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883A - 인삼및감귤류과피유래물질을포함하는건강증진용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및감귤류과피유래물질을포함하는건강증진용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883A
KR20000005883A KR1019990020441A KR19990020441A KR20000005883A KR 20000005883 A KR20000005883 A KR 20000005883A KR 1019990020441 A KR1019990020441 A KR 1019990020441A KR 19990020441 A KR19990020441 A KR 19990020441A KR 20000005883 A KR20000005883 A KR 20000005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itrus peel
citrus
extract
cholest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430B1 (ko
Inventor
복성해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9002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430B1/ko
Publication of KR2000000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 감귤류 과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중량비 1:1 내지 1,000:1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중풍, 당뇨, 암, 간질환 등의 성인병 예방 및 뇌혈관 강화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 조성물{Health-improving food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and citrus peel derivative}
본 발명은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동양에서 수천년 전부터 한약재로 그 신비한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어, 현재 건강보조식품, 한약재, 화장품 원료로 미국, 유럽, 동양권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인삼의 건강증진효과는 동의보감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로회복, 체력증진, 심장순환기 안정, 신경안정, 당뇨, 건위작용 등 많은 효능이 있다(홍문화, 뜻으로 쉽게 풀이한 허준 동의보감, 396-398(1990)).
최근에는 인삼가루, 인삼 추출물, 인삼 쥬스, 인삼정(분말을 정환으로 만든 것), 인삼차, 홍삼쥬스, 홍삼차 등의 수많은 인삼제품이 개발되어 많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인삼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지 못하며, 주요 사망원인이 되고 있는 동맥경화,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지 못하는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인삼제품은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활성을 갖는 성분으로 보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귤류 과피에서 유래한 플라보노이드는 각종 약리활성작용, 예를 들어 심장순환기 질환과 관련된 지질대사 개선효과, 항암 및 항바이러스 작용 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감귤류 과피에 존재하는 헤스페리딘(hesperidin) 및 헤스페레틴(hesperetin)은 모세혈관 강화, 투과성(permeability) 감소, 혈압 강하,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 항혈소판 응집(antiplatelet aggregation), 항염증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Meyer, O. C., Angiology, 45, 579-584(1994); Struckmann J. R., et al., Angiol., 45, 419-428(1994); Matsubara, Y., et al., Japan Organic Synthesis Chem. Association Journal., 52, 318-327(1994, Mar.); Galati E. M., et al., Farmaco., 51(3), 219-221(1996, Mar.); Monforte MT., et al., Farmaco., 50(9), 595-599(1995, Sep.); JP 95-86929; JP 95-86930; Chung, M. I., et al., Chin. Pharm. J.(Taipei)., 46, 429-437(1994, Nov.); Galati, E. M., et al., Farmaco., 40(11), 709-712(1994, Nov.); and Emim J. A., et al., J. Pharm. Pharmacol., 46(2), 118-122(1994)), 이외의 각종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는 항산화, 혈압강하, 항암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Saija, A., et al., Free Raical Biol. Med., 19, 481-486(1995); Matsubara, Y., et al., Japan Organic Synthesis Chem. Association Journal., 52, 318-327(1994, Mar.); Galati E. M., et al., Farmaco., 51(3), 219-221(1996, Mar.); Felicia V., et al., Nutr. Cancer, 26, 167-181(1996); EP0352147 A2(1990.1.25); and Kaul, T. N., et al., J. Med. Virol., 15, 71-79(1985)), 또한 나린진(naringin) 및 나린제닌(naringenin)은 콜레스테롤 강하, 항암 및 항위궤양(알콜로부터 보호)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Monforte MT., et al., Farmaco., 50(9), 595-599(1995, Sep.); JP 95-86929; JP 95-86930; Felicia V., et al., Nutr. Cancer, 26, 167-181(1996); EP 0352147 A2(1990.1.24); and Martin M. J., et al., Pharmacol., 49, 144-150(1994)).
또한, 감귤의 과피와 씨 속에는 리모노이드(limonoid)계 물질이 존재하는데 이들이 항암활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져 있다(Lam, L. K. T., et al., Inhibition of chemically induced carcinogenesis by citrus limonoids. In Food Phyto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Vol. I. ACS Symposium series No. 546, Huang, M. T., O. Osawa, C. T. Ho. R. Rosen(ed), (1993)).
