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461A - 배향막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배향막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461A
KR20000012461A KR1019990055276A KR19990055276A KR20000012461A KR 20000012461 A KR20000012461 A KR 20000012461A KR 1019990055276 A KR1019990055276 A KR 1019990055276A KR 19990055276 A KR19990055276 A KR 19990055276A KR 20000012461 A KR20000012461 A KR 2000001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alignment film
container
material supply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647B1 (ko
Inventor
최원우
이근용
김기평
이건종
주진호
정수임
이봉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5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647B1/ko
Priority to US09/475,794 priority patent/US6386102B1/en
Priority to JP2000000143A priority patent/JP4634558B2/ja
Publication of KR2000001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647B1/ko
Priority to JP2009283105A priority patent/JP5133331B2/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Abstract

본 발명은 배향막 인쇄를 위하여 기 사용된 폐액을 회수하여 배향막 인쇄에 재사용할 수 있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개시한다. 배향막 인쇄장치는 배향막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장치와, 상기 원료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료를 대상물에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상기 인쇄장치로 공급된 상기 배향막 원료 중,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장치로 보내는 회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향막 인쇄장치{Alignment layer printing device}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배향막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향막의 인쇄후 수집된 폐배향액을 재사용 가능하게 하는 액정표시기용 배향막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액정의 물성 정수는 분자 배열상태에 의존하므로 전계 등의 외력에 대한 응답에도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액정 분자의 배열 제어는 액정의 물성 연구는 물론 표시 소자의 구성상에서도 필수 기술이다.
그런데 액정물질을 단순히 유리기판 사이에 채우는 것만으로는 균일한 분자배열을 얻기 어렵다. 그러므로 유리 기판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배향막에는 재질이 무기물이 주체인 것과 유기물이 주체인 것 및 양자 병용인 것이 있으나 실제 액정 표시소자의 구성 재료로서는 유기물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1972년 재닝(Janning)에 의하여 제안된 SiO의 사방증착에서 출발한 액정표시소자에 대한 배향제어 기술은 표시소자의 양산화와 함께, 액정재료에 대한 특성변화가 적고, 또 양산에 적합한 유기 고분자에 의한 배향 제어 기술로 발전했다. 즉, 회전 도포법 또는 인쇄 도포법에 의해 기판상에 유기 고분자의 박막을 형성하고 경화한 후 러빙법으로 액정분자의 배향을 제어한다.
러빙법은 유리기판을 천 등을 사용하여 일정 방향으로 문지르면 문지른 방향으로 액정분자의 장축이 가지런히 배향한다는 현상이 1911년 마우긴(Mauguin)에 의해 관찰된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 후 많은 연구자들이 러빙법에 적당한 기판 및 박막 재료를 탐색해 왔지만 현재에도 재료의 명확한 선정 기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트위스티드 네마틱 형 액정 표시 소자의 양산개시 시점에서는 가수 분해성이 높은 쉬프 베이스(Schiff base)계 액정을 사용했기 때문에 소자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글라스 프릿 씰링(Frit sealing)이 필수였으므로 고온 처리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재료가 선정되었다. 그 후 인쇄성, 러빙성, 배향 제어 능력 및 화학적 안정성 측면에서도 폴리이미드계 재료가 다른 유기 고분자에 비하여 우수함이 확인되었으며, 현재도 각종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재료로 폴리이미드계 재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디아민(Diamine)과 액시드 안하이드라이드(Acid anhydride)를 용매 속에서 반응시켜 폴리아믹 액시드(Polyamic acid)를 합성한다. 여기서 인쇄용 재료는 폴리아믹 액시드이고, 인쇄 후 건조, 가열경화의 공정을 거쳐 폴리이미드가 된다.
이러한 폴리이미드를 이용하여 배향막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스핀, 스프레이, 딥, 및 인쇄방식 등의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며, 양산성을 고려하여 현재는 인쇄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인쇄법을 이용한 배향막 도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우선 도포에 필요한 배향막 원료는 배향막 원료공급부(2)로부터 공급관(3)을 경유하고, 실린지(Syringe : 4)를 통하여 회전하고 있는 닥터 롤(Doctor roll : 8)과 아니록스 롤(Anilox roll : 6) 간에 적하 공급된다. 공급된 배향막 원료는 2개의 롤(6, 8) 사이에서 개어지고, 그 결과 아니록스 롤(6)의 표면 위에는 균일한 액막이 만들어진다. 판동(10)은 아니록스 롤(6)에 의하여 균일하게 된 액막을 받아 이송 플레이트(16) 위에 안치되어 이송된 기판(18) 위에 액막을 전사한다.
그러나, 아니록스 롤(6)에 적하된 폴리이미드 용액은 약 30 %만 유리기판의 인쇄에 사용되고, 나머지 70 %는 아니록스 롤(6) 상에서 요동하는 닥터 롤(8)에 밀려 아니록스 롤(6) 끝단에서 폐액받이(12)로 떨어진다. 폐액받이(12)에 담겨진 폐액(14)은 폐액 튜브(20)를 통해 폐액통(22)으로 버려지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배향막 인쇄장치는 공급된 배향막 원료 중 약 70 %의 용액이 배향막 인쇄에 사용되지 못하고 낭비되어 재료비 증가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을 유발한다.
