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094A - 평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094A
KR20000012094A KR1019990031218A KR19990031218A KR20000012094A KR 20000012094 A KR20000012094 A KR 20000012094A KR 1019990031218 A KR1019990031218 A KR 1019990031218A KR 19990031218 A KR19990031218 A KR 19990031218A KR 20000012094 A KR20000012094 A KR 20000012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driving circuit
guide plate
light guide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693B1 (ko
Inventor
하시모토다케시
야마나카사토루
무라이데츠야
마키노도미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1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형화가 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평면표시장치에서는 도광판의 두께가 두꺼운 일단면측에 관형상 광원을 배치하고, 도광판의 두께가 얇은 다른 단면을 따라서 구동회로기판을 배치하고, 이에 의해 장치의 박형화를 저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면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형화가 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로 대표되는 평면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전력의 특징을 살려 각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액정표시장치는 퍼스널·컴퓨터로 대표되는 휴대정보기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는 보다 한층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한쪽 기판에 구동회로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외부회로를 삭감하고, 이에 의해 한층 박형화를 달성하고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외부회로를 완전히 일체화하여 구성하는 데에 이르지 못하여, 약간의 외부회로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층 박형화를 달성한 평면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표시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를 Ⅱ-Ⅱ선을 따라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액정패널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회로기판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표시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의 개략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액정표시장치를 Ⅶ-Ⅶ선을 따라서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정표시장치 100: 액정패널
102: 유효표시영역 104: 스페이서
106: 시일제 110: 구동회로부
200: 어레이기판 201: 투명절연기판(어레이기판)
211: 스위치소자(TFT) 212c: 채널영역
212s: 소스영역 212d: 드레인영역
213: 화소전극 214: 게이트절연막
215: 게이트전극 216s: 소스전극
216d: 드레인전극 217: 층간절연막
218: 패시베이션 219: 배향막(어레이기판)
220: 편광판(어레이기판) 251, 253: 주사선 구동회로
261, 263: 신호선 구동회로부 271: 시프트 레지스터
281: 논리회로부 283, 285: OR게이트
284, 288: 인버터회로 287: NAND게이트
289: NOR게이트 291: 아날로그 샘플링부
293: P형 샘플링 TFT 295: N형 샘플링 TFT
400, 403: 대향기판 401: 투명절연기판(대향기판)
405: 배향막(대향기판) 407: 편광판(대향기판)
410: 액정층 500: 구동회로기판
511: 제어회로 G/A 521, 523: 아날로그 변환회로
531: 분배회로 551: IVH구조의 기판
561, 563, 565, 567, 569: 동박 571, 572, 573, 574: 절연재
581, 583, 585, 587: 은 페이스트기둥 591: 홈
800: 면광원부 811: 관형상 광원
821: 도광판 821A: 두꺼운 부분
821B: 얇은 부분 821C: 일단면(입사단면)
821D: 출사면 831: 프레임
900: 베슬 950: 플렉시블 배선기판
Xi: 신호선 Yj: 주사선
CF: 칼라필터층 CPV: 수직 클럭신호
CPH: 수평 클럭신호 STV: 수직 스타트펄스
STH: 수평 스타트펄스 SW: 선택신호
CK: 시스템 클럭신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표시화소가 배열된 수평화소 라인을 복수개 포함하는 전극기판을 구비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기판, 상기 전극기판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이면측에 배치된 도광판 및 이 도광판의 일단면을 입사단면으로 하도록 배치되는 관형상 광원을 포함하는 면광원부를 구비한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은 각 상기 표시화소마다 설치된 화소전극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일단면에 대향하는 다른 단면은 상기 일단면보다도 두께가 얇고, 상기 구동회로기판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다른 단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평면표시장치에 의하면 구동회로기판을 도광판의 일단면보다 두께가 얇은 다른 단면을 따라서 배치함으로써 장치의 박형화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 구동회로의 일부는 표시패널의 전극기판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로기판 면적도 작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틀 가장자리 크기가 큰 폭으로 손상되는 일도 없다.