본 발명자들은 건강증진, 피로회복 및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삼에 감귤류 과피 추출물 또는 감귤류 과피 유래 플라보노이드를 첨가함으로써 동맥경화증 예방 및 간기능 개선에 획기적인 효능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 감귤류 과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중량비 1:1 내지 1,000:1로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인삼은 건조된 인삼, 수삼, 홍삼, 인삼 추출물, 분말, 인삼정, 인삼음료, 인삼차 등의 모든 종류의 인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감귤류란 하귤, 당유자, 오렌지, 레몬, 감귤, 자몽 또는 유자 등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감귤류 과피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농약 처리를 하지 않고 감귤류를 생산하거나 인체에 무해한 저공해 농약, 또는 생물학적 방제제를 이용하여 감귤류를 생산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한다. 즉, 감귤류의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과피 1 kg당 20 내지 95 % 에탄올 3 내지 30ℓ를 가하고, 25 내지 80℃에서 1 내지 12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농축함으로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감귤류의 과피를 건조한 후, 건조 과피 1 kg당 0.1 내지 2 % Ca(OH)2또는 NaOH 5 내지 30ℓ를 가하고, 25 내지 60℃에서 1 내지 5 시간 동안 추출한 후, 이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여액에 1N HCl 용액을 가하여 혼합액의 pH를 4.0 내지 7.0으로 조절하고, 냉장실에서 10 내지 48 시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감귤류 유래의 플라보노이드로는, 나린진, 나린제닌, 헤스페리딘, 헤스페레틴 등을 들 수 있으며, 과일의 성숙기에 따라 또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 각각 활성 성분의 비율이 변할 수 있다.
인삼과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피로회복, 체력 증진, 심장순환기 안정, 신경 안정, 당뇨 예방 및 건위 작용 등의 건강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은 부분적으로는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총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강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효과는 인삼 단독으로는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증가시키지 못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도 낮추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주목할 만하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은 부분적으로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의 조절 효소인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코에이(HMG-CoA) 환원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점도 인삼 단독으로는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고려하면 예측되지 않는 현저한 특성이다.
또한 이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은 동물 시험에서 전혀 독성을 보이지 않는다.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이 쥐에게 100 ㎎/㎏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될 경우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 투여량은 체중 50 ㎏인 사람에 대해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 3 내지 10 g/㎏에 해당한다. 또한 감귤류 유래 물질은 간 기능에 대해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맛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추 추출물, 꿀, 건포도 가루, 설탕 등의 감미재료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분말, 캅셀, 환, 정제 및 드링크제 등의 섭취하기에 간편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로서 하루에 1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의 양으로 섭취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섭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 시 예 1 : 감귤류 과피 추출물로부터 플라보노이드의 추출 및 정량, 및 감귤류 과피 추출물 제조
(단계 1) 플라보노이드의 추출 및 정량
한국 제주도에서 생산된 하귤, 당유자, 감귤(tangerine), 전남에서 생산된 유자 및 수입품인 오렌지, 자몽 및 레몬의 껍질을 실온에서 건조한 후 입경 100㎛ 내지 200㎛의 크기로 분말화하였다. 이 분말을 500 ㎎씩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 50㎖ 씩을 가하여 50℃에서 6시간 동안 수욕 추출한 다음 냉각 후 여과하고 다시 메탄올을 가하여 50㎖로 만든 용액을 검액으로 하였다. 필요한 경우에는 검량선의 작성에 사용한 범위내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과피 추출물의 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기 검액 5.0 μl를 37% 메탄올로 미리 평형화된 리크로소브(Lichrosorb) RP-8 컬럼(5 μm, 4 x 250 mm)이 장착된 HPLC에 주입하였다. 이 때 칼럼의 온도는 30℃로 조절하고, 37%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1.0 ml/분의 유속으로 용출시켰다. 따로, 헤스페리딘과 나린진(Sigma Co.) 표준품을 메탄올에 용해시켜 최종 농도가 각각 0.1, 0.2, 0.3, 0.4 및 0.5 mg/ml 가 되도록 표준용액을 조제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HPLC를 실시하였다. 용출물을 UV-VIS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280 nm에서 검출하고, 검량선과 과피추출물의 HPLC 프로필(profile)의 면적을 비교 분석하여 함량을 계산한 결과, 과피추출 농축액중 헤스페리딘 및 나린진의 함량은 다음과 같았다.
