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939A -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및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포함하는실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및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포함하는실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939A
KR20000004939A KR1019980707515A KR19980707515A KR20000004939A KR 20000004939 A KR20000004939 A KR 20000004939A KR 1019980707515 A KR1019980707515 A KR 1019980707515A KR 19980707515 A KR19980707515 A KR 19980707515A KR 20000004939 A KR20000004939 A KR 20000004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disc brake
thread
storage drum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3647B1 (ko
Inventor
요아힘 프리츠슨
쿠르트 아르네 구나르 야콥슨
라스 헬게 고트프리드 쏠란더
Original Assignee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알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알오 에이비 filed Critical 브롬 스티그-아르네
Publication of KR2000000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6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특히 실 공급 장치용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소정의 변형 가능한 접촉 압력으로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가압되고, 축에 대하여 회전 대칭이며, 형상 안정성이 있는 제동면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동면들 중 하나는 중앙에 풀림 개구를 구비하고, 적어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동 요소에 마련된다. 상기 제동면은 볼록한 구면형상이다. 상기 제동면들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근사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의 축에 놓이는 원뿔축을 가지는 원뿔형상이다. 원뿔 모선은 제동면의 접촉 영역에서 볼록한 구면형상 제동면의 모선-원의 접선이 된다. 상기 저장 드럼으로부터 위로 풀려서 실 안내면을 따라 시계바늘처럼 회전하는 실이 편향되지 않고 제동면의 접촉 영역으로 직접 들어가고 상기 접촉 영역을 통과한 후에는 축방향으로 단지 완만하게 편향되도록,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가 프로젝타일 또는 그리퍼 직기와 같은 실 공급 장치의 저장 드럼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및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실 공급 장치.
WO 91/1403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물 기계에 의하여 실 공급 장치의 저장 드럼으로부터 회전되면서 풀려지는 씨실용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일 실시예에서는 상호 접촉하고 있는 제동면들이 저장 드럼의 축에 정확히 수직하도록 마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장 드럼의 전방측에 마련된 제동면은 저장 드럼 축에 정확히 수직이 되도록 방향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에, 다른 제동면은 거의 180도의 깔때기 각을 가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동 요소의 볼록하게 둥글게 된 외부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저장 드럼 축에 수직한 제동면이 저장 드럼과 일체로 형성된다. 실이 저장 드럼으로부터 상부로 풀리는 경우에는, 실이 시계 바늘처럼 회전하고, 그 다음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외측으로부터 제동면들 사이 안으로 들어간다. 실은 제동면들에 의하여 제동되고, 그 다음에 제동면들 중 하나에 마련된 개구를 통하여 대략 중심에서 풀려진다. 제동면들이 저장 드럼 축에 정확히 수직으로 방향이 맞추어진 실시예에서는, 실이 90도 만큼 두 번 편향된다. 깔때기 형상의 제동면을 가지는 구현예에서는, 실이 적어도 한 번 90도만큼 편향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하에서는, 이러한 강한 편향에 의하여 실에 큰 부하가 작용될 수 있고, 불확실한 마찰 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저장 드럼 축에 정확히 수직한 제동면의 방위 때문에, 저장 드럼의 축에 제동 요소 중 하나의 중심을 맞추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면 상기 제동 요소에 작용하여 부하를 주는 실의 장력의 축방향 성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제동 요소의 횡방향의 변위는, 양 제동면들 사이의 상호 접촉 방해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실이 제동면들 사이로 들어갈 때 강하게 편향되면, 편향각에 의존하고 이 편향각에 의존하는 지수함수만큼 증가하는 마찰력이 제동면들 사이의 실제의 제동 효과에 더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값싼 모직과 같은 약한 품질의 실이나 목면과 같은 저품질의 실의 경우에는, 실이 끊어지는 비율이 높아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가지는 실 공급 장치 뿐만 아니라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의 첫 번째 구현예에 대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대체적인 구현예에 대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구비한 실 공급 장치의 전방 단부에 대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실에 대하여 유리한 실의 기하하적 형상이 이룰수 있고, 강한 편향이 없으며, 접촉 영역에서 제동면들 사이의 적절한 상호 접촉 관계로서 제동면들 상호간의 정확한 중심맞추기가 이루어지는 실 공급 장치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진 발명 및 청구항 제6항의 특징을 가진 실 공급 장치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구면형상의 제동면과 이 구면형상의 제동면에 접하는 원뿔형상의 제동면 사이의 상호작용 때문에, 상호 접촉 영역은 경사지도록 방향이 맞추어지고, 이 접촉 영역에서 풀려지는 실이 제동되어지는데, 상기 실은 외부로부터 중앙의 풀림 개구를 향하여 풀려지고 이와 동시에 디스크 브레이크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바늘처럼 회전한다. 