름인출롤(23)과 지면정돈롤(25) 사이를 통해 필름인출롤(23) 하부로 감아 돌게 한 후 후방으로 소정길이 인출한다. 이 상태에서 필름롤승강유닛(27)을 다시 구동시켜서 필름인출롤(23) 및 지면정돈롤(25)이 지면(4)에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동차(10)를 운행하면 필름인출롤(23)이 필름(3)을 가압하면서 이동차(10)의 운행방향으로 구름 작용함으로써,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3)이 인출되어 지면(4)에 깔리게 된다. 이때, 지면정돈롤(25)은 필름인출롤(23)의 전방에서 지면(4)을 고르게 된다.
용토공급부(30)는 덤프프레임(15)의 전방프레임부(15a)에 고정 설치되어 용토(5)를 수용하는 용토수용호퍼(31)와, 용토수용호퍼(31)의 용토(5)를 이동차(10)의 후방으로 이송하여 후술할 교반호퍼(51)로 공급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33)와, 용토배출컨베이어(33)를 구동시키는 용토컨베이어구동유닛(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토수용호퍼(31)는 하부 영역이 이동차(10)의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면을 갖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향경사면의 말단부에는 용토배출구가 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용토수용호퍼(31)에 수용되는 용토(5)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고, 식물뿌리의 성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자연토양 또는 인공토양이나 모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토배출컨베이어(33)는 용토수용호퍼(31)의 용토배출구 하부영역으로부터 교반호퍼(51)를 향하도록 전방프레임부(15a)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용토배출컨베이어(33)는 후방의 컨베이어축(33a)이 후술할 용토컨베이어구동유닛(35)의 감속기(35b)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들 용토수용호퍼(31)와 용토배출컨베이어(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프프레임(15)의 덤핑 회동 시 전방프레임부(15a)와 함께 소정의 각도로 상향 회 동된다. 이는 용토수용호퍼(31)로부터 배출되어 용토배출컨베이어(33)에 실려 교반호퍼(51)로 공급되는 용토(5)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용토컨베이어구동유닛(35) 전방프레임부(15a)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컨베이어구동모터(35a)와, 컨베이어구동모터(35a)의 구동력을 감속시켜 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후방 컨베이어축(33a)으로 전달함으로써 용토배출컨베이어(33)를 구동시키는 감속기(35b)로 구성된 컨베이어감속모터(35)로 마련되어 있다.
혼합물공급부(40)는 도 5와 도 7 및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 및 초본식물(8) 씨앗의 혼합물(7)을 수용하는 혼합물수용호퍼(41)와, 혼합물수용호퍼(41)의 내측에 설치되어 혼합물(7)을 적정량씩 배출시키는 혼합물배출롤(43)과, 혼합물배출롤(43)을 회전시키는 혼합롤구동유닛(45)을 갖는다.
혼합물수용호퍼(41)는 상부의 혼합물투입개구로부터 하부의 혼합물배출구(41a)를 향해 하향 경사진 통 형상을 가지고 덤프프레임(15)의 후방프레임부(15b)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혼합물배출구(41a)는 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폭에 거의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후술할 교반호퍼(51)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혼합물배출롤(43)은 혼합물배출구(41a)에 인접한 혼합물수용호퍼(41)의 내측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혼합물배출롤(43)의 외주면에는 혼합물수용호퍼(41) 내에 수용되는 혼합물(7)을 적정량 수령하여 교반호퍼(51)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혼합물수령홈(43a)이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혼합롤구동유닛(45)은 혼합물수용호퍼(41) 외측에서 혼합물배출롤(43)에 구동력 전달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DC모터로 마련되는 혼합롤구동모터(45a)와, 혼합물구동모터의 구동 및 회전수(RPM)를 조작하는 혼합롤구동제어기(45b)를 갖는다.
