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437U -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437U
KR20000008437U KR2019980020126U KR19980020126U KR20000008437U KR 20000008437 U KR20000008437 U KR 20000008437U KR 2019980020126 U KR2019980020126 U KR 2019980020126U KR 19980020126 U KR19980020126 U KR 19980020126U KR 20000008437 U KR20000008437 U KR 200000084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shion
seat
seat assembly
mov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20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437U/ko
Publication of KR200000084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437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 및 타측 양쪽에 각각 지지대가 설치된 쿠션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의 시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중 일측 지지대의 내측면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돌출 형성한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가 관통하도록 가이드 홀을 양단에 형성한 이동 지지대와, 상기 이동 지지대와 타측 지지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지지대 중 일측 지지대에 형성한 나사홀에 삽입되어 양단이 일측 지지대의 양쪽에 돌출하며 일단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일면을 지지하는 푸시 나사와, 상기 푸시 나사의 타단에 일체로 설치된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본 고안은 차량에 장착된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 및 승객의 운행 조건에 맞게 시트의 쿠션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그외 탑승자의 편안한 승차감을 위해 시트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있다. 즉,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를 위한 프런트 시트와, 뒷좌석 탑승자들을 위한 리어 시트가 그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특히 프런트 시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시트 어셈블리 100은, 차량에 시트가 장착될 수 있도록 기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부 10과, 상기 프레임부 10에 안착된 시트 쿠션 20과, 상기 시트 쿠션 20 일단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받이 역할을 하는 시트 백 30과, 상기 시트 백 30 상측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헤드 레스트 40으로 구성된다.
도 1에는 프런트 시트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리어 시트 역시 각각 프런트 시트에 비해 폭만 더 넓은 프레임부, 시트 쿠션 및 시트 백을 구성요소로 가지고 있는 등 기본 구성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대부분의 리어 시트는 프런트 시트와는 달리 시트 백의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고, 별도의 헤드 레스트없이 시트 백의 높이를 좀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헤드 레스트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트 어셈블리의 세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프레임부는 스프링을 내장한 쿠션 프레임 12와, 상기 쿠션 프레임 12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레일을 구비한 시트 트랙과, 상기 시트 트랙의 일측에 장착된 시트 쉴드 커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 트랙과 시트 쉴드 커버는 도시 않됨)
상기 시트 쿠션 20은 상기 쿠션 프레임 12에 장착되는 쿠션 패드 22와, 상기 쿠션 패드 22 상측에 안착되는 쿠션 커버 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 백 30은 보호용 덮개인 백 패널 32와, 시트 백의 기본 골격을 이루며 스프링을 내장한 백 프레임 34와, 상기 백 프레임 34에 장착된 백 패드 36과, 상기 백 패드 36 외측에 안착된 백 커버 38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쿠션 프레임 12는 좌우 양측에 각각 지지대 14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 14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 스프링 16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16이 설치된 쿠션 프레임 12에 쿠션 패드와 쿠션 커버(각각 도 2의 22, 24)가 안착됨으로써 시트 쿠션(도 2의 20)이 완성된다.
상기 시트 쿠션 20의 쿠션 정도는 쿠션 프레임 12에 설치된 스프링 16의 스프링 상수 및 상기 스프링 16이 지지된 지지대 14 상호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즉, 같은 값의 스프링 상수를 가진 스프링 16의 경우라면 지지대 14 상호간의 거리가 멀수록 쿠션 정도가 낮아지고, 상기 지지대 14 상호간의 거리가 고정된 상태라면 스프링 상수가 높은 스프링 16을 장착할수록 쿠션 정도는 높아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구비한 시트 쿠션의 경우, 제조할 당시에 이미 스프링 상수 및 지지대 상호간의 거리가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 조건이나 운행 거리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알맞은 쿠션 정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 차량의 승차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운행 조건이나 운행 거리에 따라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 및 타측 양쪽에 각각 지지대가 설치된 쿠션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의 시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중 일측 지지대의 내측면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돌출 형성한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가 관통하도록 가이드 홀을 양단에 형성한 이동 지지대와, 상기 이동 지지대와 타측 지지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지지대 중 일측 지지대에 형성한 나사홀에 삽입되어 양단이 일측 지지대의 양쪽에 돌출하며 일단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일면을 지지하는 푸시 나사와, 상기 푸시 나사의 타단에 일체로 설치된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쿠션 프레임 16 : 스프링
50 : 조절 손잡이 52 : 푸시 나사
54 : 가이드 로드 60 : 이동 지지대
62 : 가이드 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쿠션 프레임 12는, 내측 양쪽에 각각 설치된 지지대 14와, 상기 지지대 14 중 일측 지지대의 내측면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돌출 형성한 가이드 로드 54와, 상기 가이드 로드 54가 관통하도록 가이드 홀 62를 양단에 형성한 이동 지지대 60과, 상기 이동 지지대 60과 타측 지지대 14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다수개의 스프링 16과, 상기 지지대 14 중 일측 지지대에 형성한 나사홀 56에 삽입되어 양단이 일측 지지대의 양쪽에 돌출하며 일단이 상기 이동 지지대 60의 일면을 지지하는 푸시 나사 52와, 상기 푸시 나사 52의 타단에 일체로 설치된 조절 손잡이 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푸시 나사 52는 조절 손잡이 5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 지지대 60 쪽으로 돌출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이동 지지대 60은 양단에 형성한 가이드 홀 62에 가이드 로드 54가 관통한 상태에서 a 또는 b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고안에 설치된 푸시 나사는 오른나사라고 가정한다.
