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233A - 배선기구용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배선기구용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233A
KR20000006233A KR1019990022647A KR19990022647A KR20000006233A KR 20000006233 A KR20000006233 A KR 20000006233A KR 1019990022647 A KR1019990022647 A KR 1019990022647A KR 19990022647 A KR19990022647 A KR 19990022647A KR 20000006233 A KR20000006233 A KR 2000000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intermediate plate
mounting
wir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919B1 (ko
Inventor
기타자와구니히로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2000000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중간플레이트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금속플레이트(30)의 단폭(短幅)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부(30a)에 대략 같은 간격으로 각각 4개의 장착편(32)이 배면측으로 늘어뜨려 배설되고, 각 장착편(32)의 내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33)가 돌출 형성된다. 중간플레이트(20)의 양측벽(23)에 형성된 삽입홈(28)에 금속플레이트(30)의 양측부(30a)의 선단부분을 삽입하고, 장착편(32)을 압입해가면 계지부(33)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은 계합편(29)이 휘고, 곧 계합편(29)의 선단과 장착편(32)의 계지부(33)가 요철(凹凸) 계합되어, 금속플레이트(30)가 중간플레이트(20)의 앞면의 결합요소(凹所)에 끼워 맞춰지고 또한 계지부(33)와 계합편(29)과의 요철계합에 의하여 고정(이탈방지)된다. 그리고, 중간플레이트(20)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30)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기구용 플레이트{PLATE FOR WIRING DEVICE}
본 발명은 벽면 등의 조영면(造營面)에 형성된 매입공(埋入孔)에 배선기구를 배설하기 위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벽면 등의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에 매입박스(스위치박스)를 매설(埋設)하고,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한 플레이트프레임을 매입공의 앞면측에서 매입박스에 장착하고, 또한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중간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동시에, 이 중간플레이트의 앞면에 장식용 금속플레이트를 장착함으로써 배선기구를 벽 등에 미관상 보기 좋게 매입 배설하도록 한 배선기구용 플레이트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중간플레이트에 대한 금속플레이트의 장착에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조공정에서의 작업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중간플레이트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중간플레이트와 금속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배면도, (d)는 도 2a의 X-Y선 단면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2의 중간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요부측면단면도.
도 4는 도 3의 중간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요부측면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중간플레이트와 금속플레이트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c)는 배면도, (d)는 도 2a의 X-Y선 단면에서 본 도면.
도 6은 도 5의 중간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요부측면단면도.
도 7은 도 6의 중간플레이트에 금속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의 요부측면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레이트프레임
20 : 중간플레이트
29 : 계합편
30 : 금속플레이트
32 : 장착편
33 : 계지부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입형(埋入型)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각 계지부와 요철계합하는 1 내지 복수의 피(被)계지부를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에 설치한 계지부를 중간플레이트의 피계지부에 걸어 맞춤으로써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간플레이트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금속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의 장착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입형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코킹되는 코킹부를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금속플레이트에 설치한 코킹부를 중간플레이트에 코킹함으로써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간플레이트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금속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의 장착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계지돌기와 계지공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지그가 삽입되는 절결부를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지그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간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들어 올림으로써, 계지돌기와 계지공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서 중간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클릭편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가 클릭부에 접촉함으로써, 중간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하여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 4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벨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휘어질 수 있게 지지된 장착편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을 조영면에 배설하기 위한 장착나사를 삽통하는 나사삽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장착나사가 나사장착되는 상대쪽(예를 들면,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프레임 등)에 조영면에 대한 뜨거나 가라앉음이 생겨도, 장착편이 휨으로써 뜨거나 가라앉음으로 인한 어긋남을 흡수하여 플레이트프레임과 조영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기구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프레임(1)과 중간플레이트(20)와 금속플레이트(30)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프레임(1)은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종편(縱片)(2), 종편(2)보다 짧은 횡편(3) 및 플레이트프레임(1)을 장착프레임(40)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나사(80)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4a)을 가지고 벨로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편(4)을 일체로 하여 사각형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가 장착프레임(40)에 장착된 배선기구인 스위치(50)의 기능면(조작핸들(51)이 설치되어 있는 면)을 앞면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5)로 되어 있다.
