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451Y1 -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451Y1
KR900003451Y1 KR2019870005314U KR870005314U KR900003451Y1 KR 900003451 Y1 KR900003451 Y1 KR 900003451Y1 KR 2019870005314 U KR2019870005314 U KR 2019870005314U KR 870005314 U KR870005314 U KR 870005314U KR 900003451 Y1 KR900003451 Y1 KR 900003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oor
spring
cassette tape
dec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509U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5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451Y1/ko
Publication of KR880020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5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63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 G11B15/6756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of the cassette with holder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제1도는 종래 테이프 지지스프링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대한 테이프 지지스프링의 분리사시도.
제3a도는 테이프 지지스프링의 설치상태도.
제3b도는 테이프 지지스프링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삽착구
3 : 스프링 3a : 걸림편
3b : 원호면 4 : 요입홈
5 : 리브 6 : 돌기편
본 고안은 카셋트 테이프를 데크내에 장착시켜 데크의 구동력으로 동작할 때 테이프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데크도어에서는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와 같은 판스프링(3)을 도어(1)의 삽착구(2)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삽착구(2)에 끼워지는 카세트 테이프(T)는 판스프링(3)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탄발력으로 도어(1)에 밀착시켜 데크의 구동력을 받아 동작할 때 테이프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판스프링(3)은 사용시간이 길어질 때 탄성력이 변형되어 기기에 대한 신뢰도를 저하 시켰다.
또한 종래의 판 스프링(3)을 고정할 때에 사용하는 본드가 떨어지게 되면 탄성력의 변형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이 이탈되기 때문에 결합상태가 불안정하였다.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은 결국 상품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고정상태가 매우 안정되고 동작상태가 원활하도록 구성한 본 고안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도어의 테이프 삽착구 내측에 요입홈(4)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리브와 돌기편이 튀어나오게 형성하여 ℓ형으로 말은 스프링 강선이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는 작용을 이루고 구조적인 안정도가 높아 스프링의 분실염려도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으로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로 데크의 도어(1)에 형성한 삽착구(2)의 하단에 요입홈(4)을 요설하여 요입홈(4)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의 리브(5)가 튀어나오게 형성하며 측면에는 선단에 훅크를 형성한 돌기핀(6)이 튀어나오게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 강선(3)은 양단을 절곡하여 걸림편 (3a)을 형성하면서 ℓ형상으로 말아 펴지려는 탄성력을 보유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프링강선(3)을 그대로 요입홈(4)에 삽입하면서 제3a도와 같이 스프링 강선(3)의 걸림편(3a)이 리브(5)에 걸리도록 하고, 측면에서 돌출된 돌기핀(6)에 스프링 강선(3)의 교차부위가 걸리도록 한다.
이때 훅크는 스프링강선(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T)가 삽착구(2)에 끼워지면 카세트 테이프 하단과 스프링 강선(3)의 원호면(3b)이 접촉하게 된다.
접촉하는 상태에서 카세트(T)를 계속 삽입하면 스프링 강선(3)은 제3도와 같이 돌기편(6)을 지점으로 원호면(3b)의 직경이 오므라들면서 카세트 테이프(T)는 삽입되고 오므라든 스프링강선(3)의 탄발력이 카세트 테이프면에 작용하여 데크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받아도 유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 테이프(T)를 도어 (1)의 삽착구(2)에서 잡아빼내면 스프링강선(2)은 요입홈(4)에서 제3a도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가고 선단의 원호면(3b)이 삽착구(2)에 노출된다.
즉, 스프링 강선(3)은 항상 요입홈(4)내에서 작용하고 돌기핀(6)에 걸려 있어서 이탈분실 염려가 전혀 없고 ℓ형상으로 말린 스프링강선(3)의 복귀력은 항상 일정한 관계로 테이프의 지지상태는 안정되어 기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이 용이해지고 원가절감 효율에 있어서 제품의 기능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음향기기의 카세트 테이프 데크용 도어(1)에 테이프 유동방지용 스프링(3)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어(1)의 테이프 삽착구(2) 내측에 요입홈(4)을 형성하고 요입홈(4)의 상하단과 측면에서 리브(5)와 돌기핀(6)이 튀어나오게 형성하며 ℓ형으로 구부리는 스프링강선(3)을 상기 요입홈(4)에 삽입하여 스프링강선(3)의 양단걸림편(3a)은 리브(5)에 걸리고 교차부위는 돌기핀(6)의 훅크에 걸리게 하여서 선단의 원호면(3b)이 삽착구(2)에 노출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이프 데크 도어의 테이프 지지스프링 장치.
KR2019870005314U 1987-04-14 1987-04-14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KR900003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314U KR900003451Y1 (ko) 1987-04-14 1987-04-14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314U KR900003451Y1 (ko) 1987-04-14 1987-04-14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509U KR880020509U (ko) 1988-11-30
KR900003451Y1 true KR900003451Y1 (ko) 1990-04-23

Family

ID=1926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314U KR900003451Y1 (ko) 1987-04-14 1987-04-14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4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509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9021A (ko) 다중폴 전기플럭 및 소켓
KR900003451Y1 (ko)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KR850000094A (ko) 테이프 카세트의 방진문 걸고리 스프링 아셈브리
KR100463119B1 (ko) 전기기기용단자장치
US6126471A (en) Retention mechanism
KR960011107B1 (ko) 전선연결용 콘넥터
KR200424439Y1 (ko) 커넥터용 리어홀더
KR930002067Y1 (ko) Led 부착 푸시버튼 스위치
JP3744135B2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KR920000702Y1 (ko) 키 보오드의 코오드 유지구조
US2995724A (en) Snap-in socket contact
JP2524422Y2 (ja) ケーブルコネクターの接続片
KR900010681Y1 (ko) 접지판에 텐숀부가 일체화된 버턴 장치
KR910002320Y1 (ko) 가구용 괘정구
KR930007064Y1 (ko)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JP2002298942A (ja) リード線接続構造
JPH09199191A (ja) 端子台
KR960009079Y1 (ko) 휴즈홀더
KR960001563Y1 (ko) 단자대
KR930006491Y1 (ko) 캐비넷의 고정장치
KR900006839Y1 (ko) 스피커 박스의 로킹장치
KR96001011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가이드구조
JPS6220144Y2 (ko)
KR890006578Y1 (ko) 디지트론 취부구조
JPH01327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