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290U -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290U
KR20000003290U KR2019980013401U KR19980013401U KR20000003290U KR 20000003290 U KR20000003290 U KR 20000003290U KR 2019980013401 U KR2019980013401 U KR 2019980013401U KR 19980013401 U KR19980013401 U KR 19980013401U KR 20000003290 U KR20000003290 U KR 20000003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message
outpu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창헌
Original Assignee
지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창헌 filed Critical 지창헌
Priority to KR2019980013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290U/ko
Publication of KR20000003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29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문자로서 경고함으로써 안전운전을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각의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부(20)와, 센서부(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미리 프로그램된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선택하거나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메시지를 선택하는 프로세서부(10)와, 복수개로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36)의 점등에 의하여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메시지와 방향을 표시하는 출력부(30) 및 상기 프로세서부(10)에 저장된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키(42a)를 구비하며, 상기 키(42a)에 의하여 선택된 메시지에 상응하는 운전정보를 문자와 소리로서 출력하는 패널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부(40) 및 출력부(30)를 통하여 "가속 주행중" 및 "주의, 감속 운전중" 등으로 되는 운행정보를 문자로서 출력하여 후행하는 자동차에게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무선송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선행 자동차에게도 운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주행시에 전방과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자동차의 주행상태를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문자정보로서 알리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면서 안전운전을 한다면 교통사고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운전자의 부주의나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상황에 의하여 교통사고는 발생하며, 운전자가 아무리 안전거리 및 제반 교통법규를 지키면서 안전운전을 한다 하더라도 선행하는 자동차나 후행하는 자동차의 순간적인 실수로 인하여 교통사고는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행 자동차나 후행 자동차의 순간적인 실수는 자동차의 추돌 등의 교통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교통사고는 전방에서 주행중인 선행 자동차가 후행의 자동차에게 운전조작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하고, 경고를 한다면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후행 자동차에게 운전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는 미등, 방향지시등 또는 브레이크등에 의하여 후방의 자동차에게 간단히 운전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매우 단조로운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후방의 자동차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개발된 종래의 운전정보 제공장치에는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1-016702호(명칭; 자동차의 자동안내 표시장치)가 있다. 이 고안은 브레이크등의 점등신호 또는 좌우회전점멸 등이 감지될 때, 해당문자로 표시하는 문자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정보만 문자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자동차 주행상태의 충분한 정보를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운행시에 자동차의 실내 후방에서 문자로 되는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이에 따른 "정상 주행중", "가속 주행중" 및 "주의, 감속 운전중" 등으로 되는 각종 메시지를 후행하는 자동차에게 제공하고, 동시에 운전자에게도 제공함으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문자로서 경고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방에서 졸음운전으로 추정되는 자동차 또는 갑자기 끼여들기, 급차선변경 등의 정상운전 상태가 아닌 자동차에게 경고하도록 무선을 이용하여 필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신호를 수신한 비정상적인 운전상태로 주행중인 상대 자동차는 알람경고와 동시에 "주의 안전운전" 등의 문자경고가 이루어져서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를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패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는, 가속, 감속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제어되는 정도를 계기와 표시등으로 표시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되는 정도를 검출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부(20); 내장되는 메모리에 미리 프로그램된 복수개의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며,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메시지를 선택하는 프로세서부(10); 상기 프로세서부(1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메시지와 방향을 복수개로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31)의 점등에 의하여 형성하여 표시하는 출력부(30); 및 상기 프로세서부(1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동시에 출력하고, 상기 프로세서부(10)에 저장된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키(42a)를 구비하며, 상기 키(42a)에 의하여 선택된 메시지에 상응하는 운전정보를 문자와 소리로서 출력하는 패널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40)는 상기 프로세서부(10)에 내장된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자동차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복수개의 키(42a)와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46)가 구비되는 조작부(42); 및 상기 조작부(42)에서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된 메시지와,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선택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액정출력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는 자동차의 전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른 자동차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54); 및 자동차의 후면부에 구비되어서 다른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수신부(52)로 구성되는 무선송수신부(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운전정보 표시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를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는 프로세서부(10), 센서부(20), 무선송수신부(50), 패널부(40) 및 출력부(30)로 구성된다.