(단계 2) 감귤 과피 추출물의 제조
(1) 에탄올을 이용한 방법
제주도산 감귤 껍질을 건조한 후 건조 감귤류 과피 500 g에 30% 에탄올 용액 5ℓ를 가하고 6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면직물(cottoncloth)을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190 g의 시럽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단계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물중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이 추출물 190 g 속에는 헤스페리딘 5.1 g이 들어 있었다. HPLC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 65%, 당분 28%(과당 11%, 포도당 11%, 슈크로즈 6%), 헤스페리딘 2.7% 및 기타 회분 등의 미량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Ca(OH)2를 이용한 방법
제주도산 감귤 껍질을 건조한 후, 건조된 감귤류 과피 500 g에 0.5% Ca(OH)2용액 5ℓ를 가하고 상온에서 저어주면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면직물로 여과한 후 여액에 1N HCl 용액을 가하여 혼합액의 pH가 4.0∼4.5, 또는 6.80∼7.0이 되게 한 후 5℃ 냉장실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여 각각 5 g 및 10 g의 건조된 분말을 얻었다. 침전된 분말을 단계 1에서와 같이 HPLC로 정량분석한 결과 헤스페리딘이 각각 3.2 g 및 6.55 g 포함되어 있어, 헤스페리딘의 순도는 각각 64% 및 65%였다.
(3) NaOH를 이용한 방법
제주도산 감귤 껍질을 건조한 후, 건조된 감귤류 과피 500 g에 0.5% NaOH 5ℓ를 가하고 상온에서 저으면서 1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면직물로 여과하였다. 여액에 1 N HCl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의 pH가 4.0∼4.5 또는 6.8∼7.0이 되게 한후 5℃ 냉장실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때 생성된 침전물을 회수한 후 건조하여 각각 44 g 및 49 g의 건조분말을 얻었다. 건조 분말로부터 HPLC에 의해 각각 13.6 g, 9.8 g의 헤스페리딘을 회수하였다(순도: 각각 31%, 20%).
실 시 예 2: 실험동물의 식이 조성과 감귤 과피 추출물의 동물 투여 실험
2주령의 스프라그 다울리(Sprague-Dawley) 흰쥐 30마리를 충북 음성군의 대한실험 동물센터로부터 구입하여 1주간 제일제당 실험동물 사료로 사육하고, 4주령(체중: 90∼110g)이 되었을 때,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해 3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세 그룹의 쥐들에게 각각 세가지의 서로 다른 고콜레스테롤 식이, 즉, 정상식이(AIN-76 실험동물 식이)에 1% 콜레스테롤(대조군); 1% 콜레스테롤 및 0.05% 헤스페리딘+ 0.05% 나린진(헤스페리딘+나린진 군); 그리고 0.1% 귤피 추출물(귤피 추출물 군)이 각각 함유된 식이를 섭취시켰다. 세 그룹에게 섭취시킨 식이의 조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 0.1% 헤스페리딘 상당량
모든 식이들은 고콜레스테롤식이(1%, wt/wt)에 해당하고, 헤스페리딘 및 나린진은 미국의 시그마사(Sigma Chemical company, St. Louis, Mo)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실험용 흰쥐의 실험실 식이인 AIN-76 식이 조성 중 셀룰로즈, 미네랄 혼합물 및 비타민 혼합물 성분은 미국의 테크라드 프리미어사(TEKLAD premier, Madison, Wisconsin)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식이군의 쥐들에게 6주동안 해당 식이를 물과 함께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을 매일 기록하고 7일마다 체중을 측정하였다. 동물사육이 종료된 후 사육일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이 섭취량과 체중증가에 있어서는 3개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정상적인 성장을 보였다.
