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914B1 -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 Google Patents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914B1
KR100485914B1 KR10-2003-0033464A KR20030033464A KR100485914B1 KR 100485914 B1 KR100485914 B1 KR 100485914B1 KR 20030033464 A KR20030033464 A KR 20030033464A KR 100485914 B1 KR100485914 B1 KR 100485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ilm
soil
mixture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750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그린
Priority to KR10-2003-0033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91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4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clay, mud, fango, sand, kaolin clay, volcanic or other inorganic granula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97Plasters use eye pat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차와; 상기 이동차의 후방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짐롤지지프레임과, 상기 다짐롤지지프레임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용토다짐롤과, 상기 다짐롤지지프레임을 상하 승강 회동시키는 다짐롤승강실린더를 용토다짐부와; 상기 용토다짐롤의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필름권취롤과, 상기 필름권취롤로부터의 필름을 지면에 밀착시켜 상기 용토다짐롤로 안내하는 필름밀착롤과, 외주면에 다수의 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권취롤과 상기 필름밀착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는 필름천공롤을 갖는 필름공급부과; 상기 이동차의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용토를 수용하는 용토수용호퍼와, 상기 용토수용호퍼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용토를 수령하여 상기 필름공급부의 인접영역으로 이송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를 갖는 용토공급부와; 상기 용토수용호퍼의 후방에 설치되어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을 수용하여 상기 필름공급부의 인접영역으로 배출하는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의 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혼합물을 적정량씩 수령하여 배출시키는 혼합물수령홈이 형성되어 있는 혼합물배출롤을 갖는 혼합물공급부와; 상기 필름밀착롤과 상기 용토다짐롤 사이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용토공급부와 상기 혼합물공급부로부터 상기 용토와 상기 혼합물을 수령하는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호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토와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스크류와, 상기 교반호퍼의 배출구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물을 수령하여 지면에 깔리는 필름 상부면에 공급하는 교반물공급컨베이어를 갖는 교반부와; 상기 용토배출컨베이어와 상기 교반물공급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과, 상기 혼합물배출롤과 상기 교반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적은 인력과 시간으로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여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균일한 두께와 분포의 용토층 및 초본식물층을 형성할 수 있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Seeding machine for Carpet type Plant Sod}
본 발명은,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축구장 및 야구장 등의 운동장이나 골프장 및 고급주택의 정원 등에 초본식물(특히 잔디)를 조성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자라있는 초본식물을 떼어 필요로 하는 장소에 떼를 입히는 방법과, 해당 장소의 지면에 초본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한 후 초본식물 씨앗을 뿌려서 직접 재배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 초본식물조성 방법은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운반 및 이식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농장에서 미리 재배된 카페트형 초본식물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여 초본식물을 단시간에 조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카페트형 초본식물의 재배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평탄한 지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불투명합성수지 필름을 소정의 길이만큼 깔고, 필름상부면 전 영역에 균일한 두께로 용토를 갈아 산포 시킨 후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고, 비료와 용수를 공급하여 초본식물을 재배한다.
이렇게 재배된 카페트형 초본식물은 하협과 뿌리의 상호 엉김에 의하여 필름 상부의 용토층을 완전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용토와 초본식물은 필름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규격의 매트형태로 간단하게 분리되고, 분리된 용토와 초본식물은 운동장이나 골프장 정원 등의 필요한 장소로 운반되어 해당장소에 깔아주기만 함으로써 손쉽게 초본식물을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용토와 초본식물은 초본식물의 하협과 뿌리 엉김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이나 초본식물을 조성할 때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재배방법은 필름에 배수공을 형성하는 작업과, 필름을 지면에 일작선상으로 까는 작업과, 용토를 필름 상부면에 적정두께로 산포 시키는 작업을 비롯하여 용토에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는 것과 비료공급 등의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본식물 씨앗의 파종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어 생산성저하와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토의 두께와 초본식물 씨앗의 파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용토층과 초본식물분포가 균일하지 않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인력과 시간으로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여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균일한 두께와 분포의 용토층 및 초본식물층을 형성할 수 있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있어서, 이동차와; 상기 이동차의 후방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짐롤지지프레임과, 상기 다짐롤지지프레임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용토다짐롤과, 