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009A -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009A
KR20030038009A KR1020010069409A KR20010069409A KR20030038009A KR 20030038009 A KR20030038009 A KR 20030038009A KR 1020010069409 A KR1020010069409 A KR 1020010069409A KR 20010069409 A KR20010069409 A KR 20010069409A KR 20030038009 A KR20030038009 A KR 20030038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ctin
citrus
extraction
flavonoids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주
고정삼
고경수
최영배
김용덕
현은희
김지용
Original Assignee
제주도지방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도지방개발공사 filed Critical 제주도지방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01006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8009A/ko
Publication of KR2003003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0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45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alacturonans, e.g. methyl ester of (alpha-1,4)-linked D-galacturonic acid units, i.e. pectin, or hydrolysis product of methyl ester of alpha-1,4-linked D-galacturonic acid units, i.e. pect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48Processes of extraction from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2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귤박과 메탄올의 비율을 1:10으로 하여 90∼100℃에서 1, 2, 3차(6시간)에 걸쳐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는 플라보노이드 추출단계; 상기에서 생성된 잔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고, 잔존하는 메탄올을 30∼40℃ 정도의 건조기에서 제거하는 분쇄 및 건조단계; 상기 분말 5g당 10% 염산 0.47g 및 물 47.14g을 투입하여 40분간 반응시키고 다시 세척수를 가하여 이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가수분해 및 세척단계; 상기 세척 잔사를 80℃ 이상의 온수를 그 무게비에 1.8배, 10% 염산 0.02∼0.03배를 가하여, 80∼100℃에서 30∼120분 반응시킨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동결건조하는 펙틴 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 및 정제방법{CONTINUOUS AND PURIFICATION OF FLAVONOIDS AND PECTIN ON PEEL OF CITRUS UNJU}
본 발명은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해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을 추출하여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보노이드 추출단계, 분쇄 및 건조단계, 가수분해 및 세척단계, 펙틴의 추출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귤의 가공에서 주폐기물인 감귤껍질은 국내 최대의 관광지인 제주도의 환경오염의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어 폐기물처리에 소요되는 고비용이 이미 감귤가공업체의 생산단가를 가중시킬 정도로 심각한 어려움을 주고 있다. 다만 감귤박은 한약으로 진피라 하여 사용되며, 중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는 노지 건조방법으로 처리하여 진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양은 적은편이다. 그러므로 감귤가공의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저비용의 폐기물 처리기술 또는 폐기물 활용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로 되고 있다.
감귤주스 가공폐기물인 감귤껍질에는 건조중량으로 10∼15%의 펙틴(펙틴)과 1∼3%의 플라보노이드(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은 여러 생리효과가 뛰어난 우수 천연소재로 밝혀져 있다. 이들 성분들중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 저하, 혈압 강하, 면역활성 촉진, 중금속 흡수 등의 생리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고혈압, 동맥경화증, 협심증, 당뇨병, 면역력 감소 등 각종 성인병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개발될 수 있다. 또한 중금속 및 방사성 원소를 포함한 유독성 화학물질을 인체에서 제거하는 기능이 밝혀져서, 증가하고 있는 환경오염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기대되고 있다.
특히 감귤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펙틴의 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식품가공 분야에서는 겔화제, 점도 증가제, 유화 안정제 등으로 널리 이용되었으며, 의약분야에서도 연고, 정장제, 위장자극 완화제, 설사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실 가공품의 제조에는 겔 형성을 부여하고, 과실의 풍미를 보존하거나 자연적인 신맛도 유지하기 위하여 펙틴을 사용하기도 한다.
펙틴질은 폴리갈락투로닉산(polygalacturonic acid)의 메틸에스테르화로 되어 있으며, 과실의 세포벽 구성성분은 펙틴질,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세포벽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벽 다당류가 약 90∼95%를 차지하고, 단백질은 약 5∼10% 정도이지만 종류와 품종에 따라 그 조성에는 차이가 있다. 펙틴질과 헤미셀룰로오스는 갈락탄(galactan), 아라비난(arabinan) 또는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들이 측쇄 결합하여 다당류 사이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펙틴은 식품과 의약 제조에 사용되고 겔화와 유화 상태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여러 가지 수용성 필름 형태를 가진 다당류(polysaccharide)이다.
