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643A - 전선공동구 - Google Patents

전선공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643A
KR20000005643A KR1019990016213A KR19990016213A KR20000005643A KR 20000005643 A KR20000005643 A KR 20000005643A KR 1019990016213 A KR1019990016213 A KR 1019990016213A KR 19990016213 A KR19990016213 A KR 19990016213A KR 20000005643 A KR20000005643 A KR 20000005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concave
electric wire
bent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또하지메
이사지노리유끼
Original Assignee
핫또리 쓰요시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핫또리 쓰요시,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핫또리 쓰요시
Publication of KR2000000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8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non-human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과제)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굴곡시킬 수 있는 전선공동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연결용 볼록부 (3) 를 갖는 상하분할형 볼록형 본체 (1) 와 오목부 (4) 를 갖는 상하분할형 오목형 본체 (2) 를 연결핀 (11) 으로 굴곡이 자유롭게 연결한 전선공동구. 제 1 발명에서는 그 연결용 볼록부 (3) 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 구멍 (9) 을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으로 하고, 그 테이퍼각 범위 내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굴곡이 자유롭게 하였다. 또 제 2 발명에서는 가요성 연결핀을 이용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굴곡이 자유롭게 하였다.

Description

전선공동구{underground multi-purpose duct for electric wire}
본 발명은 전선 등을 땅 속에 매설하기 위한 굴곡이 자유로운 전선공동구에 관한 것이다.
상하분할형 본체의 내부에 가요성 내관을 수납한 전선공동구는 종래부터 공지된다. 통상,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각 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연결핀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굴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로가 만곡되어 있는 경우에도 도로를 따라 만곡시키면서 일정 깊이의 위치에 전선공동구를 매설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선공동구는 상하방향으로는 굴곡시킬 수 없다. 매설깊이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상하방향으로 각도를 준 전용 전선공동구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매설공사 도중에 갑자기 장해물이 발견되어 전선공동구의 매설깊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선공동구를 상하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없으므로 현장에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수평방향과 함께 상하방향으로도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굴곡시킬 수 있게 한 전선공동구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도 1 은 4 공 (孔) 타입 전선공동구 (電線共同溝) 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4 공 타입 전선공동구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4 공 타입 전선공동구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2 공 타입 전선공동구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5 는 6 공 타입 전선공동구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록형 본체 (A : 상부, B : 중간, C : 하부)
2 : 오목형 본체 (A : 상부, B : 중간, C : 하부)
3 : 연결용 볼록부 4 : 오목부
5 : 중앙 볼트구멍 6 : 원호홈
7 : 원호홈 8 : 가요성 내관
9 : 연결핀 삽입 구멍 10 : 연결핀 삽입 구멍
11 : 연결핀 12 : 가요성 연결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제 1 발명의 전선공동구는, 연결용 볼록부를 갖는 볼록형 본체와, 이 연결용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 본체를 연결핀으로 굴곡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그 내부에 가요성 내관을 수납한 전선공동구로서, 연결용 볼록부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 구멍을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동일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제 2 발명의 전선공동구는, 연결용 볼록부를 갖는 볼록형 본체와 이 연결용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 본체를 연결핀으로 자유롭게 굴곡되도록 연결하고, 그 내부에 가요성 내관을 수납한 전선공동구로서, 연결핀으로 가요성 연결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의 전선공동구는, 연결용 볼록부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 구멍을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으로 한 것이므로, 테이퍼 구멍의 내면에 연결핀이 밀착하는 각도까지 인접하는 본체를 상하방향으로도 굴곡시킬 수 있다. 또, 제 2 발명의 전선공동구는, 가요성 연결핀을 이용함으로써 전용 본체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하방향으로도 굴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매설공사 도중에 장해물이 발견된 경우에도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각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은 4 공 타입 전선공동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그 평면도이며, 도 3 은 중앙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선공동구는 모두 볼록형 본체 (1) 와 오목형 본체 (2) 를 조합한 것으로, 볼록형 본체 (1) 에는 연결용 볼록부 (3) 가 돌출설치되고, 오목형 본체 (2) 에는 이 연결용 볼록부 (3) 가 끼워지는 오목부 (4) 가 형성되어 있다.