실 시 예 3 : 실험동물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질 함량측정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투여가 흰쥐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세 식이군의 쥐들로부터 혈액 시료를 채취하고, 이로부터 덱스트란-설페이트를 포함한 HDL-콜레스테롤 시약(Sigma Chemical Co. Cat. No. 352-3)을 이용하여 혈장 HDL 분획을 분리하였다.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시그마사의 총 콜레스테롤 키트(Cat. No. 352-100)를 사용한 효소발색법(Allain et al., Clin. Chem., 20, 470-475(1974))에 의해 측정하였다. 중성 지질 농도는 시그마 진단 키트(Cat. No. 339-5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Bucolo, G. and David, H., Clin. Chem., 19, 476-482(1973)).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는데,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감귤 과피 추출물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36% 감소하였고, 헤스페리딘 + 나린진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37% 감소하였다.
실 시 예 4 : 실험 동물의 혈장 GOT 및 GPT 농도 측정
실시예 2의 실험을 거친 쥐들의 간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각 군의 쥐들에 대하여 혈장 GOT(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및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농도를 레이트만과 프랭클의 방법(Reitman, S. and J. S. Frankel, Am. J. Clin. Pathol., 28, 56(1956))에 따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GOT의 경우 혈장에 L-아스파라긴산과 α-케토글루타르산을, GPT의 경우 혈장에 D,L-알라닌과 α-케토글루타르산을 넣으면 혈장의 효소에 의해 기질이 피루브산으로 전환되었다. 이 피루브산이 2,4-디니트로 페닐 히드라진과 반응하여 0.4 N NaOH를 처리하면 비색으로 발색반응이 나타나므로, 이를 490 내지 5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피루브산 리튬의 표준에 비교함으로써 GOT 또는 GPT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GOT와 GPT는 간과 심장에서 합성되는 효소로서 이들 조직이 손상되면 혈중으로 방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간기능 검사의 대표적인 지표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GOT 및 GPT의 효소역가가 혈장에서 높으면 간의 손상 정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감귤류 과피 추출물 투여군은 GOT 역가가 대조군보다 30% 정도 감소하였으며, GPT 역가는 대조군보다 11% 정도 낮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로부터 헤스페리딘을 매일 0.1 mg/kg 내지 100 mg/kg 정도 섭취할 경우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작용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 시 예 5 : 감귤 과피 추출물의 경구독성시험
7-8 주령의 특정 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s free) ICR 마우스로서 체중 25-29 g의 암컷 6마리와 체중 34-38 g의 수컷 6 마리를 온도 22±1 ℃, 습도 55±5 %, 조명 12L/12D의 동물실내에서 사육하였다. 마우스는 실험에 사용되기 전 1주일 정도 순화시켰다. 실험동물용 사료((주)제일제당, 마우스 및 랫드용) 및 음수는 멸균한 후 공급하였으며 자유섭취시켰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0.5% 트윈 80을 용매로 하여 100 mg/ml 농도로 조제한 후, 마우스 체중 20 g 당 0.2 ml씩 경구투여하였다. 시료는 1회 경구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10 일 동안 다음과 같이 부작용 또는 치사 여부를 관찰하였다. 즉, 투여당일은 투여 후 1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뒤에, 그리고 투여 익일부터 10일째까지는 매일 오전, 오후 1회 이상씩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투여 10일째에 동물을 치사시켜 해부한 후 육안으로 내부 장기를 검사하였다. 투여당일부터 1일 간격으로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약물에 의한 동물의 체중 감소 현상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은 감귤류 추출물 시료에 대하여 경구경로에서의 급성독성의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일반약리 및 약효시험에서의 가용 약용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독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급성 경구독성의 경우는 감귤 과피 추출액 1,000 mg/kg의 약용량에서 10일동안 치사동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10일 후 생존동물에 대한 부검을 실시한 바, 특별한 병변 육안 소견이 없었으며, 투여 익일부터 10일간 어떠한 체중의 감소 없이 정상적인 체중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감귤 과피 추출액은 상기의 농도로 경구투여시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 시 예 6 : 실험동물의 식이 조성과 인삼과 감귤 과피 유래 물질의 혼합물의 동물 투여 실험
2 주령의 스프라그 다울리 흰쥐 40마리를 충북 음성군의 대한실험 동물센터로부터 구입하여 1주간 제일제당 실험동물 사료로 사육하고, 4주령(체중: 90∼110g)이 되었을 때,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해 4 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네 그룹의 쥐들에게 각각 세가지의 서로 다른 고콜레스테롤 식이, 즉, 정상식이(AIN-76 실험동물 식이)에 1% 콜레스테롤(대조군); 1% 콜레스테롤 및 0.1% 나린진(나린진 군); 1% 콜레스테롤 및 0.1% 인삼(인삼 군); 그리고 0.1% 콜레스테롤, 0.1% 나린진 및 0.1% 인삼(나린진 + 인삼 군)이 함유된 식이를 각각 섭취시켰다. 네 그룹에게 섭취시킨 식이의 조성은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다.
