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021U -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021U
KR20000004021U KR2019980014377U KR19980014377U KR20000004021U KR 20000004021 U KR20000004021 U KR 20000004021U KR 2019980014377 U KR2019980014377 U KR 2019980014377U KR 19980014377 U KR19980014377 U KR 19980014377U KR 20000004021 U KR20000004021 U KR 200000040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strand
bridge beam
tens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5080Y1 (ko
Inventor
박재만
정규성
Original Assignee
박재만
정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만, 정규성 filed Critical 박재만
Priority to KR2019980014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08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0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08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빔(1)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Prestress Sturcture)에 처짐변형 등이 발생하였을 때 본래의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원시켜주는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빔(1)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소정 길이의 강연선(5)이 복수의 정착구(10) 및 새들(6)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정착구(10)에 설치된 인장잭(20)에 의해 재긴장할 수 있도록 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5)은 그 양단부에 나사봉(30)이 각각 압착 고정되어 상기 정착구(10)에 관통 삽입되고, 이들 각 나사봉(30)의 일측에는 상기 나사봉(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주체결너트(31)가 체결되며, 상기 나사봉(30)의 단부에는 분리 가능한 소정 길이의 보조나사봉(40)이 각각 연결되고, 이들 각 보조나사봉(40)의 단부 외주에는 상기 인장잭(20)의 외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보조체결너트(41)가 각각 체결된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교량빔(1)을 반복 재긴장하는 과정에서 나사봉(30)의 단부가 필요 이상으로 길게 신장되었을 때 상기 나사봉(30)을 절단하지 않고 보조나사봉(40)을 분리하여 그 길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긴장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나사봉(30)의 절단시에 발생되는 열변형에 의해 교량 구조물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분리된 보조나사봉(40)은 타 교량빔(1)의 긴장시 재사용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본 고안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Prestress Sturcture)에 처짐변형 등이 발생하였을 때 본래의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원시켜주는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짐변형 등의 스트레스 손실이 발생된 교량빔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을 원상태로 보강하고자 강연선의 재긴장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강연선 단부의 나사봉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노출되었을 때 나사봉의 단부를 절단하는 번거로움 및 작업상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게 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빔 등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이 가지는 프리스트레스 힘은 콘크리트의 휨 변형(Creep)과, 건조 수축 및 피씨 강재의 이완(relaxation) 등의 손실 요인으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함과 더불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즉, 교량빔 등의 구조물에 스트레스 손실이 점차 증가될 경우에는 상기 교량빔의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교량빔의 변형은 곧바로 빔을 비롯한 교량 구조물의 균열 및 파손을 연쇄적으로 유발하는 치명적인 요인이 되므로, 사전에 즉각적이고도 효율적인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만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교량의 붕괴와 같은 대형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흔히 사용되고 있는 교량빔과 같은 종래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교량빔의 양단부 외측으로 설치된 강연선을 잡아당겨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업한 후 고정하게 된다.
일반적인 교량 구조물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각 교량빔의 양단부가 교각의 상단부에 설치된 교좌장치의 상부에 각각 안착되고, 그 각 교량빔의 상면에 상판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교량빔의 길이방향 측면에는 빔의 처짐변형시 이를 재긴장하기 위한 강연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강연선의 양단은 상기 교량빔의 양단부에 설치된 정착구에 삽입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강연선의 중앙부는 상기 교량빔의 중앙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새들에 걸려 지지되어 있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정착구(10) 및 강연선(5)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구(10)는 교량빔(1)의 길이방향 측면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정착판(11)과, 이 정착판(11)의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대(12)와, 이 지지대(12)의 외측에 설치되는 인장잭(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강연선(5)의 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나사봉(30)이 압착 고정되고, 이 나사봉(30)은 상기 정착구(10)의 정착판(11) 및 인장잭(20)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나사봉(30)의 중앙부 및 단부에는 상기 정착판(11)의 외측면 및 인장잭(20)의 플런저(21)에 밀착 지지되는 주체결너트(31) 및 보조체결너트(32)에 의해 각각 체결 고정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는 상기 플런저(21)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실린더이다.