상기 다짐롤지지프레임을 상하 승강 회동시키는 다짐롤승강실린더를 용토다짐부와; 상기 용토다짐롤의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필름권취롤과, 상기 필름권취롤로부터의 필름을 지면에 밀착시켜 상기 용토다짐롤로 안내하는 필름밀착롤과, 외주면에 다수의 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권취롤과 상기 필름밀착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는 필름천공롤을 갖는 필름공급부과; 상기 이동차의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용토를 수용하는 용토수용호퍼와, 상기 용토수용호퍼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용토를 수령하여 상기 필름공급부의 인접영역으로 이송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를 갖는 용토공급부와; 상기 용토수용호퍼의 후방에 설치되어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을 수용하여 상기 필름공급부의 인접영역으로 배출하는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의 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혼합물을 적정량씩 수령하여 배출시키는 혼합물수령홈이 형성되어 있는 혼합물배출롤을 갖는 혼합물공급부와; 상기 필름밀착롤과 상기 용토다짐롤 사이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용토공급부와 상기 혼합물공급부로부터 상기 용토와 상기 혼합물을 수령하는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호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토와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스크류와, 상기 교반호퍼의 배출구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물을 수령하여 지면에 깔리는 필름 상부면에 공급하는 교반물공급컨베이어를 갖는 교반부와; 상기 용토배출컨베이어와 상기 교반물공급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과, 상기 혼합물배출롤과 상기 교반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토다짐롤 전방의 상기 이동차 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필름천공롤과 상기 필름밀착롤의 양단부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회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차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롤회동지지대를 승강회동시키는 필름롤승강실린더를 갖는 필름롤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름천공롤과 상기 필름밀착롤 사이영역에서 상기 필름밀착롤에 평행하게 구름 접촉하도록 상기 롤회동지지대에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필름인출롤과, 상기 필름인출롤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제1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차의 구동휠축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휠스프로킷과, 상기 용토베출컨베이어의 컨베이어롤러축 일단부에 결합된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휠스프로킷과 상기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컨베이어구동체인과, 상기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과 동축선 상에 결합되는 연결풀리와, 상기 교반물공급컨베이어 인접영역에서 동축선 상에 설치되는 가속풀리 및 가속스프로킷과, 상기 교반물공급컨베이어의 컨베이어축 일단부에 결합되는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과, 상기 연결풀리와 상기 가속풀리를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가속스프로킷과 상기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가속체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상기 혼합물배출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하는 혼합물배출롤의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롤스프로킷과,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한 상기 교반스크류의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교반스프로킷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동축선 상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원동스프로킷과, 상기 롤스프로킷과 상기 제1원동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롤구동체인과, 상기 교반스프로킷과 상기 제2원동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스크류구동체인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이동차의 전방 양측에 상하 승강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획유닛지지대와, 상기 각 구획유닛지지대의 전방영역에 후단부가 상기 이동차의 외측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설치된 한 쌍의 구획판과, 상기 각 구획판의 후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솔과, 상기 양 회전솔을 각각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솔모터를 갖는 구획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좌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는 이동차(10)와, 이동차(10)의 후방 영역에 마련되어 지면에 필름(9)이 깔리도록 공급하는 필름공급부(20)과, 지면에 깔린 필름(9) 상부면에 초본식물 씨앗의 식생을 위한 용토(3)를 공급하는 용토공급부(30)과, 용토(3)에 씨앗 및 비료의 혼합물(5)을 공급하는 혼합물공급부(40)과, 용토(3)와 혼합물(5)을 필름(9) 상부면으로 공급되기 전에 혼합시키는 교반부(50)과, 용토공급부(30)와 혼합물공급부(40) 및 교반부(5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60)와, 용토(3) 및 혼합물(5)의 공급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70)와, 이동차(10)의 후방에 마련되어 지면에 깔리는 필름(9)에 공급된 용토(3)를 다져주는 용토다짐부(80)와, 이동차(10)의 전방 양측에 마련되어 필름(9)의 폭 방향 양측 단부영역의 용토(3)를 필름(9)의 내측으로 쓸어 담아 인접하는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과 구획시키는 구획유닛(90)을 포함한다.
이동차(10)는 후방의 적재부(15)와 전방의 운전석(11)을 갖는 트랙터 형태의 차량으로 마련된다. 이동차(10)의 적재부(15)에는 후술할 용토공급부(30)를 비롯한 필름공급부(20) 및 혼합물공급부(40)와 교반부(50)가 설치되며, 운전석(11)에는 이동차(10) 및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컨트롤하기 위한 구동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동차(10)는 운행경로 상에 바퀴의 흔적이 비교적 적게 남을 수 있도록 바퀴의 형태가 무한궤도 형태인 트랙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공급부(2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9)을 권취하는 필름권취롤(21)과, 필름권취롤(21)에서 인출된 필름(9)의 판면에 다수의 배수공(도 9의 9a)을 형성하는 필름천공롤(23)과,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9)을 인출하는 필름인출롤(25)과, 인출된 필름(9)을 지면에 밀착시키는 필름밀착롤(27)과, 필름인출롤(25)과 필름밀착롤(27) 및 필름천공롤(23)을 소폭 승강 회동시키는 필름롤승강유닛(29)으로 이루어져 있다.