여기서, 혼합롤구동모터(45a)를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DC모터로 마련하는 것은 초본식물(8)의 종류에 따라 용토(5)에 공급되는 주기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잔디 등과 같이 식생 후에 용토(5)의 전 면적에 고루 산포되어야 할 초본식물(8)인 경우에는 혼합물배출롤(43)이 빠르게 회전하여 씨앗의 공급량이 많아지게 하고, 작은 목초 등과 같이 식생 후에 상호 적절한 간격을 두어야할 초본식물(8)인 경우에는 혼합물배출롤(43)이 저속으로 회전하여 씨앗의 공급량이 적어지게 함으로써, 씨앗의 공급간격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교반부(50)는 도 5와 도 7 및 도 8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토공급부(30) 및 혼합물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용토(5)와 비료 및 초본식물(8) 씨앗의 혼합물(7)을 수령하는 교반호퍼(51)와, 교반호퍼(51)로 공급되는 용토(5)와 혼합물(7)을 교반시키는 한 쌍의 교반날개축(52)과, 교반날개축(52)을 회전시키는 교반축구동유닛(53)과, 교반호퍼(51)에서 교반된 후 배출되는 용토(5)와 혼합물(7)의 교반물을 수령 받아 지면(4)에 깔리는 필름(3)의 상부면에 골고루 산포되도록 배출하는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와,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를 구동시키는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56)과, 교반호퍼(51)와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 의 사이영역 후방에 형성되는 교반물최종배출구(57)를 자중에 의해 개폐하는 교반물배출댐퍼(58)로 이루어져 있다.
교반호퍼(51)는 상부에 용토(5)와 혼합물(7)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령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필름(3) 폭에 대응하는 교반물배출구(51a)가 형성되어 있는 하향 경사진 통 형상을 갖는다. 이 교반호퍼(51)는 용토(5)와 혼합물(7)을 수령할 수 있도록 덤프프레임(15)의 후방프레임부(15b) 하부(교반호퍼(51)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양 교반날개축(52)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각각 교반호퍼(51)의 내부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교반날개(5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교반날개(52a)는 용토(5)와 혼합물(7)이 잘 섞일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틀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축구동유닛(53)은 교반호퍼(51)의 일측에 설치되어 양 교반날개축(52)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교반축구동모터(53a)와, 교반호퍼(51)의 타측에 설치되어 양 교반날개축(52)을 상호 연동회전 시키는 교반축연동부(53b)를 갖는다. 교반축연동부(53b)는 양 교반날개축(5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벨트풀리(53c)(혹은 체인스프로킷)와 양 벨트풀리(53c)를 연결하는 연동벨트(53d)(혹은 연동체인)로 구성할 수 있다.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는 교반호퍼(51)의 교반물배출구(51a) 하부에 설치된다. 이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는 지속적인 구동에 의해 교반호퍼(51)로부터 낙하되는 교반물을 필름(3)의 상부면에 균일한 양과 두께 및 균일한 면적으로 공급시킨 다.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5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10)의 바퀴(19)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 인접영역으로 전달하는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61)와,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61)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를 이동차(10)의 후방으로 구동시키는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63)와,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61)의 구동력을 회전 방향 전환하여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63)로 전달하는 구동방향전환부(65)를 갖는다.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61)는 이동차(10)의 바퀴(19) 중 어느 하나의 바퀴축(19a)에 결합되는 원동스프로킷(61a)과, 이동차(10)의 적재프레임(13) 후방에 결합되는 중간스프로킷(61b)과, 원동스프로킷(61a)과 중간스프로킷(61b)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원동체인(61c)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63)는 중간스프로킷(61b)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구동력전달스프로킷(63a)과,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의 컨베이어축에 결합되는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63b)과, 구동력전달스프로킷(63a)과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63b)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교반컨베이어구동체인(63c)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구동방향전환부(65)는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61)의 중간스프로킷(61b) 회전축과,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63)의 구동력전달스프로킷(63a)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 구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방향전환기어(65a)로 이루어져 있다. 이 구동방향전환부(65)는 이동차(10)의 운행 시 원동체인(61c)이 바퀴(19)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 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교반컨베이어구동체인(63c)에서 바퀴(19)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환시킴으로써,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가 이동차(10)의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교반물이 이동차(10)의 후방으로 배출됨으로써 보조작업자가 교반물의 배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교반물배출댐퍼(58)는 폭 방향 양단부가 교반호퍼(51)의 후방 하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교반물최종배출구(57)를 자중에 의해 개폐한다. 이 교반물배출댐퍼(58)는 교반물이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교반물을 필름(3)의 상부면에 균일한 두께와 양으로 산포시킨다.