프로세서부(10)는 센서부(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도시되지 않은 내장되는 메모리소자에 자동차의 운행정보와 관련되어 미리 프로그램된 복수개의 메시지(message)를 저장한다. 프로세서부(10)는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운행상황에 따른 메시지를 선택하여 출력부(30)의 문자부(32)와 패널부(40)의 액정출력부(44)로 출력한다.
센서부(20)는 운전자의 제어기기 조작에 의하여 방향을 나타내는 미등, 브레이크등, 방향표시등 등의 표시등들(21)과, 엑세레이터(accelerator)인 가속기(23)와, 브레이크인 감속기(24), 클러치(25) 및 상기 표시등들(21)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들 및 조작장치들에 각각 구비되는 센서로서 상기 장치들의 제어 및 조작되는 정도를 검출한다.
무선송수신부(50)는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선행하는 다른 자동차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54)와, 다른 자동차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52)로 구성된다.
패널부(40)는 자동차 운전자가 프로세서부(10)에 내장된 경보하는 메시지를 상응하는 스위칭에 의하여 각각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키(42a)와 알람경고를 발생하는 스피커(46)가 구비되는 조작부(42)와, 조작부(42)에 의하여 선택된 메시지를 문자로서 표시하는 액정(LCD)출력부(44)로 구성된다.
출력부(30)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1)의 점등에 의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문자부(32)와, 문자부(32)의 양쪽단부에서 복수개로 되고, 삼각형상으로 되는 발광다이오드(31) 점등에 의하여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부(34)와, 프로세서부(10)의 제어에 의하여 문자부(32) 및 방향지시부(34)의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을 제어하는 구동회로인 구동부(36)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를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는 주행중인 자동차의 운전조작 정보 즉, 가속기(23) 및 감속기(24) 등의 제어장치에 구비된 각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20)로부터 검출되는 자동차의 가속상태, 정속상태, 감속상태 등에 관련되는 메시지를 출력부(30)로 출력한다. 출력부(30)는 발광다이오드(LED)의 점등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문자로서 표시함으로써 자동차 운전정보를 후방의 자동차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출력부(30)는 자동차의 후면유리 내측에서 자동차의 후방방향으로 설치된다.
프로세서부(10)는 본 고안의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중앙통제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운전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도시되지 않은 롬 또는 램 등으로 구성되는 메모리소자, 중앙처리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집적회로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부(10)는 패널부(40)에 내장되기 때문에 도 2에서는 패널부(40)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패널부(40)는 자동차의 운전자의 시야에서 문자와 키(42a)를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계기판에 근접되어 구비된다.
센서부(20)에서 검출되는 신호는 프로세서부(10)로 인가되고, 자동차의 운행과 관련된 복수개의 메시지가 저장된 프로세서부(10)는 인가된 신호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출력부(30)의 문자부(32) 또는 패널부(40)의 액정출력부(44)로 출력한다.
또한, 자동차의 전면부와 후면부, 바람직하게는 범퍼(bumper)에 각각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22)는 전방 및 후방에서 주행중인 자동차와의 안전거리를 감지한다. 거리감지센서(22)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는 프로세서부(10)로 인가되며, 프로세서부(10)는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패널부(40) 및 출력부(30)에 표시한다. 특히, 동시에 패널부(40)에 구비되는 스피커(46)에서는 경고음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서 안전거리 미확보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추돌사고를 예방하도록 자동차의 운전상황을 운전자 또는 후방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되는 것이다.
무선송수신부(50)는 전방에서 졸음운전으로 추정되는 자동차 또는 갑자기 끼여들기, 급차선변경 등의 정상운전 상태가 아닌 자동차에게 경고를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무선송신부(54)를 통하여 비정상적 운전상태로 주행중인 상대 자동차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무선수신부(52)로 신호를 인가한다.
무선수신부(52)로 신호를 수신한 비정상적인 운전상태로 주행중인 상대 자동차는 구비된 운전정보 표시장치의 패널부(40)에서 알람경고와 동시에 "주의 안전운전" 등의 문자로 형성되는 경고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서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유도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운전정보 표시장치는 자동차의 각각의 제어장치에 구비된 센서에 의하여 관련데이터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엔진의 회전수, 자동차의 주행속도, 클러치, 감속기 및 가속기 페달의 작동정도 및 상태, 도시되지 않은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상태, 주행중인 자동차의 전후방의 자동차와의 거리 데이터 등이 각 장치에 구비된 센서인 센서부(20)에서 검출되어 프로세서부(10)로 인가되거나 또는 각 장치의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하는 전자제어 유니트(unit)의 데이터가 프로세서부(10)로 인가된다.