필름권취롤(21)은 이동차(10) 적재부(15) 후방 양측에 상호 대향하게 마련된 권취롤지지편(13)에 착탈 및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필름권취롤(21)에 권취되는 필름(9)은 불투명 합성수지로서 흑색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에 이미 자리잡은 잡초의 씨 및 잡초의 뿌리로 햇볕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여 잡초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필름천공롤(23)은 필름권취롤(21)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자유 회전하도록 양단부가 후술할 롤회동지지대(29a)에 지지되어 있다. 필름천공롤(23)의 외주면에는 필름(9)의 판면에 배수공(9a)을 형성하는 다수의 천공핀(23a)이 돌출 되어 있다. 필름권취롤(21)에서 인출된 필름(9)은 필름천공롤(23)을 감아 돌게 되는데, 이때, 천공핀(23a)이 필름(9)의 판면을 찔러서 다수의 배수공(9a)을 형성한다. 여기서, 천공핀(23a)의 직경은 배수공(9a)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초본식물의 뿌리가 필름(9)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그 직경이 0.5mm 내지 1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기타 여건에 따라 배수공(9a)의 크기 즉 천공핀(23a)의 직경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필름인출롤(25)은 필름천공롤(23)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필름밀착롤(27)과 구름접촉하도록 양단부가 후술할 롤회동지지대(29a)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필름인출롤(25)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작업자가 필름인출롤(25)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핸들(25a)이 마련되어 있다.
필름밀착롤(27)은 필름인출롤(25)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단부가 후술할 롤회동지지대(29a)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필름밀착롤(27)은 필름인출롤(25)과 접하게 배치되어 상호 구름 접촉함과 동시에 지면에 구름 접촉한다.
필름롤승강유닛(29)은 필름천공롤(23)과 필름인출롤(25) 및 필름밀착롤(27)을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소폭 승강 회동하는 롤회동지지대(29a)와, 롤회동지지대(29a)를 승강 회동시키는 필름롤승강실린더(29d)로 이루어져 있다.
롤회동지지대(29a)는 이동차(10)의 적재부(15) 후방하부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회동아암(29c)과, 양 회동아암(29c)을 일체로 연결하며 필름천공롤(23)과 필름인출롤(25) 및 필름밀착롤(27)을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지지대(29b)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필름롤승강실린더(29d)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이동차(10)의 일영역에는 도시 않은 유압공급기 또는 공압공급기가 설치되어 있다.
필름롤승강유닛(29)은 적어도 일측의 회동아암(29c)이 필름롤승강실린더(29d)에 의해 소폭으로 상하 회동하여 롤지지대(29b)를 회동시킴으로써, 필름천공롤(23)과 필름인출롤(25) 및 필름밀착롤(27)을 소폭 승강회동 시킨다.
여기서, 필름인출롤(25)에 의해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9)이 인출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이동차(10)의 운행 전에 도 6과 같이, 필름롤승강유닛(29)을 구동시켜서 필름천공롤(23)과 필름인출롤(25) 및 필름밀착롤(27)을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킨 후 작업자가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9)을 소정 길이만큼 인출한다. 그런 다음, 인출된 필름(9)이 필름천공롤(23)을 부분적으로 감아 돌도록 하여 필름인출롤(25)과 필름밀착롤(27) 구름접촉 부위로 필름(9)을 삽입한다. 그리고, 필름인출롤(25)의 회전핸들(25a)을 돌리면 필름인출롤(25)과 필름밀착롤(27)의 구름접촉영역으로 필름(9)이 빨려들게 된다. 그런 다음, 빨려든 필름(9)을 필름밀착롤(27) 하부로 감아 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필름밀착롤(27)을 지면에 구름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동차(10)를 운행하면 필름밀착롤(27)이 필름(9)을 가압하면서 이동차(10)의 운행방향으로 구름작용하면서 필름권취롤(21)에서부터 필름(9)을 끌어 당겨 인출한다.
용토공급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10)의 적재부(15)에 설치되어 초본식물 씨앗의 식생을 위한 용토(3)를 수용하는 용토수용호퍼(31)와, 용토수용호퍼(31)의 하부로 배출되는 용토(3)를 이동차(10)의 후방으로 이송하여 후술할 교반부(50)로 공급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33)로 이루어져 있다.
