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383Y1 -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383Y1
KR920004383Y1 KR2019900004973U KR900004973U KR920004383Y1 KR 920004383 Y1 KR920004383 Y1 KR 920004383Y1 KR 2019900004973 U KR2019900004973 U KR 2019900004973U KR 900004973 U KR900004973 U KR 900004973U KR 920004383 Y1 KR920004383 Y1 KR 920004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ing
groove
protrusion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975U (ko
Inventor
김용욱
안종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4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383Y1/ko
Publication of KR910018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3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제 1 도는 종래 장치의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본 고안은 무선 호출수신기, 휴대용 카세트 등과 같은 소형 밧데리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에서 밧데리 카바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잠금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판(31) 하측에 (32)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32)의 단부에는 경사면과 걸림턱을 형성하고 카바(35)에는 상기 작동판(31)이 끼워지는 구멍(33)과 상기구멍(33)의 벽면에 만곡진 돌기(34)를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장치는 최초 삽입시 작동판(31)을 카바(35)의 구멍 (33)에 맞추어 끼우면 탄성편(32)의 경사면에 의해 탄성편(32)이 오므라 들면서 삽입되며 경사면을 지나는 순간 차체탄성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작동판(31)의 하측면이 카바(35)의 상면과 맞닿게 됨과 동시에 걸림턱이 카바(35)의 하측면에 맞닿게 된다.
즉 작동판(31)의 하면과 걸림턱 사이에 카바(35)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며 좌, 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이때 일측에 작동판(31)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하측의 돌기부(36)가 본체 케이스(40)에 형성된 홈(41)을 벗어난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카바(35)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작동판(31)을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탄성편(32)이 돌기부(34)를 지나게 되는데 이때 탄성편(32)의 탄성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돌기버(34)를 지나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돌기부(34)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탄성편(32)의 길이가 매우 짧으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맞추어 끼우는 과정에서 탄성편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또한 작동이 많을 경우 탄성편에 의해 돌기부(34)가 마모되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어 신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히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기기의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되게 작동하여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체 케이스(1)의 받침면에는 가이드 홈(2)과 (ㄱ)자형 걸림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조립되는 카바(5)에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3)에 끼워지는 돌기(7)가 형성된 록커(8)를 설치하되 상기 록커(8) 상면에 돌기(9)가 형성된 작동판(10)과 하측에 돌기(7)가 형성된 잠금판(11) 사이에 지지축(12)으로 지지되며 상기 잠금판(11)의 중앙의 양측에는 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측벽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록커(8)가 끼워지는 카바(5)의 구멍에는 양측벽 중앙에도 돌출부(16)를 가지며 카바의 측벽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우선 카바에 록커를 조립하고자 할 때 카바(5)의 형성된 구멍에는 양측벽 중앙에도 돌출부(16)를 가지며 카바의 측벽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우선 카바에 록커를 조립하고자 할 때 카바(5)의 형성된 구멍(15)에 록커(8)의 작동판(11)이 하면에 걸리도록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판(11)의 선단부를 구멍(15)에 밀어 넣으면서 양측벽에 형성된 돌출부(16)가 작동판(11)의 홈(13)에 끼워지도록 한 위치에 맞추어진 상태에서 진입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작동판(11)이 탄성에 의하여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록커(8)는 잠금판(11)과 작동판(10) 사이의 지지축(12)이 구멍 양 옆의 돌출부(16)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돌출부(16)에 작동판이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록커(8)를 좌, 우로 이동시켜 록커 하단에 형성된 돌기(7)가 케이스(1)의 삽입홈(3)에 걸리거나 이탈되어 카바(5)를 케이스(1)에서 작동시킬 수 없도록 록킹시키게 되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최초 제 3b 도와 같은 상태에서 가동판(10)의 돌기부(9)를 압압하면서 하측으로 당기면 잠금판(11)이 약간 옆으로 밀리면서 측면에 형성된 