즉, 엑세레이터인 가속기(23)를 밟게되면, 엔진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드로틀밸브의 열림 각도가 변화되어 엔진의 회전수가 변화되거나 또는 클러치(25)의 제어에 의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변화된다. 따라서 클러치(25), 가속기(23), 감속기(24) 및 상기 드로틀밸브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자동차의 운행정보를 알 수 있는 데이터를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감속기(24)인 브레이크의 작동정도는 유압의 변화에 따라서 달라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브레이크의 작동을 온오프로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주차브레이크에는 온 또는 오프를 검출하는 온오프 검출센서를 구비하며, 가속기(23)에는 회전하는 드로틀밸브의 열리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틀밸브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검출용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크게 변화되는 급출발인 경우 예를 들면, 출발직후 엔진의 회전수가 2500rpm을 넘게되는 급가속의 경우에는 센서부(20)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가 프로세서부(10)로 입력된다. 그러면, 프로세서부(10)는 출력부(30)의 문자부(32)에는 "가속주행중"이라는 문자정보가 출력되도록 출력부(30)의 구동부(36)를 제어한다.
엔진의 회전수가 2500rpm 이하로 정속출발인 경우에는 센서부(20)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가 프로세서부(10)로 입력되고, 프로세서부(10)는 출력부(30)의 문자부(32)에 "정상 주행중"이라는 문자가 출력되도록 구동부(36)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출력부(30)에 문자가 출력되면, 동시에 패널부(40)의 액정출력부(44)에도 동일한 문자가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된 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문자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한편, 센서부(20)의 신호검출에 의한 문자출력 중이라도, 운전자가 패널부(40)의 조작부(42)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키(42a)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도로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운전정보에 따른 메시지를 출력부(30)와 패널부(4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출력부(30)를 구성하는 문자부(32) 및 방향지시부(34)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1)를 구비하고, 발광다이오드(31)의 점등에 의하여 자동차의 운행과 관련되어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정보를 표시한다. 즉, 도트프린터(dot printer)에서 도트를 이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31)가 문자의 각 도트를 형성하여 문자를 표시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출력부(30)가 지지되는 지지대(38)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도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출력부(30)는 지지대(38)가 없이 자동차에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방향지시부(34)는 문자부(32)의 좌우측의 단부에서 발광다이오드(31)의 점등에 의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표시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1)로 이루어지는 방향지시부(34)의 전체 형상은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삼각형상이 바람직하다. 출력부(30)는 자동차의 후면유리 내측에서 자동차의 후방방향으로 문자부(32)와 방향지시부(34)를 구비하기 때문에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운전정보에 관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출력부(30)에서 발광다이오드(31)의 점등에 의하여 문자로 형성되는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1)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회로(driver circuit)로서 구동부(36)가 구비된다. 구동부(36)는 발광다이오드(31)의 주기적 또는 일정시간동안의 점등 및 발광다이오드(31)에서 발광되는 색상 등을 제어하는 다이오드 구동회로이다.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31)의 색상과 주기적인 점멸에 의하여 형성되는 메시지는 주변의 자동차에게 메시지를 전달함에 있어서, 야간에 효과가 더욱 향상됨은 자명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패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부(40)는 운전석의 우측전면부에 구비되어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또한, 패널부(40)는 운전자가 키(42a)를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키(42a)와 알람경보를 울릴 수 있는 스피커(46)가 구비되는 조작부(42)와 문자가 출력되는 액정출력부(44)로 구성된다.
조작부(42)에 구비되는 키(42a)에 의하여 자동차 운전자가 프로세서부(10)에 내장된 메시지를 액정출력부(44)에 표시되는 문자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다른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키(42a)에 의하여 선택된 운전정보는 LCD 표시기인 액정출력부(44)와 출력부(30)의 문자부(32)로 동시에 출력된다. 복수개의 키(42a) 중에는 알람경보를 할 수 있는 키(42a)가 구비된다. 즉, 알람경보 키를 조작하는 다른 자동차의 운전자에 의하여 무선으로 송신되고, 무선수신부(52)를 통하여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스피커(46)에서 경고음이 발생되어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킨다.