용토수용호퍼(31)는 적어도 하부 영역이 하향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단의 용토배출구(31a)는 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는 용토수용호퍼(31)에 수용된 용토(3)가 하향경사면을 따라 자유낙하하면서 용토배출구(31a)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용토배출구(31a)로 배출되는 용토(3)가 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상부면에 폭 방향으로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용토수용호퍼(31)에 수용되는 용토(3)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고, 식물뿌리의 성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자연토양 또는 인공토양이나 모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토배출컨베이어(33)는 용토수용호퍼(31)의 용토배출구(31a) 전방영역 및 교반부(50)에 인접한 영역과 이들 사이영역에 마련되는 복수의 컨베이어롤러(33a)와, 컨베이어롤러(33a)에 폐루프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측 판면에 다수의 용토이송리브(33c)가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송컨베이어(33b)로 이루어져 있다. 용토이송리브(33c)는 용토수용호퍼(31)의 용토배출구(31a)로 배출되는 용토(3)의 적정량을 이송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용토수용호퍼(31)의 용토배출구(31a) 영역에서 용토(3)가 뭉치는 것을 방지한다. 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구동은 후술할 구동부(60)의 제1구동유닛(61)에 의해 구동된다.
혼합물공급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5)을 수용하는 혼합물수용호퍼(41)와, 혼합물수용호퍼(4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혼합물(5)을 적정량씩 배출시키는 혼합물배출롤(43)을 갖는다.
혼합물수용호퍼(41)는 상부의 혼합물투입개구로부터 하부의 혼합물배출구(41a)를 향해 하향 경사진 통 형상을 가지고 용토수용호퍼(31)의 후방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혼합물투입개구에는 혼합물수용호퍼(41)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개폐커버(41b)가 마련된다. 그리고, 혼합물배출구(41a)는 필름(9)의 폭에 거의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혼합물배출롤(43)은 양단부가 혼합물수용호퍼(41)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로 혼합물배출구(41a)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혼합물배출롤(43)의 외주면에는 혼합물수용호퍼(41)에서 배출되는 혼합물(5)을 적정량 수령하여 교반부(50)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혼합물수령홈(43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혼합물배출롤(43)은 후술할 구동부(60)의 제2구동유닛(63)에 의해 회전된다.
교반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토공급부(30) 및 혼합물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용토(3)와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5)을 수령하는 교반호퍼(51)와, 교반호퍼(51)로 공급되는 용토(3)와 혼합물(5)을 교반시키는 교반스크류(53)와, 교반호퍼(51)로부터 배출되는 교반된 용토(3)와 혼합물(5)의 교반물(7)을 수령 받아 지면에 깔리는 필름(9) 상부면에 골고루 산포 되도록 공급하는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로 이루어져 있다.
교반호퍼(51)는 필름공급부(20)와 용토다짐부(80) 사이영역(용토배출컨베이어(33)의 후방 및 혼합물수용호퍼(41) 하부)에서 용토배출컨베이어(33)와 혼합물수용호퍼(41)로부터 용토(3)와 혼합물(5)을 수령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향 개구를 갖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교반호퍼(51)의 하부에는 필름(9)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교반물배출구(51a)가 형성되어 있다.
교반스크류(53)는 교반호퍼(51)의 내부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교반날개(53a)를 갖는다. 이 교반스크류(53)의 회전구동은 후술할 구동부(60)의 구동모터(63a)에 의해 구동한다.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는 교반호퍼(51)의 교반물배출구(51a) 하부에 설치된다. 이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는 배출되는 교반물(7)이 컨베이어 상부면에 낙하 할때, 지속적인 컨베이어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균일한 양으로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에서 필름(9)의 상부면으로 공급되는 교반물(7)이 균일한 양과 두께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는 후술할 구동부(60)의 제1구동유닛(61)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부(60)는 이동차(1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용토배출컨베이어(33)와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61)과, 혼합물배출롤(43)과 교반스크류(53)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유닛(63)을 갖는다.
제1구동유닛(6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10)의 일측으로 외향 연장된 이동차(10)의 구동휠축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휠스프로킷(61a)과, 이동차(10)의 일측으로 외향 연장된 컨베이어롤러(33a)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61b)과, 구동휠스프로킷(61a)과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61b)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컨베이어구동체인(61c)과,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61b) 전방에 결합되는 연결풀리(미도시)와,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 상부영역에서 동일축선상에 설치되는 가속풀리(미도시) 및 가속스프로킷(61f)과, 이동차(10)의 일측으로 외향 연장된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의 컨베이어축(미도시) 일단부에 결합되는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61g)과, 연결풀리(미도시)와 가속풀리(미도시)를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구동벨트(61h)와, 가속스프로킷(61f)과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61g)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가속체인(61j)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구동유닛(61)은 이동차(10)가 운행하면 구동휠스프로킷(61a)이 회전하여 컨베이어체인에 의해 연동하는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61b)을 회전시켜서 용토배출컨베이어(33)를 구동시킨다. 또한, 이동차(10)의 운행에 따라 구동력이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61b)과 동축선 상에 결합된 연결풀리(미도시)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이 구동벨트(61h)와 가속스프로킷(61f) 및 가속체인(61j)을 통해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61g)으로 전달되어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를 구동시킨다.