아울러 폐배향액은 특별한 처리 없이 버려지게 되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쇄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액받이에 버려지는 폐배향액을 재사용하여 원가상승을 억제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배향막 원료의 온도와 보관일수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배향막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 (b)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료를 대상물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c) 상기 인쇄수단으로 공급된 상기 배향막 원료 중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보내는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며 배향막 원료 용액이 담겨진 원료공급용기,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상기 원료공급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배향막 원료의 온도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수단에 주사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수단과 (b)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및 (c)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배향막 원료를 수납하는 폐배향액 집액용기, 상기 집액용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원료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보내며 저온 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집액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이송되는 폐액 원료의 이송시점 및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밸브를 포함하는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며 배향막 원료 용액이 담겨진 원료공급용기, 상기 원료공급용기 내에 배향막 원료와 불활성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장치,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상기 원료공급관의 소정부분에 설치되어 배향막 원료의 온도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수단에 주사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수단과 (b) 상기 원료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및 (c)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배향막 원료를 수납하는 폐 배향액 집액용기, 상기 집액용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원료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 공급수단으로 보내며 저온 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집액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이송되는 폐액 원료의 이송 시점 및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밸브을 포함하는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며 배향막 원료 용액이 담겨진 원료공급용기, 상기 원료공급용기 내에 배향막 원료와 불활성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장치, 상기 원료공급용기 내에 존재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시점과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상기 원료공급관의 소정부분에 설치되어 배향막 원료의 온도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수단에 주사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수단과 (b)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및 (c)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배향막 원료를 수납하는 폐배향액 집액용기, 상기 집액용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원료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보내며 저온 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집액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이송되는 폐액 원료의 이송시점 및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밸브을 포함하는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배향막 원료가 담겨 있는 원교공급용기, (b) 일단은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c)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수단에 주사하는 실린지, (d)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e)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폐 배향액을 수집하는 제 1 폐 배향액 수집용기, (f) 상기 제 1 폐배향액 수집용기 내에 설치되어 수집된 폐배향액의 순도를 감지하는 제 1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 (g) 상기 제 1 폐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배출된 폐배향액을 필터링하는 필터, (h) 상기 필터를 통과한 배향액을 수집하는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 (i) 상기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 내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배향액의 순도를 감지하는 제 2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 (j) 상기 제 1, 제 2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배향액의 순도치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에 담겨진 폐배향액을 재사용할 건지 또는 폐기할 건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k)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폐 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용기로 상기 폐배향액을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향막 인쇄장치는 배향막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료를 대상물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및 상기 인쇄수단으로 공급된 상기 배향막 원료 중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보내는 회수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료공급수단은 배향막 원료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인쇄장치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액상의 배향막 원료가 담겨있는 원료공급용기와, 원료공급용기와 연결된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장치에 주사하는 실린지 및 원료공급용기에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와 불활성인 가스의 공급 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자동조절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원료공급용기는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 ℃ 이하로 유지되면 더욱 좋다. 도 2는 배향막 원료의 온도와 보관일수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배향막 원액의 점도는 인쇄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도 2는 20 ℃ 이하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배향막 원액의 변성을 방지함을 보여주며, 5 ℃ 이하인 경우에는 배향막 원액의 변성이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상기 저온유지장치는 쿨링 자켓(cooling jacket)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원료공급용기가 저온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배향막 원액의 온도를 20 ℃ 이하의 저온에서 에이징 유니트(aging unit)를 이용하여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의 배향막 원액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자동조절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원료공급수단은 가스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스 배출구는 원료공급용기 내에 존재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장치이다. 상기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공기 또는 질소가스로서 공기는 수분을 함유하여 배향막 원료의 가수분해를 유발시켜 변성을 일으키므로 좋지 않다.
상기 공기 배출관은 체크 밸브(check valve)의 형태를 가져서 내부로부터의 공기 배출은 가능하지만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공기 배출관상의 소정부분에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시점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자동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표면에 도포하는 제 1롤, 상기 제 1롤에 도포된 원료가 상기 제 1롤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제어하는 제 2롤, 상기 제 2롤에 도포된 원료를 배향막이 도포될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제 3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회수수단은 인쇄장치에 공급되고도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낙하하는 원료를 수집하는 폐액 수집용기와, 폐액 수집용기와 원료공급용기에 연결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폐액 수집용기에 수집된 폐액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자동조절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순환관의 온도를 저온 유지 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항온으로 유지하여 배향막 폐액의 변성을 방지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 ℃ 이하로 유지하면 더욱 좋다. 상기 저온 유지 장치는 쿨링 자켓인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폐배향액 수집용기 내에 설치되어 수집된 폐배향액의 순도를 감지하는 배향막 순도 측정장치와 상기 배향막 순도 측정장치로부터 입력된 배향액의 순도치에 따라 상기 폐배향액을 폐배향액 수집용기로 보낼 것인지 원료공급용기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제어장치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도 측정장치와 제어장치를 포함할 경우에는 오염 또는 변성이 심한 폐배향액을 원료공급용기로 보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배향액의 오염 또는 변성을 막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폐배향액을 원료공급용기로 이송하는 순환관은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 이하로 유지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인쇄수단의 제 2 롤에서 하부로 적하되는 폐배향액을 수집하는 제 1 폐배향액 수집용기, 상기 제 1 폐 배향액 수집용기 내에 설치되어 수집된 폐배향액의 순도를 감지하는 제 1 배향액 순도 측정장치, 상기 제 1 폐 배향막 수집용기로부터 배출된 폐배향액을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배향액을 수집하는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 상기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 내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배향막의 순도를 감지하는 제 2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 상기 제 1, 제 2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배향액의 순도치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폐 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배향액 공급용기로 또는 폐배향막 수집용기로 보낼 것인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회수수단을 사용할 경우에는 원료공급용기의 배향액 변성을 방지하면서 다량의 배향액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에도 폐 배향액을 원료공급용기로 보내는 순환관은 20 ℃ 이하로 저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 ℃ 이하로 유지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 방식을 이용한 배향막 형성방법은, 배향막의 도포, 예비 건조, 및 경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 배향막의 도포과정 앞에 기판을 로딩하는 과정과, 기판을 세정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으며, 경화 과정 뒤에 기판을 경화로로부터 분리하는 언로딩 과정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플렉소(FLEXO) 인쇄방식을 응용한 것이다. 상기 플렉소 인쇄방식이란 용어는 플렉시블한 판(Flexo 판)을 이용한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향막 인쇄장치는 인쇄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액받이(60)로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수집하기 위한 집액용기(72)와, 집액용기(7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원료공급용기(42)에 담겨져서, 집액용기(72)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원료공급용기(42)로 재 이송하기 위한 순환관(74)과, 순환관(74)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순환관(74)을 통하여 이송된 폐액의 이송시점과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밸브(76)를 포함한다.