상기와 같은 장치 구성에 의한 재긴장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f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재긴장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시공 후 교량빔(1)에 처짐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재긴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b는 교량빔(1)의 처짐변형 후 인장잭(20)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하여 강연선(5)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장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6c는 정착구(10) 내부의 주체결너트(31)를 인장된 변위만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6d는 인장잭(20)의 플런저(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6e는 플런저(21)의 복귀 후 보조체결너트(32)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6f는 수회에 걸친 강연선(5)의 재긴장 과정에서 강연선(5) 단부의 나사봉(30)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노출되었을 때 불필요한 나사봉(30)의 단부를 산소절단기 등으로 절단한 상태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후 교량빔(1)에 처짐변형이 발생하여 강연선(5)을 재긴장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6b에서와 같이 강연선(5)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장잭(20)의 실린더(22) 내에 적정 유압이 가해지면서 내부의 플런저(21)를 일정 거리만큼 전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강연선(5)은 그 단부에 압착 고정된 나사봉(30)에 체결되어 있는 보조체결너트(32)가 상기 플런저(21)와 함께 이동하면서 일정 장력으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6c에서와 같이 정착구(10)의 지지대(12) 사이에 위치하는 나사봉(30)에 주체결너트(31)를 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정착판(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체결 고정한다. 상기 강연선(5)은 주체결너트(31)에 의해 긴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 6d 및 도 6e에서와 같이 실린더(22) 내의 유압을 제거하여 플런저(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이 플런저(21)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나사봉(30)의 단부에 보조체결너트(32)를 죔으로써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교량빔(1)을 압축 지지한 후에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교량빔(1)에 재차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교량빔(1)의 강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수회에 걸친 강연선(5)의 재긴장 과정에서 나사봉(30)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게 신장되어 플런저(21) 밖으로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공간적인 제한성에 의한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도 6f에서와 같이 불필요한 나사봉(30)의 단부를 산소절단기 등으로 절단하는 작업을 수반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나사봉(30)은 100~150mm 정도의 큰 직경을 갖는 것이므로 산소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 산소절단 방식은 산소와 철의 반응열을 이용한 가열절단법으로서, 상기 강연선(5)의 절단부를 가열하여 800~900℃에 이르렀을 때 고압의 산소를 분사하면 철이 연소되어 산화철로 변화하고 그 용융점은 강연선(5)보다 낮으므로 산소 기류를 수반하여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재긴장장치는 수회에 걸친 강연선(5)의 재긴장 작업 후 필요 이상으로 신장된 나사봉(30)의 길이를 절단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을 완료하기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연선(5)의 절단부가 용융점에 이르는 고온 상태까지 가열되어 강렬한 산화 분위기를 조성하므로 상기 강연선(5)에 열영향이 미치면서 그 조직이나 기계적 성질을 변화시킴과 아울러, 열팽창에 따른 변형 및 잔류 응력(열응력)이 발생하여 전체 구조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된 나사봉(30)은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폐기 처리하여야 하므로 그 절단부의 폐기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처짐변형 등의 스트레스 손실이 발생된 교량빔 등을 원상태로 보강하고자 강연선의 재긴장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강연선 단부의 나사봉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노출되었을 때 이를 분리하여 타 교량 구조물의 시공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봉의 단부를 절단하는 번거로움 및 작업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고, 절단된 나사봉의 폐기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교량 구조물 전체에 미치는 손상 요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교량 구조물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정착구 구조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정착구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h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수회에 걸친 재긴장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시공 후 교량빔에 1차 처짐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재긴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b는 교량빔의 처짐변형 후 본 고안에 적용된 인장잭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하여 강연선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장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c는 정착구 내부의 주체결너트를 인장된 변위만큼 죄어 고정함과 아울러 인장잭의 플런저를 복귀시킨 후 보조체결너트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4d는 강연선의 장력조절 후 교량빔에 2차 처짐변형이 진행되었을 때 상기 인장잭을 재차 작동하여 