제2구동유닛(6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물공급부(4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3a)와, 구동모터(63a)에 인접하는 혼합물배출롤(43)의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롤스프로킷(63b)과, 구동모터(63a)에 인접한 교반스크류(53)의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교반스프로킷(63c)과, 구동모터(63a)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 및 제2원동스프로킷(63d,63e)과, 롤스프로킷(63b)과 제1원동스프로킷(63d)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롤구동체인(63f)과, 교반스프로킷(63c)과 제2원동스프로킷(63e)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스크류구동체인(63g)으로 이루어진다.
제2구동유닛(63)은 작업자가 운전석(11)에서 구동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구동모터(63a)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63a)의 회전력이 제1 및 제2원동스프로킷(63d,63e)과 롤구동체인(63f) 및 스크류구동체인(63g)을 통해 롤스프로킷(63b)과 교반스프로킷(63c)을 회전시킴으로써 혼합물배출롤(43)과 교반스크류(53)를 회전시킨다.
감시부(70)는 교반호퍼(51)의 인접영역에 설치되어 교반호퍼(51)의 내부를 감시하는 카메라(71)와, 운전석(11)에 설치되어 카메라(7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모니터(7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카메라(71)의 감시영역을 교반호퍼(51)내부로 하는 것은 교반호퍼(51)의 내부를 감시함으로써 용토(3)의 공급상태와 초본식물 씨앗 및 비료의 공급상태 그리고 이들의 혼합 교반 상태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작업자는 운전석(11)에서 이동차(10)를 운행하면서 감시모니터(73)를 통해 용토(3), 초본식물 씨앗, 비료의 공급 및 혼합 교반 상태를 확인하여 유사시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용토다짐부(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10)의 후방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깔리는 필름(9)에 공급된 용토(3)를 다져주는 용토다짐롤(81)과, 용토다짐롤(81)을 승강시키는 다짐롤승강유닛(83)을 갖는다.
용토다짐롤(81)은 이동차(10)의 운행에 따라 필름(9)상부면에 대해 구름 접촉하는 것으로서, 교반부(50)에서 초본식물 씨앗 및 비료가 혼합되어 필름(9)의 상부면으로 공급된 용토(3)를 적정두께로 다져 준다.
다짐롤승강유닛(83)은 이동차(10)의 후방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폭 방향으로 설치된 다짐롤지지프레임(83a)과, 다짐롤지지프레임(83a)을 상하 승강 회동시키는 다짐롤승강실린더(83b)로 이루어진다. 용토다짐롤(81)은 양단부가 다짐롤지지프레임(83a)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다짐롤승강실린더(83b)의 작동에 의해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위치와 지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위치간을 승강 한다.
구획유닛(90)은 이동차(10)의 전방 양측에 승강 가능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각 구획유닛(90)은 일단부가 이동차(1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획유닛지지대(91)와, 구획유닛지지대(91)의 전방영역에 마련되는 구획판(93)과, 구획판(93)의 후방에 마련되는 구획솔(95)과, 구획솔(95)을 회전시키는 구획솔모터(97)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용토구획유닛(90) 간의 거리는 필름(9)의 폭에 거의 대응한 거리를 갖는다.
구획판(93)은 구획유닛지지대(91)의 하강 상태에서 선단부가 이동차(10)의 운행에 따라 지면에 깔리는 필름(9)의 안쪽을 향하고 말단부가 필름(9)의 외측을 향하도록 구획유닛지지대(91)의 전방에 비스듬히 설치된다. 이는 이미 초본식물 씨앗의 파종이 끝난 용토(3)가 깔린 필름(9)의 일측에 인접하여 이동차(10)를 운행하면서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할 때 인접하는 필름(9)에 깔린 용토(3)를 밀어내어 새로 깔리는 필름(9) 상부면에 쌓이는 용토(3)와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획솔(95)은 구획유닛지지대(91)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획솔모터(97)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다. 이 구획솔(95)은 구획유닛지지대(91)의 하강상태에서 필름(9)에 접하게 되며, 구획솔모터(97)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구획판(93)에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인접영역의 필름(9)에 깔린 용토(3)를 쓸어낸다.
구획유닛지지대(91)는 구획판(93)과 구획솔모터(97)를 지지하며 회동구조에 의해 구획판(93)과 구획솔(95)이 지면에 대해 접하는 위치와 상향 이격되는 위치로 승강 한다. 여기서 구획유닛지지대(9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승강 회동시키는 구조로 마련된다. 물론, 별도의 승강실린더 등에 의해 승강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1)를 이용하여 카페트형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용토(3)와 초본식물 씨앗 및 비료의 혼합물(5)이 적재된 이동차(10)를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필름롤승강유닛(29)을 구동시켜서 필름천공롤(23)과 필름인출롤(25) 및 필름밀착롤(27)을 도 6의 가상선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키는 한편, 다짐롤승강유닛(83)을 구동시켜서 용토다짐롤(81)을 도 6의 가상선과 같이 상승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9)을 인출하여 인출된 필름(9)을 필름천공롤(23)과 필름인출롤(25) 및 필름밀착롤(27)을 감아 돌게 한 후 용토다짐롤(81) 하부를 거쳐 후방으로 연장시킨다.