모든 식이군의 쥐들에게 6주동안 해당 식이를 물과 함께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을 매일 기록하고 7일마다 체중을 측정하였다. 동물사육이 종료된 후 사육일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식이 섭취량과 체중증가에 있어서는 4개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정상적인 성장을 보였다.
실 시 예 7 : 인삼과 나린진의 혼합물의 투여에 의한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나린진과 인삼의 혼합물이 혈중 콜레스테롤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예 6의 4개의 식이군 래트로부터 혈액을 채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총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과 HDL-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표 6에서 보듯이, 나린진과 인삼 군 래트의 총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보다 25% 정도 강하된 반면 나린진 군과 인삼 군 래트의 경우에는 각각 18% 및 9% 강하되었다.
실 시 예 8 : 인삼과 나린진의 혼합물의 HMG-CoA 환원효소 저해 활성
(단계 1) 마이크로좀의 제조
나린진과 인삼의 혼합물 투여가 HMG-CoA 환원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간 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좀을 분리하여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실시예 6의 4개 식이군 래트를 희생시켜 간을 적출하였다. 2 g의 간 조직을 6 ml의 균질화 용액(0.1 M 트리에탄올아민, 0.02 M EDTA 및 2 M 디티올트레이톨)을 이용하여 균질화하였다. 이 균질액을 4℃에서 10,000xg 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4℃에서 12,000xg로 10분 동안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중 5 ml를 취하여 초원심분리 튜브(Beckman)로 옮기고, 4 ℃에서 100,000xg 로 1 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버리고, 펠렛을 2 ml의 균질화 용액으로 현탁시킨 후, 이 용액을 4℃에서 100,000xg로 1 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버리고, 펠렛을 1 ml의 균질화 용액으로 현탁시켰다. 현탁액중의 마이크로좀 단백질을 브래포드 등(Bradford M.M., Anal. Biochem., 72, 248-254 (1976))의 방법으로 정량하고, 단백질 농도를 4 내지 8 mg/ml로 조절하였다. 이 현탁액을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단계 2) HMG-CoA 환원효소 활성 측정
HMG-CoA 환원효소 활성의 측정은 사피로 등(Shapiro D.J. et al., Biochim. Biophy. Acta, 370, 369-377 (1974))의 방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단계 1)에서 얻은 마이크로좀 함유 상층액의 효소를 37℃에서 30 분동안 활성화시켰다. 반응 튜브에 20 ㎕의 HMG-CoA 환원 효소 분석 완충액(0.25M KH2PO4(pH7.0), 8.75 mM EDTA, 25 mM DTT, 0.45 M KCl 및 0.25 mg/ml BSA), 50mM NADPH 5 ㎕, [14C] HMG-CoA(0.05 μCi/튜브, 최종 농도 120 μM) 및 활성화된 마이크로좀 효소(0.03 내지 0.04 ㎎) 10 ㎕를 가하고 37℃에서 30분동안 반응시켰다. 혼합물에 6M HCl 10 ㎕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이 혼합물을 37℃에서 15 분동안 반응시켜 생산물(메발로네이트)의 락톤화가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10,000xg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실리카 겔 60 F254TLC 플레이트(머크사, 독일)에 점적한 후 벤젠-아세톤 용액(1:1 v/v)으로 전개하였다. Rf값이 0.3 내지 0.6인 영역을 이미지 어낼라이저(Image Analyger, MacBas 1000, 후지사, 일본)를 이용하여 확인한 후 잘라내어 팩카드 트리카브(Packard Tricarb) 1600TR 신틸레이션 카운터(팩커드사, 호주)로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활성도는 1분당 마이크로좀 단백질 1㎎이 생성하는 메발로네이트의 양을 pmole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표 7에서 보듯이, 대조군 래트는 비교적 높은 HMG-CoA 환원효소 활성을 가지며 인삼 군 래트는 대조군보다는 더 높은 HMG-CoA 환원효소 활성을 가지는데 반해, 나린진 군과 나린진 + 인삼 군 래트는 대조군보다 낮은 HMG-CoA 환원효소 활성을가진다.