이하, 본 발명의 평면표시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액정표시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100)과, 상기 액정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기판(500)과 액정패널(100)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면광원부(800)와 면광원부(800)와의 사이에서 액정패널(100)을 유지한 베슬(vessel)(9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액정패널(100)과 구동회로기판(500)과는 플렉시블 배선기판(950)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자세하게는 이 액정패널(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각 12.1인치 크기로(1024×3)×800의 표시화소를 구비한 XGA사양의 유효표시영역(102)을 포함한다. 액정패널(100)은 어레이기판(200)과 대향기판(400)과 어레이기판(200)과 대향기판(400)과의 사이에 각각 배향막을 통해서 유지되는 TN(트위스티드·네마틱)액정층(410)을 포함한다.
어레이기판(200)은 보다 박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유리로 이루어지는 0.5㎜두께의 투명절연기판(201) 상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는 1024×3개의 신호선(Xi(i=1, 2, …, 1024×3)) 및 800개의 주사선(Yj(j=1, 2, …, 800))과, 신호선(Xi)과 주사선(Yj)의 교점 근방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즉 TFT로 구성되는 스위치소자(211)와, 스위치소자(211)에 접속되는 화소전극(2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위치소자(211)는 채널영역(212c) 및 이 채널영역(212c)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소스영역(212s) 및 드레인영역(212d)을 구비한 다결정 실리콘막 즉 p-Si막과, 이 p-Si막의 채널영역(212c) 상에 게이트절연막(214)을 통해서 배치됨과 동시에 주사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게이트전극(215)과 소스영역(212s) 및 드레인영역(212d)에 각각 접속된 소스전극(216s) 및 드레인전극(216d)을 포함한다.
이 게이트전극(215)은 주사선(Yj)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216d)은 신호선(Xj)에 접속되고, 또한 소스전극(216s)은 화소전극(213)에 접속되어 있다.
이 화소전극(213)은 투명도전성 부재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에 의해 형성되고, TFT(211)상에 차례로 적층된 층간절연막(217), 패시베이션(passivation)막(218) 및 칼라필터층(CF)상에 배치된다. 층간절연막(217) 및 패시베이션막(218)은 질화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화소전극(213)은 유효표시영역(102) 전면에 배치되는 배향막(219)에 의해 덮여져 있다.
대향기판(400)은 유리로 이루어지는 0.5㎜두께의 투명절연기판(401) 상에 화소전극(213)에 대향한 대향전극(403)을 구비하고 구성된다. 이 대향전극(403)은 투명도전성 부재 예를 들면, ITO에 의해 형성되고, 유효표시영역(102) 전면에 배치되는 배향막(405)에 의해 덮여져 있다.
어레이기판(200)의 외면 및 대향기판(400)의 외면에는 각각 액정층(410)의 특성에 맞춰서 편광방향을 설정한 한쌍의 편광판(220, 407)이 설치되어 있다.
유효표시영역(102) 안 및 유효표시영역(102) 밖에는 어레이기판(200)과 대향기판(400)과의 사이에 소정의 갭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성 스페이서(104)가 배치되어 있다.
어레이기판(200) 및 대향기판(400)은 스페이서(104)에 의해 소정의 갭을 형성한 상태에서 시일제(106)에 의해 서로 붙여져 있다.
유효표시영역(102)의 주변영역으로는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구동회로부(110)가 배치되어 있다.
즉, 주사선(Yj)의 양단에는 각각 주사펄스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회로(251, 25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주사선 구동회로(251, 253)는 수직클럭신호(CPV)에 기초하여 수직 스타트펄스(STV)를 순차 전송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또, 신호선(Xi)의 일단측에는 한쌍의 신호선 구동회로부(261, 26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신호선 구동회로부(26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신호선 구동회로부(261)는 수평 클럭신호(CPH)에 기초하여 수평 스타트펄스(STH)를 순차 전송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271)를 구비한다. 이 시프트 레지스터(271)의 출력은 논리회로부(281)로 인도된다. 또한 논리회로부(281)의 출력에 기초하여 아날로그 샘플링부(291)는 소정의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 Video(-))를 샘플링하고, 대응하는 신호선(Xi)으로 출력한다.