종래의 플라보노이드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침전법, 재결정화 및 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정제하였고, 펙틴은 염산, 인산 및 효소 등을 처리하여 추출한 후, 알콜처리로 정제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을 한가지 원료에서 동시에 추출.정제하지 않고, 플라보노이드를 유기용매에 의해, 펙틴을 산처리나 효소처리에 의해 추출한 후 잔사를 폐기물로 처리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감귤박을 한가지 용도로 사용하므로 원료비상승과 폐기물의 양을 2배로 증가시키는 것이었고, 또한 감귤박의 수분이 77-85%인을 건조하는데는 상당한 열량이 필요하고, 수분의 10% 이하로 건조가 되지 않으면 보관상의 부패가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방법으로 처리시 정제된 펙틴은 감귤에 잔존해 있는 색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알콜 정제를 수회 반복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귤박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을 연속공정에 의해 추출하므로써 건조공정 최적화, 폐기물처리 비용의 절감 및 기능성물질인 조 플라보노이드의 제조와 건조비용의 절감효과 및 펙틴의 정제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의 단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플라보노이드 추출단계
감귤박과 메탄올의 비율을 1:10으로 하여 90∼100℃에서 1, 2, 3차에 걸쳐 6시간동안, 바람직하게는 1차 3시간, 2차 2시간, 3차 2시간에 걸쳐 플라보노이드를 환류가열 추출한다.
(2) 분쇄 및 건조단계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잔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고, 잔존하는 메탄올을 30∼40℃ 정도의 건조기에서 제거한다.
(3) 가수분해 및 세척단계
상기 분말 5g당 10% 염산 및 물을 각각 0.47g, 47.14g의 비율로 투입하여 40분간 반응시키고 다시 세척수를 가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4) 펙틴 추출단계
수분이 함유되어 무게가 6∼7배 정도 증가한 세척 잔사를 그 무게비에 80℃ 이상의 온수를 1.8배, 10% 염산 0.02∼0.03배를 가하여, 80∼100℃에서 30∼120분 반응시킨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동결건조한다.
10% 염산의 양은 잔사 무게비의 0.028배, 온도는 90℃, 시간은 90분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고, 하기의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건조의 효율성
건조방법은 적외선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온주감귤 시료와 감귤박 시료 및 감귤박에 유기용매 추출후 처리 감귤박을 사용하여 125℃에서 시간별로 건조하여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감귤복합처리 가공공장에서 발생한 가공공장 감귤박 및 유기용매로 처리한 처리 감귤박과 실험실에서 온주감귤을 감귤박과 주스박을 시험한 결과(표 1) 감귤박과 주스박은 125℃, 10분 처리시 68.6%, 76.8% 수분감소율을, 가공공장 감귤박은 56.06% 수분감소율을 보였으나 유기용매 추출후 감귤박은 89.34% 수분감소율을 보여 유기용매 처리시 감귤박 건조가 쉬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수분감소율의 변화(%)
수분함량시간(분) 감 귤 박 주 스 박 가공공장 감귤박 처리 감귤박
1 9.8 8.8 2.35 14.96
2 12.6 16.3 12.23 35.37
3 23.3 29.5 21.35 51.36
4 33.3 40.4 27.45 63.68
5 42.0 50.2 33.05 73.35
6 49.3 58.7 38.50 79.98
7 63.1 65.8 43.13 84.05
8 67.1 71.7 48.08 86.60
9 68.5 76.4 53.01 88.42
10 68.6 76.8 56.06 89.34
실시예 2
용출액의 종류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추출 효율
각 용출액에 따라 시간, pH에 따른 추출효율을 분석한 결과 각 플라보노이드의 종류에 따른 추출량을 표 2∼8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각 성분에 따라 다소 차가 있었으나 pH는 조정할 필요가 없었고, 3차에 걸친 추출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거의 추출되었다.