상기 조작부(42)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키(42a)는 각각에 해당하는 운전정보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키(42a)를 조작하여 자동차가 주행중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운행상황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선택하여 이를 출력부(30)의 문자부(32)와 패널부(40)의 액정출력부(44)로 출력하게 된다.
패널부(40)의 조작부(42)를 제어함으로써 자동차 운전자는 주행중에 도로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메시지를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알릴 수 있으며, 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경고메시지 또는 경고알람으로서 알린다.
본 고안을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드로틀밸브의 작동정도와 속도메터에 구비되는 차속센서 등의 센서로부터 자동차의 정속주행과 가속주행 등의 속도를 검출하고, 거리감지센서(22)는 전방에서 주행중인 자동차와의 거리를 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되는 신호는 프로세서부(10)로 인가되는데, 프로세서부(10)는 상기 정속주행과 가속주행 또는 자동차간의 거리에 따라서 선택되는 메시지를 출력부(30)의 문자부(32)와 패널부(40)의 액정출력부(44)로 출력한다.
문자부(32)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는 정속주행인 경우에는 "정상 주행중" 등의 메시지가 발광다이오드(31)에 의하여 형성됨으로써 후방에서 운행중인 자동차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며, 가속주행인 경우에는 "가속 주행중" 등의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들은 패널부(40)의 액정출력부(44)에도 동시에 출력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메시지 출력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거리감지센서(22)에 의하여 자동차간의 거리가 근접되는 경우에는 "주의, 안전거리 유지" 등으로 출력되는 메시지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20)의 센서동작에 의하여 검출되지 않는 상황인 경우 즉, 다른 자동차의 급차선변경 또는 도로상에서 발견된 사고상황을 후방의 차량에 전달하는 경우에는 패널부(40)에 구비된 복수개의 키(42a)를 운전자가 직접 조작한다. 이때 패널부(40)의 복수개의 키(42a)는 미리 프로그램된 "전방 차량정체", "교통법규준수" 등의 메시지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각각의 키(42a)에 해당하는 메시지가 정의되어있다. 따라서 키(42a)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메시지를 즉시 문자부(32)와 액정출력부(44)에 출력할 수 있어서 후방의 다른 자동차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 전방에서 졸음운전 등으로 추정되는 비정상 운전되는 자동차가 발견되면, 무선송수신부(50)의 무선송신부(54)에서 적외선 등으로 되는 신호 전송에 의하여 상기 비정상 운전되는 자동차로 알람경고를 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정상 운전되는 자동차의 운전정보 표시장치의 패널부(40)에 구비된 스피커(46)에서 경고음을 발생하여 알람경고를 한다.
상기와 같이 안전운행을 위하여 출력되는 메시지는 프로세서부(10)에서 미리 프로그램됨으로써 다양하게 저장할 수 있다. 다음의 메시지에 의하여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비상사태에 대비하는 메시지뿐만이 아니라 교통법규를 준수할 수 있도록 계도하는 해당 메시지를 출력부(30)를 통하여 출력하여서 후방에서 주행중인 다른 자동차의 교통법규 준수를 유도한다.