필름(9)을 인출하고 난 후에는 필름롤승강유닛(29)을 구동시켜서 필름천공롤(23)과 필름인출롤(25) 및 필름밀착롤(27)을 하강시키는 한편, 다짐롤승강유닛(83)을 구동시켜서 용토다짐롤(81)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필름밀착롤(27)과 용토다짐롤(81)이 필름(9)을 지면에 밀착시키면서 필름(9)을 사이에 두고 지면에 구름 접촉한다.
필름(9)의 인출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이동차(10)의 운전석(11)에서 이동차(10)를 직선방향으로 운행시킴과 동시에 구동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제2구동유닛(63)의 구동모터(63a)를 가동시킨다.
이동차(10)가 운행되면 필름밀착롤(27)과 용토다짐롤(81)이 이동차(10)의 운행방향으로 구름 이동하여 인출된 필름(9)을 가압함으로써, 필름권취롤(21)에서 필름(9)이 자연스럽게 인출되고, 이동차(10)의 직선운행에 따라 필름(9)이 인출되면서 일직선상으로 지면에 깔리게 된다. 이때, 필름권취롤(21)에서 인출되는 필름(9)은 그 인장력에 의해 필름천공롤(23)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천공핀(23a)에 의해 판면에 배수공(9a)이 형성된다.
한편, 이동차(10)가 운행하면, 제1구동유닛(61)의 구동휠스프로킷(61a)이 회전하여 컨베이어체인으로 연결된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61b)을 회전시킴으로써, 용토배출컨베이어(33)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61b)의 회전에 따라 연결풀리(미도시)가 회전되고, 이 회전력이 구동벨트(61h)와 가속스프로킷(61f) 및 가속체인(61j)을 통해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61g)으로 전달되어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2구동유닛(63)의 구동모터(63a)가 구동되면, 구동모터(63a)의 회전력이 제1 및 제2원동스프로킷(63d,63e)과 롤구동체인(63f) 및 스크류구동체인(63g)을 통해 롤스프로킷(63b)과 교반스프로킷(63c)을 회전시킴으로써 혼합물배출롤(43)과 교반스크류(53)가 회전된다.
용토배출컨베이어(33)가 구동되면 용토수용호퍼(31)에 수용된 용토(3)가 용토배출컨베이어(33)에 의해 이송되어 교반호퍼(51)로 이송 공급된다. 그리고, 혼합물배출롤(43)의 회전에 따라 혼합물수용호퍼(41)에 수용된 초본식물 씨앗과 비료의 혼합물(5)이 적정량씩 교반호퍼(51)로 낙하 공급된다. 이때, 작업자는 운전석(11)에서 감시부(70)의 카메라(71)로부터 전달되는 교반호퍼(51)내부의 영상을 감시모니터(73)로 감시하여 용토(3)와 혼합물(5)이 교반호퍼(51)로 원할하게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교반호퍼(51)로 공급된 용토(3) 및 초본식물 씨앗과 비료의 혼합물(5)은 회전하는 교반스크류(53)에 의해 상호 교반 혼합되면서 교반호퍼(51) 하부의 교반물배출구(51a)로 낙하한다.
교반호퍼(51)의 교반물배출구(51a)로 낙하되는 교반물(7)(용토(3)와 초본식물 씨앗 및 비료)은 제1구동유닛(61)에 의해 구동되는 교반물공급컨베이어(55)에 의해 균일한 양과 폭으로 필름(9)의 상부면에 지속적으로 낙하 공급된다.
지면에 깔리는 필름(9)의 상부면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교반물(7)(용토(3)와 초본식물 씨앗 및 비료)은 이동차(10)의 운행에 따라 용토다짐롤(81)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다져지면서 필름(9)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 6 및 도 8과 같이, 소정거리만큼 일직선상의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을 형성한다.
