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016A - 플록 합성물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록 합성물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016A
KR20000012016A KR1019990030725A KR19990030725A KR20000012016A KR 20000012016 A KR20000012016 A KR 20000012016A KR 1019990030725 A KR1019990030725 A KR 1019990030725A KR 19990030725 A KR19990030725 A KR 19990030725A KR 20000012016 A KR20000012016 A KR 2000001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lab
foam
cros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쥴즈바흐한스-미햐엘
뷔첼보도
Original Assignee
칼 에프 프로스
헤네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에프 프로스, 헤네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에프 프로스
Publication of KR2000001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0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5Moulds with adjustable size of the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포움 플록의 각형 블록은 포움 플록이 도입되기 전에 인접한 주형벽의 코너부에서 충전 단면으로 먼저 확장함으로써 주형 상자 내에 전체 단면에 걸쳐 각형 에지 및 균일한 밀도 분포로 합성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포움 플록이 도입된 후에, 제조될 슬래브의 직시된 단면으로 축소시켜서 빈 공간을 채우고, 코너부에 소정 밀도로 충전한 플록을 압밀(壓密)하여, 슬래브가 전체 단면에 걸쳐 균일한 밀도를 갖는다.

Description

플록 합성물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 및 장치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FOAM SLABS OF ANGULAR CROSS-SECTION IN A FLOCK COMPOSITE}
본 발명은 플록 합성물(flock composite)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움 플록(foam flock)은 인접한 주형벽을 갖는 주형 상자 내로 도입되고 충전재는 스탬프에 의해 소정 밀도 또는 슬래브 높이로 압밀(壓密)되고 그 다음 완성된 슬래브는 주형에서부터 제거된다.
포움 플록으로 만들어진 각형 단면의 합성물 슬래브 제품,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플록에는 서로에 대해 접합제 또는 소결물 또는 용융재가 분무된다. 선택된 주형 상자의 충전 단면의 특성에 따라서, 완성된 슬래브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원형 슬래브 형태에 대해, 그러나 이들은 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충전 단면에 걸쳐 균일한 밀도 분포가 원형 슬래브 내에서 얻어질 수 있는 한편, 슬래브 제조에 있어서 특히 플록 크기의 역할 및 플록이 브리지를 형성하려는 경향의 역할로서 빈 공간 및 둥근 에지가 플록이 주형 상자 내로 도입되는 동안에 특히 그의 코너부에 형성되고, 더욱이 저 밀도가 슬래브의 내부에서보다 오히려 이들 코너부에서 형성되는 것은 각형 충전 단면의 경우에 있어서 단점이다. 특히, 12 내지 15 ㎜인 통상 크기의 플록 제조 공정은 이러한 어려움을 나타낸다.
빈 공간과 둥근 코너부와 슬래브 단면적에 걸쳐 취해진 균일하지 않은 밀도 때문에, 수작업으로 플록을 코너부 내로 이어서 충전시키도록 하는 노력이 행해져왔다. 이는 제조 중에 높은 지출을 의미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코너부에서 얻어진 밀도는 작업자의 기술에만 의존하게 되어 재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더 큰 필요성을 갖는 목적으로 슬래브 재료를 사용하기 위하여, 부실한 에지 및 균일하지 않은 코너부를 제거하도록 완성된 각형 플록 합성물 슬래브를 절단할 필요가 종종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일반적으로 약 10%의 낭비가 이러한 실행으로부터 발생되어, 이러한 낭비가 더 낮은 질적 공정을 위해 재생하여 이용될 수 있더라도 제조 작업이 이에 대해 손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록 재료를 압밀함으로써 날카로운 에지와 전체 슬래브 단면에 걸쳐 균일한 밀도 분포를 갖는 각형 포움 합성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포움 플록이 도입되기 전에 2개의 주형벽에 의해 형성된 모든 코너부에서 단면이 충전 단면으로 확장되고, 포움 플록이 도입된 후에 충전 단면이 제조될 슬래브의 소정 단면 형상으로 축소되어, 충전재가 소정 밀도 또는 슬래브 높이로 압밀되어 성취된다.