즉, "고속주행중", "안전거리확보", "급브레이크 작동", "차선변경", "빗길 미끄럼 주의", "전방 차량정체", "빙판길 감속주행", "교통법규준수", "안전운전 생활화", "정지선 준수" 및 "신호를 지킵시다" 등으로서 교통안전에 대한 준법정신을 고취시켜서 교통안전 문화를 지도할 수 있다. 자동차 정지상태에서는 센서감지에 의한 문자정보는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교통안전 메시지를 도로상을 운행하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패널부(40)의 키(42a)를 조작함으로써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부(10)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부(30)에서 문자로서 표시되는 상기 메시지들은 발광다이오드(31)의 점등되는 색상을 변화시켜서 메시지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함으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자동차에게 보다 명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31)에서 발광되는 색상은 자동차의 정상주행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하고, 급가속 또는 급브레이크 등의 비정상주행인 경우에는 황색 또는 적색으로 하며, 발광다이오드의 점등되는 시간을 주기적으로 하여 점등시킴으로서 시각적으로 주변에서 주행중인 자동차들에게 운행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행중인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운행정보를 운전자가 선택하거나 자동차에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얻어지는 정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전방과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에게 제공하고, 도로 상황 또는 운전자의 판단에 의한 발광다이오드의 점등에 따라서 형성되는 문자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자동차 주행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제어되는 정도를 계기와 표시등으로 표시하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되는 정도를 검출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부(20);
    내장되는 메모리에 미리 프로그램된 복수개의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선택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원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는 프로세서부(10);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1)를 구비하여, 상기 프로세서부(1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메시지와 방향을 상기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1)의 점등에 의하여 표시하는 출력부(30); 및
    상기 프로세서부(1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패널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40)는 상기 프로세서부(10)에 저장된 복수개의 메시지 중에서 상기 운전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키(42a)를 구비하며, 상기 키(42a)에 의하여 선택된 메시지에 상응하는 운전정보를 상기 출력부(30) 및 상기 패널부(40)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는
    자동차의 전면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른 자동차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54); 및
    자동차의 후면부에 구비되어서 다른 자동차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수신부(52)로 구성되는 무선송수신부(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40)는
    상기 프로세서부(10)에 내장된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자동차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복수개의 키(42a)와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46)가 구비되는 조작부(42); 및
    상기 조작부(42)에서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된 메시지와, 상기 프로세서부(10)에서 선택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액정출력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자동차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선행 자동차 또는 후행 자동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KR2019980013401U 1998-07-21 1998-07-21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KR200000032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401U KR20000003290U (ko) 1998-07-21 1998-07-21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401U KR20000003290U (ko) 1998-07-21 1998-07-21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290U true KR20000003290U (ko) 2000-02-15

Family

ID=6951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401U KR20000003290U (ko) 1998-07-21 1998-07-21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2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29B1 (ko) * 2008-08-09 2011-06-22 왕 제임스 자동차 안전 장치
KR102156907B1 (ko) * 2020-03-31 2020-09-16 권기혁 블랙 아이스 경보 알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829B1 (ko) * 2008-08-09 2011-06-22 왕 제임스 자동차 안전 장치
KR102156907B1 (ko) * 2020-03-31 2020-09-16 권기혁 블랙 아이스 경보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5073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raffic signals and alerting drivers
US20070159311A1 (en) Vehicle separation warning device
US8022818B2 (en) Warn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6933839B2 (en) Vehicle safety system
US7859391B1 (en) Auxiliary brake light system for automobiles and associated method
WO2018145489A1 (zh) 盲区监测方法和带有盲区监测的车牌架装置和后视镜
US20070008095A1 (en) Intelligent brake light system
KR101573767B1 (ko) 비상 주차 차량의 안전 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30197606A1 (en) Vehicle rear light warning system
KR20000003290U (ko) 자동차 운전정보 표시장치
JPH1086697A (ja) 車両制御システムの警報装置
EP0997344A2 (en) A device displaying the speed of a vehicle, moment by moment, in such a manner as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GB2254509A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KR101949650B1 (ko) 주행중 자동차 제동 알림 안전 장치
KR100535398B1 (ko)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표시장치
JPH05124459A (ja) 走行情報表示装置
US8179240B1 (en) Motorcycle detection and notif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2070320B1 (ko) 신호변경에 따른 운전자 안전운행 가이드 시스템
KR200395097Y1 (ko) 자동차의 제한속도 경고 장치
KR20010107461A (ko) 백미러에 디지털표시장치 및 후방감지센서를 설치하고자동차 후방범퍼에 설치된 후방감지센서를 통합하여백미러에 설치된 디지털표시장치에 자동차의 후방상태를표시해주는 방법 및 작동방법
KR20160021944A (ko) 센서를 이용한 차선 이탈 경보 장치 및 방법
JPH0953955A (ja) 車両用メータ
US20080224860A1 (en) Seatbelt fault alert system
KR101896653B1 (ko) 차량용 알림 시스템
KR100706377B1 (ko) 자동차의 갓길 정차용 비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