유입되는 실은 접촉 영역으로 직선으로 들어오고, 그 다음에 접촉 영역의 뒤쪽에서 단지 완만하게 편향되어 풀림 개구로 들어간다. 또한 구면형상의 제동면이 이동되어지는 경우에도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저장 드럼의 축에 대한 원뿔 축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접촉 영역이 완전한 원을 유지하기 때문에, 제동면들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일정한 접촉 관계 및 제동면들의 적절한 중심맞추기가 발생한다. 상기 완전한 원의 지름은 기하학적 조건 때문에 변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편향되지 않고 실의 안내면으로부터 나오는 실이 시계 바늘처럼 회전하면서 디스크 브레이크로 들어가서 제동면들의 접촉 영역의 뒤쪽에서 단지 완만하게 편향되기 때문에, 실의 유리한 기하하적 형상에 의하여 실이 끊어질 위험이 적다. 편향각이 지수함수적인 영향을 강하게 가지기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의 입구 영역에서 각 편향각의 감소 및 편향의 회피는 실에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제동면들의 일정한 제동 효과가 유출되는 실에 매우 유리한 거의 일정한 실의 장력을 일으키도록, 실은 실제로 접촉 영역에서만 제동된다. 제동면들이 상호간에 서로를 정확하게 자동 정렬하는 경향이 있어서 접촉 영역의 완전한 원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이 제동면들 사이에서 가끔 발생하는 상대 이동은 제동면들 사이의 접촉 관계 및 제동 관계를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원뿔형상의 제동면과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 사이의 완전한 상호 작용 때문에, 제작공차 또는 조립공차는 제동 효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청구항 제2항의 구현예에서,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은 실의 입구측에 마련된다. 구의 중심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축상에 위치한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른 대체적인 구현예에서, 원뿔형상의 제동면은 실의 입구측에 마련된다.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은 실의 풀림측에 위치한 깔때기의 내측으로부터 한정된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접선의 방향이, 입구측에서는 편향이 없고 풀림측에서만 단지 완만한 편향을 가지는 최적화된 실의 기하학적 형상을 실이 따라가도록, 실의 유입 방향을 실질적으로 결정한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디스크 브레이크는 실의 안내면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상에서 제동을 한다. 실은 편향이 없이 디스크 브레이크로 들어가는 최적화된 경로를 가진다.
청구항 제7항에 따른 실 공급 장치의 구현예에서,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은 저장 드럼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최적으로 중심이 맞추어진 상대 위치에 대하여 제동면들이 위치 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접촉 영역의 변하지 않는 지름을 가지는 완전한 원이 그대로 유지된다.
청구항 제8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원뿔형상의 제동면은 저장 드럼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양 제동면이 최적으로 중심이 맞추어진 상대 위치로부터 위치 편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제동면 사이에서 접촉 영역의 변하지 않는 지름을 가지는 완전한 원은 그대로 유지된다.
청구항 제9항에 따른 구현예에서는, 저장 드럼의 전방측이 스스로 제동면들 중의 하나를 한정하거나, 상기 제동면을 가지는 제동 몸체를 지지한다. 다른 제동 요소는 홀더에 지지되고, 그 자신의 가동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제동-드라이브는 원하는 제동 효과에 적합한 작동력으로 상기 제동 요소에 변형가능하게 작용하여서, 실의 풀림의 동역학적인 국면에서 제동 효과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에 필요한 모든 움직임을 이 제동 요소가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동 유효 요소가 저장 드럼에 근접하여 최적으로 마련되므로, 저장 드럼의 축방향에서의 공간이 절약된다.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구현예에서, 제동 몸체는 예를 들면 기울이는 동작 또는 축방향의 이동 동작에 의하여 제동 요소의 각 상대 위치에 자동적으로 맞추어질 수 있다.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구현예에서의 제동 몸체는 제작이 쉽고, 긴 지속시간 동안 일정 제동 효과를 보장한다. 때때로 마련되는 가장자리 플랜지 및 중앙에 마련된 홈부는 브레이크 몸체의 형상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그 부착을 간단하게 하도록 한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 플랜지는 안전 요소를 한정하는데, 이에 의하여 브레이크 몸체의 뒤쪽에서의 실의 유입이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방지된다.
