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34B1 - 케이블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34B1
KR101052234B1 KR1020090041315A KR20090041315A KR101052234B1 KR 101052234 B1 KR101052234 B1 KR 101052234B1 KR 1020090041315 A KR1020090041315 A KR 1020090041315A KR 20090041315 A KR20090041315 A KR 20090041315A KR 101052234 B1 KR101052234 B1 KR 10105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cable
tensioning device
wo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328A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filed Critical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4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3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작동공간(12)이 형성되며 작동유체가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주입구(17)가 구비되는 하우징(10)과, 상기 주입구(17)를 통해 작동유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12) 내외부로 입출되는 피스톤(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공간(12)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피스톤(20)의 일단에는 케이블이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20)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는 고정커버(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환경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프리텐셔닝이나 포스트텐셔닝이 작아진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그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프리스트레스 빔, 케이블, 인장장치

Description

케이블 인장장치{Tensioner f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케이블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건설에는 케이블(cable, 또는 텐던(tendon))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사용하여 보강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빔(PSC BEAM)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빔이 적용된 교량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교량(B)에는 다수개의 빔이 설치되고, 상기 빔(1)은 교량(B)에 케이블(C)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빔(1)은 상기 교량(B)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C)의 양단은 각각 교량(B)의 상판과 상기 빔(1)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케이블(C)은 적절한 장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케이블(C)에 작 용하는 장력이 작으면 상기 케이블(C)이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게 되고, 장력이 너무 크면 케이블(C)이 손상되거나 설치가 어려워지므로 적절한 장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C)에 인장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되면, 상기 케이블(C)의 인장력이 충분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고, 적절한 인장력이 케이블(C)에 가해지더라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케이블(C)의 인장력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애초에 손실량을 계산하여 상기 케이블(C)에 일정 이상의 인장력을 케이블(C)에 가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케이블(C)의 인장작업은 큰 힘이 필요로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인장과정에서 케이블(C)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케이블(C)의 인장력이 떨어져 프리스트레스 구조에 손실이 발생되더라도, 케이블(C)의 재인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블에 적절한 장력을 가할 수 있는 케이블 인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든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재긴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작동유체가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주입구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 내외부로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공간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에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체결되고,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피스톤의 입출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제1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이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커버의 일단에는 제2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통과 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고정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주입구는 상기 작동공간의 일단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제1주입구와, 상기 제1주입구와 이격된 상기 작동공간의 타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는 제2주입부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는 피스톤홀이 형성되는 스토퍼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블록의 피스톤홀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토프블록의 외면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상기 스토퍼블록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는 제2고정편이 구비되어 각각 케이블이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과 상기 제2고정편 사이에는 로드셀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는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이 측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축조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에 장력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을 축조한 후에, 외부 환경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프리텐셔닝이나 포스트텐셔닝이 작아진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그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스토퍼블록이 교체가능하도록 삽입되므로, 케이블 인장장치의 피스톤의 이동행정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에 로드셀이 구비되어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을 쉽게 측정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인장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고정커버 사이에 각각 플렌지부가 구비되어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므로, 케이블 인장장치의 조립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고정커버 사이 가 분리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블 인장장치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제1고정편(f)이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편(f)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어 케이블 인장장치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작동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동공간(12)에는 후술할 피스톤(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제1플랜지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15)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커버(40)의 제2플랜지부(45)와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플랜지부(15)에는 체결공(16)이 형성되어 볼트(B)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제2플랜지부(45)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공(16)은 상기 제1플랜지부(15)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11)에는 주입구(17)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17)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12)을 연통시키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어 피스톤(20)을 이동시키게 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17)는 제1주입구(17a)와 제2주입 구(17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주입구(17a)와 제2주입구(17b)는 작용유체를 이용하여 피스톤(20)의 헤드부(25)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주입구(17a)는 상기 작동공간(12)의 일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주입된 작동유체가 피스톤(20)의 헤드부(25)를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제2주입구(17b)는 상기 작동공간(12)의 타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주입된 작동유체가 피스톤(20)의 헤드부(25)를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 내면에는 걸림턱(18)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18)은 후술할 스토퍼블록(30)의 일측이 걸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작동공간(12)의 내면이 단차짐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편(f)이 나사체결되기 위한 나사산(19)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나사산(19)이 형성되지 않고 제1고정편(f)이 하우징(10)에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피스톤(20)이 삽입된다.