논리회로부(281)는 한조의 OR게이트(283, 285), NAND게이트(287) 및 NOR게이트(289)를 구비한다.
OR게이트(283)는 선택신호(SW)가 공급되는 선택배선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인버터회로(284)를 통해서 시프트 레지스터(271)의 제 1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OR게이트(285)는 선택신호(SW)가 공급되는 선택배선에 접속됨과 동시에 시프트 레지스터(271)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OR게이트(283)는 선택신호(SW) 및 제 1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양상 아날로그영상신호(Video(+))의 샘플링을 실시하는 P형 샘플링 TFT(293)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OR게이트(285)는 선택신호(SW) 및 인버터회로(284)를 경유한 제 1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음상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의 샘플링을 실시하는 N형 샘플링 TFT(295)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NAND게이트(287)는 선택신호(SW)가 공급되는 선택배선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시프트 레지스터(271)의 제 2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NOR게이트(289)는 선택신호(SW)가 공급되는 선택배선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시프트 레지스터(271)의 제 2 출력단자에 인버터회로(288)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NAND게이트(287)는 선택신호(SW) 및 제 2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양상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의 샘플링을 실시하는 P형 샘플링 TFT(293)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NOR게이트(289)는 선택신호(SW) 및 인버터회로(288)를 경유한 제 2 출력단자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음상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의 샘플링을 실시하는 N형 샘플링 TFT(295)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를 적어도 양상과 음상으로 분리하여 기판상에 배선할 수 있으므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의 파형의 악화도 없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신호선(Xi)을 2분할하도록 한쌍의 신호선 구동회로부(261, 263)를 배치한 것은 기판상에서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를 전송하는 배선길이를 짧게 하기 위함이고, 또, 병렬 동작시켜 각각의 처리시간을 실질적으로 길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는 2분할하였지만, 3분할이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구성이라면,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를 양상과 음상으로 분리하면서 기판상에 배선함과 동시에 인접하는 신호선(Xi)마다 양음의 극성반전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플리커(flicker)를 저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정패널(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기판(500)에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영상신호(Video) 및 시스템 클럭신호(CK)가 입력된다. 제어회로 G/A(511)는 디지털 영상신호(VIdeo)를 시스템 클럭신호(CK)에 기초하여 양 및 음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521, 523)에 분배한다.
양측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521)는 분배된 디지털 영상신호(Video)를 5∼10V의 범위에서 양상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로 변환한다. 음측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523)는 분배된 디지털 영상신호(Video)를 0∼5V의 범위에서 음상 아날로그 영상신호(Video(-))로 변환한다. 그리고, 분배회로(531)는 양측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521) 및 음측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523)의 출력을 각각 양 및 음상의 전달 배선으로 인도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구동회로기판(500)으로서 IVH(Interstitial Via Hole)구조의 기판(551)을 이용하고 있다. 제어회로 G/A(51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521, 523)는 CSP(Chip Size Package)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IVH구조의 기판(55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층의 동박(561, 563, 565, 567, 569)이 절연재(571, 572, 573, 574)를 통해서 적층되고, 각 동박(561, …, 569) 사이는 종래와 같은 접촉홀이 아닌, 은 페이스트 기둥(581, 583, 585, 58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실장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CSP구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칩이 페이스·업 또는 페이스·다운으로 탑재되는 기판을 땜납 볼 등으로 형성되는 범프에 의해 접속하는 것으로 그 크기를 충분히 소형화할 수 있음과 같이, 좁은 피치로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보다 한층 소형화, 박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SP구조로 구성되는 제어회로 G/A(511)를 기판(551)에 설치한 홈(591)에 메워넣고, 내상(內相)의 동박(563)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광원부(800)의 관형상 광원(811)은 상술한 액정패널(100)의 짧은 길이 방향의 단면 즉, 주사선 구동회로(253)측의 일단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회로기판(500)은 관형상 광원(811)에 대향하는 액정패널(100)의 짧은 길이 방향의 단면 즉 주사선 구동회로(251)측의 타단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액정패널(100)의 이면측에는 프레임(831)에 유지된 면광원부(800)의 도광판(821)이 배치되어 있다. 