청구항 제12항에 따른 구현예의 제동 요소는 제작이 단순하고, 긴 지속시간 동안 일정한 효과를 보장한다. 때때로 마련되는 외부 가장자리 플랜지는 제동 요소의 형상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제동 요소의 뒤에서 실이 우연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 깔때기는 실의 완만한 풀림 동작을 발생시키고, 최적의 마찰 및 편향 관계를 위하여 실 아일릿(eyelet)을 수용하도록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13항에 따라 특히 유리한 원뿔각의 범위를 가지는 실의 기하하적 형상이 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대칭적인 실의 기하하적 형상을 얻기 위하여 원뿔각의 최적의 값은 약 120도이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즉시적이고 민감한 반응의 견지에서는, 청구항 제14항에 따른 지름의 범위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접촉 영역의 지름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것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성부품, 특히 상기 제동 요소를 경중량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실의 안내면을 따라 시계 바늘처럼 회전하는 실은 실의 안내면과 접촉면 사이의 비교적 긴 거리동안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상기 거리 안에서 실의 불가피한 움직임이 제동 효과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접촉 영역으로 의미있을 정도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실의 안내면과 접촉 영역 사이의 실의 상기의 긴 자유 길이는 강력하게 방향이 잡힌 회전 운동을 발생시켜서, 실의 직진 속도와 무관하게 실이 접촉 영역으로 정확하게 그리고 반지름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도록 한다.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구현예에서는, 스프링 요소에 의하여 제동면들 사이의 접촉력을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또한 매듭이 통과할 때), 제동 요소는 변형된다. 상기 스프링 요소로부터 접촉 영역으로 직선력의 전달이 발생하도록, 스프링 요소가 접촉 영역의 지름과 근사적으로 동일한 지름에서 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구항 제16항에 따른 구현예에서는, 가장자리 플랜지에 고정된 격막이 제동 요소의 뒤쪽에서 실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동으로 또는 공기역학적으로 실을 꿰는 장치에 의하여)편하게 실을 끼워넣도록 하기 위하여, 격막 및 흡입실의 흡입 작용에 의하여 제동 요소를 제동 몸체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격막은 통상적인 제동 효과에 어떠한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격막은 제동 요소의 중심맞추기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제17항에 따른 구현예는 실의 공급 장치의 제어가능한 실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짜는(weaving) 사이클에 의존하는 각 끼워넣기(insertion) 사이클 동안에 제동 효과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이와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들이 프로젝타일 또는 그리퍼-직기용으로 적당하다. 예를 들면 끼워넣기의 개시, 전환 단계 다음 또는 끼워넣기의 끝과 같이 제동이 필요없거나 최소 제동만이 요구되는 작동 단계에서, 복귀 드라이브는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해제하거나 경감한다. 기본적인 제동 효과는 스프링 요소에 의하여 맞추어지는데, 이것은 나중에 복귀 드라이브에 의하여 낮추어지거나 완화될 수 있다.
청구항 제18항에 따른 구현예는, 긴 지속 시간 동안에 즉시적이고 민감한 응답 특성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로 들어가는 실의 방향잡힌 이동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최적의 기능을 위한 기본적인 선행조건이므로,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로 들어가는 입구 영역에서 실을 낮은 장력으로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를, 예를 들면 저장 드럼의 실 안내면의 영역에서 작동하는 제동 장치와 같은 제2 상류 제동 장치와 결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상기 제2 제동 장치는 접촉에 의하여 저장 드럼과 상호작용하는 강모가 마련된 제동 링 등이 될 수 있다. 구면형상 또는 원뿔형상의 제동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정확하게 구 또는 원뿔로부터 이끌어낼 필요는 없다. 제동면들의 상대적인 이동은 단지 상대적으로 미소하므로, 양 제동면들이 정확한 기하하적 구 또는 원뿔 형상에서 약간 벗어나는 경우에도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는 최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동축상에 있는 제동 요소(E)가 가압되는 제동 몸체(K)로 이루어져 있어서, 디스크 브레이크(B)의 축(3)에 대하여 회전 대칭을 이루고 제동 몸체(K) 및 제동 요소(E)에 마련되는 제동면들(1,2)이 원형의 접촉 영역(C)에서 서로에 대하여 선택가능한 예압을 일으키도록 한다.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는 제동면들(1,2) 사이로 끌려들어오는 실(미도시)을 제동하도록 작용한다.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라는 용어는, 끌어당겨지는 실이 실 브레이크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움직이고, 상기 축으로 들어가는 "S"자의 변위를 겪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작동시에는 도시되지 않은 실이 도 1의 외부에서 제동 몸체(D)와 제동 요소(E) 사이에 형성된 입구 틈새(i)로 들어가서, 그 다음에 접촉 영역(C)을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중심방향으로 마련된 제동 요소(E)의 풀림 개구(e)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풀려진다.