원료공급용기(42)에는 폴리이미드를 원료로 하는 배향액 원료가 담겨있다. 원료공급용기(42)에 담겨진 배향막 원료용액을 이송하기 위하여 원료공급관(46)의 일측단은 배향막 원료가 담겨 있는 원료공급용기(42)에 담겨 있다. 원료공급관(46)의 타단에는 원료공급용기(42)로부터 연료공급관(46)을 통하여 이송된 액체 상태의 배향막 원료를 주사하기 위한 실린지(48)가 연결되어 있다.
원료공급용기(42)에 담겨진 배향막 원료가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공급가스를 원료공급용기(42)에 불어넣어 준다. 그러므로 고순도의 질소(N2) 가스가 질소 가스공급부(미도시)로부터 가스공급관(43)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42)로 공급된다. 질소가스가 원료공급용기(42)로 공급될 때 배향막 원료는 이송관(46)을 통하여 이송된다.
그런데 배향막 인쇄는 대상물이 장착된 동안에만 수행되므로 가스 공급관(43)의 소정 위치에는 가스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밸브(이하 "제 1 자동밸브"라 함 : 44)가 설치된다.
실린지(48)로부터 주사되는 배향막 원료는 다수의 회전하는 롤로 구성된 인쇄장치에 의하여 기판에 인쇄된다. 즉 다수의 롤의 표면에 1차로 배향막 원료가 균일하게 도포되고, 롤의 하부로 이송되어 온 유리기판의 표면에 2차로 인쇄된다.
인쇄용 롤은 실린지(48)로부터 주사되는 배향막 원료를 표면에 도포하는 아니록스 롤(또는 제 1롤 : 54)과, 아니록스 롤(54)에 도포된 원료가 아니록스 롤(54)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아니록스 롤(54)과 미세 간격을 두고 회전하는 닥터 롤(또는 제 2롤 : 56)과, 아니록스 롤(54)과 닥터 롤(56)의 상호 회전에 의하여 아니록스 롤(54)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된 원료를 받아서 배향막이 도포될 대상물, 즉 액정표시기용 유리기판의 표면에 인쇄하는 판동(또는 제 3롤 : 58)을 포함한다.
아니록스 롤(54)의 표면에는 공급된 액막을 보유하기 위하여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동안 아니록스 롤(54)로부터 판동(58)으로 공급되지 못한 배향막 원료는 아니록스 롤(54)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낙하한다. 그러므로 아니록스 롤(54)의 하부 끝단에는 집액용기(72)가 배설되어 있다. 집액용기(72)에 수집된 폐액을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하기 위하여 이송관(74)이 집액용기(72)와 원료공급용기(42)에 연결되어 있고, 이송관(74)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되는 배향막 원료의 이송시점과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밸브(이하 "제 2 자동밸브"라 함 : 76)가 이송관(74)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집액용기(72)의 하부에는 집액용기(72)에서 넘친 폐액이나 아니록스 롤(54)로부터 집액용기(72)를 벗어나서 낙하하는 폐액을 수집하는 폐액받이(60)가 위치하고, 폐액받이(60)는 폐액 튜브(68)를 통하여 폐액통(70)에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배향막 인쇄장치의 인쇄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 플레이트(64)에 안치된 배향막의 인쇄를 위한 대상물(66),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나 컬러필터 기판이 판동(58)의 하부에 정렬된다.
제 1 자동밸브(44)가 열리고, 질소 가스가 가스공급관(43)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42)로 공급되면 액체상태의 배향막 재료는 배향막 원료공급용기(42)로부터 공급관(46)을 경유하여 실린지(Syringe : 48)의 니들(50)을 통하여 회전하고 있는 닥터 롤(Doctor roll : 56)과 아니록스 롤(Anilox roll : 54) 간에 적하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자동 밸브(44)가 열려있는 동안 제 2 자동밸브(76)는 닫힌 상태로 있다.
도포액은 2개의 롤(56, 54) 사이에서 개어져 아니록스 롤(54)의 표면 위에 균일한 액막을 만든다.
균일한 액막을 만드는 방법으로서는 닥터 롤(56)에 의해 아니록스 롤(54)의 표면 액막을 베껴쓰는 블레이드 방식과 닥터 롤에 의해 아니록스 롤 표면의 액막을 개어 넣는 방식 2가지가 있다.
아니록스 롤(54)에 균일하게 도포된 액막은 판동(58)에 전사되고, 판동(58)은 아니록스 롤(54)로부터 전사받은 액막을 기판(66)의 표면에 인쇄한다.