이러한 방법의 결과로, 완전히 완성된 플록 합성물 슬래브는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증가된 질적 필요성에 대해서도, 특히 그의 균일한 밀도 분포 및 완전히 충전된 코너 때문이다. 그 결과, 낭비가 없다. 이어지는 수작업에 의한 충전은 또한 필요하지 않다. 충전 단면의 확장 및 축소가 주형 상자의 전체 높이 또는 충전재 높이에 걸쳐서 일어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실제로, 통상의 직사각형, 특히 정사각형 슬래브가 제조된다. 그러나, 이 새로운 발명은 모든 각형 슬래브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슬래브가 보다 더 많은 코너부를 가지면, 통상의 제조 중에 균일하지 않은 밀도 및 충전되지 않은 코너부의 위험이 보다 더 낮아진다. 다른 한편으로, 새로운 공정의 사용은 4개의 코너부 또는 단지 3개의 코너부를 갖는 슬래브의 제조에 특히 유리하다.
플록 합성 공정에 의한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장치는 기부와 그 위에 세워진 몇몇 인접한 주형벽을 갖는 주형 상자와 기부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스탬프를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2개의 인접한 주형벽에 의해 형성된 모든 코너부에서, 주형벽의 하나는 고정된 벽부와 그 위에 고정된 플랩으로 분할되고, 이때 플랩은 수직인 선회축 둘레에 선회될 수 있고 외측을 향한 위치와 고정된 벽부와 평행한 위치 사이에 선회될 수 있다.
그 결과, 충전 전에 충전 단면은 코너부에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랩을 선회시킴으로써 커지고, 이러한 위치가 플록을 충전하는 동안에 유지된다. 충전 작업이 끝날 때, 플랩은 내향 이동되고, 그 결과, 이들 확장된 영역으로부터의 플록은 내향 변위되어서, 존재 가능한 빈 공간은 이제 사라지고 이들 영역 내의 그 자체로서 낮은 밀도는 정상 수준으로 증가된다. 충전 단면의 확장부의 요구된 크기와 플랩 개방과 관련된 각과 그들의 폭은 플록의 특성의 함수로서 실험적으로 가장 잘 결정될 수 있다.
플랩에 인접한 특정 주형벽은 양호하게는, 플랩의 선회각(α)의 영역 내에서, 이 선회각(α)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다.
이 실시예는 플랩이 외향 선회하여 플록이 주형 상자 내로 도입될 때 인접 주형벽에 대한 시일이 존재하여 플록이 나타날 수 없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이 시일은 플랩이 그의 말단 위치로 복귀될 때 또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랩은 유압 장치로 작동될 수 있다. 플랩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압력은 이러한 방법으로 유리하게 인가될 수 있다. 물론 잠금 등으로의 수작업이 또한 가능할 수 있으나, 이는 시간과 작업자에 있어서 매우 많은 비용이 든다.
그 자체가 통례적이고 유리한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장치에는 제조 작업이 사실상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제어 장치가 함께 장착된다. 이 제어 장치는 플랩의 스탬프와 유압 장치에 그리고 비우기 작업에 적절하게 작용한다.
본 장치는 적절히 구성된 주형 상자를 들어올리고 완성된 슬래브를 멀리 밀어냄으로서, 또는 주형벽을 아래로 절첩하여 슬래브를 제거함으로써 알려진 그 자체 방식으로 비워진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 스탬프는 비우기 작업 전에 후방 이동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주형 상자는 알려진 그 자체 방식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새로운 장치는 도면에서 개략의 형식으로 단순하게 도시되고 아래에서 보다 더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도1은 느슨하게 충전된 주형 상자를 갖는 장치의 단면도.
도2는 주형 상자 내에 완성된 슬래브를 갖는 장치의 종단면도도.
