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825U - 모니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니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825U
KR20000006825U KR2019980018079U KR19980018079U KR20000006825U KR 20000006825 U KR20000006825 U KR 20000006825U KR 2019980018079 U KR2019980018079 U KR 2019980018079U KR 19980018079 U KR19980018079 U KR 19980018079U KR 20000006825 U KR20000006825 U KR 200000068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onitor
case
ligh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원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8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825U/ko
Publication of KR20000006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25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조립체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소정의 감속위치에 도달했을 때 그 슬라이더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므로, 모니터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거나 케이스 내로 몰입되는 과정에서의 관성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와 접촉되는 스위치가 손상되거나 또는 슬라이더와 모니터와의 결합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모니터 내부의 장치들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되게 되며, 모니터가 돌출위치 또는 몰입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니터 조립체
본 고안은 모니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에 대한 모니터의 출몰이동에 따른 모니터의 위치제어구조가 개선된 모니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에 소형의 모니터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최근에는, 승차자가 시청하지 않을 때에는 모니터를 외부의 간섭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모니터가 자동차의 중앙패널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대쉬타입(in dash type)의 모니터 조립체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인대쉬타입의 모니터 조립체의 일례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니터 조립체는, 자동차의 중앙패널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한 쌍의 랙(11)이 설치된 케이스(10)와,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20)를 구비하고 있다. 모니터(20)는 힌지축(21)을 통해 슬라이더(30)에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30)에는 모터(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모터(31)의 출력축(311)에는 연결기어(32)가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30)에는 또한 피니언부재(3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피니언부재(35)의 양단부에는 피니언기어부(351)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피니언기어부(351)은 상기 케이스(10)의 랙(11)들과 각각 맞물리며, 피니언기어부(351) 중 하나는,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어(32)가 맞물려 있다.
이러한 모니터 조립체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31)가 회전되면, 연결기어(32)와 피니언기어부(351)들을 통해 피니언부재(35)가 랙(11) 위를 구르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0)는, 케이스(10)에 설치된 가이드기구(미도시)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화살표(A) 방향을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고, 그 슬라이더(30)에 지지된 모니터(20)는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처럼 모니터(20)가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면 자동차 내의 승차자는 그 모니터(20)에 형성되는 화면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3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술한 과정과는 반대로, 모니터(20)가 화살표(B) 방향을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로 몰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20)가 케이스(10) 내로 몰입됨으로써, 모니터(20)가 보호될 수 있으며, 자동차 실내의 공간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모니터(20)가 케이스(10)로부터 완전히 돌출되거나 또는 케이스(10) 내에 완전히 몰입된 시점에서는 모터(31)의 회전이 중지되어야 한다. 이처럼 모터의 회전을 중지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슬라이더(30)에 한 쌍의 푸시풀(push-pull) 스위치(38,39)를 설치하여, 모니터(20)가 케이스(10) 내로 몰입되는 도중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38)가 케이스(10)에 의해 눌리게 되면 그 스위치(38)로부터 모터(31)의 회전중지를 위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고, 모니터(20)가 돌출되는 도중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39)가 케이스(10)에 의해 눌리게 되면 그 스위치(39)로부터 모터(31)의 회전중지를 위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스위치(38) 또는 스위치(39)가 케이스(10)에 의해 눌리는 시점에서 모터(31)의 회전이 순간적으로 멈추어지게 되므로, 이동되던 슬라이더(30)는 순간적으로 급제동된다. 이처럼 슬라이더(30)가 급제동되면, 그 슬라이더(30)나 모니터(20)의 관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더(30)와 접촉되는 스위치(38,39)가 손상되거나 또는 슬라이더(30)와 모니터(20)와의 결합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모니터(20) 내부의 장치들에 손상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모니터(20)가 원하는 돌출위치 또는 몰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모터(31)의 회전이 멈추어질 때의 모니터(20)의 관성력 자체를 줄이기 위하여 슬라이더(30)의 이동구간 전체에 걸쳐 모터(31)의 회전수를 줄이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안에 따르면 모니터(20)의 돌출 또는 몰입에 필요한 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되어 승차자를 짜증나게 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의 출몰구간에서의 이동속도를 크게 저하시키지 않더라도, 모니터의 돌출위치 또는 몰입위치에서 그 모니터의 출몰을 위한 구동원의 작동이 정지할 때, 모니터에 큰 관성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모니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모니터 조립체의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가 돌출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조립체의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모니터가 돌출되는 과정에서의 감속위치에 있는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니터가 돌출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모니터가 몰입되는 과정에서의 감속위치에 있는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11...랙