상기한 과정으로 1회의 디스펜싱이 완료되면, 제 1 자동밸브(44)는 닫히고, 제 2 자동밸브(76)이 열린다. 따라서 아니록스 롤(54)로부터 판동(58)으로 전사되지 못하고 집액용기(72)로 낙하된 액막은 순환관(74)과 제 2 자동밸브(76)를 통하여 원료공급용기(42)로 회수된다.
상기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인쇄를 위한 아니록스 롤(54)에 공급되고도 인쇄에 참여하지 못한 배향막 원료가 수집되어 재사용되므로 배향막 원료의 낭비가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폐액통으로 버려지는 원료의 양이 거의 없어지므로 폐액정의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배향막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환경 오염이 방지된다.
<실시예 2>
한편 실시예 1에서 제시된 장치는 재 수집되는 배향막 원료의 순도가 수집되는 과정에서 변성 또는 오염되어 배향막 원료의 질적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 2는 순환관과 원료공급용기를 쿨링 자켓을 이용하여 5 ℃로 유지시키고, 가스 배출관을 이용하여 원료공급용기 내부의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원료공급용기 밖으로 배출시키며, 저온의 배향막 원료를 인쇄장치에 공급시에는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를 구비하여 배향막 원료의 변성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된 배향막 인쇄장치를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도 3의 배향막 인쇄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향막 인쇄장치는 인쇄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액받이(60)로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수집하기 위한 집액용기(72)와, 집액용기(7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원료공급용기(42)에 담겨져서 쿨링 자켓에 의하여 5 ℃의 항온이 유지되며 집액용기(72)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원료 공급용기(42)로 재 이송하기 위한 순환관(74)과, 순환관(74)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순환관(74)을 통하여 이송된 폐액의 이송 시점과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 2자동밸브(76)를 포함한다.
원료 공급용기(42)는 쿨링 자켓에 의하여 5 ℃의 항온이 유지된다. 원료공급 용기(42)에 담겨진 배향막 원료용액을 이송하기 위하여 원료공급관(46)의 일측단은 배향막 원료가 담겨 있는 원료공급용기(42)에 담겨 있다. 원료공급관(46)의 타단에는 원료공급용기(42)로부터 연료공급관(46)을 통하여 이송된 액체 상태의 배향막 원료를 주사하기 위한 실린지(48)가 연결되어 있다. 원료공급관(46)의 일측에는 저온의 배향막 원료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한 에이징 유니트(47)과 에이징 유니트(47)으로의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 3자동조절밸브(45)가 설치되어 있다.
원료공급용기(42)에는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존재함으로 공기를 원료공급용기(42)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체크 밸브 형태의 공기 가스배출관(40)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가스의 조절을 위하여 제 4자동조절밸브(41)가 설치되어 있다.
원료공급용기(42)에 담겨진 배향막 원료가 이송관을 통하여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공급가스를 원료공급용기(42)에 불러 넣어 준다. 그러므로 고순도의 질소(N2) 가스가 질소 가스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가스공급관(43)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42)로 공급된다. 질소 가스가 원료공급용기(42)로 공급될 때 배향막 원료는 이송관(47)을 통하여 이송된다.
그런데 배향막 인쇄는 대상물이 장착된 동안에만 수행되므로 가스 공급관(43)의 소정 위치에는 가스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 1자동밸브(44)가 설치된다.
실린지(48)로부터 주사되는 배향막 원료는 다수의 회전하는 롤로 구성된 인쇄장치에 의하여 기판에 인쇄된다. 즉 다수의 롤의 표면에 1차로 배향막 원료가 균일하게 도포되고, 롤의 하부로 이송되어 온 유리기판의 표면에 2차로 인쇄된다.
인쇄용 롤은 실린지(48)로부터 주사되는 배향막 원료를 표면에 도포하는 아니록스 롤(54)과, 아니록스 롤(54)에 도포된 원료가 아니록스 롤(54)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아니록스 롤(54)과 미세 간격을 두고 회전하는 닥터 롤(56)과, 아니록스 롤(54)과 닥터 롤(56)의 상호 회전에 의하여 아니록스 롤(54)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된 원료를 받아서 배향막이 도포될 대상물, 즉 액정표시기용 유리기판의 표면에 인쇄하는 판동(58)을 포함한다.
아니록스 롤(54)의 표면에는 공급된 액막을 보유하기 위하여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동안 아니록스 롤(54)로부터 판동(58)으로 공급되지 못한 배향막 원료는 아니록스 롤(54)의 하측 끝단으로부터 낙하한다. 그러므로 아니록스 롤(54)의 하부 끝단에는 집액용기(72)가 배설되어 있다. 집액용기(72)에 수집된 폐액을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하기 위하여 이송관(74)이 집액용기(72)와 원료공급용기(42)에 연결되어 있다. 이송관(74)은 5 ℃로 유지되며 항온 유지를 위하여 이송관(74)은 쿨링 자켓으로 감싸져 있다. 이송관(74)을 통하여 원료 공급용기(42)로 이송되는 배향막 원료의 이송시점과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 2자동밸브(76)가 이송관(74)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집액용기(72)의 하부에는 집액용기(72)에서 넘친 폐액이나 아니록스 롤(54)로부터 집액용기(72)를 벗어나서 낙하하는 폐액을 수집하는 폐액받이(60)가 위치하고, 폐액받이(60)는 폐액 튜브(68)를 통하여 폐액통(70)에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배향막 인쇄장치의 인쇄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 플레이트(64)에 안치된 배향막의 인쇄를 위한 대상물(66),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나 컬러필터 기판이 판동(58)의 하부에 정렬된다.