용토다짐부(70)는 이동차(10)의 최후방(교반호퍼(51) 후방)에 승강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4)에 깔리는 필름(3)에 공급된 용토(5)를 다져주는 용토다짐롤(71)과, 용토다짐롤(71)을 승강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짐롤지지프레임(73)을 갖는다.
용토다짐롤(71)은 이동차(10)의 운행에 따라 필름상부면에 대해 구름 접촉하는 것으로서, 교반부(50)에서 초본식물(8) 씨앗 및 비료가 혼합되어 필름(3)의 상부면으로 공급된 용토(5)를 적정두께로 다져 준다.
다짐롤지지프레임(73)은 교반호퍼(51)의 후방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폭 방향으로 설치되어 용토다짐롤(71)을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다짐롤지지프레임(73) 유공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 회동시킬 수도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75) 등을 이용하여 지면(4)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조작부는 덤핑실린더(17)의 구동을 조작하는 덤핑실린더조작부(81)와, 필름롤승강유닛(27)의 롤지지대승강실린더(27b)의 구동을 조작하는 필름롤승강조작부(83)와, 용토컨베이어구동유닛(35)의 컨베이어구동모터(35a)의 구동을 조작하는 용토컨베이어조작부(85)와, 교반부(50)의 교반축구동모터(53a)의 구동을 조작하는 교반모터조작부(87)를 갖는다.
이들 조작부(80) 중 덤핑실린더조작부(81)와 필름롤승강조작부(83)는 적재프레임(13)의 일측 후방영역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덤프프레임(15)의 회동각도와 필름인출롤(23)의 회동상태를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용토컨베이어조작부(85)와 교반모터조작부(87)는 운전석(11)에 설치하여 이동차(10)의 운행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를 이용하여 카페트형 초본식물(8) 씨앗을 파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용토수용호퍼(31)와 혼합물수용호퍼(41)에 각각 용토(5)와 혼합물(7)(초본식물 씨앗 및 비료)이 적재되어 있는 이동차(10)를 초본식물(8) 씨앗 파종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필름인출롤(23)과 지면정돈롤(25)은 도 9a와 같이, 지면(4)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있으며, 권취롤지지부(15c)에는 필름(3)이 권취되어 있는 필름권취롤(21)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동차(10)를 초본식물(8) 씨앗 파종영역으로 이동시킨 다음에는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3)을 인출하여 필름인출롤(23)을 감아 돌게 한 후 용토다짐롤(71)의 하부를 거쳐 후방으로 연장시킨다.