4 공 타입 전선공동구는 본체 (1, 2) 모두 각각 상부 본체 (A) 와 중간 본체 (B) 와 하부 본체 (C) 로 이루어지는 상하분할형으로 되어 있다. 도 1 중에, 1A, 1B, 1C, 2A, 2B, 2C 의 부호로 각 본체를 나타내었다. 단 1A 와 1C, 2A 와 2C 는 동일형상이다. 이들 상부 본체 (A), 중간 본체 (B) 및 하부 본체 (C) 는 중앙의 볼트 구멍 (5) 에 관통되는 볼트 (도시 생략) 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본체 (1, 2) 가 된다.
중간 본체 (1B, 2B) 에는 상하좌우로 반원형 원호홈 (6) 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본체 (1A, 2A) 의 하면좌우와 하부 본체 (1C, 2C) 의 상면좌우에는 각각 원호홈 (7)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원호홈 (6, 7) 을 맞추어 형성되는 원통형 캐비티 내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4 개의 가요성 내관 (8) 이 수납되어, 그 내부에 전선을 통과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볼록형 본체 (1) 의 연결용 볼록부 (3) 에는 상하방향의 연결핀 삽입 구멍 (9)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결용 볼록부 (3) 를 오목형 본체 (2) 의 오목부 (4) 에 끼워넣은 다음, 도 3 과 같이 상부 본체 (2A) 와 하부 본체 (2C) 의 연결핀 삽입 구멍 (10) 에서 상기 연결핀 삽입 구멍 (9) 을 관통시켜 연결핀 (11) 을 삽입하여, 볼록형 본체 (1) 와 오목형 본체 (2) 를 연결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본체 (1B) 의 연결용 볼록부 (3) 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 구멍 (9) 은 중심위치에서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 연결핀 삽입 구멍 (9) 중앙의 최소직경부는 연결핀 (11) 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해 두어, 연결핀 (11) 을 덜컥거림없이 삽입할 수 있게 해 둔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연결핀 삽입 구멍 (9) 은 전선공동구의 길이방향에 대해 테이퍼 구멍으로 하고 있지만, 전선공동구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대해 테이퍼 구멍으로 한 것이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된 전선공동구는 볼록형 본체 (1) 와 오목형 본체 (2) 를 연결핀 (11) 으로 연결한 것이므로, 종래제품과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또, 연결핀 삽입 구멍 (9) 을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으로 하였으므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각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도 굴곡시킬 수 있다. 이 때, 연결핀 (11) 이 연결핀 삽입 구멍 (9) 의 내벽에 덜컥거림없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볼록형 본체 (1) 와 오목형 본체 (2) 사이에 과도한 자유도를 주지 않고도 원활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또, 테이퍼각의 전체를 사용하여 굴곡시킬 때에는, 연결핀 삽입 구멍 (9) 의 내벽과 연결핀 (11) 의 외주가 면에서 맞닿아 있으므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연결용 볼록부 (3) 는 수평방향의 굴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좌우측면이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상하방향의 굴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하 양면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전선공동구는 매설 공사 도중에 갑자기 장해물이 발견되어 전선공동구의 매설 깊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하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현장에서 대응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을 2 공 타입 전선공동구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2 공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한 중간 본체 (1B, 2B) 가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용 볼록부 (3) 의 연결핀 삽입 구멍 (9) 을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도 굴곡시킬 수 있도록 한 점은, 4 공 타입과 마찬가지이다.
도 5 는 제 2 발명의 실시형태인 6 공 타입 전선공동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본체 (1B, 2B) 를 2 단으로 쌓음으로써 6 개의 가요성 내관 (8) 을 수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경우, 전용 중간 본체를 제작하면 되지만, 비용삭감을 위해 4 공 타입과 동일한 중간 본체 (1B, 2B) 를 사용하면, 도 5 와 같이 연결핀 삽입 구멍 (9) 이 도중의 2 군데에서 좁아져 2 공 타입이나 4 공 타입의 경우와 같이 전체로서는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이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그 상태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굴곡되지 않으므로,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연결핀 (12) 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가요성 연결핀 (12) 을 이용하면, 도 5 의 경우에도 전선공동구를 상하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게 된다. 또 8 공 타입 이상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공동구는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굴곡시킬 수 있으므로, 매설 공사 도중에 장해물이 발견된 경우에도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연결용 볼록부를 갖는 볼록형 본체와 이 연결용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 본체를 연결핀으로 굴곡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그 내부에 가요성 내관을 수납한 전선공동구로서, 연결용 볼록부에 형성된 연결핀 삽입 구멍을 상하 양측을 향해 벌어진 테이퍼 구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공동구.
  2. 연결용 볼록부를 갖는 볼록형 본체와 이 연결용 볼록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오목형 본체를 연결핀으로 굴곡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그 내부에 가요성 내관을 수납한 전선공동구로서, 연결핀을 가요성 연결핀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공동구.
KR1019990016213A 1998-06-09 1999-05-06 전선공동구 KR20000005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59786A JPH11355947A (ja) 1998-06-09 1998-06-09 電線共同溝
JP98-159786 1998-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43A true KR20000005643A (ko) 2000-01-25