루틴(Rutin)의 추출율 (단위:mg)
MeOH 시간(hr) 1차 2차 3차
1 1 0.74 0.22 0.03
2 3 0.78 0.20 0.03
3 6 0.84 0.26 0.04
pH2 3 0.88 0.24 0.06
pH3 3 0.83 0.20 0.04
pH4 3 0.78 0.22 0.05
pH10 3 0.75 0.23 0.04
pH11 3 0.71 0.23 0.04
pH12 3 0.89 0.22 0.06
70%MeOH
1 1 0.64 0.20 0.08
2 3 0.78 0.18 0.06
3 6 0.70 0.15 0.06
pH2 3 0.67 0.19 0.07
pH3 3 0.71 0.18 0.06
pH4 3 0.72 0.19 0.06
pH10 3 0.62 0.15 0.06
pH11 3 0.70 0.20 0.07
pH12 3 1.01 0.24 0.07
※ pH는 MeOH와 70% MeOH용액을 시료에 넣은 후 산과 알카리를 첨가하여 조정하였다.
헤스페리딘(Hesperidin)의 추출율 (단위:㎎)
MeOH 시간(hr) 시간(hr)1차 2차 3차
1 1 13.30 8.92 1.18
2 3 12.34 7.56 0.99
3 6 13.85 11.92 1.89
pH2 3 12.80 7.74 2.88
pH3 3 12.75 6.55 1.71
pH4 3 13.11 8.65 2.94
pH10 3 13.31 9.90 1.64
pH11 3 11.63 9.68 1.80
pH12 3 12.39 8.83 2.95
70%MeOH
1 1 8.81 5.36 2.97
2 3 8.57 4.76 2.09
3 6 10.27 3.52 1.79
pH2 3 7.11 5.48 3.39
pH3 3 10.26 5.99 2.95
pH4 3 10.33 5.97 3.10
pH10 3 9.94 4.39 3.15
pH11 3 10.36 6.22 4.04
pH12 3 11.94 8.25 4.49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edin)의 추출율 (단위:㎎)
MeOH Time(hr) 1차
1 1 0.23
2 3 0.33
3 6 0.22
pH2 3 0.33
pH3 3 0.26
pH4 3 0.27
pH10 3 0.24
pH11 3 0.17
pH12 3
70%MeOH
1 1 0.17
2 3 0.18
3 6 0.11
pH2 3 0.13
pH3 3 0.19
pH4 3 0.23
pH10 3 0.2
pH11 3 0.19
pH12 3
쿠에르세틴(Quercetin)의 추출율 (단위:㎎)
MeOH Time(hr) 1차 2차 3차
1 1 0.06 0.04 0.01
2 3 0.06 0.03 0.01
3 6 0.06 0.04 0.01
pH2 3 0.06 0.03 0.02
pH3 3 0.07 0.03 0.01
pH4 3 0.06 0.04 0.02
pH10 3 0.06 0.03 0.01
pH11 3 0.06 0.04 0.01
pH12 3 0.06 0.04 0.02
70%MeOH
1 1 0.05 0.03 0.02
2 3 0.06 0.03 0.02
3 6 0.06 0.02 0.02
pH2 3 0.05 0.03 0.02
pH3 3 0.06 0.03 0.02
pH4 3 0.06 0.03 0.02
pH10 3 0.06 0.02 0.02
pH11 3 0.06 0.03 0.02
pH12 3 0.07 0.03 0.02
노빌레틴(Nobiletin)의 추출율 (단위:㎎)
MeOH Time(hr) 1차
1 1 0.05
2 3 0.05
3 6 0.06
pH2 3 0.06
pH3 3 0.06
pH4 3 0.06
pH10 3 0.06
pH11 3 0.06
pH12 3 0.06
70%MeOH
1 1 0.04
2 3 0.05
3 6 0.05
pH2 3 0.04
pH3 3 0.04
pH4 3 0.05
pH10 3 0.04
pH11 3 0.05
pH12 3 0.05
플라본(Flavon)의 추출율 (단위:㎎)
MeOH Time(hr) 1차
1 1 0.02
2 3 0.02
3 6 0.03
pH2 3 0.03
pH3 3 0.02
pH4 3 0.02
pH10 3 0.02
pH11 3 0.02
pH12 3 0.03
70%MeOH
1 1 0.02
2 3 0.02
3 6 0.02
pH2 3 0.02
pH3 3 0.02
pH4 3 0.02
pH10 3 0.02
pH11 3 0.02
pH12 3 0.03
플라본(flavon) : 3,5,6,7,8,3',4'-메톡시 플라본(methoxyl flavon)
탕게레틴(Tangeretin)의 추출율 (단위:㎎)