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작동공간(12) 내외부로 입출되면서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블이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로드셀(50)을 매개로 하여 케이블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피스톤(20)은 바형상의 로드부(21)와, 상기 로드부(21)의 일단에 구비되는 헤드부(25)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부(21)는 실질적으로 작동공간(12) 내외부로 입출되는 부분이고, 헤드부(25)는 상기 주입구(17)를 통해 주입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밀리게 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26는 오링으로 작동유체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산(22)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커버(40)의 제2나사산(43)에 대응되는 것으로, 고정커버(40)가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고정커버(40)가 직선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는 스토퍼블록(30)이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블록(30)은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이동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토퍼블록(30)의 블록몸체(31) 일단(37)에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가 걸어짐으로서 피스톤(20)의 돌출정도가 제한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토퍼블록(30)의 내부에는 피스톤(20)이 통과하는 피스톤홀(33)이 형성되는데, 상기 피스톤홀(33)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토퍼블록(30)의 외면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가 상기 스토퍼블록(3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블록(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35)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에 나사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블록(30)은 교체를 통해 그 길이가 다른 스토퍼블록(30)으로 대체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피 스톤(20)의 이동행정도 변하게 된다. 도면부호 32는 오링으로 작동유체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고정커버(4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고정커버(40)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커버(40)의 커버몸체(41) 내부에는 관통홀(42)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부(21)가 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관통홀(42)의 내주면에는 제2나사산(4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나사산(43)은 피스톤(20)의 로드부(21)에 형성된 상기 제1나사산(22)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커버(40)가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로드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커버(40)는 로드부(21)를 따라 직선이동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10)에 결합되므로, 피스톤(20)이 이동된 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4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고정커버(40)가 회전되어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면, 상기 피스톤(20)은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우측으로 이동될 수 없다. 왜냐하면, 상기 피스톤(20)은 고정커버(40)와 나사체결된 상태이고, 고정커버(40)는 다시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40)에는 제2플랜지부(45)가 구비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45)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플랜지부(15)에 대응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체결공(4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6)은 상기 제1플랜지부(15)의 체결공(16)과 연통 되어 볼트(B)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연속적으로 관통됨으로써, 상기 제1플랜지부(15)와 제2플랜지부(45)가 서로 결합된다. 도면부호 N은 상기 볼트(B)와 결합되는 너트를 나타낸다.
한편,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피스톤(20)의 일단에는 로드셀(50)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셀(50)은 장력을 받으면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등 변형이 되는데, 이 변형량을 변형센서(55)가 전기신호로 검출한 뒤 디지털신호로 바꾸면 장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로드셀(50)은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로드셀(50)의 외면에는 변형센서(55)가 구비되고, 상기 변형센서(55)에는 전선(56)이 연결되어 제어컴퓨터(미도시)에 전기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로드셀(50)의 일단에는 고정블록(6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60)에는 제2고정편(f')이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편(f')에는 프리스트레스 빔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고정편(f')에 고정된 케이블은 상기 피스톤(20)이 입출됨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60) 및 로드셀(50)과 함께 피스톤(20)을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편(f)과 제2고정편(f')에는 각각 케이블이 연 결된 상태이고, 제2고정편(f')에 연결된 케이블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커버(40)를 분리시켜야 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볼트(B)와 너트(N)의 조립을 해제하고, 상기 피스톤(20)을 중심으로 고정커버(40)를 회전시켜 화살표 ①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피스톤(20)이 작동공간(12) 내측, 즉 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미리 여유를 주기 위함이다. 만일 고정커버(40)를 회전시켜 하우징(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면, 작동유체가 주입되어도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고정커버(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뿐, 이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커버(40)는 상기 피스톤(20)이 작동공간(12)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거리(L)보다 같거나 더 큰 거리만큼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제1주입구(17a)에 유압장치를 연결하여 제1주입구(17a)를 통해 작동유체를 주입시킨다.(화살표 ②방향).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스토퍼블록(30)과 상기 피스톤(20)의 헤드부(25) 사이로 작동유체가 주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의 헤드가 우측(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20)의 로드부(21)에는 상기 고정커버(40)가 나사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커버(40) 역시 우측, 즉 화살표 ④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장 력이 커지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커버(40)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커버(40)가 하우징(1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해야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플랜지부(15)와 상기 고정커버(40)의 제2플랜지부(45)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고, 다시 볼트(B)와 너트(N)를 서로 조립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피스톤(20)은 고정커버(40)와 나사체결된 상태이고, 고정커버(40)는 다시 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피스톤(20)이 다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제1주입구(17a)를 통한 작동유체의 주입을 중지하여도, 상기 피스톤(20)의 이동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제1플랜지부(15)와 상기 고정커버(40)의 제2플랜지부(45)가 다수개의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조립되므로, 하우징(10)과 고정커버(40)의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이 너무 큰 경우에는 상기 고정커버(40)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주입구(17b)에 작동유체를 주입하여(화살표 ⑤방향) 다시 피스톤(20)의 로드부(21)가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커버(40)를 상기 하우징(10)에 다시 조립시켜 상기 피스톤(20)이 돌출된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 환경에 의해 케이블의 장력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프리텐셔닝이나 포스트텐셔닝이 작아진 경우에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그 손실량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최초에 케이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케이블 인장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스토퍼블록(30)을 교체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스토퍼블록(30)의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피스톤(20)의 이동행정도 가변되므로, 케이블의 장력 조절을 보다 정교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블록(30)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었으나, 상기 스토퍼블록(30)이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12) 내면이 단차짐으로써 상기 피스톤(20)의 이동행정을 제한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빔이 적용된 교량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인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고정커버 사이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2: 작동공간
15: 제1플랜지부 17: 주입구
20: 피스톤 21: 로드부
22: 제1나사산 25: 헤드부
30: 스토퍼블록 33: 피스톤홀
40: 고정커버 42: 관통홀
43: 제2나사산 45: 제2플랜지부
50: 로드셀 55: 변형센서
60: 고정블록 f,f': 제1고정편, 제2고정편