조절 손잡이 50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기 푸시 나사 52의 일단이 이동 지지대 60의 일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푸시 나사 52는 이동 지지대 60 쪽으로 돌출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 지지대 60은 돌출하는 푸시 나사 52의 일단에 밀려 a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 프레임 12에 설치된 스프링 16은 양단간에 거리가 좁아져, 상기 스프링 16 위에 쿠션 패드 및 쿠션 커버가 안착될 경우 이전보다 소프트(쿠션 정도가 높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조절 손잡이 50을 반대쪽인 왼쪽으로 돌려 푸시 나사 52가 이동 지지대 60 반대쪽으로 삽입되면, 상기 이동 지지대 60은 스프링 16의 복원력에 의해 b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16은 양단간의 거리가 다시 멀어져, 상기 스프링 16 위에 쿠션 패드 및 쿠션 커버가 안착될 경우 하드(쿠션 정도가 낮음)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프런트 시트의 쿠션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는 리어 시트의 쿠션 프레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리어 시트의 쿠션 프레임의 경우에는 프런트 시트의 쿠션 프레임 폭보다 2배 이상 크므로, 상기 이동 지지대, 푸시 나사 및 조절 손잡이를 쿠션 프레임의 좌우 양단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리어 시트의 좌우에 탑승한 탑승자 각자가 자신이 원하는 쿠션 정도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는 차량의 운행 조건, 운행 거리 및 탑승자의 취향에 따라 시트의 쿠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 및 타측 양쪽에 각각 지지대가 설치된 쿠션 프레임을 구비한 차량의 시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중 일측 지지대의 내측면 양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돌출 형성한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가 관통하도록 가이드 홀을 양단에 형성한 이동 지지대와,
    상기 이동 지지대와 타측 지지대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 다수개의 스프링과,
    상기 지지대 중 일측 지지대에 형성한 나사홀에 삽입되어 양단이 일측 지지대의 양쪽에 돌출하며 일단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일면을 지지하는 푸시 나사와,
    상기 푸시 나사의 타단에 일체로 설치된 조절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KR2019980020126U 1998-10-21 1998-10-21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KR200000084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26U KR20000008437U (ko) 1998-10-21 1998-10-21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126U KR20000008437U (ko) 1998-10-21 1998-10-21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437U true KR20000008437U (ko) 2000-05-15

Family

ID=6952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126U KR20000008437U (ko) 1998-10-21 1998-10-21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43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25280A (zh) 用于汽车座椅的扶手模块
CA2586015A1 (en) Cushion plate with pressure adjusting mechanism in use for vehicle seat
JPH06482B2 (ja) シ−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00008437U (ko) 시트 어셈블리의 쿠션 조절 장치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US5487589A (en) Vehicle seat
KR10022325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조절장치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100439910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19990021217U (ko) 자동차 시트의 충격흡수구조
KR100401587B1 (ko) 자동차 시트의 회전가능한 헤드레스트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KR100197255B1 (ko) 차량의 시트 백의 허리 지지장치
KR19980060250A (ko) 쿠션용 헤드 레스트
KR20230170246A (ko) 이동식 레일장치
KR100456557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011712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KR19990002371A (ko) 차량용 시트
KR200150389Y1 (ko)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19980054287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40107578A (ko) 차량의 완충특성 가변형 시트
KR20060024291A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장치
KR19980028225A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KR20000021780A (ko) 자동차 시이트 헤드레스트 전후 조절장치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