실 시 예 9 :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의 제조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의 (1)에서 제조된 감귤 과피 추출물, 또는 나린진, 나린제닌, 헤스페리딘, 헤스페레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인삼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 건강증진용 캅셀의 제조
인삼 가루 150 mg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 100 mg
대추, 꿀 또는 건포도 가루 100 mg
비타민 C 50 mg
락토오즈 100 mg
총 500 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경질 젤라틴 캅셀에 500mg 단위량으로 충진하였다.
(2) 건강증진용 환의 제조
인삼 가루 150 mg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 100 mg
대추, 꿀 또는 건포도 가루 100 mg
비타민 C 50 mg
카복시메틸셀룰로즈 100 mg
총 500 mg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환을 제조하였다.
(3) 건강증진용 정제의 제조
인삼 가루 150 mg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 100 mg
대추, 꿀 또는 건포도 가루 100 mg
비타민 C 50 mg
카복시메틸셀룰로즈 100 mg
전분 또는 락토즈 3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mg
총 500 mg
인삼 가루,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 및 전분 또는 락토즈를 45번 메쉬 U.S.여과지에 통과시킨 후 잘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잘 혼합한 후 14번 메쉬 U.S. 여과지에 통과시켰다. 얻어진 과립을 50℃에서 건조시킨 후 18번 메쉬 U.S. 여과지에 통과시켰다. 이 과립에 미리 60번 메쉬 U.S. 여과지에 통과시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비타민 C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가하고 혼합한 후 압착하여 500 mg 단위량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4) 건강증진용 드링크의 제조
신선한 인삼 100g을 물로 세척한 후, 물 100 ml와 설탕 1g을 넣고 블랜딩하여 인삼 쥬스를 얻었다. 인삼 주스 100 ml를 헤스페리딘 또는 헤스페레틴 100 mg 및 비타민 C 20 mg와 혼합하여 건강증진용 드링크를 제조하였다.
(5) 건강증진용 드링크의 제조
헤스페리딘 또는 헤스페레틴 대신에 나린진 또는 나린제닌을 사용하고 비타민 C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4)의 방법을 반복 실시하여 드링크를 제조하였다.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되었을 때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중풍, 당뇨, 암, 간질환 등의 성인병 예방 및 뇌혈관 강화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4)

  1.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 감귤류 과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중량비 1:1 내지 1,000:1로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이 건조된 인삼, 수삼, 홍삼, 인삼 추출물, 분말, 인삼정, 인삼음료 또는 인삼차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류가 하귤, 당유자, 오렌지, 레몬, 감귤, 자몽 또는 유자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류 과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가 나린진, 나린제닌, 헤스페리딘 또는 헤스페레틴인 조성물.