이 도광판(821)은 두께가 약 2.0㎜의 두꺼운 부분(821A)과 두께가 약 0.8㎜의 얇은 부분(821B)을 갖는 쐐기형 형상의 아크릴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관형상 광원(811)은 도광판(821)의 두꺼운 부분(821A)의 일단면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기판(500)은 도광판(821)의 얇은 부분(821B)의 타단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관형상 광원(81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821)의 두꺼운 부분(821A)측의 입사단면(821C)으로부터 입사하고, 도광판(821)의 내부를 전파한다. 도광판(821)의 이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반사시트가 배치되어, 도광판(821)으로부터 이면측으로 누설된 광을 다시 도광판(821)을 향하여 반사한다. 도광판(821) 전체에 전파된 광은 액정패널(100)에 대향하는 출사면(821D)으로부터 출사된다. 출사면(821D)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판(821)과 액정패널(100)의 사이에 개존되는 광학시트, 예를 들면 확산 시트나 프리즘 시트에 의해 소정의 광학특성이 부여되고, 액정패널(100)의 어레이기판(200)측으로 입사한다.
액정패널(200)에 입사한 광은 화소전극(213)과 대향전극(403)의 사이의 전계에 의해 제어되는 액정층(410)에 의해 변조되고, 표시화소마다 선택적으로 투과되고, 표시화상을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장치(1)에서는 어레이기판(200)에 구동회로의 일부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회로규모를 종래에 비해 축소할 수 있다. 또한 IVH구조의 기판(551)과 CSP구조를 효과적으로 조합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500)의 소형화, 박형화가 달성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소형화, 박형화가 달성되는 구동회로기판(500)을 액정패널(100)의 짧은 길이 방향 즉, 주사선 구동회로(251)측을 따라서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의 두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500)가 배치되는 측이 쐐기형의 도광판(821)의 얇은 부분(821B)측이고, 액정패널(100)의 두께와 도광판(821)의 두께의 합계보다도 회로기판(500)의 두께는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쐐기형의 도광판(821)의 얇은 부분(821B)측은 극히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500)을 액정패널(100)의 주사선 구동회로(251) 측 단면의 외부둘레를 따라서 배치하였지만, 회로기판(500)을 쐐기형의 도광판(821)의 얇은 부분(821B)에 겹쳐서 배치하여도 좋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500)의 두께는 도광판(821)의 두꺼운 부분(821A)과 얇은 부분(821B)의 두께의 차보다 얇다. 이 때문에 회로기판(500)을 도광판(821)의 얇은 부분(821B) 단면을 따라서 얇은 부분(821B)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1)를 극히 얇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틀 가장자리 폭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액정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표시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상에 구동회로의 완전한 일체화가 달성되지 않아도 극히 박형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4)

  1. 복수의 표시화소가 배열된 수평화소 라인을 복수개 포함하는 전극기판을 구비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기판, 상기 전극기판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표시패널의 이면측에 배치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단면을 입사단면으로 하도록 배치되는 관형상 광원을 포함하는 면광원부를 구비한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은 각 상기 표시화소마다 설치된 화소전극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일단면에 대향하는 다른 단면은 상기 일단면보다도 두께가 얇고,
    상기 구동회로기판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다른 단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기판의 두께는 상기 표시패널의 두께와 상기 도광판의 상기 다른 단면의 두께와의 합계보다도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기판은 IVH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은 상기 수평화소 라인을 따라서 배치되는 신호선 구동회로부와, 상기 수평화소 라인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주사선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기판은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기판은 상기 주사선 구동회로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7. 복수의 표시화소가 배열된 수평화소 라인을 복수개 포함하는 전극기판을 구비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기판, 상기 전극기판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이면측에 배치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단면을 입사단면으로 하도록 배치되는 관형상 광원을 포함하는 면광원부를 구비한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은 각 상기 표시화소마다 설치된 화소전극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일단면을 포함하는 두께부와, 상기 일단면에 대향하는 타단면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두꺼운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얇은 부분을 갖는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회로기판은 상기 도광판의 상기 타단면을 따른 상기 얇은 부분에 겹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8. 복수의 표시화소가 배열된 수평화소 라인을 복수개 포함하는 전극기판을 구비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일단면을 광의 입사면으로 한 대략 장방형의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입사단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관형상 광원을 포함하는 면광원부,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에 대향하는 타단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전극기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기판, 및