MeOH Time(hr) 1차
1 1 0.01
2 3 0.02
3 6 0.02
pH2 3 0.02
pH3 3 0.02
pH4 3 0.02
pH10 3 0.02
pH11 3 0.02
pH12 3 0.02
70%MeOH
1 1 0.01
2 3 0.02
3 6 0.02
pH2 3 0.01
pH3 3 0.01
pH4 3 0.02
pH10 3 0.02
pH11 3 0.02
pH12 3 0.02
실시예 3
플라보노이드 추출횟수에 따른 추출효율
플라보노이드의 추출은 MeOH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농축된 플라보노이드 분획(Fraction)의 HPLC 분석한 결과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1차에서 326.61mg/200g, 2차에서 178.88mg/200g, 3차에서 133.94mg/200g으로 나타났다. 또한 루틴(Rutin)과 헤스페리딘(Hesperidin)이 표 9와 같이 추출되었다.
플라보노이드 분석결과 (단위 : ㎎/200g)
루틴(Rutin) 헤스페리딘(Hesperidin)
1차 추출 15.69 326.61
2차 추출 5.16 178.88
3차 추출 2.08 133.94
실시예 4
펙틴 추출 방법과 효율
펙틴의 추출은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건조한 시료 5g을 추출시료로 하고 표 10과 같이 염산량을 고정하여 인산량을 조정하며 최적 산첨가량을 시험한 결과(표 5) 기본방법의 1.05g인데 비해 인산량을 0.3g까지 조정하여도 1.12g에 불과하였고, 인산량을 고정하고 염산량을 조정하여 최적 산 첨가량을 시험한 결과(표 12) 염산 1.0g까지 증가하였을 때 1.22g이었고, 1.5g 이상에서는 색상이 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산을 첨가하지 않는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염산량의 최적조건을 검토한 결과(표 13), 인산 0.088g을 첨가한 결과보다 염산 단독 농도에서 1.42g으로 추출효율이 높았다. 산 처리시 인산을 메타인산, H2SO4, HNO3를 사용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표 14), 4% 메타인산 0.088g 첨가한 경우 1.64g로 추출율이 높았으며,H2SO4, HNO3에서는 색상이 변화와 추출률 또한 낮았다.
펙틴의 추출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처리온도 80∼100℃(표 15)와 처리시간 30∼120분 처리한 결과(표 16) 추출온도 90℃와 추출시간 90분 정도가 각각 1.46g, 1.3g으로 양호하였다.
이 결과 처리시간은 30분 처리에 비해 90분, 120분 처리시 약 30%의 추출량 증가가 있었고, 온도는 90℃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HCl 0.75g, 85% 인산 0.088g 첨가한 추출방법을 사용한 펙틴 추출시 펙틴 0.83g/시료5g의 추출량을 보였으며, 인산량의 증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이 경우 색상이 노란색으로 나타났다.
염산량을 증감한 결과 펙틴 추출효율이 증가하였으나 산의 과다에 의하여 색상이 하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펙틴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산을 쓰지 않는 종래방법을 기준으로 보면 펙틴 추출량은 염산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나 색상이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인산을 다른 산으로 바꾸어 펙틴추출을 시험한 결과 4% 메타인산을 사용한 결과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H2SO4,과 HNO3는 추출량이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H2SO4의 경우 색상이 초록색을 띠는 현상을 보였다.
