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351U - 다단형 탈포기 - Google Patents

다단형 탈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351U
KR20000012351U KR2019980025301U KR19980025301U KR20000012351U KR 20000012351 U KR20000012351 U KR 20000012351U KR 2019980025301 U KR2019980025301 U KR 2019980025301U KR 19980025301 U KR19980025301 U KR 19980025301U KR 20000012351 U KR20000012351 U KR 200000123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oaming
flow plate
resin
present
defoam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8767Y1 (ko
Inventor
강명순
Original Assignee
강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순 filed Critical 강명순
Priority to KR2019980025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76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767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형 탈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다단형으로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탈포 효과가 떨어졌다.
본 고안은 예시도 5 와 같이 탈포장치의 탈포기 본체(4)내에 상협하광형의 흐름판(5)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흐름판(5)의 외표면에 다수의 계단형 단차부(10)를 형성하여 다단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탈포기.

Description

다단형 탈포기
본 고안은 수지대에 섞여있는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장치에 사용되는 탈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단형으로 된 탈포기에 관한 것이다.
수지를 용융시켜 금형에서 제품을 얻는 과정에 있어서, 예시도 1 은 탈포장치를 나타낸다.
특히, 수지를 사용하여 진공주형기 내에서 두께가 두껍고 표면이 매끄러운 제품을 생산할 때는 용융수지내에 섞여 있는 기포상태의 공기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때는 주원료에 대하여 예시도 1 과 같은 탈포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예시도 1 과 같이 기대(1)상에 승강틀(2)을 설치하여 조작버튼(3)으로 승강틀(2)을 승강시키도록 하고, 승강틀(2)의 일측에는 탈포기 본체(4)의 뚜껑(9)을 결합하며, 탈포기 본체(4)내에는 상협하광형의 흐름판(5)을 설치하였다.
또한, 흐름판(5)의 중심부에는 공간부(6)를 형성하여 나선축(7)을 설치함으로서 주원료인 수지(8)를 반복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뚜껑(9)을 닫아서 밀폐시킨 상태에서 탈포기 본체(4)내의 공기를 외부로 뽑아내면서 나선축(7)에 의해 수지(8)를 이동시켜 흐름판(5)으로 반복하여 흐르게 함으로서 탈포작업(기포 제거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흐름판(5)을 하부로 경사지게 하고 동시에 상협하광형태로 하더라도 흐름판 위의 수지가 두꺼운 상태로 흘러내리게 되어 이상적인 탈포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결국 탈포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바람직한 제품을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흐름판의 구조를 다단형으로 하여 수지가 흐름판 위의 단차부위를 흘러 내릴 때 종래보다 얇게 펼쳐져서 수지내의 기포가 쉽게 파괴되어 탈포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탈포기 내에서 수지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상협하광의 흐름판위로 흐르게 하고, 동시에 탈포기내의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빼내는 탈포장치에 있어서, 흐름판에 다수의 단차를 형성하여 다단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탈포장치 개략도,
도 2 는 제 1 도중 A-A 선 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탈포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탈포기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탈포기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탈포기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승강틀
3 - 조작버튼 4 - 탈포기 본체
5 - 흐름판 6 - 공간부
7 - 나선축 8 - 수지
9 - 뚜껑 10 - 단차부
11 - 상부흐름판 12 - 하부흐름판
13 - 받이판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탈포장치의 탈포기 본체(4)내에 상협하광형의 흐름판(5)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흐름판(5)의 외표면에 다수의 계단형 단차부(10)를 형성하여 다단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예시도 3 및 4는 본 고안에 따른 흐름판의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상협하광형태의 흐름판(5) 외주면에 다수의 계단형 단차부(10)를 형성하여 수지(8)가 흘러 내리는 동안에 계단형의 단차부(10)에서 더욱 얇게 펴지면서 수지내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가 터지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기가 제거되는 것이다.
예시도 5 및 예시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동일형태의 상부흐름판(11)과 하부흐름판(12)이 상하로 형성되고 그 중간에 받이판(13)이 형성되어 상부흐름판(11)에서 흘러내린 수지가 받이판(13)에 의해 수집되었다가 다시 중심부에서 하부흐름판(12)으로 공급되면서 재차 하부흐름판(12)에서 탈포가 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부흐름판(11)과 하부흐름판(12)으로 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필요에 따라 3단, 4단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계단형 단차부(10)에 의해 수지가 흘러 내리는 동안 단차부의 모서리부분에서 더욱 얇게 펴지면서 수지내에 들어 있던 기포는 탈포가 가속화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탈포장치에 있어서 탈포기 본체내에 설치되는 흐름판(5)의 외표면에 다수의 계단형 단차부(10)를 형성함으로서 수지가 단차부(10)를 흘러내릴 때마다 얇게 펼쳐져서 탈포효과가 증대되는 것이다.

Claims (2)

  1. 탈포장치의 탈포기 본체(4)내에 상협하광형의 흐름판(5)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흐름판(5)의 외표면에 다수의 계단형 단차부(10)를 형성하여 다단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탈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흐름판(5)의 외표면에 상부흐름판(11)과 하부흐름판(12)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받이판(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형 탈포기.
KR2019980025301U 1998-12-17 1998-12-17 다단형 탈포기 KR200288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01U KR200288767Y1 (ko) 1998-12-17 1998-12-17 다단형 탈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01U KR200288767Y1 (ko) 1998-12-17 1998-12-17 다단형 탈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51U true KR20000012351U (ko) 2000-07-05
KR200288767Y1 KR200288767Y1 (ko) 2002-10-19

Family

ID=6950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01U KR200288767Y1 (ko) 1998-12-17 1998-12-17 다단형 탈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7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6802A (zh) * 2020-08-07 2020-11-03 珠海市玛斯特五金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高耐蚀性滚镀黑色锌镍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6802A (zh) * 2020-08-07 2020-11-03 珠海市玛斯特五金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高耐蚀性滚镀黑色锌镍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767Y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4146C (zh) 用于分开并且分配液态金属流的冲击垫
AU2002310036A1 (en) Impact pad for dividing and distributing liquid metal flow
KR200288767Y1 (ko) 다단형 탈포기
JP4441671B2 (ja) 金属−セラミックス接合回路基板の製造方法
CN207667222U (zh) 一种压滤机用隔离过滤网
JPH02155519A (ja) プレス装置
JPH0496261A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モールド金型
JPH11512975A (ja) 成形部品、特に鉛からなる格子部材を形成する方法
CN218039129U (zh) 一种多线切硅片脱胶篮
KR200145297Y1 (ko) 반도체 패키지의 절단성형 장치
CN213999917U (zh) 布料机构
KR100283256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몰드금형 구조
CN216015304U (zh) 一种用于二极管管芯处理的模具
KR200292627Y1 (ko) 주형의 압탕구조
JP2000507878A (ja) 精留トレイ
KR870000137Y1 (ko)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언더커트 처리장치
JP2007050681A (ja) ベントホール部材
JPH09164308A (ja) フィルタープレート
KR200158402Y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트리밍 금형의 스크랩 유입방지형 네스트
JPS6465286A (en) Method for preventing electrolyte mist
JPS63228656A (ja) 半導体装置用リ−ドフレ−ム
JPH05293594A (ja) パターンプレートキャリヤ
JPH09262869A (ja) 半導体封止用金型
JPS55165235A (en) Press blanking die
JPS5961933A (ja) トランスフア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