제 1 자동밸브(44)가 열리고 질소 가스가 가스공급관(43)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42)로 공급되면 액체 상태의 배향막 재료는 배향막 원료공급용기(42)로부터 공급관(46)을 경유하여 자동조절밸브(54)를 거쳐 에이징 유니트(46)에서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된다. 승온된 배향막 재료는 공급관(47)을 따라 실린지(Syringe : 48)에 전달되고, 실린지(48)의 니들(50)을 통하여 회전하고 있는 닥터 롤(Doctor roll : 56)과 아니록스 롤(Anilox roll : 54) 간에 적하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자동 밸브(44)와 제 3자동조절밸브(45)가 열려있는 동안, 제 2 자동밸브(76)와 제 4자동조절밸브(41)는 닫힌 상태로 있다.
도포액은 2개의 롤(56, 54) 사이에서 개어져 아니록스 롤(54)의 표면 위에 균일한 액막을 만든다.
아니록스 롤(54)에 균일하게 도포된 액막은 판동(58)에 전사되고, 판동(58)은 아니록스 롤(54)로부터 전사받은 액막을 기판(66)의 표면에 인쇄한다.
상기한 과정으로 1회의 디스펜싱이 완료되면, 제3자동밸브(44)는 닫히고, 제 2 자동밸브(76)와 제 4 자동조절밸브는 열린다. 따라서 아니록스 롤(54)로부터 판동(58)으로 전사되지 못하고 집액용기(72)로 낙하된 액막은 순환관(74)과 제 2 자동밸브(76)를 통하여 원료공급용기(42)로 회수된다. 이 때 제 1자동조절밸브는 원료공급용기(42) 내에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열린 상태로 있다.
상기한 실시예 2에 따르면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수집되는 폐배향막 원료의 변성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배향막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환경 오염이 방지된다.
<실시예 3>
한편 실시예 1에서 제시된 장치는 재 수집되는 배향막 원료의 순도 확인을 할 수 없어서 원료공급용기에 최초로 담겨진 원료와 사용 후 수집된 원료의 혼합으로 공급원료의 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 3은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의 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된 배향막 인쇄장치를 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도 3 또는 도 4의 배향막 인쇄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향막 인쇄장치는 인쇄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액받이(60)로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수집하기 위한 집액용기(72) 내에 설치되어 수집된 액상 원료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한 순도 측정센서(82)를 포함한다. 순도 측정센서(82)는 입력된 배향막의 순도치로부터 집액용기(72)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폐액통(70)으로 보낼 것인지, 배향막 공급용기(42)로 보낼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어수단인 마이크로 프로세서(84)에 연결된다. 집액용기(72)의 일단에는 분리장치(86)가 설치된다. 분리장치(8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4)의 제어신호에 따라 집액용기(72)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폐액통(106) 또는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하도록 집액용기(72)로부터 이송된 배향막 원료를 분리 배출한다.
분리장치(86)의 일측 배출구에는 분리된 배향막 원료를 폐액통(70)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88)이 연결되고, 타측 배출구에는 분리된 배향막 원료를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하기 위한 순환관(74)이 연결된다. 순환관(74)의 소정 위치에는 자동밸브(제 2 자동밸브 : 76)가 설치되어 집액용기(72)로부터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되는 배향막 원료의 이송시점 및 이송량을 조절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료공급용기로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과 질소 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시점을 조절하는 제 1 자동밸브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배향막 인쇄장치의 인쇄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자동밸브(미도시)가 열리고 질소 가스가 가스 공급관(미도시)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미도시)로 공급되면 액체 상태의 배향막 재료는 배향막 원료공급용기로부터 공급관(미도시)을 경유하여 실린지(미도시)의 니들(미도시)을 통하여 회전하고 있는 닥터 롤과 아니록스 롤(54) 간에 적하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자동 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제 2 자동밸브(76)는 닫힌 상태로 있다.
도포액은 2개의 롤 사이에서 개어져 아니록스 롤(54)의 표면 위에 균일한 액막을 만든다.
아니록스 롤(54)에 균일하게 도포된 액막은 판동(미도시)에 전사되고, 판동은 아니록스 롤(54)로부터 전사받은 액막을 기판의 표면에 인쇄한다.
상기한 과정으로 1회의 디스펜싱이 완료되면 제 1 자동밸브는 닫히고, 제 2 자동밸브(76)가 열린다.
여기서 아니록스 롤(54)로부터 판동으로 전사되지 못하고 집액용기(72)로 낙하된 액막의 순도는 순도측정센서(82)에 의하여 측정된다. 측정된 순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4)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84)는 입력된 순도가 재사용을 위한 허용치 이상이면 분리장치(86)의 원료공급용기에 연결된 배출구를 개방한다.
배출구의 개방으로 집액용기에 수집된 액막은 순환관(74)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로 이송된다.
한편 순도측정센서(82)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84)로 입력된 순도치가 허용치 미만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84)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분리장치(86)의 폐액통(70)에 연결된 배출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집액용기에 수집된 액막(80)은 이송관(88)을 통하여 폐액통(70)으로 이송된다.