한편, 장착프레임(40)은 금속재료에 의해 중앙에 장착창(41)을 구비하는 사각형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편(42)에는 매입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박스나사를 삽통하는 긴 구멍(43)과, 벽면 등의 조영면에 직접 장착하기 위한 나사가 삽통되는 나사삽통공(44)과, 조영면을 형성하는 벽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협지금구를 걸어 맞추는 협지금구 계지공(45)과, 상기 장착나사(80)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창(41)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에 따라서 대향하는 측프레임편(47a),(47b)에는 스위치(50)의 보스부 (52)의 양측면에 형성된 프레임장착구멍(53)과 걸어 맞추는 계합클릭(48a),(48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중 한 쪽의 측프레임편(47b)에 있어서는, 상기 계합클릭 (48b)을 세폭(細幅)의 지지편(49)으로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스위치(50)를 장착프레임(40)에 장착할 때에는 측프레임편(47)의 계합클릭(48a)을 먼저 스위치(50)의 프레임장착구멍(53)에 걸어 맞추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다른 쪽의 측프레임편(47b)의 지지편(49)을 장착창(41)측으로 구부림으로써, 스위치(50)의 프레임장착구멍(53)에 계합클릭(48b)을 걸어 맞춰서 스위치(50)를 장착프레임(40)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장착프레임(40)에는 스위치(50)를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3개 나란히 장착할 수 있도록, 계합클릭(48a),(48b)이 3 조(組)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프레임으로서는 금속제의 것에 한하지 않고 합성수지제의 것이라도 되고, 합성수지제의 장착프레임의 경우에는 스위치 (50)의 조립프레임(54)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계지클릭(55)을 걸어 맞추는 계지공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50)가 장착된 장착프레임(40)의 앞면에 플레이트프레임(1)이 장착된다. 즉, 플레이트프레임(1)의 장착편(4)에 형성된 나사삽통공 (4a)에 장착나사(80)를 삽통하고, 이 장착나사(80)를 장착프레임(40)의 양측편(42)에 형성한 나사구멍(46)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1)이 장착프레임 (40)에 나사고정되어 장착된다. 또한, 가령 장착프레임(40)을 매입박스에 장착한 상태에서 조영면에 대하여 장착프레임(40)이 뜨거나 가라앉음이 생겼다고 해도, 장착나사(80)를 조였을 때에 벨로형상으로 형성된 장착편(4)이 휨으로써 상기 뜨거나 가라앉음으로 인한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고, 그 결과 플레이트프레임(1)과 조영면 (벽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플레이트프레임(1)의 4코너에는 중간플레이트(20)의 주부(主部)(21)배면에서 돌출 형성한 계지돌기(25)를 걸어 맞추는 중간플레이트 계지공(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간플레이트계지공(6)에 계지돌기(25)를 삽입하여 걸어 맞춤으로써 플레이트프레임(1)의 앞면측에 중간플레이트(2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간플레이트 계지공(6)의 내측면에는 앞면측에서 배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계지돌기(25)를 상기 테이퍼면(6a)에서 안내함으로써 계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중간플레이트(20)는 플레이트프레임(1)과 동일하게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AB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탄성을 가지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플레이트프레임(1)의 앞면을 덮는 사각형의 주부(21)와, 주부(21)의 전체 주위 에지로부터 배면측에 돌출하는 측벽(23)을 일체로 형성한 대략 상자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계지돌기(25)는 주부(21)의 배면측의 4코너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주부(21)의 대략 중앙에는 장착프레임(40)에 장착된 스위치(50)의 조작핸들(51)이 노출되는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플레이트(20)가 대향하는 측벽(23)사이의 폭치수가 플레이트프레임(1)의 각 폭치수보다 크게 하였으므로, 장착프레임(40)에 장착되어 조영면에 배설된 플레이트프레임(1)의 앞면측에 중간플레이트(20)를 장착했을 때, 플레이트프레임(1)이 중간플레이트(20)의 측벽(23)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측벽(23)의 선단에지가 조영면에 거의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종래와 같이 플레이트프레임(1)과 중간플레이트(20)와의 맞닿는 면이 조영면보다 앞쪽으로 나오지 않아, 양자의 맞닿는 선이 측면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 중간플레이트(20)의 각 측벽(23)에는 조영면에 접촉하는 끝에지로부터 주부(21)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3a)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 플레이트프레임(1)의 측면에 조영면에 따른 방향에서 접촉하여 중간플레이트(20)의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리브(26)를 복수 나란히 배설하고 있다. 