도3은 도1의 A를 확대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형 상자
2 : 슬래브
3 : 기부
4, 5 : 주형벽
6 : 스탬프
9 : 곡률
10 : 벽부
11 : 플랩
13 : 유압 장치
14 : 코너부
16 : 충전재
도1 및 도2에서, 장치는 정사각형 단면인 (도2의) 합성물 슬래브(2)의 제조용 주형 상자(1)를 포함한다. 주형 상자(1)는 기부(3)와 주형벽들(4, 5)에 의해 분리된다. 주형 상자(1) 위에는 주형 상자(1)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스탬프(6)가 위치된다. 이 스탬프(6)는 유압으로 작동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탬프의 가압 표면(7)은 그 크기 및 형상에 있어 사실상 제조될 슬래브(2)의 단면(8)에 대응한다. 서로 대향하는 주형벽들(4)의 단부들은 (도2 및 도3의) 곡률(9)을 갖는 한편, 그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서로 대향된 주형벽들(5)은 이들이 유압 장치(13)에 의해 선회축(12) 둘레에 이동될 수 있는 방법으로 플랩(11)이 유지되는 벽부(10)를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에, 코너부(14)는 벽(4)과 플랩(11) 사이에 형성된다. 충전 단면은 15와 충전재(16)로 표시된다.
도2에서, 스탬프(6)는 압밀 작용의 말단 위치에 있고 슬래브(2)는 스탬프, 기부(3) 및 주형벽(4, 5)에 의해 둘러싸이고, 벽부(10) 및 플랩(11)은 각각의 경우에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작동 모드 및 새로운 장치로써 새로운 공정은 다음과 같다.
주형 상자(1)의 주형벽(4, 5)은 기부(3) 상에 놓여져, 시일을 형성하고, 주형벽(5)의 플랩(11)은 30도의 각(α)을 통하여 외향 선회되다. 플랩(11)은 시일을 형성하도록 곡률(9)에 맞대어져 있다. 스탬프(6)가 상승된 상태에서, 접합제로 분무되고 약 10 내지 15 ㎜의 에지 길이를 갖는 폴리우레탄 포움 플록은 이제 소정량으로 충전 단면(15)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느슨한 포움 플록 더미는 약 15 ㎏/㎥의 밀도를 갖는다. 주형 상자(1) 내에 충전재(16)는 60 ㎏/㎥의 밀도에 0.5 m의 슬래브 높이로 압밀되는 것이다. 플랩(11)은 먼저 벽부(10)와 평행한 위치로 내향 선회된다. 이러한 작동 중에, 크기가 커진 코너부(14)에서 플록은 내향 변위되고 그 결과 형성된 빈 공간들을 채운다. 단면의 크기가 커지는 것과 충전 작업용 체적은 이미 실험적 측정으로부터 알려져 있고, 플랩(11)이 벽부(10)와 평행인 위치에 도달할 때, 전체 단면(8)에 걸쳐 균일한 밀도가 된다. 스탬프(6)는 이제 상승하고 그 다음 주형 상자(1)는 위로 당겨진다. 완성된 슬래브(2)는 이제 제거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설명을 목적으로 앞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었으나, 이는 이러한 상세한 설명이 그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변형이 청구항에 의해 한정될 수 있을 때만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된 구성에 의해, 플록 재료를 압밀함으로써 날카로운 에지와 전체 슬래브 단면에 걸쳐 균일한 밀도 분포를 갖는 각형 포움 합성물이 제조된다.