한편, 초본식물 씨앗의 파종영역은 도 8과 같이, 상호 평행하게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초본식물 씨앗 파종기(1)를 이용하여 A-1의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을 형성한 다음 A-1의 일측에 A-2, A-3, A-4, A-n 영역의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을 평행하게 인접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차(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는 구획유닛(90)은 각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의 구획영역에서 용토(3)가 상호 섞이지 않도록 한다. 즉, 먼저 작업이 끝난 A-1 파종영역의 일측에 A-2 파종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이동차(10)가 A-2 파종영역을 따라 운행할 때, 이동차(10)의 전방에 마련된 구획유닛(90)의 구획판(93)과 구획솔(95)이 A-2 파종영역을 향하는 A-1파종영역의 일측 단부영역의 용토(3)를 A-1파종영역 내측으로 쓸어 올리게 됨으로써, 각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의 인접단부에 a라인과 같이 용토와 혼합물이 존재하지 않는 구획선이 명확하게 구획된다. 이에 의해, 각 파종영역의 초본식물뿌리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에서는 소정의 기간 동안 주기적인 급수와 비료공급 등의 재배관리 과정을 거쳐 균일한 분포도를 갖는 양질의 초본식물이 도 9와 같이 조성된다. 이때, 초본식물 씨앗 파종영역에 공급되는 급수는 적정량이 초본식물의 성장에 사용되고 나머지 급수(장마철 빗물 포함)는 필름(9)에 형성된 배수공(9a)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된다. 그리고, 필름(9)상부면의 용토(3)층에서 초본식물이 자라면서 그 뿌리가 상호 엉킴으로써 용토(3)층과 초본식물이 완전히 고정된다. 이에 의해, 초본식물의 성장이 완료되면 필름(9)을 경계로 용토(3)층과 초본식물층이 매트형태로 지면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되고, 분리된 매트형태의 초본식물과 용토(3)층은 롤 형태로 손쉽게 말아서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여 펴주기만 함으로써, 원하는 장소에 손쉽게 초본식물 조성할 수 있다.
특히 축구장 및 야구장 등의 운동장이나 골프장 및 고급주택의 정원 등에 초본식물인 잔디를 조성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를 이용하여 재배될 수 있는 초본식물 중의 하나인 잔디를 이용할 경우 손쉽게 잔디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에 배수공을 형성하고 필름을 지면에 깔는 작업은 물론, 용토를 필름 상부면에 적정두께로 산포 시키는 작업을 비롯하여 용토에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는 것과 비료공급 등의 과정이 이동차의 운행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초본식물 씨앗의 파종 작업이 적은 인력과 시간으로 손쉽게 해결된다. 이에 의해,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토의 두께와 초본식물 씨앗의 파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용토층과 초본식물분포가 균일한 양질의 카페트형 초본식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인력과 시간으로 초본식물 씨앗을 파종하여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균일한 두께와 분포의 용토층 및 초본식물층을 형성할 수 있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좌측면도,
도 2는 도 1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제1구동유닛 설치영역 확대도,
도 5는 도 2의 제2구동유닛 설치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초본식물 파종기 후방영역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1의 초본식물 파종기의 구획유닛 설치영역 확대도,
도 8은 도 1내지 도 3의 초본식물 파종기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파종영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초본식물 파종기를 이용하여 재배된 카페트형 잔디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필름 10 : 이동차
20 : 필름공급부 21 : 필름권취롤
23 : 필름천공롤 25 : 필름인출롤
27 : 필름밀착롤 29 : 필름롤승강유닛
30 : 용토공급부 31 : 용토수용호퍼
33 : 용토배출컨베이어 40 : 혼합물공급부
41 : 혼합물수용 43 : 혼합물배출롤
50 : 교반부 51 : 교반호퍼
53 : 교반스크류 55 : 교반물공급컨베이어
60 : 구동부 61 : 제1구동유닛
63 : 제2구동유닛 70 : 감시부
71 : 카메라 73 : 감시모니터
80 : 용토다짐부 81 : 용토다짐롤
83 : 다짐롤승강유닛 90 : 구획유닛

Claims (6)

  1.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에 있어서,
    이동차와;
    상기 이동차의 후방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짐롤지지프레임과, 상기 다짐롤지지프레임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용토다짐롤과, 상기 다짐롤지지프레임을 상하 승강 회동시키는 다짐롤승강실린더를 용토다짐부와;
    상기 용토다짐롤의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필름권취롤과, 상기 필름권취롤로부터의 필름을 지면에 밀착시켜 상기 용토다짐롤로 안내하는 필름밀착롤과, 외주면에 다수의 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름권취롤과 상기 필름밀착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에 다수의 배수공을 형성하는 필름천공롤을 갖는 필름공급부과;
    상기 이동차의 상부영역에 마련되어 용토를 수용하는 용토수용호퍼와, 상기 용토수용호퍼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용토를 수령하여 상기 필름공급부의 인접영역으로 이송하는 용토배출컨베이어를 갖는 용토공급부와;
    상기 용토수용호퍼의 후방에 설치되어 비료 및 초본식물 씨앗의 혼합물을 수용하여 상기 필름공급부의 인접영역으로 배출하는 혼합물수용호퍼와, 상기 혼합물수용호퍼의 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혼합물을 적정량씩 수령하여 배출시키는 혼합물수령홈이 형성되어 있는 혼합물배출롤을 갖는 혼합물공급부와;
    상기 필름밀착롤과 상기 용토다짐롤 사이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용토공급부와 상기 혼합물공급부로부터 상기 용토와 상기 혼합물을 수령하는 교반호퍼와, 상기 교반호퍼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토와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스크류와, 상기 교반호퍼의 배출구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물을 수령하여 지면에 깔리는 필름 상부면에 공급하는 교반물공급컨베이어를 갖는 교반부와;