즉 플레이트프레임(1)의 앞면측에 중간플레이트(20)를 장착했을 때에 규제리브(26)가 플레이트프레임(1)의 측면에 접촉하여, 플레이트프레임(1)에 대한 중간플레이트(20)의 조영면에 따른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프레임(1)에는 전체 주위에 걸쳐서 연속하여 외측으로 연출한 장출부(張出部)(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출부(7)의 앞면에 재치(載置)되어 중간플레이트(20)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브(27)가 측벽(23)의 내측면을 따라서 복수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플레이트(20)를 플레이트프레임(1)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리브(27)가 플레이트프레임(1)의 장출부(7)의 앞면에 재치되어, 조영면에 대략 수직의 방향에서의 중간플레이트(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중간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향하는 양 측벽(23)에는 1쌍의 절결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24)에 지그(드라이버의 선단 등)를 삽입하여 중간플레이트(20)에 앞면측으로의 힘을 가함으로써, 중간플레이트(20)의 계지돌기(25)와 플레이트프레임(1)의 중간플레이트 계지공(6)과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중간플레이트(20)를 플레이트프레임(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프레임(1)의 종편(2)의 절결부(2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장출부 (7)보다 얇은 클릭편(片)(8)이 중간플레이트(20)의 절결부(24)로부터 돌출하지 않을 정도까지 연장 배설되어 있다. 즉, 절결부(24)에 삽입된 지그에 조영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조영면에 흠이 생길 우려가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릭편(8)을 형성함으로써 절결부(24)에 삽입된 지그가 클릭편 (8)에 접촉하게 되어, 중간플레이트(20)를 플레이트프레임(1)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해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중간플레이트(20)의 앞면에는 장식 또는 디자인상의 미관 및 내화(耐火)성능의 향상을 위해 금속플레이트(30)가 장착된다. 이 금속플레이트(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중앙에 1개분의 스위치(50)의 기능면을 노출하는(1개 모듈치수에 대응한)노출창(3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면측으로 대략 원호형상으로 절곡된 측부(30a)를 가진다.
금속플레이트(30)의 단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부(30a)에는, 대략 같은 간격으로 각각 4개의 장착편(32)이 배면측으로 늘어뜨려 형성되는 동시에, 각 장착편 (32)의 내측면에는 돌기형상의 계지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부(33)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30a)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플레이트(20)의 앞면측에는 금속플레이트(30)가 결합하는 결합 요소(凹所)(33)(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또한 양측벽(23)에는 금속플레이트(30)의 양측부(30a)의 선단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30)의 각 장착편(32)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측벽(23)에는 장착편(32)을 도피를 위한 요부(凹部)(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요부(21a)에 면하는 선단에 금속플레이트(30)의 계지부(33)가 요철 계합하는 휘어질 수 있는 계합편(2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플레이트(20)의 양측벽(23)에 형성된 삽입홈(28)에 금속플레이트(30)의 양측부(30a)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금속플레이트(30)의 장착편(32)이 요부(21a)로 들어간다. 이 때, 장착편 (3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계지부(33)의 테이퍼면(33a)이 계합편(29)에 접촉하고, 장착편(32)이 압입됨에 따라서 계지부(33)로부터의 압압력을 받은 계합편(29)이 휘고, 곧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편(29)의 선단과 장착편(32)의 계지부 (33)가 요철 계합되어, 금속플레이트(30)가 중간플레이트(20)앞면의 결합요소(47)에 결합되고 또한 계지부(33)와 계합편(29)과의 요철 계합에 의해 고정(이탈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간플레이트(20)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30)를 용이하게(원터치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중간플레이트(20) 에의 금속플레이트(30)의 장착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중간플레이트(20)의 개구부(22) 및 금속플레이트(30)의 노출창(31)의 수, 형상, 치수는 장착프레임(40)에 장착되는 배선기구의 종류, 개수 등에 따라 다르다. 예를들면, 상기 스위치(50) 또는 같은 치수의 배선기구를 장착프레임(40)에 2개 장착한 경우라면, 같은 치수의 개구부(22) 및 노출창(31)을 길이방향으로 2개 나란히 형성하면 된다. 또, 상기 스위치(50) 또는 같은 치수의 배선기구를 장착프레임(40)에 3개 장착한 경우, 또는 상기 스위치(50)의 3개분의 치수를 가지는 배선기구를 장착프레임(40)에 장착한 경우라면, 개구부(22) 및 노출창(31)을 3개 배열한 치수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1개 모듈치수는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면 되고(예를들면, 일본공업규격의 대각형연용배선기구(JIS C8304)등), 이와 같은 모듈치수에 적합한 배선기구라면, 공통으로 장착프레임(40)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기구(스위치(5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플레이트프레임(1)과 별체의 장착프레임(40)으로 하고 있으나, 예를들면 장착프레임(40)을 플레이트프레임(1)에 일체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형태 2)