강연선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긴장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e는 상기 주체결너트를 재긴장된 변위만큼 죄어 고정함과 아울러 인장잭의 플런저를 복귀시킨 후 보조체결너트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4f는 강연선의 재 장력조절 후 교량빔에 3차 처짐변형이 진행되었을 때 재긴장시킨 후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4g는 수회에 걸친 강연선의 재긴장 과정에서 강연선 단부의 보조나사봉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노출되었을 때 나사봉으로부터 상기 보조나사봉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h는 보조나사봉을 제거한 후 상기 나사봉의 노출 단부에 보조체결너트를 체결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정착구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6a 및 도 6f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재긴장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시공 후 교량빔에 처짐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재긴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b는 교량빔의 처짐변형 후 인장잭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하여 강연선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장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6c는 정착구 내부의 주체결너트를 인장된 변위만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6d는 인장잭의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6e는 플런저의 복귀 후 보조체결너트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6f는 수회에 걸친 강연선의 재긴장 과정에서 강연선 단부의 나사봉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노출되었을 때 불필요한 나사봉의 단부를 산소절단기 등으로 절단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량빔 2 ; 교각
3 ; 교좌장치 5 ; 강연선
6 ; 새들 10 ; 정착구
11 ; 정착판 12 ; 지지대
20 ; 인장잭 21 ; 플런저
22 ; 실린더 30 ; 나사봉
31 ; 주체결너트 32, 41 ; 보조체결너트
40 ; 보조나사봉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는 교량빔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양측단부에 그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강연선의 양단부를 각각 정착시킬 수 있는 정착구가 고정되고, 상기 교량빔의 중간 하단부에는 강연선의 중간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새들이 설치되며, 상기 정착구에는 교량빔의 처짐변형시 강연선을 재긴장할 수 있는 인장잭이 구비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은 그 양단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봉이 각각 압착 고정되어 상기 정착구에 관통 삽입되고, 이들 각 나사봉의 외주에는 상기 정착구의 정착판 상에 상기 나사봉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주체결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각 나사봉의 단부에는 분리 가능한 소정 길이의 보조나사봉이 연결되어 그 각 보조나사봉의 단부가 상기 인장잭의 플런저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들 각 보조나사봉의 단부에는 상기 플런저의 외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보조체결너트가 각각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재긴장장치가 설치된 교량 구조물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정착구(10)의 설치 상태 및 구조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3은 상기 정착구(10)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교량 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다. 즉, 양측 교대 사이에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교각(2)의 상단부에 걸쳐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즉, 교량빔(1)이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각 교량빔(1)의 양단부가 교각(2)의 상면에 설치된 각 교좌장치(3)에 각각 안착되며, 이와 같이 연속 설치되는 각 교량빔(1)의 상부에는 상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교량빔(1)은 처짐변형시 이를 재긴장시킬 수 있도록 그 길이방향 측면을 따라 소정 길이의 강연선(5)이 곡선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강연선(5)의 양단부는 상기 교량빔(1)의 양단부에 설치된 각 정착구(10)에 삽입 수용되어 고정되며, 이 정착구(10)의 정착판(11) 외측에는 교량빔(1)의 처짐변형시 강연선(5)을 재긴장할 수 있는 인장잭(20)이 지지대(12)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강연선(5)의 중앙부에는 상기 교량빔(1)의 중앙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새들(6)에 걸려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인장잭(20)은 내부에 유압이 작용되는 실린더(22)와, 이 실린더(22) 내에 작용되는 유압의 상태에 따라 상기 실린더(2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플런저(21)로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성에 적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정착구(10) 및 강연선(5)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상기 강연선(5)은 그 양단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봉(30)이 각각 압착 고정되어 각 나사봉(30)의 단부가 상기 정착구(10)의 정착판(11)과 지지대(12) 및 인장잭(20)을 통해 차례로 관통 삽입되고, 이들 각 나사봉(30)의 중간부에는 상기 인장잭(20)에 의해 인장된 나사봉(30)을 정착판(11) 상에 지지 고정하기 위한 주체결너트(31)가 체결되며, 상기 나사봉(30)의 외측 단부에는 나사봉(30)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소정 길이의 보조나사봉(40)의 일단이 나사 결합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보조나사봉(40)의 단부가 인장잭(20)의 플런저(21)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들 각 보조나사봉(40)의 단부에는 상기 플런저(21)의 외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보조체결너트(41)가 각각 체결된 것이다.