그런 다음, 필름롤승강조작부(83)를 조작하여 도 9b와 같이, 필름인출롤(23)과 지면정돈롤(25)이 필름(3) 상부면에서 지면(4)에 접하도록 롤지지대승강실린더(27b)를 구동시키는 한편, 용토다짐롤(71)을 역시 필름(3) 상부면에서 지면(4)에 접하도록 하강시킨다. 그러면, 필름인출롤(23)과 용토다짐롤(71)이 필름(3)을 지면(4)에 밀착시키면서 필름(3)을 사이에 두고 지면(4)에 구름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필름(3)의 인출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덤핑실린더조작부(81)를 조작하여 롤지지대승강실린더(27b)를 상승 구동시킨다. 롤지지대승강실린더(27b)가 구동되면 덤프프레임(15)이 도 8과 같이 상향 회동한다. 그러면, 용토수용호퍼(31)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회동됨과 동시에 교반물최종배출구(57)가 지면(4)에 인접하도록 교반호퍼(51)가 하향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차(10)를 전방으로 직선 운행하면서 용토컨베이어조작부(85)와 교반모터조작부(87)를 조작하여 용토배출컨베이어(33) 및 교반날개축(52)을 구동시키고, 혼합롤구동제어기(45b)를 조작하여 혼합롤구동모터(45a)를 적절한 회전수로 구동시킨다. 이때,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는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61) 및 구동방향전환부(65)와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63)에 의해 전달되는 이동차(10)의 바퀴회전력을 전달받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10)의 전진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인 이동차(10)의 후방을 향해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로 이동차(10)가 운행되면 필름인출롤(23)과 용토다짐롤(71)이 이동차(10)의 운행방향으로 구름 이동하여 인출된 필름(3)을 가압함으로써,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3)이 자연스럽게 인출되고, 이동차(10)의 직선운행에 따라 필름(3)이 인출되면서 일직선상으로 지면(4)에 깔리게 된다.
그리고, 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구동에 의해 용토수용호퍼(31)에 수용된 용토(5)가 지속적으로 교반호퍼(51)로 이송 공급되는 한편, 혼합롤구동모터(45a)에 의한 혼합물배출롤(43)의 회전에 따라 혼합물수용호퍼(41)에 수용된 초본식물(8) 씨앗과 비료의 혼합물(7)이 적정량씩 교반호퍼(51)로 낙하 공급된다.
교반호퍼(51)로 공급된 용토(5) 및 초본식물(8) 씨앗과 비료의 혼합물(7)은 회전하는 교반날개축(52) 상호 교반 혼합되면서 교반호퍼(51) 하부의 교반물배출구(51a)로 낙하한다.
교반물배출구(51a)로 낙하되는 교반물(용토(5)와 초본식물(8) 씨앗 및 비료)은 교반물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이동차(10)의 후방으로 이동한 다음 교반물최종배출구(57)에 설치된 교반물배출댐퍼(58)에 의해 균일한 양과 폭으로 필름(3)의 상부면에 지속적으로 낙하 공급된다. 이때, 필름(3)으로 낙하되는 교반물은 덤프프레임(15)의 회동에 의해 도 11에 확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면(4)에 인접하는 교반물최종배출구(57)의 위치와 교반물배출댐퍼(58)의 단속에 의해 균일한 양으로 낙하됨으로써 필름(3)의 상부면에 물결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와 양으로 공 급된다.
지면(4)에 깔리는 필름(3)의 상부면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교반물은 이동차(10)의 운행에 따라 용토다짐롤(71)에 의해 다시 한번 균일한 두께로 다져지면(4)서 필름(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만큼 일직선상의 초본식물(8) 씨앗 파종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교반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결층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필름(3)의 상부면에 균일한 두께와 양으로 산포되기 때문에 용토다짐롤(71)에 의한 다짐 작용에도 씨앗 및 비료가 밀리거나 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필름(3) 상부면 전 영역에서 초본식물(8)이 균일한 간격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초본식물(8) 씨앗의 파종영역은 도 12와 같이, 상호 평행하게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초본식물 씨앗 파종기(1)를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A-1의 초본식물(8) 씨앗 파종영역을 형성한 다음 A-1의 일측에 A-2, A-3, A-4, A-n 영역의 초본식물(8) 씨앗 파종영역을 평행하게 인접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초본식물(8) 씨앗 파종영역에서는 소정의 기간 동안 주기적인 급수와 비료공급 등의 재배관리 과정을 거쳐 균일한 분포도를 갖는 양질의 초본식물(8)이 도 13a와 같이 조성된다. 이때, 초본식물(8) 씨앗 파종영역에 공급되는 급수는 적정량이 초본식물(8)의 성장에 사용되고 나머지 급수(장마철 빗물 포함)는 필름(3)에 형성된 배수공(3a)을 통해 지면(4)으로 흡수된다. 그리고, 필름(3) 상 부면의 용토(5)층에서 초본식물(8)이 자라면서 그 뿌리가 상호 엉킴으로써 용토(5)층과 초본식물(8)이 완전히 고정된다. 이에 의해, 초본식물(8)의 성장이 완료되면 도 13b와 같이, 필름(3)을 경계로 용토(5)층과 초본식물(8)층이 매트형태로 지면(4)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되고, 분리된 매트형태의 초본식물(8)과 용토(5)층은 롤 형태로 손쉽게 말아서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여 펴주기만 함으로써,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초본식물(8) 조성할 수 있다.