도 1에서 상기 제동면(1)은 디스크 브레이크(B)의 축(3)상에 구면중심이 있는 볼록한 구면형상을 가진다. 제동면(1)과 협동하는 제동 요소(E)의 다른 제동면(2)은 원뿔형상을 가지고, 공통의 접촉 영역(C)에서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원뿔형상의 제동면(2)의 직선의 모선은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1)에서 접선(T)을 형성한다. 원뿔각(α)은 90도 와 160도 사이일 수 있으나, 약 120도가 적당하다. 원뿔형상의 제동면(2)의 원뿔축(5)은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의 축(3)에 적어도 근사적으로 일치한다.
직선으로 입구 틈새(i)로 들어가는 실이 안내되는 원형의 실 안내면(6)이 축(3)에 대하여 동심원상으로 마련되어서, 실의 풀림 동작 중에 실은 축(3)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바늘과 같은 회전 운동을 수행하여, 근사적으로 축(3)을 향하는 반지름 방향(축(3) 방향에서 볼 때)으로 움직인다. 실 안내면의 지름은 접촉 영역(C)의 완전한 원의 지름보다 더 크다. 접촉 영역(C)에서 완전한 원의 지름은, 예를 들면 상기 실 안내면(6)의 지름의 10% 와 50% 사이이고, 15%에서 25% 또는 약 17%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홈부(8)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그리고 원주상으로 연속된 가장자리 플랜지(7)가 제동 몸체(K)에 마련된다. 제동 몸체(K)가 모든 측면을 향하여 한정된 방식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캐리어(10)에 저장 몸체(K)를 지지하기 위하여, 라이닝(10; lining)을 구비한 고정 요소(9)가 상기 홈부(8)에 맞물린다. 또한 제동 몸체(K)가 한정된 크기의 반지름 방향의 이동을 이룰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거기에는 반지름 방향의 유격(11)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중심을 맞추는 약한 스프링에 의하여 제동 몸체(K)에 도 1의 왼쪽으로부터 압력을 주는 것도 가능하다. 제동 몸체(K)의 지지 상태에서 이 제동 몸체의 경사 중심은 근사적으로 접촉 영역(C)의 반지름 방향의 평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동 요소(E)는 일반적으로 깔때기 형상의 디자인을 가진다. 외측 반지름방향의 가장자리 플랜지(13)가 원뿔형상의 제동면(2)에 연속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기 제동면(2)에는, 실의 아일릿(15; eyelet)이 위치하는 깔때기부(14)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풀림 개구(e)가 마련된다. 실린더 형상의 튜브부(16)가 상기 깔때기부(14)와 연속되어서, 축방향의 가이던스(17; guidance)에서 작은 틈새를 가지고 미끄럼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부로서 작용한다. 접촉 영역(C)에서 제동면들(1,2) 사이의 접촉력은,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요소(18)에 의하여 발생한다. 스프링 요소(18)의 작동 지름은 실질적으로 접촉 영역(C)의 완전한 원의 지름에 대응한다. 도 1에서 제동 몸체(K)의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1)을 더욱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제동면(1)의 윤곽이 일점 쇄선에 의하여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 2의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의 대체적인 구현예에서, 제동면들(1,2)의 상대 위치가 뒤바뀌어 있다. 원뿔형상의 제동면(2)은 제동 몸체(K)에 마련되는 반면에,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2)은 제동 요소(E)에 마련된다. 단면이 깔때기처럼 디자인된 제동 요소(E)는 회전 대칭이 되고, 원호부 형상을 가진 내부 모선을 구비함으로써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1)을 한정한다. 원뿔각(α) 및 이에 의한 최적의 실 유입 각도가 원뿔형상의 제동면(2)의 모선에 의하여 한정된다. 원뿔형상의 제동면(2)은 완전한 원의 형상을 가지는 접촉 영역(C)에서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1)을 향하여 편향되는데, 상기 완전한 원의 원형 형상과 원 지름은 제동 요소(E)와 제동 몸체(K) 사이의 상대적인 횡방향 이동 동작 동안에는 변하지 않는다.