20...모니터 30...슬라이더
31...모터 35...피니언부재
50...센서 51...발광부
52...수광부 60...브라켓
61∼66...광통과공(표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조립체는, 케이스와,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며 그 모니터가 상기 케이스 내외로 출몰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소정의 감속위치에 도달했을 때 그 슬라이더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조립체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부위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니터 조립체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모니터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적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모니터 조립체로서, 케이스(10)와, 모니터(20)와, 슬라이더(3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자동차의 중앙패널 내부에 설치되거나 기타 자동차의 적절한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모니터(20)는 TV용 모니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일컫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모니터(20)는 승차자가 시청할 화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30)에 힌지축(21)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모니터(20)가 케이스(10)로부터 돌출되면 모니터 회전기구(미도시) 등에 의해 승차자가 시청하기에 좋은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20)가 케이스(10) 내에 몰입되는 위치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20)가 케이스(10)로부터 완전히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소정의 가이드기구(미도시)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수단으로서, 슬라이더(30)에 설치된 모터(31)와, 그 모터(31)의 출력축(311)에 고정된 연결기어(32)와, 슬라이더(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에 피니언기어부(351)를 갖춘 피니언부재(35)와, 케이스(10)에 설치되며 각 피니언기어부(351)와 맞물리는 한 쌍의 랙(11)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종래 모니터 조립체와는 달리, 본 실시예의 모니터 조립체에는 모터(31)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30)가 소정의 감속위치에 도달했을 때 그 슬라이더(30)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신호 발생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더(30)에 고정된 센서(50)와 케이스(10)에 고정된 브라켓(60)과, 브라켓(60)에 형성된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50)는 소위 광센서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51)와, 상기 발광부(51)와 마주하며 그 발광부(51)로부터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60)은 슬라이더(30)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면은 센서(50)의 발광부(51)와 대면하고 그 타측면은 수광부(52)와 대면하도록 발광부(51)와 수광부(52) 사이에 끼워져 있다. 브라켓(60)에는 그 양측면을 관통하는 광통과공들(61∼66)이 상기 표시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광통과공들(61∼66) 중 제1광통과공(61)은 도 4에 화살표(A) 방향 즉 모니터(20)의 돌출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제2광통과공(62)은 도 7에 도시한 화살표(B) 방향 즉 모니터(20)의 몰입방향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2회에 걸쳐 감속될 수 있도록 제1광통과공(61) 주위에 제1보조광통과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광통과공(62) 주위에 제2보조광통과공(6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참조번호 65와 66은 각각 정지위치감지용 광통과공이며, 38과 39는 슬라이더(30)에 고정된 푸시풀 스위치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참조번호 80은 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모니터 조립체에 있어서, 모터(31)의 정역회전시에 그 모터(31)의 회전력이 연결기어(32)와 피니언부재(35)와 랙(11)을 통해 슬라이더(30)에 전달되어 슬라이더(30)가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더(30)의 슬라이딩에 의해 모니터(20)가 케이스(10) 내로 몰입되거나 또는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는 점 등은 종래 모니터 조립체에 있어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본원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그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몰입되어 있는 모니터(20)를 돌출시키기 위하여, 모터(31)에 의해 슬라이더(3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슬라이더(30)에 설치된 센서(50)가 함께 이동하게 되며 그 센서(50)의 발광부(51)로부터는 광이 조사되게 된다. 슬라이더(3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센서(50)는 제2보조광통과공(66)과 제2광통과공(64)을 차례로 거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통과공(61)이 형성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광통과공(61)이 형성된 위치에 센서(50)가 도달하게 되면, 발광부(51)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제1광통과공(61)을 통해 수광부(52)에서 수광되고 이에 따라, 센서는 슬라이더(30)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신호는 모터(3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0; 도 5참조)로 전달되며, 제어부(80)는 그 신호에 따라 모터(31)의 회전수를 감속제어함으로써 슬라이더(30)의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그 후, 슬라이더(30)가 감속된 상태로 계속해서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센서(50)는 제1보조광통과공(63)이 형성된 위치에 도달되고, 그 위치에서 발광부(51)로부터 조사된 광이 제1보조광통과공(63)을 통해 다시 수광부(52)에 수광됨으로써, 센서(50)는 슬라이더(30)의 속도를 2차 감속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며 그 신호에 의해 제어부(80)는 모터(31)를 통해 슬라이더(30)의 속도를 더 감속하여 이동시킨다. 