Claims (6)

  1. 인접한 주형벽을 갖는 주형 상자 내에 포움 플록을 도입하는 단계와, b) 완성된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 밀도 또는 슬래브 높이까지 스탬프로 포움 플록을 압밀하는 단계와, 주형으로부터 완성된 슬래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록 합성물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포움 플록이 도입되기 전에 인접한 주형벽에 의해 형성된 모든 코너부에서 상기 단면이 충전 단면으로 확장되고, 상기 포움 플록이 도입된 후에 상기 충전 단면이 완성된 슬래브의 소정 단면 형상으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
  2. 플록 합성 공정에 의하여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부와 이 기부 상에 체결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주형벽을 갖는 주형 상자와,
    기부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스탬프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인접한 주형벽에 의해 형성된 모든 코너부에서 상기 주형벽 중의 하나는 벽부와 그 위에 유지된 플랩으로 분할되고, 상기 플랩은 수직인 선회축 둘레를 이동할 수 있고 외측을 향한 위치와 벽부와 평행한 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에 인접한 주형벽은, 플랩의 선회각(α) 범위 내에서, 선회각(α)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유압 장치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상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 상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90030725A 1998-07-29 1999-07-28 플록 합성물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및 장치 KR200000120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4100.8 1998-07-29
DE19834100A DE19834100C2 (de) 1998-07-29 1998-07-2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aumstoffblöcken mit eckigem Querschnitt im Flocken-Verbu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16A true KR20000012016A (ko) 2000-02-25

Family

ID=787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725A KR20000012016A (ko) 1998-07-29 1999-07-28 플록 합성물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261498B1 (ko)
EP (1) EP0976518B1 (ko)
JP (1) JP2000043059A (ko)
KR (1) KR20000012016A (ko)
CN (1) CN1103673C (ko)
DE (2) DE19834100C2 (ko)
HK (1) HK1025537A1 (ko)
NO (1) NO315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600A1 (es) * 2001-12-14 2003-06-26 Amato Martinez Garza Luis Alej Molde para la produccion de bloques de hule espuma sin desperdicio
DE10228473A1 (de) * 2002-06-26 2004-02-05 Bayer Ag Polyurethanformteil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355222A1 (de) * 2003-11-26 2005-06-23 Hennec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blöcken im Flockenverbund
US7566165B2 (en) * 2006-04-17 2009-07-28 Milliken & Company Valved manifold and system suitable for introducing one or more additives into a fluid stream
DE102008007078B3 (de) * 2008-01-31 2009-05-28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lockschaumstoff
DE102013002519B4 (de) 2013-02-13 2016-08-18 Adidas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Dämpfungselemente für Sportbekleidung
DE102016209045B4 (de) 2016-05-24 2022-05-25 Adida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herstellen von schuhsohlen, sohlen und schuhe
DE102016209044B4 (de) 2016-05-24 2019-08-29 Adidas Ag Sohlenform zum Herstellen einer Sohle und Anordnung einer Vielzahl von Sohlenformen
DE102016209046B4 (de) 2016-05-24 2019-08-08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schuhsohle, schuh und vorgefertigte tpu-gegenstände
DE102016223980B4 (de) * 2016-12-01 2022-09-22 Adida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formteils
DE102017205830B4 (de) 2017-04-05 2020-09-24 Adidas Ag Verfahren für die Nachbehandlung einer Vielzahl einzelner expandierter Partikel für die Herstellung mindestens eines Teils eines gegossenen Sportartikels, Sportartikel und Sportschuh
CN108621360B (zh) * 2018-07-04 2024-02-09 中国人民解放军61489部队 一种用于制备聚氨酯泡沫尖劈吸波材料的模具
EP4265673A1 (de) 2022-04-22 2023-10-25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formteilen, -blöcken oder -zylinder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708A (en) * 1959-08-18 Modification and control of plastic
US121496A (en) * 1871-12-05 Improvement in butter-molds
US3401128A (en) * 1965-02-08 1968-09-10 Hoover Ball & Bearing Co Polyurethane foam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531562A (en) * 1969-03-12 1970-09-29 Monsanto Co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rmoplastic foam scrap