종래방법에 의한 펙틴 추출 (단위:g)
10% HCl 85% H3PO4 펙틴 추출량 Color 비고
0.75 0.088 1.05±0.2 white
산 첨가량 변경 : 염산고정, 인산량 조정 (단위:g)
10% HCl 85% H3PO4 펙틴 추출량 Color 비고
0.75 0 0.73 white
0.75 0.01 0.74 white
0.75 0.05 0.89 white
0.75 0.088 전처리 有 1.11 white
0.75 전처리 無 0.83 green +yellow
0.75 0.15 0.97 white
0.75 0.3 1.12 white
산첨가량 변경 : 인산고정, 염산량 조정 (단위:g)
10% HCl 85% H3PO4 펙틴 추출량 Color 비고
0 0.088 0.68 white
0.5 0.088 0.82 white
1.0 0.088 1.22 white
1.5 0.088 1.92 yellow
3.0 0.088 1.79 yellow, black spot
산첨가량 변경 : 염산단독첨가 (단위:g)
10% HCl 85% H3PO4 펙틴 추출량 Color 비고
0.1 0 0.67 white
0.5 0 1.05 white
0.75 0 1.26 white
1.0 0 1.42 white
1.5 0 1.46 white + green
3.0 0 1.53 yellow + green
산첨가량 변경 : 인산대신에 다른 산 사용시 추출량 (단위:g)
10% HCl 사용된 산 종류와 사용량 펙틴추출량 Color 비고
0.75 4% 메타인산 0.088 1.64 white
0.75 H2SO4 0.088 0.98 white+green
0.75 HNO3 0.088 0.98 white
추출온도 (단위:g)
처리온도(℃) 펙틴 추출량 Color 비고
80 0.77 white
85 1.00 white
90 1.46 white
95 1.43 white
100 1.47 white
시간 처리별 (단위:g)
처리시간(mim) 펙틴 추출량 Color 비고
30(20+10) 1.08 white
50(20+30) 1.08 white
60(20+40) 1.16 white
90(20+70) 1.3 white
120(20+100) 1.33 white
본 발명에 따르면 펙틴과 플라보노이드를 한가지 원료를 사용함으로서 원료비용이 1/2로 감소하며, 펙틴의 색상 제거를 위한 알콜 정제과정이 생략되어도 기존 색상에 비하여 흰색의 펙틴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수율에 있어서도 인산과 염산을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적은 염산으로 높은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감귤박과 메탄올의 비율을 1:10으로 하여 90∼100℃에서 1, 2, 3차(6시간)에 걸쳐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는 플라보노이드 추출단계;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단계에서 생성된 잔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고, 잔존하는 메탄올을 30∼40℃ 정도의 건조기에서 제거하는 분쇄 및 건조단계;
    상기 분쇄 및 건조단계에서 생성된 분말 5g당 10% 염산 및 물을 각각 0.47g, 47.14g의 비율로 투입하여 40분간 반응시키고 다시 세척수를 가하여 이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가수분해 및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에서의 세척 잔사를 그 무게비에 80℃ 이상의 온수를 1.8배, 10% 염산 0.02∼0.03배를 가하여, 80∼100℃에서 30∼120분 반응시킨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동결건조하는 펙틴 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 및 정제방법.