캐리어(10)에서 각각 지지되는 제동면은 원뿔형상 또는 볼록한 구면형상으로 캐리어에 일체로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제동 몸체(K) 뿐만 아니라 제동 요소(E)도 형상 안정성 디장인을 가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성형 부품인 것이 적합하다. 제동 몸체(K)와 제동 요소(E)를 경금속으로 성형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동면(1,2)상에 마모 저항 코팅을 마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도 3에는 (예를 들면 도 1에 따른)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가 소위 말하는 씨실-유출 브레이크로서 실 공급 장치(F)에 구조적으로 통합된다. 하우징 브라켓(20)과 함께 상기 실 공급 장치(F)의 저장 드럼(D)의 전방 단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실 공급 장치(F)에는, 감기 요소용 구동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감기 요소에 대한 구동 샤프트 및 상기 저장 드럼(D)에 대한 베어링이 구비되는데(도시되지 않음), 도시되지 않은 직물 기계, 특히 프로젝타일(projectile)이나 그리퍼(gripper) 직기용 씨실이 나중에 직기에서 사용될 것을 대비하여 중간적으로 상기 저장 드럼상에 저장된다. 상기 직물 기계는 실(Y)을 저장 드럼(D)의 상부로 또한 축방향(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의 축(3)은 저장 드럼(D)의 축과 일치한다)으로 끌어당긴다. 실의 경로는 일점 쇄선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저장 드럼(D)의 원뿔형상의 노우즈(nose) 부분은 제동 몸체(K)에 대하여 캐리어(10)를 형성한다. 저장 드럼(D)의 전방 단부에는 둥근 또는 원뿔형상의 풀림 영역(19)이 마련되어서, 도 1 및 도 2에 관련하여 기술된 상기 실 안내면(6)을 한정한다. 실이 풀리는 동안에, 실(Y)은 실의 안내면(6)을 넘어서 이동하고 시계 바늘처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국 양 제동면의 접촉 영역(C)에서 원뿔형상의 제동면의 모선에 대응하는 접선(T) 방향으로 실이 외부로부터 제동 몸체(K)와 제동 요소(E) 사이로 들어간다. 그리고 실은 접촉 영역(C)에서 양 제동면 사이의 접촉력에 의하여 제동된다. 그 다음에 실이 축방향의 풀림 방향으로 편향된다. 실(Y)의 안내면(6)의 영역에서 실은 축방향으로부터 각도(α/2)만큼, 즉 원뿔형상의 제동면의 원뿔각의 1/2 만큼, 안쪽으로 편향되어서, 결국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로 직선으로 들어간다. 접촉 영역(C)을 통과한 후에, 실(Y)은 다시 축방향의 풀림 방향으로 각도(α/2)만큼 편향된다. 원뿔형상의 제동면의 원뿔각(α)은, 실의 안내면(6)에서의 실의 편향과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내부에서의 편향이 근사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실의 안내면(6)의 바깥지름 및 실의 안내면(6)과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로 들어가는 편향 영역 사이의 거리에 맞추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제동 요소(E)의 길이방향의 가이던스(17)는 하우징 브라켓(20)에 연결된 유지 장치(21)의 부분이다. 유지 장치(21)에는 제동 드라이브(A)가 마련된다. 가장 단순한 구현예에서는, 스프링 요소(18)가 상기 제동 드라이브(A)로 작용한다. 상기 스프링 요소(18)는 제동 요소(E)를 제동 몸체(K)에, 예를 들면 조절 나사(25)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소정의 축방향 작동력으로 가압한다. 조절 나사(25)를 돌리고 스프링 요소(18)에 대한 멈추개(24)를 유지 장치(21)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맞춤으로써, 조절이 이루어진다. 또한 대체적인 구현예에서는(점선에 의하여 표시된다), 제동 효과를 줄이거나 완화하기 위하여, 스프링 요소(18)의 작용 방향과 대항되는 방향으로 제동 요소(E)에 작용하는 제어가능한 복귀 드라이브(30)가 유지 장치(21)의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복귀 드라이브(30)는 짜는(weaving) 사이클에 의존하여 작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기적, 전자기적 또는 공압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3에서 제동 요소(E)의 외부 가장자리 플랜지(13)는 환형의 격막(26)에 고정되는데, 상기 격막(26)이 유지 장치(21)의 흡입실(27)의 겅계를 한정하도록 격막(26)의 외부 가장자리가 유지 장치(21)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새 실(Y)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흡입실(27)을 흡입 압력원에 연결함으로써 제동 요소(E)가 도 3의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제동 몸체(K)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유지 수단(21)의 내부에는 토출(흡입) 및 취출 노즐(28)이 마련된다. 실을 흡입하여 우측으로 불어내기 위해서는(이 실은 미리 분리된 제동면들의 영역으로 가져온 상태이다), 압력 작용하에서 상기 노즐(28)에 의하여 제동면들 사이에서도 유효한 흡입 통풍이 발생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우측으로 향하는 불어내는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흡입 통풍은 또한, 방출 노즐(28)이 작동된 후 흡입실(27) 내부로 이송되었을 때, 격막(26)을 작동시키는데 직접 사용될 수 있다. 격막(26) 또는 복귀 드라이브(30)는 제동 요소(E)상에서 화살표(29) 방향으로 강제 이동을 생성한다.