BE790999A (fr) * 1971-11-29 1973-03-01 Pont A Mousson Procede et machine perfectionnes pour la fabrication de pieces moulees en matiere plastique expansee
US4298323A (en) * 1980-03-03 1981-11-03 Precision Tool & Machine, Inc. Apparatus for molding laminated foam-body panels
GB8609324D0 (en) * 1986-04-16 1986-05-21 Micropore International Ltd Enclosing object
FR2604430B1 (fr) * 1986-09-30 1990-01-05 Pechiney Aluminium Procede et dispositif de mise en forme de blocs carbones par compactage multiaxial
US5236655A (en) * 1989-05-12 1993-08-17 Pwr Recycling B.V. Process for processing plastic waste into blocks
DE69119883T2 (de) * 1991-01-22 1996-10-02 Kanegafuchi Chemical I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geschäumten Werkstücken aus Olefinharzen
US5505886A (en) * 1992-12-11 1996-04-09 Utah State University Foundation Process for densification of low density polystyrene
DE59408842D1 (de) * 1993-11-29 1999-11-25 Greiner & Soehne C A Formteil aus Kunststoffschaum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Herstellung
US5562873A (en) * 1994-08-15 1996-10-08 Matrex Furniture Components, Inc. Method for forming a cushion
GB9618223D0 (en) * 1996-08-30 1996-10-09 Middleton Engineer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lastic materials
DE19654075A1 (de) * 1996-12-23 1998-06-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 grobkörnigem Füllmaterial hochgefüllten Reaktivkunststoff-Formkörp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673C (zh) 2003-03-26
NO993665L (no) 2000-01-31
NO315699B1 (no) 2003-10-13
CN1243060A (zh) 2000-02-02
EP0976518A2 (de) 2000-02-02
EP0976518A3 (de) 2000-04-26
EP0976518B1 (de) 2002-10-23
DE19834100C2 (de) 2000-05-11
US20010040307A1 (en) 2001-11-15
JP2000043059A (ja) 2000-02-15
DE59903149D1 (de) 2002-11-28
HK1025537A1 (en) 2000-11-17
US6358036B2 (en) 2002-03-19
US6261498B1 (en) 2001-07-17
DE19834100A1 (de) 2000-02-10
NO993665D0 (no) 199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2016A (ko) 플록 합성물 내에 각형 단면의 포움 슬래브를 제조하는 공정및 장치
EP1716999A2 (en) Improvement in a molding apparatus for producing dry cast products having textured side surfaces
US4085790A (en) Casting method using cavityless mold
DE2923111A1 (de) Zum einstellen auf unterschiedliche strangquerschnittsformate geeignete stranggiesskokille
EP0223525A2 (en) Moulding of construction products
DE2513072B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fiillen einer Preßform für Betonplatten, Keramikfliesen o.dgl
CA1316669C (en) Device for manufacturing stones
JPS6332096A (ja) シ−ルドトンネルの覆工方法
JP4502319B2 (ja) ブロック製造方法
DE102004018135B4 (de) Verfahren und Formvorrichtung zur Herstellung porosierter Schaumbeton-Formkörper
DE19802207A1 (de) Verfahren zur Auskleidung von Gießpfannen und entsprechende Schablone
EP3539686B1 (en) Moulding machine with a bolst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uld
JPH07252842A (ja) 土工事工法
JPH0344880B2 (ko)
DE102007005324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körpers aus einer tonartigen Dichtungsmasse
WO2017100931A1 (en) Casted block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DE3436271A1 (de) Mobile maschine mit vorrichtungen zur herstellung und zum fortlaufenden ablegen von betonsteinen
JPH04105903A (ja) 模様入り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AU659098B2 (en)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shaped article
SU1063530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литейных форм и стержней
CA1195830A (en) Manufacture of layered building blocks or artificial stones
GB2126630A (en) Tunnel linings
SU795951A2 (ru)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ь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пуСТОТНыХ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пАНЕлЕй
CN110132703A (zh) 视密度可控的构造煤块状型煤三轴制样装置及方法
DE3306138A1 (de) Formtisch fuer betonplat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