Claims (8)

  1. 내부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작동공간을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작동공간 내부로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작동유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동공간 내외부로 입출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공간 외측으로 돌출된 일단에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피스톤을 고정하여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제1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이와 마주보는 상기 고정커버의 일단에는 제2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통과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고정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주입구는
    상기 작동공간의 일단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제1주입구와,
    상기 제1주입구와 이격된 상기 작동공간의 타단에 연통되어 이를 통해 작동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를 상기 고정커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는 제2주입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의 관통홀 내주면과 상기 피스톤의 로드부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커버는 상기 로드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통해 상기 로드부를 따라 직선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면에는 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통과하는 피스톤홀이 형성되는 스토퍼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블록의 피스톤홀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토프블록의 외면의 직경은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의 헤드부가 상기 스토퍼블록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작동공간 내면에 압입 또는 나사체결되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제1고정편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는 제2고정편이 구비되어 각각 케이블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상기 제2고정편 사이에는 로드셀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에는 변형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작용되는 장력이 측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인장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090041315A 2009-05-12 2009-05-12 케이블 인장장치 KR10105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15A KR101052234B1 (ko) 2009-05-12 2009-05-12 케이블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315A KR101052234B1 (ko) 2009-05-12 2009-05-12 케이블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28A KR20100122328A (ko) 2010-11-22
KR101052234B1 true KR101052234B1 (ko) 2011-07-29

Family

ID=4340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15A KR101052234B1 (ko) 2009-05-12 2009-05-12 케이블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09A (ko) * 2022-08-22 2024-02-29 홍진성 케이블 정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21U (ko) * 1998-07-31 2000-02-25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0235875Y1 (ko) * 2001-03-27 2001-10-10 우경건설 주식회사 다경간 교량의 빔 보강장치
KR100855206B1 (ko) *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건축물의 유.공압식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KR100897535B1 (ko) * 2007-06-26 2009-05-14 (주)한국피씨 동시 다중 인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21U (ko) * 1998-07-31 2000-02-25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0235875Y1 (ko) * 2001-03-27 2001-10-10 우경건설 주식회사 다경간 교량의 빔 보강장치
KR100897535B1 (ko) * 2007-06-26 2009-05-14 (주)한국피씨 동시 다중 인장기
KR100855206B1 (ko) * 2008-03-06 2008-09-01 한우물중공업(주) 건축물의 유.공압식 케이블 장력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09A (ko) * 2022-08-22 2024-02-29 홍진성 케이블 정착장치
KR102663435B1 (ko) 2022-08-22 2024-05-07 홍진성 케이블 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328A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0067C (zh) 悬索桥锚碇可更换式预应力的方法及装置
KR100862248B1 (ko) 앵커장치 및 이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
WO2018072589A1 (zh) 钢绞线群锚整体式自动同步控制系统
KR101308693B1 (ko) 로드셀 비교검사 및 교정용 하중부가장치
KR101052233B1 (ko) 케이블 인장장치
KR20110111907A (ko) 사장교 주탑쪽의 사장 케이블용 새들 구조체
CN109653531B (zh) 一种体外预应力钢绞线连接器及配套张拉装置
KR101052234B1 (ko) 케이블 인장장치
CN104847122A (zh) 一种用于张拉叉耳式拉索或钢拉棒的装置组件及其张拉施工方法
KR20120041470A (ko) 소켓과 턴버클을 이용하여 긴장재를 긴장하는 방법
KR20140052170A (ko) 구조물 강연선의 변형률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센싱 시스템
KR101023882B1 (ko) 와이어 긴장용 정착실린더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긴장유지방법
CN107599158A (zh) 一种用于预应力构件双向张拉的工艺方法
KR101889923B1 (ko) 콘크리트 거더 보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 보강 방법
JP2003055911A (ja) 斜材ケーブルのサドル出口部における構造
KR20060057323A (ko) 외부 프리스트레싱용 섬유판 긴장장치
KR102118120B1 (ko) 재긴장이 가능한 정착장치 및 정착방법
KR102246209B1 (ko) 교량 거더 내지 교각 강연선 보강공법
CA1130105A (en) Tensioning systems for cables in prestressed concrete
JP2005325518A (ja) プレストレス導入ユニットおよび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H11256827A (ja) 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および再緊張用治具
CN113187262A (zh) 建筑施工裂缝加固装置
JP2019138017A (ja) 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及びプレストレス導入構造物
KR101149581B1 (ko) 케이블 인장력 도입 장치
KR200372851Y1 (ko) 강연선 재인장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