특히 축구장 및 야구장 등의 운동장이나 골프장 및 고급주택의 정원 등에 초본식물(8)인 잔디를 조성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를 이용하여 재배될 수 있는 초본식물(8) 중의 하나인 잔디를 이용할 경우 손쉽게 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차의 후방에 덤프프레임을 마련하여 용토수용호퍼와 교반호퍼를 덤핑 회동시킴으로써, 용토수용호퍼 및 용토배출컨베이어가 하향 경사지게 회동되어 용토가 교반호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교반물배출컨베이어의 후방에 형성되는 교반물최종배출구가 필름의 상부면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교반물의 낙하 높이가 최소화되어 교반물이 필름의 상부면에 물결층을 형성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와 양으로 낙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초본식물 재배 영역이 필름의 상부면 전 영역에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용토배출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모터와, 혼합물배출롤을 회전시키는 혼합롤구동모터 및 교반날개축을 회전시키는 교반축구동모터와, 교반물배출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이 각각 독립된 유닛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각 유닛의 구동력에 있어 많은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기기의 고장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토와 씨앗 및 비료가 혼합된 교반물이 필름의 상부면에 균일한 두께와 양으로 산포되도록 하여 초본식물의 생성영역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기기의 부하를 줄여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가 제공된다.

Claims (6)

  1.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있어서,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에 대해 덤핑 회동하는 덤프프레임과, 상기 덤프프레임을 덤핑 회동시키는 덤핑실린더를 갖는 이동차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필름이 권취되어 있는 필름권취롤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권취롤에서 필름을 인출하여 지면에 밀착시키는 필름인출롤과, 상기 필름인출롤을 지면에 접근 및 이격 승강시키는 필름롤승강유닛을 갖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전방상부에 지지되는 용토수용호퍼와, 상기 용토수용호퍼 하부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덤프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용토수용호퍼에서 배출되는 용토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와, 상기 용토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감속모터를 갖는 용토공급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어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을 수용하는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물을 적정량씩 배출시키는 혼합물배출롤과, 상기 혼합물배출롤을 회전시키는 혼합롤구동모터를 갖는 혼합물구동부와;
    상기 덤프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으로 이송되는 용토 및 상기 배출되는 혼합물을 수령하는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호퍼 내에서 상기 용토와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축과, 상기 교반날개축을 회전시키는 교반축구동모터 와, 상기 교반호퍼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된 용토와 혼합물을 수령 받아 상기 지면에 깔리는 필름 상부면으로 낙하시키는 교반물배출컨베이어와, 상기 교반물배출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을 갖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호퍼의 후방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면에 깔리는 필름을 사이에 두고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용토다짐롤과;
    상기 덤핑실린더의 구동을 조작하는 덤핑실린더조작부와, 상기 필름롤승강유닛의 구동을 조작하는 필름롤승강조작부와, 상기 컨베이어구동감속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용토컨베이어조작부와, 상기 교반축구동모터의 구동을 조작하는 교반모터조작부를 갖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덤프프레임은