홈(14)이 카바 측벽에 설치된 걸림돌기(21)에 끼워져서 제 3a 도와 같은 상태로 됨과 동시에 하단에 설치된 돌기(7)가 케이스(1)의 홈(3)에 끼워져서 카바(5)가 옆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록킹이 된 상태이며 록킹장치를 풀려고 할때에는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가동판(10)을 상향으로 밀면 작동판(11)의 홈(14)이 돌기부(21)를 벗어나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하측의 돌기가 케이스(1)의 홈(3)을 벗어나게 되므로 카바(5)를 케이스(1)에서 열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를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하였으나 돌기부를 제 4 도와 같이 커버의 상면에 형성하고 작동판(10)의 상면에 홈(14')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작동판이 좌, 우로 슬라이드되면서 상, 하로 텐숀을 가지며 돌기(21')가 홈(14')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록커가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서 카바의 잠금장치를 구현하므로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안정성 있게 작동하므로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무선호출수신기, 휴대용 카세트 등과 같이 소형 밧데리를 사용하는 기기의 밧데리 카바를 사용하는 기기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의 받침면에는 가이드 홈(2)과 (ㄱ)자형 걸림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조립되는 카바(5)에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3)에 끼워지는 돌기(7)가 형성된 록커(8) 설치하되 상기 록커(8) 상면에 돌기(7)가 형성된 작동판(10)과 하측에 돌기(7)가 형성된 잠금판(11) 사이에 지지축(12)으로 지지되며 상기 잠금판(11)의 중앙에는 양측에는 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측벽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록커(8)가 끼워지는 카바(5)의 구멍에는 양측벽 중앙에도 돌출부(16)를 가지며 카바(5)의 내측벽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판(8)이 활동을 저지하는 돌기부(21') 카바(5)의 하측면에 설치되고 이에 끼워지는 홈(14')이 잠금판(11)의 상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KR2019900004973U 1990-04-21 1990-04-21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KR920004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973U KR920004383Y1 (ko) 1990-04-21 1990-04-21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973U KR920004383Y1 (ko) 1990-04-21 1990-04-21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75U KR910018975U (ko) 1991-11-29
KR920004383Y1 true KR920004383Y1 (ko) 1992-06-29

Family

ID=1929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973U KR920004383Y1 (ko) 1990-04-21 1990-04-21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3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044A (ko) * 2000-06-23 2002-01-09 김영일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KR20030022219A (ko) * 2003-02-07 2003-03-15 이정민 스트로를 구비한 음료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044A (ko) * 2000-06-23 2002-01-09 김영일 빨대(스트롱)가 내장되어 있는 음료수 용기와 용기마개
KR20030022219A (ko) * 2003-02-07 2003-03-15 이정민 스트로를 구비한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975U (ko) 199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4215A (en) Electric switch construction having an external locking mechanism
US4331355A (en) Temporary locking device
US5032698A (en) Switch device with transversely flexible means for coupling driving bar and handling knob
KR101561633B1 (ko) 슬라이딩 램프 조립체
KR920004383Y1 (ko) 밧데리 케이스 잠금장치
JP2007188770A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US4129766A (en) Indicating mechanism for push button switches
US6578246B2 (en) Disassembling device
JPH0447868Y2 (ko)
US3918750A (en) Locking devices for doors
JP4114828B2 (ja)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KR940005741B1 (ko) 밧데리 카바 체결장치
KR910003852Y1 (ko) Vtr의 카세트 테이프 도어 록 해제 장치
KR910005567Y1 (ko) 카메라의 필름 되감기 스윗치
CN221127349U (zh) 一种壳体组件及电子设备
KR920007232Y1 (ko) 밧데리 카바의 잠금 장치
KR89000347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문 개폐장치
JPS60165796A (ja) 収納ケ−ス
US6333476B1 (en) Push-button switch
KR930005054Y1 (ko) Tv의 파워스위치 노브 고정장치
KR930007064Y1 (ko) 엘리베이터의 버튼커버 고정장치
KR900001393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노브
KR960003427Y1 (ko) 전자제품의 도어 록킹(door locking) 장치
KR930004632Y1 (ko) 비디오 카세트 커버용 록커(locker)의 스프링 장치
JPH0428123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