상기 강연선(5)과 나사봉(30)은 여러가닥의 강선을 연사하여 형성한 피씨 강연선(Precast Cable)(5)의 단부를 강봉의 일단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강연선(5)이 다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압출기 내에 셋팅하고, 상기 강봉의 타단을 램으로 가압하여 다이를 통해 강제 압출시키면서 강연선(5)의 단부를 압착하는 냉간 압출가공을 진행함으로써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강봉은 압출 공정에 의해 소정 직경으로 소성변형되어 상기 강연선(5)과 일체로 결합되고, 이 강봉의 외주면에 나사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나사봉(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나사봉(40)은 상기 나사봉(30)보다 작은 직경, 즉, 상기 나사봉(30)의 직경에 비해 1/3~1/2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 교량빔(1)의 처짐변형에 대한 수회에 걸친 재긴장 고정 후 상기 플런저(21)의 외부로 완전 노출되었을 때, 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30)의 단부 내측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보조나사봉(40)을 분리한 후 상기 나사봉(30)의 단부 외주에는 별도의 보조체결너트(32)를 체결하여 상기 플런저(21)의 외측면과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를 이용한 강연선(5)의 인장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고안에 따른 재긴장장치의 수회에 걸친 재긴장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시공 후 교량빔(1)에 1차 처짐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재긴장 작업을 수행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b는 교량빔(1)의 처짐변형 후 본 고안에 적용된 인장잭(20)을 적정 유압으로 작동하여 강연선(5)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장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c는 정착구(10) 내부의 주체결너트(31)를 인장된 변위만큼 죄어 고정함과 아울러 인장잭(20)의 플런저(21)를 복귀시킨 후 보조체결너트(41)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4d는 강연선(5)의 장력조절 후 교량빔(1)에 2차 처짐변형이 진행되었을 때 상기 인장잭(20)을 재차 작동하여 강연선(5)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긴장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e는 상기 주체결너트(31)를 재긴장된 변위만큼 죄어 고정함과 아울러 인장잭(20)의 플런저(21)를 복귀시킨 후 보조체결너트(41)를 죄어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4f는 강연선(5)의 재 장력조절 후 교량빔(1)에 3차 처짐변형이 진행되었을 때 재긴장시킨 후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 도 4g는 수회에 걸친 강연선(5)의 재긴장 과정에서 강연선(5) 단부의 보조나사봉(40)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노출되었을 때 나사봉(30)으로부터 상기 보조나사봉(40)을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h는 보조나사봉(40)을 제거한 후 상기 나사봉(30)의 노출 단부에 보조체결너트(32)를 체결 고정한 상태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빔(1)의 시공단계에서 설계된 초기의 적정 긴장상태를 유지하다가 소정 기간이 경과 후 처짐변형이 발생하면, 도 4a에서와 같이 시공 후 교량빔(1)에 1차 처짐변형이 발생하여 강연선(5)을 재긴장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강연선(5)의 최초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장잭(20)의 실린더(22) 내에 적정 유압이 가해지면서 내부의 플런저(21)를 일정 거리만큼 전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강연선(5)은 그 단부에 압착 고정된 나사봉(30)에 체결되어 있는 보조체결너트(32)가 상기 플런저(21)와 함께 이동하면서 일정 장력으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4c에서와 같이 주체결너트(31)를 죄어 상기 주체결너트(31)가 정착판(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체결 고정한다. 상기 강연선(5)은 주체결너트(31)에 의해 긴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린더(22) 내의 유압을 제거하여 플런저(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이 플런저(21)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보조체결너트(41)를 체결함으로써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주체결너트(31)의 내경은 상기 나사봉(30)의 직경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고, 상기 나사봉(30)이 정착판(11)의 내측으로 돌출되면 그 나사봉(30)의 돌출단부에 상기 주체결너트(31)를 죄어 체결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량빔(1)을 압축 지지한 후에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기 교량빔(1)에 2차 처짐변형이 진행되었을 때, 그러한 경우에는 도 4d 및 도 4e에서와 같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교량빔(1)의 