도 5 ∼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시형태 1과 공통이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및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장착편(32)대신에 리브형상의 코킹부 (34)를 금속플레이트(30)의 양측부(30a)에 돌출 형성하고, 이들 코킹부(34)를 중간플레이트(20)에 코킹하여 금속플레이트(30)를 중간플레이트(20)에 장착하여 고정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코킹부(34)는 금속플레이트(30)의 단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부(30a)에 대략 같은 간격으로 각각 4개씩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치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장착편(32)을 형성한 위치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플레이트(20)의 양측벽(23)에 형성된 삽입홈(28)에 금속플레이트(30)의 양측부 (30a)의 선단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금속플레이트(30)의 코킹부(34)가 요부(21a)로 들어간다. 그리고, 중간플레이트(20)의 배면측으로부터 코킹부(34)를 코킹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30)가 중간플레이트(20) 앞면의 결합요소(凹所)에 결합되고 또한 코킹부(34)에 의해 코킹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매입형(埋入型)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각 계지부와 요철계합하는 1 내지 복수의 피계지부를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배설하였으므로, 금속플레이트에 형성한 계지부를 중간플레이트의 피계지부에 걸어 맞춤으로써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간플레이트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금속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의 장착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매입형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코킹되는 코킹부를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형성하였으로, 금속플레이트에 형성한 코킹부를 중간플레이트에 코킹함으로써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중간플레이트에 대하여 금속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어,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금속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의 장착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계지돌기와 계지공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용 지그가 삽입되는 절결부를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형성하였으므로, 절결부에 지그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간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들어 올림으로써, 계지돌기와 계지공과의 걸어 맞춤을 풀어서 중간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클릭편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하였으므로, 절결부에 삽입된 지그가 클릭부에 접촉함으로써, 중간플레이트 및 금속플레이트를 플레이트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지그에 의하여 조영면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벨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휘어질 수 있게 지지된 장착편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을 조영면에 배설하기 위한 장착나사를 삽통하는 나사삽통공을 형성하였으므로, 장착나사가 나사장착되는 상대쪽(예를 들면,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프레임 등)에 조영면에 대한 뜨거나 가라앉음이 생겨도, 장착편이 휨으로써 뜨거나 가라앉음으로 인한 어긋남을 흡수하여 플레이트프레임과 조영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매입형(埋入型)의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금속플레이트에 1 내지 복수의 계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계지부와 요철계합하는 1 내지 복수의 피계지부를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2. 매입형 배선기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하여 조영면에 형성한 매입공의 개구면측을 덮는 플레이트프레임과,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장착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배선기구의 기능면을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며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앞면을 덮는 금속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코킹되는 코킹부를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배면측에 계지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계지돌기를 걸어 맞추는 계지공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의 앞면에 형성하고, 상기 계지돌기와 계지공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용 지그가 삽입되는절결부를 상기 중간플레이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 절결부로부터 돌출하지 않은 클릭편을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로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에 휘어질 수 있게 지지된 장착편에 상기 플레이트프레임을 조영면에 배설하기 위한 장착나사를 삽통하는 나사삽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6. 