    상기 전극기판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도광판의 상기 입사단면에 인접하는 한쪽 측단면에 대응하는 상기 전극기판의 단변측에서 상기 전극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기판은 서로 대략 직교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과 상기 주사선과의 교점 근방에 배치되는 스위치소자를 통해서 배치되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기판은 상기 주사선에 접속되는 주사선 구동회로부와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는 신호선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부는 상기 전극기판의 상기 단변측을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부 및 상기 스위치소자는 다결정 실리콘막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부는 서로 병렬 동작하는 복수의 신호선 구동회로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 구동회로부는 시프트 레지스터,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비디오버스배선 및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버스배선에 공급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신호선으로 출력하는 샘플링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KR1019990031218A 1998-07-31 1999-07-30 평면표시장치 KR100348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17411 1998-07-31
JP21741198 1998-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94A true KR20000012094A (ko) 2000-02-25
KR100348693B1 KR100348693B1 (ko) 2002-08-13

Family

ID=1670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218A KR100348693B1 (ko) 1998-07-31 1999-07-30 평면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66195B1 (ko)
KR (1) KR100348693B1 (ko)
TW (1) TWI2264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62B1 (ko) * 2001-01-18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3776327B2 (ja) * 2001-03-26 2006-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
JP4217090B2 (ja) * 2003-03-20 2009-01-2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US7449838B2 (en) * 2003-09-12 2008-11-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unit provided with it
TW200627363A (en) * 2004-12-20 2006-08-01 Toshiba Kk Driver circuit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175545B2 (en) * 2017-04-25 2019-01-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1829A (ja) * 1986-10-17 1988-05-06 Nec Corp アクテイブ・マトリツクス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65233B2 (ja) 1993-03-17 1999-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012435B2 (ja) * 1993-07-27 2000-02-2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5893623A (en) * 1993-11-12 1999-04-13 Seiko Epson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semiconductor devic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H095744A (ja) * 1995-04-20 1997-01-10 Toshiba Corp 平面表示装置
KR100262798B1 (ko) * 1996-02-02 2000-08-01 가나이 쓰도무 액정표시장치및배면조명부용도광판의제조방법
TW374852B (en) * 1996-06-10 1999-11-21 Toshiba Corp Display device
JP3543910B2 (ja) * 1996-10-11 2004-07-2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H11109398A (ja) 1997-10-02 1999-04-23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728981B2 (ja) * 1998-08-26 2005-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26478B (en) 2005-01-11
US6466195B1 (en) 2002-10-15
KR100348693B1 (ko)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692B1 (ko) 평면표시장치
KR100518923B1 (ko)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JP3617458B2 (ja) 表示装置用基板、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30003041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20641A (ko) 전기광학장치의 구동회로, 전기광학장치 및 전자기기
TWI288288B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3948883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20030718A (ko) 전기 광학 패널, 그 구동 방법 및 전자기기
KR100496791B1 (ko) 전기 광학 패널 및 전자 기기
KR100348693B1 (ko) 평면표시장치
KR20210008231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방법
JP3288989B2 (ja) 平面表示装置
JP3288990B2 (ja) 平面表示装置
JPH11281996A (ja) 表示装置
JP4476527B2 (ja) 平面表示装置
KR20040055188A (ko)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3876583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21120313A1 (zh) 显示装置
JP2003195350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5196694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2221734A (ja) 平面表示装置
JP2001022287A (ja) 平面表示装置
KR20050004965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JP3209940B2 (ja) 液晶表示装置
JP398873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