실의 안내면(6)을 따라서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 안으로 들어가는 실의 방향 잡힌 회전 운동은,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의 적절한 기능을 위하여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면 직기에 의한 실의 사용이 간헐적으로 그리고 사용중에 실의 속도가 변화되도록 일어나기 때문에,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의 상류에 제2의 실 제동 장치(2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의 실 제동 장치(22)는 브라켓(20)에서 홀더(23)에 지지되고, 저장 드럼의 풀림 영역(19)과 상호작용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상기 제2의 실 제동 장치에는 고무 격막 및 절두원추(截頭圓錐) 형상의 제동 밴드가 마련된다. 이것 대신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밀집 링이나 소위 라멜라-브레이크(lamella-brake) 또는 장력 인가 장치에 의하여 변형되도록 인장되고 저장 드럼의 원주상에 편편하게 놓여지는 한정 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저장 드럼(D)의 실타래를 떠나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의 유입 틈새(i)을 향하는 실(Y)이 늘어지지 않고 적절하게 이동되도록 하고 이러한 영역에서도 풍선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2의 실 제동 장치(22)는 낮은 기본 장력만을 실에 발생시킨다.

Claims (18)

  1. 축 및 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대칭이고 형상 안정성이 있는 제동면들(1,2)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동면들(1,2)은 소정의 접촉 압력으로 서로에 대하여 변형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동면들(1,2)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외주상의 영역에 유입 틈새(i)를 한정하고,
    상기 제동면들의 하류 중 하나는 중앙의 풀림 개구(e)를 가지고,
    상기 제동면들이 적어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동 요소(E)에 마련되는 특히 실 공급 장치(F)용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동면들(1,2)의 접촉 영역(C)에서, 상기 하나의 제동면(1)은 볼록한 구면형상이고, 상기 다른 제동면(2)은 디스크 브레이크(B)의 축(3)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뿔 축(5)을 가지는 원뿔형상이며,
    양 제동면들(1,2)의 상기 접촉 영역(C)에서, 원뿔의 모선은 구면형상의 제동면(1)이 이루는 원에 대한 접선(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1)의 구면 중심(4)은 적어도 근사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B)의 축(3)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볼록한 구면형상이 제동면(1)은 상기 원뿔형상의 제동면(2) 쪽으로 볼록한 모선인 원호부를 가지는 깔때기의 내측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깔때기의 깔때기 축은 적어도 근사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B)의 상기 축(3)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선(T)은 디스크의 브레이크(B)의 축과 함께 90도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유입 틈새(i)으로 들어가는 실의 유입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B)의 상류에는,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B)의 외부 지름보다 더 큰 외부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실 안내면(6)이 동심원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접촉 영역(C)의 상기 접선(T)의 가상적인 연장선이 상기 실 안내면(6)에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제동면들(1,2) 사이의 접촉 영역(C)이 상기 실 안내면(6)으로부터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B)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
  6. 원형의 실 안내면(6)을 한정하는 풀림 영역(19)이 전방에 마련되며 그 위로 실이 풀려지는 실 저장 드럼(D)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저장 드럼(D)의 전방 단부의 앞에 상기 저장드럼(D)과 동축상으로 된 축방향 디스크 브레이크(B)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B)가, 상기 저장 드럼(D)의 축(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대칭이고 서로에 대하여 변형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가압되는 형상 안정성이 있는 2개의 제동면들(1,2)을 구비하는 특히 프로젝타일 또는 그리퍼-직기와 같은 직물 기계용 실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동면들(1,2)의 상기 접촉 영역(C)에서, 상기 제동면들 중의 하나는 볼록한 구면형상이고, 상기 제동면들 중 나머지는 상기 저장 드럼(D)의 축(3)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뿔축을 가지는 원뿔형상이며,
    상기 접촉 영역(C)의 원뿔 모선은 구면형상의 제동면(1)이 형성하는 원에 대한 접선(T)을 형성하고, 가상 연장선에서 상기 원뿔의 모선이 상기 실 안내면(6)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볼록한 구면형상의 제동면(1)의 구면 중심(4)은 적어도 근사적으로 저장 드럼(D)의 축(3)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볼록한 구면 형상의 제동면(1)은 상기 원뿔형상의 제동면(2) 쪽으로 볼록한 모선인 원호부를 가지는 깔때기의 내측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깔때기의 축은 적어도 근사적으로 상기 저장 드럼(D)의 축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동면(1 또는 2)은 저장 드럼(D)의 전방측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상기 저장 드럼(D)의 상기 전방측(10)에 지지된 제동 몸체(K)에 마련되고,
    다른 제동면(2 또는 1)은, 상기 저장 드럼(D)으로부터 분리된 유지 장치(21)에서 적어도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유지되는 제동 요소(E)에 마련되며,
    상기 유지 장치(21)에 적어도 일 축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드라이브(A)가 마련되어, 상기 제동 요소(E)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동 몸체(K)는, 지지 중심(12)을 중심으로 하여 모든 측면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저장 드럼(D)의 전방 단부(10)에 지지되며,