실시예 3에 따르면, 인쇄를 위한 아니록스 롤(54)에 공급되고도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집액용기에 수집된 액막의 순도 측정이 이행된 후에 재사용이 결정되므로 수집된 원료와 사용되지 않은 원료의 혼합으로 인한 배향액의 질 저하를 방지한다. 그 결과 순도저하로 인한 배향막 불량이 방지된다.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폐배향액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순환관(74)과 원료공급용기(42)를 쿨링 자켓으로 감싸서 5 ℃ 이하의 항온을 유지하고 가스 배출관(40)을 설치하여 원료공급용기 내의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원료공급용기(42) 외부로 배출시키며, 인쇄시에는 에이징 유니트(46)를 사용하여 승온시키면 배향액의 질 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한편 실시예 3에서 제시된 장치는 재수집된 배향막 원료와 새로운 배향막 원료의 혼합으로 인한 순도 저하를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시예 1에 비하여 배향막 원료의 재사용율이 낮다. 그러므로 실시예 4는 실시예 3의 장점에 더하여 수집된 배향막 원료의 재사용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배향막 인쇄장치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배향막 인쇄장치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도 3의 배향막 인쇄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향막 인쇄장치는 인쇄에 사용되지 못하고 폐액받이(60)로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1차로 수집하기 위한 제 1 집액용기(72) 내에 설치되어 수집된 액상 원료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한 제 1 순도 측정센서(82)와, 수집된 액상 원료를 1차로 분리하기 위한 1차 분리장치(86)와, 1차 분리장치(86)로부터 배출된 순도가 낮아진 원료를 필터링하는 필터(90)와, 필터(90)에 의하여 필터링된 원료를 수집하는 제 2 집액용기(92)와, 제 2 집액용기(92) 내에 설치되어 2차로 수집된 원료의 순도를 측정하는 제 2 순도측정센서(96)와, 제 2 집액용기(92)에 수집된 원료(94)를 원료공급용기 또는 폐액통(106)으로 분리 배출하는 제 2 분리장치(100)를 포함한다.
제 1 순도 측정센서(82)와 제 2 순도 측정센서(96)는 제어수단인 마이크로 프로세서(84)에 연결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84)는 제 1, 제 2 순도 측정센서(82, 96)로부터 입력된 배향막의 순도치로부터 제 1, 제 2 집액용기(72, 92)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폐액통(70)으로 보낼 것인지 아니면 원료공급용기(42)로 보낼 것인지를 판단하여 제 1, 제 2 분리장치(86, 100)를 제어한다.
제 1 분리장치(8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집액용기(72)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필터(90) 또는 원료공급용기로 이송하도록 제 1 집액용기(72)로부터 이송된 배향막 원료를 분리 배출한다. 제 2 분리장치(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4)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집액용기(92)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폐액통(106) 또는 원료 공급용기로 이송하도록 제 2 집액용기(92)로부터 이송된 배향막 원료를 분리 배출한다.
제 1 분리장치(86)의 일측 배출구에는 분리된 배향막 원료를 필터(7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88)이 연결되고, 타측 배출구에는 분리된 배향막 원료를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하기 위한 순환관(74)이 연결된다. 순환관(74)의 소정 위치에는 자동밸브(제 2 자동밸브 : 76)가 설치되어, 제 1 집액용기(72)로부터 원료 공급용기(42)로 이송되는 배향막 원료의 이송시점 및 이송량을 조절한다.
제 2 분리장치(100)의 일측 배출구에는 분리된 배향막 원료를 폐액통(106)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104)이 연결되고, 타측 배출구에는 분리된 배향막 원료를 원료공급용기(42)로 이송하기 위한 2차 순환관(108)이 연결된다. 상기 2차 순환관(108)은 1차 분리장치의 순환관(74)과 연통되도록 제 1 분리장치(86)와 제 2 자동밸브(76)의 사이에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료공급용기로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과 질소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시점을 조절하는 제 1 자동밸브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배향막 인쇄장치의 인쇄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향막을 도포하는 과정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1회의 디스펜싱이 완료되면, 제 1 자동밸브는 닫히고, 제 2 자동밸브(76)가 열린다.
여기서 아니록스 롤(54)로부터 판동으로 전사되지 못하고 제 1 집액용기(72)로 낙하된 액막의 순도가 제 1 순도측정센서(82)에 의하여 측정된다. 측정된 순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4)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84)는 입력된 순도가 재사용을 위한 허용치 이상이면 분리장치(86)의 원료공급용기에 연결된 배출구를 개방한다.
배출구의 개방으로 집액용기에 수집된 액막은 순환관(74)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로 이송된다.
한편 순도측정센서(82)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84)로 입력된 순도치가 허용치 미만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84)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 1 분리장치(86)의 다른 배출구가 개방된다. 집액용기에 수집된 폐 배향액(80)은 이송관(88)을 통하여 필터(90)에서 필터링된다.
필터(90)를 통과한 원료는 제 2 집액용기(92)에 수집되고, 제 2 순도측정센서(96)는 수집된 원료의 순도를 측정한다. 제 2 순도측정센서(96)에서 측정된 순도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84)로 입력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84)는 입력된 순도치가 허용치 이상이면 배출구를 개방하여 제 2 집액용기(92)에 수집된 원료를 2차 순환관(108)을 통하여 원료공급용기로 이송한다. 입력된 순도치가 허용치 미만이면 다른 배출구를 개방하여 제 2 집액용기(92)에 수집된 원료를 배출관(104)를 통하여 폐액통(106)으로 배출한다.