2회에 걸쳐 감속된 슬라이더(30)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모니터(20)가 완전히 돌출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스위치(39)가 케이스(10)에 의해 눌림으로써 모터(31)의 작동이 멈추어지게 되며, 센서(50)는 제1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5)이 형성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발광부(51)로부터의 광이 그 제1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5)을 통해 수광부(52)에 수광되어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에 의해 모니터(20)가 돌출된 상태로 정지되어 있음이 인식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20)가 돌출되는 과정에서 센서(50)가 제2보조광통과공(64)과 제2광통과공(62)이 형성된 위치에 위치할 때에도, 발광부(51)로부터의 광이 그 제2보조광통과공(64) 또는 제2광통과공(62)을 통해서 수광부(52)에 수광되어 센서(50)로부터 제2보조광통과공(64) 또는 제2광통과공(62)을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 예를 들어 모니터(20)가 돌출되는 과정에서 센서(50)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들 중 세번째 신호 즉 상기 제1광통과공(61)을 감지하여 얻어지는 신호를 감속을 위한 신호로 인식하고 네번째 신호 즉 제1보조광통과공(63)을 감지하여 얻어지는 신호를 재감속신호로 인식하도록 입력해 두거나 또는, 모터(31)의 작동개시 후 센서(50)가 제2광통과공(52)을 통과하기 까지의 시간을 계산하여 그 시간을 소정범위 초과한 이후에 처음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감속신호로 인식하도록 입력해 두면, 제2보조광통과공(64) 또는 제2광통과공(62)을 감지하여 얻어지는 신호는 무시되고, 원하는 감속위치 즉 센서(50)가 제1광통과공(61) 또는 제1보조광통과공(63)과 대면하는 위치에서 감속이 행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31)가 역회전하게 되면 모니터(20)가 화살표(B) 방향을 따라 케이스(10) 내로 몰입되게 된다. 이러한 모니터 몰입 과정에서도 상술한 모니터 돌출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거쳐 슬라이더(30)가 2회에 걸쳐 감속되게 된다. 즉, 모니터(20)의 몰입을 위해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센서(50)가 제1보조광통과공(63) 및 제1광통과공(61)을 거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광통과공(62)에 위치하게 되면, 발광부(51)로부터의 광이 제2광통과공(61)을 통해 수광부(52)에 수광되어 발생되는 센서(5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80)는 모터(31)의 회전수를 감속제어함으로써 슬라이더(30)의 속도를 1차 감속시킨다. 이처럼, 2회에 걸쳐 감속된 슬라이더(30)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모니터(20)가 완전히 몰입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스위치(38)가 케이스(10)에 의해 눌림으로써 모터(31)의 작동이 멈추어지게 되며, 센서(50)는 제2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6)이 형성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발광부(51)로부터의 광이 그 제1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6)을 통해 수광부(52)에 수광되어 센서(5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에 의해 모니터(20)가 몰입된 상태로 정지되어 있음이 인식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모니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슬라이더(30)가 이동되어 모니터(20)가 케이스(10) 내로 완전히 몰입되거나 돌출되기 전에 소정의 감속위치에서 슬라이더(30)의 이동속도가 감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30)가 정지되는 시점에서 모니터(20)의 관성력은 대폭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0)와 접촉되는 스위치(38,39)가 손상되거나 또는 슬라이더(30)와 모니터(20)와의 결합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모니터(20) 내부의 장치들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되게 되며, 모니터(20)가 돌출위치 또는 몰입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정의 감속위치에서 슬라이더(30)의 이동속도가 감소되면 모니터(20)가 돌출되기까지의 시간 또는 몰입되기까지의 시간은 약간 증대되는 경우도 있으나, 슬라이더(30)가 감속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의 속도를 종래의 그것에 비하여 높여두는 경우에는 모니터(20)가 돌출되기까지의 시간 또는 몰입되기까지의 시간은 종래의 모니터 조립체에 있어서에 비하여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
상기 광통과공들(61∼66)의 위치는 설계조건에 맞추어 적절히 선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6)에서 상기 제1광통과공(61)까지의 거리 및 제1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5)에서 상기 제2광통과공(62)까지의 거리를 슬라이더(30)의 전체 이동거리 즉, 제1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5)에서 상기 제2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6)까지의 거리의 75% 정도로 하고, 제2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6)에서 상기 제1보조광통과공(63)까지의 거리 및 제1정지위치 감지용 광통과공(65)에서 상기 제2보조광통과공(62)까지의 거리를 슬라이더(30)의 전체 이동거리의 9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감속위치에서의 감속량도 설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50)가 슬라이더(30)에 설치되고 광통과공들(61∼66)을 갖춘 브라켓(60)이 케이스(10)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반대로 센서(50)가 케이스(10)에 설치되고 광통과공들을 갖춘 브라켓(60)이 슬라이더(30) 측에 설치되더라도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부가 광통과공들(61∼66)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광통과공들(61∼66)이 형성된 위치에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를 각각 마련하고, 상기 수광부가 발광부로부터 발광되어 그 반사부에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 광센서를 사용하더라도 본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니터 조립체는 슬라이더(30)를 2차에 걸쳐 연속 감속시키도록 