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742U -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742U
KR20000006742U KR2019980017983U KR19980017983U KR20000006742U KR 20000006742 U KR20000006742 U KR 20000006742U KR 2019980017983 U KR2019980017983 U KR 2019980017983U KR 19980017983 U KR19980017983 U KR 19980017983U KR 20000006742 U KR20000006742 U KR 200000067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side seal
vehicle
fixed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섭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7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742U/ko
Publication of KR20000006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742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는 그 일측에 플로어 패널이 고정되는 사이드 실과, 이 사이드 실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A-필라와, 상기 사이드 실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B-필라와, 상기 사이드 실의 후단부에 연결된 리어 휠하우스에 고정되는 C-필라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에 있어서, 상기 A-필라와 사이드 실에는 보강부가 마련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의 범퍼가 상기 보강부에 부딪혀서 충돌시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어,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탑승자가 중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체의 사이드측은 차체의 전, 후측에 비해 그 강성이 약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그 충격으로 찌그러지는 변형이 많이 일어나므로 이 부분에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고강성 구조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측부 차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도시하지 않은 플로어패널이 고정되는 사이드 실(20)과, 이 사이드 실(20)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A-필라(30)와, 사이드 실(20)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B-필라(11)와, 사이드 실(2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리어 휠하우스(12)에 고정되는 C-필라(13)를 포함하고 있다.
사이드 실(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사이드실 패널(21)과, 외측 사이드실 패널(22)의 양단 플랜부(21a)(22a) 사이에 보강재(23)가 개재되어 접합된 그 내부가 빈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사이드실 패널(21)의 하단에는 플로어 패널이 고정되어 있다.
A-필라(30)의 상단은 루프에, 그 하단은 사이드 실(2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A-필라(30)는 통상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필라 패널(31)과 외측 필라 패널(32)의 양단 플랜지부(31a)(32a)가 서로 접합된 내부가 빈 사각 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A-필라(30)의 중앙부 내측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이 사이드 실(20)과 A-필라(30)에 의하여 흡수되어 자동차의 탑승객으로 그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 구조에 의하면, A-필라(30)와 B-필라(11) 사이가 넓어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대 자동차의 전방범퍼가 A-필라(30)나 B-필라(11) 중 어느 하나에 부딪히게 되면, 충돌에 발생되는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어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부딪히는 상대 자동차의 전방범퍼가 사이드 실(20)을 타고 올라와 충돌시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됨으로, 탑승자가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A-필라와 사이드실에 보강부를 마련함으로써 자동차의 측면충돌시의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차체의 측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측면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사이드실 51; 내측 사이드실 패널
52; 외측 사이드실 패널 53; 보강재
55, 65; 보강부 60; A-필라
61; 내측 필라 패널 62; 외측 필라 패널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그 일측에 플로어 패널이 고정되는 사이드 실과, 이 사이드 실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A-필라와, 상기 사이드 실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B-필라와, 상기 사이드 실의 후단부에 연결된 리어 휠하우스에 고정되는 C-필라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에 있어서, 상기 A-필라와 사이드 실에는 보강부가 마련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의 범퍼가 상기 보강부에 부딪혀서 충돌시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A-필라와 사이드 실의 제작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부착되는 보강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실에 마련된 보강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는 시트의 하부 측부를 일부 가릴 수 있도록 상기 A-필라와 B-필라 사이와 B-필라와 리어 휠하우스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자동차의 측면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승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측면 차체는 사이드 실(50)과, 이 사이드 실(50)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A-필라(60)와, 사이드 실(50)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B-필라(11)와, 그리고 사이드 실(50)의 후단부에 고정된 리어 휠하우스(12)에 연결되는 C-필라(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A-필라(60)의 중앙부과 사이드 실(50)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그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강부(55)(65)가 각각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사이드 