실시예 3에 따르면, 인쇄를 위한 아니록스 롤(54)에 공급되고도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집액용기에 수집된 액막의 순도 측정이 이행된 후에 재사용이 결정되므로 수집된 원료와 사용되지 않은 원료의 혼합으로 인한 배향막의 질 저하를 방지한다. 그 결과 순도저하로 인한 배향막 불량이 방지된다. 실시예 4에 있어서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폐배향액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순환관(74, 108)과 원료공급용기(42)를 쿨링 자켓으로 감싸서 5 ℃ 이하의 항온을 유지하고 가스 배출관(40)을 설치하여 원료공급용기 내의 수분을 함유한 공기를 원료공급용기(42) 외부로 배출시키며, 인쇄시에는 에이징 유니트(46)를 사용하여 승온시키면 배향액의 질 저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를 위하여 인쇄수단에 공급되고서도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폐액통으로 버려지는 기 사용된 배향막 원료를 바로 회수하거나, 회수된 폐액을 순도 측정을 통하여 분리하여 회수하거나 또는 회수된 폐액을 필터링하여 재사용함으로써 폐액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원료의 사용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그 결과 배향막 형성에 소요되는 제조원가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배향막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상기 원료를 대상물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상기 인쇄수단으로 공급된 상기 배향막 원료 중 인쇄에 참여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보내는 회수수단을 포함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수단은 배향막 원료가 담겨 있는 원교공급용기, 일단은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수단에 주사하는 실린지, 상기 원료공급용기에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와 불활성인 가스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자동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수단은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표면에 도포하는 제 1롤, 상기 제 1롤에 도포된 원료가 상기 제 1롤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제어하는 제 2롤 및 상기 제 2롤에 도포된 원료를 배향막이 도포될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제 3롤을 포함하고;
    상기 회수수단은 상기 인쇄수단에서 버려지는 상기 배향막 원료를 수납하는 집액용기, 상기 집액용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 공급수단으로 보내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집액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이송되는 폐액 원료의 이송시점 및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3. (a)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며 배향막 원료 용액이 담겨진 원료공급용기,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상기 원료공급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배향막 원료의 온도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장치에 주사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수단;
    (b)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c)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배향막 원료를 수납하는 폐배향액 집액용기, 상기 집액용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원료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보내며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집액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이송되는 폐액 원료의 이송시점 및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밸브를 포함하는 회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4. (a)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며 배향막 원료 용액이 담겨진 원료공급용기, 상기 원료공급용기 내에 배향막 원료와 불활성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장치,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상기 원료공급관의 소정부분에 설치되어 배향막 원료의 온도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장치에 주사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수단 ;
    (b)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c)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배향막 원료를 수납하는 폐배향액 집액용기, 상기 집액용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원료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보내며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집액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이송되는 폐액 원료의 이송 시점 및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밸브를 포함하는 회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5. (a)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며 배향막 원료용액이 담겨진 원료공급용기, 상기 원료공급용기 내에 배향막 원료와 불활성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장치, 상기 원료공급용기 내에 존재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시점과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상기 원료공급관의 소정부분에 설치되어 배향막 원료의 온도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장치에 주사하는 실린지를 포함하는 원료공급수단;
    (b) 상기 원료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및
    (c)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배향막 원료를 수납하는 폐배향액 집액용기, 상기 집액용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원료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집액용기에 수집된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 공급수단으로 보내며 저온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집액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 이송되는 폐액 원료의 이송 시점 및 이송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밸브를 포함하는 회수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용기 및 상기 순환관의 온도는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유지장치는 쿨링 자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8.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장치는 가스 공급부와,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원료 공급장치로 이송하는 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스 이송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조절용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9.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질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0. (a) 배향막 원료가 담겨 있는 원교공급용기;
    (b) 일단은 상기 원료공급용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지와 연결되어 배향막 원료를 실린지로 이송하는 원료공급관;
    (c) 상기 원료공급관을 통하여 이송된 원료를 인쇄수단에 주사하는 실린지;
    (d) 상기 원료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인쇄수단;
    (e) 상기 인쇄수단으로부터 하부로 적하되는 폐 배향액을 수집하는 제 1 폐 배향액 수집용기;
    (f) 상기 제 1 폐배향액 수집용기 내에 설치되어 수집된 폐배향액의 순도를 감지하는 제 1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
    (g) 상기 제 1 폐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배출된 폐배향액을 필터링하는 필터;
    (h) 상기 필터를 통과한 배향액을 수집하는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
    (i) 상기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 내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배향액의 순도를 감지하는 제 2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
    (j) 상기 제 1, 제 2 배향액 순도 측정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배향액의 순도치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에 담겨진 폐배향액을 재사용할 건지 또는 폐기할 건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k)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폐 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용기로 상기 폐배향액을 이송하는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제 1 폐배향액 수집용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폐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이송된 상기 폐배향액을 분리 배출하는 제 1 분리수단, 상기 제 1 분리수단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분리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용기로 보내는 제 1 이송관, 상기 제 1 이송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폐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상기 원료공급용기로 이송되는 상기 폐배향막 원료의 이송 시점 및 이송량을 조절하는 배향막 원료 조절 밸브, 상기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폐배향액 수집용기로부터 이송된 상기 폐배향액을 분리 배출하는 제 2 분리수단, 상기 제 2 분리수단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분리수단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배향막 원료를 상기 원료공급용기로 보내는 제 2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관은 상기 제 1 분리수단과 상기 배향막 조절 밸브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제 1 이송관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3. 제 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용기 및/또는 상기 제 1 이송관 및/또는 상기 제 2 이송관은 저온 유지장치에 의하여 20 ℃ 이하의 저온으로 유지되며, 상기 원료공급수단은 상기 원료공급관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배향막 원료의 온도를 인쇄에 적합한 온도로 승온시키는 에이징 유니트와 상기 에이징 유니트로 공급되는 배향막 원료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용기 및/또는 상기 제 1 이송관 및/또는 상기 제 2 이송관의 온도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유지장치는 쿨링 자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수단은 상기 원료공급용기 내에 존재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 배출관과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시점과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수단은 상기 원료공급용기에 배향막 원료와 불활성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수단은 가스 공급부와, 상기 가스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원료 공급수단으로 이송하는 가스 이송관과, 상기 가스 이송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의 공급시점 및 공급량을 조절하는 가스 조절용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는 질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 원료 조절용 밸브와 상기 질소 가스 조절용 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정도가 조절되는 자동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향막 인쇄장치.