KR1019990020441A 1998-06-03 1999-06-03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KR10030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441A KR100304430B1 (ko) 1998-06-03 1999-06-03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560 1998-06-03
KR19980020560 1998-06-03
KR1019990020441A KR100304430B1 (ko) 1998-06-03 1999-06-03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83A true KR20000005883A (ko) 2000-01-25
KR100304430B1 KR100304430B1 (ko) 2001-09-24

Family

ID=2663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441A KR100304430B1 (ko) 1998-06-03 1999-06-03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43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835A (ko) * 2001-04-20 2002-10-30 주식회사 유엘바이오텍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복합조성물
KR20030026384A (ko) * 2001-09-12 2003-04-03 정옥조 당뇨병 환자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30038009A (ko) * 2001-11-08 2003-05-16 제주도지방개발공사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KR100482841B1 (ko) * 2001-09-27 2005-04-14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귤피로부터 분리한 장관면역 활성화능이 있는 다당류, 그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0500840B1 (ko) * 2003-04-30 2005-07-12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유자로부터 나린제닌을 정제하는 방법 및 그 용도
KR100549193B1 (ko) * 2002-10-23 2006-02-02 (주)바이오뉴트리젠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KR100616122B1 (ko) * 2002-11-20 2006-08-25 박갑주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0832321B1 (ko) * 2005-04-18 2008-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KR20160041071A (ko) 2014-09-30 2016-04-18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389B1 (ko) * 2002-11-08 2006-04-04 (주)바이오뉴트리젠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탄수화물 식품
KR100933914B1 (ko) * 2007-11-20 2009-12-28 우상훈 유자 및 인삼 쓴맛 제거를 위한 미생물 배양액 제조와 이를이용한 유자 및 인삼발효 주스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835A (ko) * 2001-04-20 2002-10-30 주식회사 유엘바이오텍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에의해 제조한 복합조성물
KR20030026384A (ko) * 2001-09-12 2003-04-03 정옥조 당뇨병 환자용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0482841B1 (ko) * 2001-09-27 2005-04-14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귤피로부터 분리한 장관면역 활성화능이 있는 다당류, 그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20030038009A (ko) * 2001-11-08 2003-05-16 제주도지방개발공사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KR100549193B1 (ko) * 2002-10-23 2006-02-02 (주)바이오뉴트리젠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KR100616122B1 (ko) * 2002-11-20 2006-08-25 박갑주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0500840B1 (ko) * 2003-04-30 2005-07-12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유자로부터 나린제닌을 정제하는 방법 및 그 용도
KR100832321B1 (ko) * 2005-04-18 2008-05-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고지혈증 개선을 위한 홍삼 산성다당체 함유 건강기능식품
KR20160041071A (ko) 2014-09-30 2016-04-18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430B1 (ko) 200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n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Airaodion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phytochemical content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Azadirachta indica and Parquetina nigrescens leaves
EP1069834B1 (en) Health-improving spice composition
Asuk et al. The biomedical significance of the phytochemical, proximate and mineral compositions of the leaf, stem bark and root of Jatropha curcas
US6991811B1 (en) Echinacea induction of phase II enzymes
KR100304430B1 (ko)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
KR19990079683A (ko) 감귤류의 과피 분말 또는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식품
KR100314477B1 (ko) 대추 추출물 및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혈압강하용 조성물
KR100296250B1 (ko) 대추추출물및감귤류과피추출물을포함하는지질대사개선및혈압강하용조성물
KR100254908B1 (ko) 비타민 씨와 귤피 추출 농축액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 코에이 환원효소 활성 저해제 조성물
KR19990080214A (ko) 감귤류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개선용 기능성 음료
KR100258584B1 (ko) 감귤류과피추출액을포함하는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오르토-아실트랜스퍼레이즈저해제조성물
WO1999062358A1 (en) Health-improving food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and citrus peel derivative
KR19990080215A (ko) 고기능성 감귤류 쥬스
Okolie et al. Evaluation of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ompositions of Two bitter Leaf (Vernonia amygdalina) Accessions in Nigeria
Uddin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ethno medicinal and nutraceutical potentials of the leaves of three species of genus Ipomea from Tripura, NE-India
Saha et al. Biochem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itter gourd seeds’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Comparative study
KR19990080216A (ko) 기능이 개선된 귤피차
Eneogwe et al. NUTRACEUTICAL EVALUATION OF SOME SELECTED INDIGENOUS SPICES FOUND IN KOGI STATE, NIGERIA
Ekpo et al. Determination of Proximate Composition and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Corchorus oliterious (Ewudu) Harvested in Ugep, Cross River State
Junita et al. Antioxidant Activity Test of" Aia Tempayang" With DPPH Metode (2, 2-Diphenyl-1 Picrylhydrazyl)
Oshomoh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Invitro Antioxidant Potentials of Poly-Herbal Formulation
KR100291143B1 (ko) 나린진 또는 나린제닌을 포함하는 아실 코에이:콜레스테롤-오-아실트랜스퍼레이즈 저해제 조성물
KR19990076178A (ko) 헤스페리딘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OYENIYI NUTRITIONAL COMPOSITION OF PARQUETINA NIGRESCENS LEAF AND EFFECTS OF ITS AQUEOUS EXTRACT IN ALUMINIUM CHLORIDEINDUCED ANAEMIC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