    바람직하게는 부가적으로 반지름 방향 틈새를 가지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몸체(K)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외부 가장자리 플랜지(7)와 중앙 홈부(8)를 각각 가지는 구 칼로테(sphere calotte) 또는 절두원추(截頭圓錐) 깔때기의 형상으로 된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요소(E)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내부 모선으로서 볼록한 원호부를 가지는 깔때기 형상 또는 절두원추(截頭圓錐)의 외피 형상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두원추의 외피 형상에는, 외부 가장자리 플랜지(13)와 그 깔때기 각이 원뿔형상의 제동면(2)의 원뿔각(α)보다 작은 중앙 실-깔때기(1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원뿔형상의 제동면의 원뿔각(α)은 90도와 160도 사이이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들(1,2)의 원형 접촉 영역(C)의 지름은 실 안내면(6)의 최대 지름의 10%와 50% 사이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드라이브(A)에는, 상기 제동면들(1,2)의 상기 접촉 영역(C)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배열된 원에서 상기 제동 요소(E)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18)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제동 요소(E)의 외부 또는 가장자리 플랜지(13)에는, 흡입 압력원(28)에 연결될 수 있는 흡입실(27)의 경계를 상기 유지 장치(21)와 함께 형성하는 격막(26)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드라이브(A)에는, 상기 스프링 요소(18)의 작동력에 축방향으로 대항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제동 요소(E)에 연결되는 전기적, 전자기적 또는 공기역학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복귀 드라이브(3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동 요소(E)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동 몸체(K)까지도 경금속으로 성형된 부품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동면들(1,2)상에 마모 저항 코팅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 장치.
KR1019980707515A 1996-04-01 1997-03-25 축방향디스크브레이크및축방향디스크브레이크를포함하는실공급장치 KR100293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3055A DE19613055A1 (de) 1996-04-01 1996-04-01 Axiale Scheibenbremse und Fadenliefergerät mit axialer Scheibenbremse
DE19613055.7 1996-04-01
PCT/EP1997/001523 WO1997037069A1 (de) 1996-04-01 1997-03-25 Axiale scheibenbremse und fadenliefergerät mit axialer scheiben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939A true KR20000004939A (ko) 2000-01-25
KR100293647B1 KR100293647B1 (ko) 2001-08-07

Family

ID=779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515A KR100293647B1 (ko) 1996-04-01 1997-03-25 축방향디스크브레이크및축방향디스크브레이크를포함하는실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57516B1 (ko)
EP (1) EP0892864B1 (ko)
KR (1) KR100293647B1 (ko)
CN (1) CN1063242C (ko)
DE (2) DE19613055A1 (ko)
WO (1) WO1997037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9272B4 (de) * 1997-09-11 2007-02-01 Iro Sweden Ab Steuerbare Fadenbremse
DE19911943A1 (de) * 1999-03-17 2000-09-21 Iro Patent Ag Baar Fadenliefergerät und Fadenbremskörper
DE102005026234A1 (de) * 2005-06-07 2006-12-14 Iro Ab Fadenliefergerät für Greifer- und Projektilwebmaschinen
EP2058423A1 (en) * 2007-10-10 2009-05-13 Iro Ab Weaving machine, yarn feeder and method for inserting a weft yarn
ITTO20111218A1 (it) * 2011-12-28 2013-06-29 Lgl Electronics Spa Alimentatore di filato a tamburo fisso con dispositivo frena-trama controllato
ITTO20111217A1 (it) * 2011-12-28 2013-06-29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frena-trama per alimentatori di filato a tamburo fiss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141A (en) * 1924-10-29 1925-11-26 George Herbert Thompson Improvements in tension device for yarn winding machines
CH472518A (de) * 1966-12-13 1969-05-15 Sulzer Ag Webmaschine mit Schussfaden-Zwischenspeicher
DE2200058A1 (de) * 1972-01-03 1973-09-20 Rosen Karl I J Magnetische fadenbremse
CH550730A (de) * 1972-04-28 1974-06-28 Sulzer Ag Verfahren fuer den gebremsten abzug fadenfoermigen materials von einem wickelkoerper einer speicherein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und ein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IT1108819B (it) * 1978-04-11 1985-12-09 Roy Electrotex Spa Dispositivo alimentatore di filato a tensione costante e regolabile,particolarmente per l'uso nelle macchine tessili e per maglieria
IT1049362B (it) * 1975-03-10 1981-01-20 Vella Spa R Dispositivo alimentatore di filato a tensione costante regolabile particolarmente per l uso nelle macchine tessili e per maglieria
DE2511162A1 (de) * 1975-03-14 1976-09-23 Horst Paepke Ausgleichs- und spannvorrichtung fuer faeden und garne an textilmaschinen
ES451189A1 (es) * 1975-09-12 1977-08-16 Iro Ab Dispositivo almacenador y alimentador de hilo preferentemen-te para maquinas textiles.