KR1019990055276A 1998-12-31 1999-12-06 배향막 인쇄장치 KR10035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276A KR100350647B1 (ko) 1998-12-31 1999-12-06 배향막 인쇄장치
US09/475,794 US6386102B1 (en) 1998-12-31 1999-12-30 Alignment layer printing device
JP2000000143A JP4634558B2 (ja) 1998-12-31 2000-01-04 配向膜印刷装置
JP2009283105A JP5133331B2 (ja) 1998-12-31 2009-12-14 配向膜印刷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62634 1998-12-31
KR1019980062634 1998-12-31
KR1019990055276A KR100350647B1 (ko) 1998-12-31 1999-12-06 배향막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461A true KR20000012461A (ko) 2000-03-06
KR100350647B1 KR100350647B1 (ko) 2002-08-28

Family

ID=2663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276A KR100350647B1 (ko) 1998-12-31 1999-12-06 배향막 인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86102B1 (ko)
JP (2) JP4634558B2 (ko)
KR (1) KR1003506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535A (ko) * 2002-05-11 2003-11-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배향액 리싸이클 시스템
KR100767596B1 (ko) * 2001-02-13 2007-10-1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액정 배향재의 재생방법
KR100817126B1 (ko) * 2001-12-21 2008-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자성레지스트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형성방법
KR100971388B1 (ko) * 2003-10-01 201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향막 도포장치
KR101128196B1 (ko) * 2005-06-29 2012-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배향막 형성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9273A1 (en) * 2003-08-18 2005-02-24 Hartung Glass Indust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coating material on glass substrate
US7202928B2 (en) 2003-10-16 2007-04-10 Lg. Philips Lcd Co., Ltd Array substrate for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50126410A1 (en) * 2003-11-07 200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an alignment film
CN1321822C (zh) * 2004-12-01 2007-06-2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取向膜制作系统
CN102490473A (zh) * 2011-11-16 2012-06-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喷墨印刷的涂料回收系统及方法
CN105946354B (zh) * 2016-05-13 2019-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取向液供给系统
CN107367870B (zh) * 2017-07-28 2020-07-2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配向膜印刷装置及其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8704U (ko) * 1978-03-17 1979-09-26
JPS5813906B2 (ja) * 1978-04-17 1983-03-16 凸版印刷株式会社 印刷用版材
JPS59127764A (ja) * 1983-01-06 1984-07-23 Toppan Printing Co Ltd グラビア輪転印刷機におけるインキング装置
JPH01141744A (ja) * 1987-11-30 1989-06-02 Toppan Printing Co Ltd インキ循環装置
FR2647901A1 (fr) * 1989-05-30 1990-12-07 Terraillon Dispositif de pesage a jauges de contrainte
JPH0329827U (ko) * 1989-07-28 1991-03-25
US6183931B1 (en) * 1994-09-29 2001-02-06 Xerox Corporation Liquid developer processes
US5905518A (en) * 1998-04-29 1999-05-18 Hewlett-Packard Company One shot air purge for replaceable ink supply
US6109739A (en) * 1998-06-12 2000-08-29 Marconi Data Systems Inc Dot positioning for continuous ink jet prin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596B1 (ko) * 2001-02-13 2007-10-1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액정 배향재의 재생방법
KR100817126B1 (ko) * 2001-12-21 2008-03-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자성레지스트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형성방법
KR20030088535A (ko) * 2002-05-11 2003-11-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배향액 리싸이클 시스템
KR100971388B1 (ko) * 2003-10-01 2010-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향막 도포장치
KR101128196B1 (ko) * 2005-06-29 2012-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배향막 형성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647B1 (ko) 2002-08-28
JP5133331B2 (ja) 2013-01-30
JP4634558B2 (ja) 2011-02-16
US6386102B1 (en) 2002-05-14
JP2010061166A (ja) 2010-03-18
JP2000206533A (ja) 200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331B2 (ja) 配向膜印刷装置
US89688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lignment liquid and spacers
US7271904B2 (en) Seal dispenser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etecting discontinuous portion of seal pattern using the same
KR20070086631A (ko) 포토레지스트 도포액 공급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포토레지스트 도포액 공급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포토레지스트 도포장치
CN100492117C (zh) 辊储存器及使用其制造液晶显示装置的方法
US20020085165A1 (en) Method of forming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S63161453A (ja) レジスト組成物を回収、再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0386672C (zh) 液晶显示装置的制造方法、制造装置、液晶显示装置及电子机器
US6947113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7367870A (zh) 配向膜印刷装置及其印刷方法
CN1321822C (zh) 取向膜制作系统
KR100928927B1 (ko) 배향막 형성장비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 형성방법
US6420440B1 (en) Method for recycling alignment layer materials
KR101753115B1 (ko) 그라비아 인쇄장치
JP2018187560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KR20040062122A (ko)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러빙불량검사기
TWI298411B (en) Alignment material coating system
JP2004174421A (ja) 塗工方法および塗工機
US7340322B2 (en) Rubb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thereof
KR20010094309A (ko) 레벨링을 개선하는 롤러 도포법을 통한 배향제의 기판상의인쇄방법
KR20030087459A (ko) 액정표시장치 배향막 도포장치
KR101128196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배향막 형성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20070051531A (ko) 전사판 세정기 및 이를 이용한 배향막 인쇄 장치
KR20060020321A (ko) 액정표시장치 배향막 도포장치
KR20040086948A (ko) Pecvd장치의 구조와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