제1,2보조광통과공(63,64)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보조광통과공(63,64)들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제1,2광통과공(61,62)에 의해 본고안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30)의 이동을 위해 회전되는 모터(31)는 스위치(38) 또는 스위치(39)가 케이스(10)에 의해 눌리는 시점에서 작동이 중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서(50)에 의해 제1위치감지용 광통과공(65)이나 제2위치감지용 광통과공(66)이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에 의해 모터(31)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스위치들(38,39)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모니터(20)가 완전히 돌출 또는 몰입된 상태에서 모터(31)가 정확하게 작동정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차용 인대쉬 타입의 모니터 조립체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조립체는 자동차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기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조립체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소정의 감속위치에 도달했을 때 그 슬라이더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므로, 모니터가 케이스로부터 돌출되거나 케이스 내로 몰입되는 과정에서의 관성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와 접촉되는 스위치가 손상되거나 또는 슬라이더와 모니터와의 결합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모니터 내부의 장치들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되게 되며, 모니터가 돌출위치 또는 몰입위치에서 정확하게 멈출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케이스와,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며 그 모니터가 상기 케이스 내외로 출몰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하여 된 모니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가 소정의 감속위치에 도달했을 때 그 슬라이더의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 중 일측부재에 고정된 센서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케이스 중 타측부재에 대해 위치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감속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표시부가 감지될 때 그 센서로부터 상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되는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며,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과 대면하며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브라켓의 타측면과 대면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수광 가능하며 그 광의 수광시에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감속될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도록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광통과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조립체.
KR2019980018079U 1998-09-22 1998-09-22 모니터 조립체 KR200000068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79U KR20000006825U (ko) 1998-09-22 1998-09-22 모니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79U KR20000006825U (ko) 1998-09-22 1998-09-22 모니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25U true KR20000006825U (ko) 2000-04-25

Family

ID=6952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079U KR20000006825U (ko) 1998-09-22 1998-09-22 모니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8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88B1 (ko) * 2006-04-24 2007-05-14 박현서 속도제어가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
KR100806715B1 (ko) * 2006-05-29 2008-02-27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프론트 패널 틸트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888B1 (ko) * 2006-04-24 2007-05-14 박현서 속도제어가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
KR100806715B1 (ko) * 2006-05-29 2008-02-27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프론트 패널 틸트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8611A (en) Head-up display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US5326967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closing of a window by an electric motor, particularly a window of a motor vehicle
JPH10131612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000006825U (ko) 모니터 조립체
KR101184526B1 (ko) 자동 싱크로메시 트랜스미션의 출발 기어단 입력
JP2007099418A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引き込まれ防止装置
JP2000203772A (ja) エレベ―タ設備の昇降路情報を発生するための装置
CN115230602A (zh) 一种车载中控屏的滑移机构及车辆
KR100422871B1 (ko) 자동차의 떨림 방지형 아웃 사이드 미러
JP2007091385A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引き込まれ防止装置
KR200270710Y1 (ko) 자동차용 모니터 조립체
KR0173761B1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JP200805645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KR20030087481A (ko) 자동차 정보표시기의 초점거리 자동 조절장치
KR20070061674A (ko) 핸즈프리 마이크 이동장치
JPH07160335A (ja) 走行ロボットの前方障害物検出装置
KR100314460B1 (ko) 차량의에이브이(av)시스템
JP3297377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KR100228086B1 (ko) 속도감응식 틸딩 아웃 사이드 미러
KR101755733B1 (ko) 차량용 프로펠러샤프트의 꺾임방향 유도장치
JPH11278778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KR0141822B1 (ko) 차량회전용 턴테이블 제어방법
JP2000177436A (ja) 車両用運転操作装置
JPH0490934A (ja) 車両用表示装置
KR0131686Y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크리프 제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