강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후에 계속해서 상기 교량빔(1)의 3차 처짐변형이 진행된 경우에도 도 4f에서와 같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교량빔(1)의 강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으며, 다만, 수회에 걸친 강연선(5)의 재긴장 과정에서 나사봉(30)의 길이가 길게 신장되어 상기 보조나사봉(40)이 플런저(21) 밖으로 완전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도 4g에서와 같이 나사봉(30)으로부터 상기 보조나사봉(40)을 나사 후진방향으로 풀어 분리함으로써 공간적인 제한성에 의한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조나사봉(40)을 제거한 후에는 도 4h에서와 같이 상기 나사봉(30)의 노출 단부에 별도의 보조체결너트(32)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나사봉(30)의 절단 공정없이도 불필요한 신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분리된 보조나사봉(40)은 차기 교량 구조물의 시공시에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이 I형 교량빔(1)으로 사용되는 일반 교량용 거더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교량은 각종 형태의 상부구조 즉, T빔, 박스거더 등의 각종 빔 또는 트러스교, 슬래브교, 게르바교, 라멘교 등의 각종 상부 구조물 및 FCM 공법, ILM 공법 등이 적용되는 연속보 교량용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 이외에도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는 골조용 거더 등의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재긴장장치는 교량빔(1)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제작시 강연선(5)과 연결되는 나사봉(30)의 각 단부에 보조나사봉(40)을 결합하여 적정 장력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중 상기 교량빔(1)에 처짐변형 등의 스트레스 손실이 발생되어 상기 교량빔(1)을 재긴장 조절하고자 강연선(5)의 재긴장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에서 인장잭(20)의 외부로 신장된 나사봉(30)의 단부가 필요 이상으로 길게 노출되었을 때 상기 나사봉(30)의 단부를 절단하는 공정없이 상기 보조나사봉(40)을 분리하여 그 길이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나사봉(30) 절단방식에 비해 재긴장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절단된 나사봉(30)의 폐기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배제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나사봉(30) 절단시에 발생되는 열변형에 의해 교량 구조물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염려가 없으며, 분리된 보조나사봉(40)은 차기의 교량 구조물을 긴장할 때 반복 재사용이 가능하여 제작비 및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교량빔(1)과 같은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양측단부에 그 구조물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강연선(5)의 양단부를 각각 정착시킬 수 있는 정착구(10)가 고정되고, 상기 교량빔(1)의 중간 하단부에는 강연선(5)의 중간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새들(6)이 설치되며, 상기 정착구(10)에는 교량빔(1)의 처짐변형시 강연선(5)을 재긴장할 수 있는 인장잭(20)이 구비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5)은 그 양단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봉(30)이 각각 압착 고정되어 상기 정착구(10)에 관통 삽입되고, 이들 각 나사봉(30)의 외주에는 상기 정착구(10)의 정착판(11) 상에 상기 나사봉(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주체결너트(31)가 체결되며, 상기 각 나사봉(30)의 단부에는 분리 가능한 소정 길이의 보조나사봉(40)이 연결되어 그 각 보조나사봉(40)의 단부가 상기 인장잭(20)의 플런저(21)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들 각 보조나사봉(40)의 단부에는 상기 플런저(21)의 외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보조체결너트(41)가 각각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나사봉(40)은 교량빔(1)의 처짐변형에 대한 수회에 걸친 재긴장 고정 후 상기 플런저(21)의 외부로 완전 노출되었을 때 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30)의 단부에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조나사봉(40)을 분리한 후 상기 나사봉(30)의 단부 외주에는 별도의 보조체결너트(32)를 체결하여 상기 플런저(21)의 외측면과 밀착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19980014377U 1998-07-31 1998-07-31 프리스트레스구조물의재긴장장치 KR200255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377U KR200255080Y1 (ko) 1998-07-31 1998-07-31 프리스트레스구조물의재긴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377U KR200255080Y1 (ko) 1998-07-31 1998-07-31 프리스트레스구조물의재긴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021U true KR20000004021U (ko) 2000-02-25