IT1087411B (it) * 1977-09-29 1985-06-04 Savio & C Spa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a tensione di filo svolgentesi da un corpo di supporto di filo
DE2932782C2 (de) * 1979-08-13 1985-08-22 Aktiebolaget Iro, Ulricehamn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DE3640515A1 (de) * 1985-12-04 1987-06-11 Barmag Barmer Maschf Fadenabsauggeraet
CH669621A5 (ko) * 1986-04-29 1989-03-31 Sulzer Ag
ATE83273T1 (de) * 1987-09-25 1992-12-15 Iro Ab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IT1236993B (it) * 1989-12-29 1993-05-12 Roy Electrotex Spa Alimentatore di trama per telai di tessitura a pinze e a proiettili
EP0519970B1 (en) * 1990-03-12 1998-09-23 Iro Ab Output yarn brake
IT1251209B (it) 1991-09-20 1995-05-04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di frenatura autoregolante del filato per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DE534263T1 (de) * 1991-09-20 1993-09-02 L.G.L. Electronics S.P.A., Bergamo, It Selbstregulierende fadenbremse fuer eine schussfadenliefervorrichtung.
IT1256329B (it) * 1992-11-23 1995-11-30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filo
IT1261331B (it) 1993-11-05 1996-05-14 Lgl Electronics Spa Perfezionamento ai dispositivi di frenatura modulata positiva del filato per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US5546994A (en) * 1994-10-14 1996-08-20 Sobrevin Societe De Brevets Industriels-Etablissement Thread storage drum with frustoconical brake strip
IT1282898B1 (it) * 1995-09-20 1998-04-01 Mario Gallo Dispositivo per controllare la tensione di un filo.
DE19542045A1 (de) * 1995-11-10 1997-05-15 Iro Ab Fadenliefergerät
DE19649220A1 (de) * 1996-11-27 1998-05-28 Iro Ab Fadenliefergerät mit einer Fadenbrem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2864B1 (de) 2000-07-26
DE19613055A1 (de) 1997-10-02
KR100293647B1 (ko) 2001-08-07
CN1215442A (zh) 1999-04-28
WO1997037069A1 (de) 1997-10-09
DE59702079D1 (de) 2000-08-31
US6257516B1 (en) 2001-07-10
CN1063242C (zh) 2001-03-14
EP0892864A1 (de) 199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609B1 (ko) 씨실 공급장치를 위한 자동조절 실 제동장치
EP0855358A1 (en) Yarn feeder
US4429723A (en) Yarn braking means for yarn feeding devices
JPH01298246A (ja) 特に織機用の横糸給糸装置
CZ281399B6 (cs) Odváděcí ústrojí pro navíjené nitě
KR100293647B1 (ko) 축방향디스크브레이크및축방향디스크브레이크를포함하는실공급장치
GB2046314A (en) Two-for-one twisting spindle thread brake
JPS5941904B2 (ja) 糸供給装置
KR100310952B1 (ko) 급사장치
EP1027274B1 (en) Yarn braking device in yarn feeders for looms and brake element for said device
US5582214A (en) Thread storage device with adjustable eye and brake ring
EP0737161B1 (en) Device to control the yarn at the outlet of yarn feeders for looms
KR100333101B1 (ko) 방적사 제동용 장치 및 방적사 공급 장치
EP0231742B1 (en) Nozzle device
EP0754645B1 (en) Electropneumatic device for the automatic treading of weft feeders and weft feeder including said device
US5335878A (en) Thread braking device
US5769132A (en) Projectile or gripper shuttle loom with anti-ballooning cone for weft feeder
CN1471490A (zh) 喂纱器
TWI810939B (zh) 喂紗器
CZ311994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 supplying weft yarn to weaving machine
JPH08502943A (ja) 横糸送り装置
US6176273B1 (en) Loom weft yarn feeder device
KR19990067459A (ko) 방적사 공급 장치
US1294384A (en) Wire-reel for fastening-inserting machines.
KR0182826B1 (ko) 링 방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