실(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사이드실 패널(51)과, 외측 사이드실 패널(52)의 양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51a)(52a)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사이드실 패널(51)과 외측 사이드실 패널(52)의 사이에는 보강재(53)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측 사이드실 패널(53)의 하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플로어 패널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실(50)에 마련된 보강부(55)는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는 도시하지 않은 시트의 하부 측면를 일부 가릴 수 있도록 A-필라(60)와 B-필라(11) 사이와 B-필라(11)와 리어 휠하우스(12)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의 범퍼가 사이드 실(50)의 보강부(55)에 부딪히도록 하여 충돌시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A-필라(6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필라 패널(61)과, 외측 필라 패널(62)의 양단부에 마련된 플랜지부(61a)(62a)가 서로 접합된 그 내부가 빈 구조로 된다. 그 중앙부의 하측 즉, 도시하지 않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측부에는 측면충돌시 그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른 보강부(6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55)(65)는 사이드 실(50)과 A-필라(60)의 제작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사이드 실(50)과 A-필라(60)에 별도로 부착되는 보강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의 앞범퍼가 사이드 실(50)과 A-필라(60)에 각각 마련된 보강부(55)(65)에 부딪히도록 하여 충돌시의 충격이 탑승자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충격이 A-필라와 사이드 실에 마련된 보강부에 의하여 흡수됨으로 탑승자에게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탑승자가 입게 되는 부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자동차의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그 일측에 플로어 패널이 고정되는 사이드 실과, 이 사이드 실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A-필라와, 상기 사이드 실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B-필라와, 상기 사이드 실의 후단부에 연결된 리어 휠하우스에 고정되는 C-필라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측면차체에 있어서,
    상기 A-필라와 사이드 실에 보강부가 마련되어,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상대 차량의 범퍼가 상기 보강부에 부딪혀서, 충돌시의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A-필라나 사이드 실의 제작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A-필라나 사이드 실에 별도로 고정되는 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에 마련된 보강부는 상기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는 시트의 하부 측부를 일부 가릴 수 있도록 상기 A-필라와 B-필라 사이와 B-필라와 리어 휠하우스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KR2019980017983U 1998-09-21 1998-09-21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KR200000067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983U KR20000006742U (ko) 1998-09-21 1998-09-21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983U KR20000006742U (ko) 1998-09-21 1998-09-21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742U true KR20000006742U (ko) 2000-04-25

Family

ID=6950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983U KR20000006742U (ko) 1998-09-21 1998-09-21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74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0979B2 (en) 2012-08-22 2014-05-13 Hyundai Motor Company 2-door/3-door type vehicle having reinforcement member against side imp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0979B2 (en) 2012-08-22 2014-05-13 Hyundai Motor Company 2-door/3-door type vehicle having reinforcement member against side impa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6742U (ko) 자동차의 측면차체 구조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100412845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19980042048U (ko)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KR0128305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0114625Y1 (ko) 자동차용 앞차체 구조
KR200145076Y1 (ko)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보강구조
KR0132798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변형방지용 보강체
KR20010005168A (ko) 차량의 측면 보강구조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0139446B1 (ko) 차량용 도어 패널의 구조
KR200142682Y1 (ko)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멤버 보강구조
KR19980040387U (ko) 차체의 측면 보강장치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KR20030096501A (ko) 자동차용 필러 트림의 충격 흡수구조
KR19990003107U (ko) 자동차 임팩트빔 보강용 충격흡수재
KR19980036090U (ko) 자동차용 측면부 보강구조
KR19980035655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JPH10316041A (ja) 車体のトーボード構造
KR19980062918A (ko) 자동차 차체의 루프 헤더구조
KR19980056600A (ko) 자동차 차체의 b-필라 조립체
KR970041289A (ko) 자동차의 a-필러 및 b-필러 결합구조
KR19990034193A (ko) 차량의 리어엔드부 구조
KR19980012349U (ko) 자동차의 사이드 임팩트 대응용 후면 필라부 강성보강구조
KR19980042192U (ko) 자동차 차체의 루프 헤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