Family

ID=1570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213A KR20000005643A (ko) 1998-06-09 1999-05-06 전선공동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55947A (ko)
KR (1) KR2000000564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127U (ja) * 1982-09-10 1984-03-23 中尾 一俊 地下ケ−ブル類の保護筒体
KR880015437U (ko) * 1987-01-30 1988-09-15 양석화 지중 케이블선 보호용 조립식 관
JPH03212113A (ja) * 1989-11-15 1991-09-17 Stc Plc 可撓性ケーブル成端
JPH0993772A (ja) * 1995-09-27 1997-04-04 Chiba Yogyo Kk 電線共同溝の接続部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127U (ja) * 1982-09-10 1984-03-23 中尾 一俊 地下ケ−ブル類の保護筒体
KR880015437U (ko) * 1987-01-30 1988-09-15 양석화 지중 케이블선 보호용 조립식 관
JPH03212113A (ja) * 1989-11-15 1991-09-17 Stc Plc 可撓性ケーブル成端
JPH0993772A (ja) * 1995-09-27 1997-04-04 Chiba Yogyo Kk 電線共同溝の接続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55947A (ja) 199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7546B1 (en) Flexible supporting sheath for cables and the like
US6092844A (en) Pipe coupler
US5411419A (en) Multipole connec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000005643A (ko) 전선공동구
JP3823276B2 (ja) 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用接続管体とブロック体及び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
KR970000391Y1 (ko) 케이블 홈통
JP7474037B2 (ja) セパレータ継手、セパレータ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保護管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JP4166729B2 (ja) 配線ボックス
KR100931627B1 (ko) 테이퍼형 강관전주
JP2906592B2 (ja) 高電圧電力ケーブルの人孔内接続方法
JPH1096486A (ja) 軽量間仕切壁内で使用される管類接続具
KR100673905B1 (ko) 공동주택용 방수 전선관
JPH088392Y2 (ja) 海底布設長尺体用防護管
JP2869364B2 (ja) 電線共同溝の接続部
JP3609057B2 (ja) 電線防護管
JP2916139B1 (ja) 電線共同溝の分岐方法
JP4123451B2 (ja) ケーブル用管路及びその構築法
JP2946461B2 (ja) レースウェイ接続金具
JP7280688B2 (ja) 地中ケーブル用自在割管
JPH0231858Y2 (ko)
JP2848261B2 (ja) ケーブル埋設用管
KR200225086Y1 (ko) 건물배선용 플러그와 리셉터클
KR200203498Y1 (ko) 케이블용 관 장치의 수용관 연결구조
JP2887573B2 (ja) 地下ケーブル設置用共同溝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で使用する回転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