중간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사이의 폭치수를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7. 금속플레이트가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폭치수를 플레이트프레임의 각 폭치수보다 크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10-1999-0022647A 1998-06-29 1999-06-17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KR100393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255898A JP3478129B2 (ja) 1998-06-29 1998-06-29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182558 199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33A true KR20000006233A (ko) 2000-01-25
KR100393919B1 KR100393919B1 (ko) 2003-08-06

Family

ID=1612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647A KR100393919B1 (ko) 1998-06-29 1999-06-17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478129B2 (ko)
KR (1) KR100393919B1 (ko)
CN (1) CN1094266C (ko)
HK (1) HK1022998A1 (ko)
ID (1) ID24508A (ko)
TW (1) TW4634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80B1 (ko) * 2009-07-24 2014-12-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벽걸이형 보일러 룸콘의 커버 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6993A (ja) * 2013-11-29 2015-06-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取付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装置
JP6206813B2 (ja) * 2014-02-13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用取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6014A (ja) * 1988-11-15 1990-05-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化粧枠
KR940002929Y1 (ko) * 1991-08-16 1994-05-02 장웅락 벽면전기 매설용 콘센트의 플레이트
JPH07107640A (ja) * 1991-11-14 1995-04-21 C H C Syst Kk プレートの固定機構
JPH0898366A (ja) * 1994-09-27 1996-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の表面プレート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880B1 (ko) * 2009-07-24 2014-12-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벽걸이형 보일러 룸콘의 커버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23328A (ja) 2000-01-21
ID24508A (id) 2000-07-20
TW463438B (en) 2001-11-11
HK1022998A1 (en) 2000-08-25
JP3478129B2 (ja) 2003-12-15
CN1241056A (zh) 2000-01-12
CN1094266C (zh) 2002-11-13
KR100393919B1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919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US6459058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KR100308177B1 (ko) 배선기구용플레이트
KR100361858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JPH1171066A (ja) エレベーター用操作盤
JP3511926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
JP2596783Y2 (ja) スイッチ装置
KR100518365B1 (ko) 욕실용 멀티 미디어 기기의 고정장치
JP2002314259A (ja) 電気機器のキャビネット
JP3433630B2 (ja) 配線器具用プレート枠
JPS6130358Y2 (ko)
KR950002909Y1 (ko) 전자레인지의 디지트론 고정구조
KR200153817Y1 (ko) Vcr의 데크 가이드 조립구조
KR930007064Y1 (ko)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KR0125030Y1 (ko) 전자제품의 전자관처짐방지장치
JP2584119Y2 (ja) 車輌補助ランプの開閉装置
KR20020063033A (ko) 컴퓨터 시스템의 옵션 보드 장착구조
KR20010011367A (ko) 컴퓨터 시스템의 옵션 보드 장착구조
JP2004150521A (ja) 固定具
KR0123931Y1 (ko) 카 오디오용 택트노브의 설치구조
KR200324709Y1 (ko) 전면판고정장치
KR0126844Y1 (ko) 모니터용 엘이디 비임의 취부구조
KR970049223A (ko) 카오디오용 택트노브의 설치구조
KR19980017592U (ko) 티브이(tv)용 안테나 단자판의 설치구조
KR19980050134U (ko) 카오디오용 택트노브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