KR200255080Y1 KR200255080Y1 (ko) 2002-02-28

Family

ID=6951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377U KR200255080Y1 (ko) 1998-07-31 1998-07-31 프리스트레스구조물의재긴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08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633B1 (ko) * 1999-12-08 2002-08-22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100440622B1 (ko) * 2001-08-10 2004-07-21 박재만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100719959B1 (ko) * 2006-10-26 2007-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KR100964948B1 (ko) * 2007-12-21 2010-06-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프리-리프팅에 의해 내하력이 증가된 교량 구조물
KR101052234B1 (ko) * 2009-05-12 2011-07-29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케이블 인장장치
CN109914273A (zh) * 2019-03-20 2019-06-2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悬索桥骑跨式吊索更换装置及方法
CN110258342A (zh) * 2019-06-24 2019-09-20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悬索桥主缆索股张拉装置及张拉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633B1 (ko) * 1999-12-08 2002-08-22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100440622B1 (ko) * 2001-08-10 2004-07-21 박재만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100719959B1 (ko) * 2006-10-26 2007-05-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물 보강용 긴장장치를 이용한 구조물보강방법
KR100964948B1 (ko) * 2007-12-21 2010-06-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프리-리프팅에 의해 내하력이 증가된 교량 구조물
KR101052234B1 (ko) * 2009-05-12 2011-07-29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케이블 인장장치
CN109914273A (zh) * 2019-03-20 2019-06-2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悬索桥骑跨式吊索更换装置及方法
CN109914273B (zh) * 2019-03-20 2023-11-21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一种悬索桥骑跨式吊索更换装置及方法
CN110258342A (zh) * 2019-06-24 2019-09-20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悬索桥主缆索股张拉装置及张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080Y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5080Y1 (ko) 프리스트레스구조물의재긴장장치
JP3037943B2 (ja) プレストレス構造物の再緊張装置
JP4029105B2 (ja) 接続具、pc部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585594B1 (ko) 듀얼-프리스트레싱 강합성빔 및 그 시공방법
JP2579577B2 (ja) 中空pc鋼棒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US3590474A (en) Method of anchoring pre-stressed wire ropes
KR100261556B1 (ko)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JP2004346630A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製造装置
JP4413765B2 (ja) プレテンホロー桁横締めpc鋼材の仮止め定着装置と定着方法
JP3642425B2 (ja) 鋼桁へ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3372522B2 (ja) ノンプル方式反力pc鋼材によるプレストレス力導入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CN110469140B (zh) 一种框架梁预应力加固的施工方法
KR20000000359U (ko)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JP7186670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修方法
JP2005090124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連結構造
JP2012237144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方法
JPH06322894A (ja) プレストレス導入工法
JPH09309105A (ja) Pc部材の製造方法
JP4706129B2 (ja) 金属管とコンクリートビームまたはスラブとの連結具、この連結された格子構造を備えた構造物と該構造物の応用
KR102399474B1 (ko) 자가 프리스트레싱 보강재의 프리스트레스 도입 방법
KR100278118B1 (ko) 콘크리트빔교량의 크로스빔 시공방법
KR102167163B1 (ko) 그라운드 앵커의 보강을 통한 재긴장 시공방법
JPH06210618A (ja) 中空pc鋼棒を利用した引張プレストレスの導入方法
KR790001926B1 (ko) 응력 케이블을 형성하는 응력부재의 인장 및 정착 장치
JPS623114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