KR1020010069409A 2001-11-08 2001-11-08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KR20030038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409A KR20030038009A (ko) 2001-11-08 2001-11-08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409A KR20030038009A (ko) 2001-11-08 2001-11-08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009A true KR20030038009A (ko) 2003-05-16

Family

ID=2956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409A KR20030038009A (ko) 2001-11-08 2001-11-08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80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854B1 (ko) * 2005-02-24 2006-08-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배과피에서 페놀성물질과 펙틴의 연속추출 및 정제
KR100945717B1 (ko) * 2007-11-20 2010-03-08 (주)에스.앤.디 고추 추출물을 발효공법에 의해 변형시킨 변형고추펙틴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503A (ja) * 1984-09-21 1986-04-19 Mitsubishi Acetate Co Ltd ペクチンの精製方法
JPS6189205A (ja) * 1984-10-08 1986-05-07 Mitsubishi Acetate Co Ltd ペクチンの製造方法
JPH09278790A (ja) * 1996-04-09 1997-10-28 Wakayama Aguri Bio Kenkyu Center:Kk ヘスペレチンモノグルコシドの製造方法
KR20000005883A (ko) * 1998-06-03 2000-01-25 박호군 인삼및감귤류과피유래물질을포함하는건강증진용식품조성물
KR20000075360A (ko) * 1999-05-26 2000-12-15 은종방 감귤과피에서 펙틴과 헤스페리딘의 연속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503A (ja) * 1984-09-21 1986-04-19 Mitsubishi Acetate Co Ltd ペクチンの精製方法
JPS6189205A (ja) * 1984-10-08 1986-05-07 Mitsubishi Acetate Co Ltd ペクチンの製造方法
JPH09278790A (ja) * 1996-04-09 1997-10-28 Wakayama Aguri Bio Kenkyu Center:Kk ヘスペレチンモノグルコシドの製造方法
KR20000005883A (ko) * 1998-06-03 2000-01-25 박호군 인삼및감귤류과피유래물질을포함하는건강증진용식품조성물
KR20000075360A (ko) * 1999-05-26 2000-12-15 은종방 감귤과피에서 펙틴과 헤스페리딘의 연속추출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Food Sci. Technol., 은종방 et al., 1996, 28(2), p.371-37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854B1 (ko) * 2005-02-24 2006-08-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배과피에서 페놀성물질과 펙틴의 연속추출 및 정제
KR100945717B1 (ko) * 2007-11-20 2010-03-08 (주)에스.앤.디 고추 추출물을 발효공법에 의해 변형시킨 변형고추펙틴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Extraction,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Cistanche tubulosa
Hromadkova et al. Comparison of classical an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polysaccharides from Salvia officinalis L.
Luo et al. Ultrasound extraction of polysaccharides from guava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activity
Zhang et al. Ultrasound extraction of polysaccharides from mulberry leaves and their effect on enhancing antioxidant activity
Wang et al.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olysaccharides in Lycium barbarum Linnaeus
JP5354833B2 (ja) α−アミラーゼ活性阻害剤
Hu et al. Comparison in bio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Ginkgo biloba seed polysaccharides from four extract pathways
Kasipandi et al. Effects of in vitro simulated gastrointestinal digestion on the antioxidant, α-glucosidase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ie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from Opilia amentacea roxb fruit
KR20040053126A (ko) 유효 물질의 추출방법 및 정제방법
WO2018214458A1 (zh) 一种富含可溶性多酚以及黄酮苷元的番石榴叶及制备方法与应用
Ho et al. Green extraction of polyphenolic-polysaccharide conjugates from Pseuderanthemum palatiferum (Nees) Radlk.: Chemical profile and anticoagulant activity
KR101963046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8029B1 (ko) 인삼으로부터 항암 면역증강 및 조혈촉진 효과가 있는 인삼 다당체를 정제하는 방법 및 상기 분석된 인삼 다당체를 포함하는 항암 면역증강 및 조혈촉진을 위한 조성물
CN114177218A (zh) 一种富含1-脱氧野尻霉素的桑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
JP2002037739A (ja) 免疫調整剤
KR20030038009A (ko) 감귤박에서 연속공정에 의한 플라보노이드와 펙틴의 추출및 정제방법
KR101102185B1 (ko) 홍삼으로부터 지용성 및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의 활용을 최대화하는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0168485B1 (ko) 산성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홍삼엑기스 제조방법
KR20150009164A (ko) 쑥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2710B1 (ko) 활성탄 처리에 의한 흑삼 농축액의 유해성분 저감화 방법
KR101097664B1 (ko)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JP2988656B2 (ja) 新規リグナン配糖体の製造法
RU200029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эномеланина
Dammak et al. A Review of the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From Food Waste
KR102657559B1 (ko) 얌빈 추출물과 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