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064Y1 -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064Y1
KR930007064Y1 KR2019910001443U KR910001443U KR930007064Y1 KR 930007064 Y1 KR930007064 Y1 KR 930007064Y1 KR 2019910001443 U KR2019910001443 U KR 2019910001443U KR 910001443 U KR910001443 U KR 910001443U KR 930007064 Y1 KR930007064 Y1 KR 930007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ver
elevator
wall
fixing devi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1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115U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1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064Y1/ko
Publication of KR920015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버튼커버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를 보인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의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a도는 결합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이고,
b도는 결합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버튼커버 4 : 벽체
6 : 케이스 8 : 고정편
8a : 탄성걸림부 9 : 걸림편
9a : 걸림공 10 : 고정단자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의 평탄도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도 버튼커버를 벽체에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게한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 및 등록용 버튼(1)이 설치된 버튼커버(2)가 수개의 고정나사(3)(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바,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버튼커버 고정장치의 전형적인 일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4)에 형성된 수납홈(5)의 내벽에 케이스(6)가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6)의 선단부에 벽체(4)와 동일평면을 이루고 절곡고정부(7a)가 형성된 고정편(7)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편(7)의 절곡고정부(7a)에 버튼커버(2)가 고정나사(3)로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벽체(4)에 버튼커버(2)가 고정된 상태에서 승객이 호출 및 등록용 버튼을 누르게 되면 통상적인 작용에 의하여 램프가 점등되어 승강차의 호출 및 등록상태를 승객에게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4)의 평탄도가 양호할 경우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으나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4)의 평탄도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는 고정편(7')의 절곡고정부(7a)와 버튼커버(2)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어 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간격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간격이 넓을 경우에는 고정나사의 체결이 불가능하게 되는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벽체의 케이스에 탄성걸림부를 갖는 고정편을 고정하고, 버튼커버의 내측면에 고정편의 탄성걸림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수개의 걸림공이 형성된 걸림편을 고정나사로 고정하여 벽체의 평탄도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는 벽체에 버튼커버를 긴밀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고정장치의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4)에 형성된 수납홈(5)의 내벽에 케이스(6)가 고정되고, 그 케이스(6)의 일정부위에 케이스(6)의 선단부와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탄성걸림부(8a)가 형성된 고정편(8)이 고정되며, 호출 및 등록용 버튼이 설치된 버튼커버(2)의 내측면 일정부위에 걸림편(9)이 고정나사(10)로 고정되고, 상기 걸림편(9)에 고정편(8)의 탄성걸림부(8a)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수개의 걸림공(9a)이 형성되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의 버튼 커브 고정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커버(2)에 걸림편(9)을 고정나사(10)로 고정하여 버튼 커버조립체를 만든다음, 제4a도와 같이 상기 버튼커버 조립체를 벽체(4)의 수납홈(5)으로 가볍게 밀어놓게 되면, 버튼커버(2)의 걸림편(9)이 인정편(8)이 탄성걸림부(8a)를 밀게 되므로 탄성걸림부(8a)는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되고, 계속되는 걸림편(9)의 이동으로 탄성걸림부(8a)는 걸림편(9)의 걸림공(9a)에 순차적으로 걸리면서 연속적인 마찰음을 발생시키게 되며, 완전히 밀어넣으면 제4b도와 같이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제4a,b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4)의 평탄도가 양호할 경우에는 걸림편(9)의 최 외측 걸림공(9a)에 고정편(8)의 탄성걸림부(8a)가 걸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탄성걸림부(8a)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는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벽체(4)로부터 버튼커버(2)는 긴밀하게 접촉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4)의 평탄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소정높이(H)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한 동일한 동작으로 버튼커버(2)를 고정편(8)에 긴밀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벽체(4)가 평탄한 경우에는 고정편(8)의 탄성걸림부(8a)가 걸림편(9)의 선단에서 먼쪽의 고정공(9a)에 끼워져 걸리게 되면, 벽체(4)에 소정높이(H)만큼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소정높이(H)만큼 선단측에 위치하는 고정공(9a)에 탄성걸림부(8a)가 끼워져 걸리게 되어 버튼커버(2)가 항상 벽체(4)에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벽체(4)에 버튼커버(2)가 고정된 상태에서 버튼커버(2)를 분리시킬 경우에는 버튼커버(2)의 고정나사(10)를 풀게되면, 버튼커버(2)가 걸림편(9)으로 분리되는 동시에 고정편(8)으로부터 걸림편(9)이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벽체의 평탄도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도 벽체에 버튼커버를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에 있어서, 선단부에 탄성 걸림부(8a)가 절곡형성되어 벽체(4)의 케이스(6)에 고정되는 고정편(8)과, 상기 고정편(8)의 탄성걸림부(8a)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수개의 걸림공(9a)이 형성되어 버튼커버(2)의 내측면 일정부위에 고정되는 걸림편(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버튼커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9)은 버튼커버(2)에 고정나사(10)로 착탈가능하게 결합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KR2019910001443U 1991-01-31 1991-01-31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KR930007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443U KR930007064Y1 (ko) 1991-01-31 1991-01-31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1443U KR930007064Y1 (ko) 1991-01-31 1991-01-31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15U KR920015115U (ko) 1992-08-14
KR930007064Y1 true KR930007064Y1 (ko) 1993-10-11

Family

ID=1931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1443U KR930007064Y1 (ko) 1991-01-31 1991-01-31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0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15U (ko) 199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8810A (en) Coupling engagement mechanism for electric connector
US5032698A (en) Switch device with transversely flexible means for coupling driving bar and handling knob
KR930007064Y1 (ko)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US6553634B2 (en) Clamp for elongated member
JPH05275868A (ja) 電気装置用筐体
KR930005054Y1 (ko) Tv의 파워스위치 노브 고정장치
KR100393919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JP2872091B2 (ja) 携帯用受信機の筐体構造
KR012126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조립구조
KR200164471Y1 (ko) 벽판재부착장치
KR910003852Y1 (ko) Vtr의 카세트 테이프 도어 록 해제 장치
KR940005365Y1 (ko) 전자레인지의 이젝트 버튼 설치구조
KR890007983Y1 (ko) 전자부품 조작단의 구조
KR200170177Y1 (ko) 도어의 푸시버튼 조립구조
JPH0338905Y2 (ko)
KR900003451Y1 (ko)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KR930005465Y1 (ko) 비데오 칼라 프린터의 리본 카트리지 장착장치
JP2757854B2 (ja) スイッチ装置
KR900010681Y1 (ko) 접지판에 텐숀부가 일체화된 버턴 장치
KR940008135Y1 (ko) 컴퓨터용 fdd 장착구조
JPH1075072A (ja) 電子部品収納ケース
JP3495380B2 (ja) スタンド取付機構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KR0184204B1 (ko) 전화기의 버튼 걸림방지구조
KR890007035Y1 (ko) 원격조정기의 건전지 수납장치
KR0135188Y1 (ko) 통신기기의 접점용 스위치 버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