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392U - 마늘 절단기 - Google Patents

마늘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392U
KR20000008392U KR2019980020074U KR19980020074U KR20000008392U KR 20000008392 U KR20000008392 U KR 20000008392U KR 2019980020074 U KR2019980020074 U KR 2019980020074U KR 19980020074 U KR19980020074 U KR 19980020074U KR 20000008392 U KR20000008392 U KR 200000083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cutting
cutter
siz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신철
Original Assignee
임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신철 filed Critical 임신철
Priority to KR2019980020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392U/ko
Publication of KR20000008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92U/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되도록 한 손잡이부에 마늘을 압착하여 절단하도록 한 절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다수 개의 마늘을 적당한 크기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자가 부상의 염려없이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마늘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마늘 절단기에 있어서,
한쌍의 작동구가 교차하여 절첩되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한쌍의 작동구가 적정간격으로 복원되도록 한 탄성스프링이 결합형성된 손잡이부와,
상측에 절단구에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압착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마늘을 놓을 수 있도록 한 재치부와, 마늘이 일정 크기로 절단되도록 한 다수개의 커터를 구비한 커터부가 결합형성된 절단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늘 절단기.
본 고안은 마늘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되도록 한 손잡이부에 마늘을 압착하여 절단하도록 한 절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다수 개의 마늘을 적당한 크기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각종의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일반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육류와 곁들이거나, 양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마늘은 크기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크기가 큰 마늘을 먹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크기가 비교적 큰 마늘은, 조리자가 칼과 도마를 이용하여 직접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칼로 마늘을 절단하는 방법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적 크기가 작은 마늘을 한손으로 파지하고 칼로 절단하기 때문에, 칼로 인해 조리자의 손이 다치는 부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절첩되도록 한 손잡이부에 마늘을 압착하여 절단하도록 한 절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다수 개의 마늘을 적당한 크기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자가 부상의 염려없이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부. 11, 11' : 작동구.
12 : 탄성 스프링. 13 : 볼트.
20 : 절단부재. 21 : 압착구.
22 : 절단구. 23 : 재치부.
24 : 커터부. 24a : 커터.
본 고안은 마늘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마늘 절단기에 있어서,
한쌍의 작동구가 교차하여 절첩되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한쌍의 작동구가 적정간격으로 복원되도록 한 탄성스프링이 결합형성된 손잡이부와,
상측에 절단구에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압착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마늘을 놓을 수 있도록 한 재치부와, 마늘이 일정 크기로 절단되도록 한 다수개의 커터를 구비한 커터부로 결합형성된 절단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으로 파지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10)와, 마늘을 절단하도록 한 절단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는 한쌍의 작동구(11,11')가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한쌍의 작동구(11,11')가 적정간격으로 복원되도록 한 탄성스프링(12)을 결합형성한다.
상기 한쌍 작동구(11,11')의 교차점에는 회동절첩되도록 한 볼트(13)로 조립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재(20)는 상측에 절단구에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압착구(21)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상기 압착구(21)가 요입되도록 한 원통형의 절단구(22)를 형성한다.
상기 절단구(22)는 내부 상측에 마늘을 놓을 수 있도록 한 재치부(23)와, 내부 하측에는 마늘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도록 한 다수개의 커터(24a)가 구비된 커터부(24)를 결합형성한다.
상기 압착구(21)와 절단구(22)는 상기 한쌍의 작동구(11,11')의 선단에 각각 결합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마늘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늘(1)을 절단하고자 할 경우, 우선 다수 개의 마늘(1)을 상기 절단구(22)의 재치부(23)에 투입하고, 상기 손잡이부(10)를 파지한 후, 상기 작동구(11,11')를 가압한다.
상기한 경우에, 상기 한쌍의 작동구(11,11')는 교차점인 볼트(13)를 중심으로 회동절첩되기 때문에, 상기 압착구(21)가 상기 절단구(22)에 삽입되어 상기 재치부(23)의 마늘(1)을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구(21)에 의해 압착된 마늘(1)은 상기 커터부(24)의 커터(24a)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절단구(22)의 직하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절첩된 작동구(11,11')는 상기 탄성 스프링(12)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구(22)의 직하방에 접시나 마늘 양념이 필요한 조리기구를 안치한 후에 절단작업을 하게 되면, 일일이 칼로 절단하고 옮기는 번거로움이 없이 절단된 마늘(1)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늘뿐만 아니라, 생강 등을 신속하고 손쉽게 적당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첩되도록 한 손잡이부에 마늘을 압착하여 절단하도록 한 절단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다수 개의 마늘을 적당한 크기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자가 부상의 염려없이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마늘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마늘 절단기에 있어서,
    한쌍의 작동구(11,11')가 교차하여 절첩되도록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한쌍의 작동구(11,11')가 적정간격으로 복원되도록 한 탄성스프링(12)이 결합형성된 손잡이부(10)와,
    상측에 절단구(22)에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압착구(2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마늘을 놓을 수 있도록 한 재치부(23)와, 마늘이 일정 크기로 절단되도록 한 다수개의 커터(24a)를 구비한 커터부(24)가 결합형성된 절단부재(2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절단기.
KR2019980020074U 1998-10-21 1998-10-21 마늘 절단기 KR200000083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74U KR20000008392U (ko) 1998-10-21 1998-10-21 마늘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74U KR20000008392U (ko) 1998-10-21 1998-10-21 마늘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92U true KR20000008392U (ko) 2000-05-15

Family

ID=6952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74U KR20000008392U (ko) 1998-10-21 1998-10-21 마늘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3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884A (ko) * 2000-08-30 2002-03-07 임해용 마늘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884A (ko) * 2000-08-30 2002-03-07 임해용 마늘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439B1 (en) Garlic cutter
KR200360448Y1 (ko) 다짐 기능을 가진 푸드 쵸퍼
US10455855B2 (en) Fruit slicer and juicer apparatus and method
US5052107A (en) Chestnut cutter
KR20000008392U (ko) 마늘 절단기
KR101908900B1 (ko) 다용도 가위
US20210347066A1 (en) Hand-held multi-purpose kitchen tool
KR100978439B1 (ko) 게육 추출기
KR200245633Y1 (ko) 마늘 절단기
JP3043032U (ja) 調理用包丁
TWM548059U (zh) 多功能廚用剪刀
KR20110105267A (ko) 마늘 파 세절기
KR102138081B1 (ko) 떡갈비 형태의 석쇠불고기 조리방법 및 상기 조리방법으로 조리된 떡갈비 형태의 석쇠불고기
US20040182259A1 (en) Culinary utensil
JP3121529U (ja) 加工食品用切り分け具
KR890009149Y1 (ko) 마늘 절단기
KR0129837Y1 (ko) 게 속살 빼기용 가위
KR200350338Y1 (ko) 다용도 가위
KR100556282B1 (ko) 김밥절단기
JPH0349642Y2 (ko)
KR200166357Y1 (ko) 다용도칼
KR200350202Y1 (ko) 기능형 식칼
JP3049330U (ja) 食材切断用補助金具
JP4211879B2 (ja) 焼海苔
JP3062110U (ja) 野菜型抜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