    상기 이동차의 적재프레임 상부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상기 용토수용호퍼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이동차의 적재공간 후방영역에서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교반호퍼를 적재하는 후방프레임부를 가지며;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후방프레임부의 경계영역이 상기 이동차의 적재프레임 후단부 영역에 마련된 덤핑회동축을 중심으로 덤핑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롤구동모터는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DC모터로 마련되며, 상기 혼합물구동모터의 인접영역에는 상기 혼합물구동모터의 구동 및 회전수를 조작하는 혼합롤구동제어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의 교반호퍼 내에 설치되는 교반날개축은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교반축구동모터는 상기 양 교반날개축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고, 상기 양 교반날개축은 상호 연동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컨베이어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차의 바퀴 중 어느 하나의 바퀴축에 결합되는 원동스프로킷과, 상기 이동차의 적재프레임 후방에 결합되는 중간스프로킷과, 상기 원동스프로킷과 상기 중간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원동체인을 갖는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와,
    상기 중간스프로킷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구동력전달스프로킷과, 상기 교반물배출컨베이어의 컨베이어축에 결합되는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과, 상기 구동력전달스프로킷과 상기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교반컨베이어구동 체인을 갖는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와;
    상기 제1교반컨베이어구동부의 상기 중간스프로킷 회전축과, 상기 제2교반컨베이어구동부의 상기 구동력전달스프로킷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 구동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방향전환기어를 갖는 구동방향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양단부가 상기 교반호퍼의 후방 하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물배출컨베이어 사이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교반물최종배출구를 자중에 의해 개폐하는 교반물배출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KR1020040029902A 2004-04-29 2004-04-29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KR10055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902A KR100556712B1 (ko) 2004-04-29 2004-04-29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902A KR100556712B1 (ko) 2004-04-29 2004-04-29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573A KR20050104573A (ko) 2005-11-03
KR100556712B1 true KR100556712B1 (ko) 2006-03-10

Family

ID=3728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902A KR100556712B1 (ko) 2004-04-29 2004-04-29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1266A (zh) * 2018-06-07 2018-11-30 明光市涧溪镇桃花溪家庭农场 一种小麦种植用播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0998B (zh) * 2022-03-29 2022-10-28 佳木斯大学 一种基于农业发展的种植与施肥一体化操作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1266A (zh) * 2018-06-07 2018-11-30 明光市涧溪镇桃花溪家庭农场 一种小麦种植用播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573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5313A (en) Seeding machine
US3306239A (en) Method and means for transplanting
CN110140482A (zh) 一种带混料播种的复合作业机
CN107690889A (zh) 一种宽幅落种土种共播工艺及装置
JP2015043731A (ja) 田植機
JP6019897B2 (ja) 育苗方法
KR20180042609A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8139516A (ja) 育苗方法
KR20070097248A (ko) 종자 결파율이 개선된 종자 파종기
KR100556712B1 (ko)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JP2014027902A5 (ko)
KR101852841B1 (ko) 이동식 양파 씨앗 파종용 상토층 형성장치
CN114303709A (zh) 一种浅生种植的滴灌山药附属装置及栽培方法
KR100485914B1 (ko)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CN201938056U (zh) 一种水稻育秧、起秧机
KR0140109B1 (ko) 자주식 용토 혼합/산포 장치
JP2015043730A (ja) 播種育苗方法
KR100434389B1 (ko) 다용도 파종 장치
KR101945853B1 (ko) 고구마 정식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N216491948U (zh) 一种空沟山药种植收获一体机
KR200287446Y1 (ko) 다용도 파종 장치
JP2017006150A (ja) 田植機
JP2017006151A (ja) 田植機
CN215011530U (zh) 一种农业种植用的播种装置
JP2517917Y2 (ja) 芝苗床等敷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