    상기 용토배출컨베이어와 상기 교반물공급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과, 상기 혼합물배출롤과 상기 교반스크류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갖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토다짐롤 전방의 상기 이동차 후방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필름천공롤과 상기 필름밀착롤의 양단부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회동지지대와, 상기 이동차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롤회동지지대를 승강회동시키는 필름롤승강실린더를 갖는 필름롤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천공롤과 상기 필름밀착롤 사이영역에서 상기 필름밀착롤에 평행하게 구름 접촉하도록 상기 롤회동지지대에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필름인출롤과, 상기 필름인출롤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은
    상기 이동차의 구동휠축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휠스프로킷과,
    상기 용토베출컨베이어의 컨베이어롤러축 일단부에 결합된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휠스프로킷과 상기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컨베이어구동체인과,
    상기 컨베이어구동스프로킷과 동축선 상에 결합되는 연결풀리와,
    상기 교반물공급컨베이어 인접영역에서 동축선 상에 설치되는 가속풀리 및 가속스프로킷과,
    상기 교반물공급컨베이어의 컨베이어축 일단부에 결합되는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과,
    상기 연결풀리와 상기 가속풀리를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구동벨트와,
    상기 가속스프로킷과 상기 교반컨베이어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가속체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유닛은
    상기 혼합물배출롤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하는 혼합물배출롤의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롤스프로킷과,
    상기 구동모터에 인접한 상기 교반스크류의 회전축 일단부에 결합된 교반스프로킷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동축선 상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원동스프로킷과,
    상기 롤스프로킷과 상기 제1원동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롤구동체인과,
    상기 교반스프로킷과 상기 제2원동스프로킷을 폐루프상으로 연결하는 스크류구동체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6. 제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차의 전방 양측에 상하 승강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획유닛지지대와,
    상기 각 구획유닛지지대의 전방영역에 후단부가 상기 이동차의 외측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설치된 한 쌍의 구획판과,
    상기 각 구획판의 후방에 마련되는 한 쌍의 회전솔과,
    상기 양 회전솔을 각각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솔모터를 갖는 구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KR10-2003-0033464A 2003-05-26 2003-05-26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KR100485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464A KR100485914B1 (ko) 2003-05-26 2003-05-26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464A KR100485914B1 (ko) 2003-05-26 2003-05-26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750A KR20040101750A (ko) 2004-12-03
KR100485914B1 true KR100485914B1 (ko) 2005-04-29

Family

ID=3737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464A KR100485914B1 (ko) 2003-05-26 2003-05-26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4071B (zh) * 2018-03-20 2019-11-15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多功能农业耕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750A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81833U (zh) 一种综合播种装置
KR100998970B1 (ko) 액비 땅속투입 및 파종장치
CN107690889A (zh) 一种宽幅落种土种共播工艺及装置
CN108811619A (zh) 一种棉花播种直播器
CN108781639A (zh) 一种定向播种机的轮式投送结构
CN201138934Y (zh) 土豆播种机
KR100740046B1 (ko) 유기질·부산물 퇴비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200219524Y1 (ko) 트랙터 견인용 파종기
KR100485914B1 (ko)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CN215453922U (zh) 一种农业机械播种装置
KR100556712B1 (ko) 카페트형 초본식물 파종기
CN112400387A (zh) 一种同步松土、开沟、播种、覆膜的耕种方法
KR0140109B1 (ko) 자주식 용토 혼합/산포 장치
KR101852841B1 (ko) 이동식 양파 씨앗 파종용 상토층 형성장치
CN219182052U (zh) 一种播种装置
CN206365244U (zh) 一种道路绿化用播种装置
CN220157020U (zh) 一种农机均匀排种机构
KR100434389B1 (ko) 다용도 파종 장치
CN215011530U (zh) 一种农业种植用的播种装置
CN218456930U (zh) 一种营养土用铺设机
CN220776511U (zh) 一种农业种植用的定量施肥装置
CN1080988C (zh) 筛量式精量播种机械
CN218104376U (zh) 一种羊肚菌菌种粉碎、播种机
KR200287446Y1 (ko) 다용도 파종 장치
CN216930851U (zh) 一种施肥用农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