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653B1 - 차량용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653B1
KR101896653B1 KR1020170093640A KR20170093640A KR101896653B1 KR 101896653 B1 KR101896653 B1 KR 101896653B1 KR 1020170093640 A KR1020170093640 A KR 1020170093640A KR 20170093640 A KR20170093640 A KR 20170093640A KR 101896653 B1 KR101896653 B1 KR 101896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information
control unit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용
Original Assignee
김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용 filed Critical 김찬용
Priority to KR102017009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4Vehicl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판; 상기 알림판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부; 상기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GPS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판은, 상기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가속알림부; 및 상기 차량이 감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비상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 속도, 가속도 상태, 감속 상태 등과 같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타 차량에 보다 상세하게 표시함으로써, 본인의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알림 시스템{INFORMING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자신이 운행하는 차량의 상태를 후방의 차량에 알리기 위한 차량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자신의 운행 상태를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은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차량에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등화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은 차량의 운행 상태를 다른 차량에 안내하기 위해 방향표시등 및 브레이크등이 구비된다.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기 위해 해당 방향의 방향지시등을 선택하면, 선택된 방향에 위치한 방향지시등이 점멸한다. 그리고 차량의 운전자가 정지하거나 운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량의 브레이크등이 발광된다.
그에 따라 차량의 운전상태를 다른 차량에게 안내하여 사고를 줄이고자 한다. 하지만, 이렇게 차량의 운전상태를 다른 차량에 안내하더라도, 주변 상황에 따라 다른 차량에서 차량의 운전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일례로, 앞뒤 차량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해 돌발상황 발생시 뒷차량이 앞차량을 추돌할 수 있다. 또한, 안개 등으로 인해 시계 확보가 안되는 경우에도 안전거리에 대한 확보가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그에 따라 뒷차량을 포함한 다른 차량에 운행 상태를 추가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870호가 있다(이하, 선행문헌). 선행문헌은, 차량의 운행 상태를 GPS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다른 차량에 안내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본인이 운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다른 차량에 안내할 수 있지만, 뒷차량에 대한 정보는 룸미러나 사이드미러 등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뒷차량의 운전자의 졸음 운전이나 음주 운전 또는 휴대포 사용 운전 등과 같이, 정상적인 운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로 인해 앞뒤 차량의 안전거리가 확보되기 어려울 때, 방어운전이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2870호 (2009.12.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신이 운행하는 차량에 대한 운행 정보를 타 차량에 안내하고, 타 차량에 대한 운행 정보를 보다 능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차량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판; 상기 알림판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부; 상기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시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GPS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판은, 상기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가속알림부; 및 상기 차량이 감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비상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후방에 운행되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초음파센서부; 및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안내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감지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안전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거리 이내이면 상기 비상알림부의 표시 및 상기 음향출력부에서의 안내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감지된 후방 차량이 흔들림 주기 및 진폭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비상알림부의 표시 및 상기 음향출력부에서의 안내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부를 통해 도로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급감속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가속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부에서 상기 차량의 급감속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알림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방향은 화살표 표시 또는 막대 형상의 순차 점멸 표시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비상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알림판이 비상상황을 알리는 정보의 표시 또는 상기 음향출력부에서의 안내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 속도, 가속도 상태, 감속 상태 등과 같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타 차량에 보다 상세하게 표시함으로써, 본인의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과의 안전거리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운전자에게 안내함으로써, 룸미러나 사이드미러를 통해 미처 확인하지 못한 후방 차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능동적으로 운전자에게 안내하여, 운전자가 방어운전을 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의 알림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판에 표시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알림판(120), 음향출력부(130), 차량부(140), 가속도센서부(150), 초음파센서부(160), GPS부(170) 및 입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차량부(140), 가속도센서부(150), 초음파센서부(160) 및 GPS부(170)를 통해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알림판(120)을 통해 정보가 표시되거나 음향출력부(130)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도록 알림판(120) 및 음향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알림판(12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차량(200)의 ECU 등과 같은 전자장치와 통합될 수도 있다.
알림판(120)은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차량(200)의 가속 상태, 차량(200)의 운행 속도, 차량(200)의 감속 상태, 운행 방향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비상 시, 점멸 등을 통해 비상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알림판(120)은 차량(200)의 운행 상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다른 차량에 안내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알림판(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0)의 후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판(1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다.
음향출력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다른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음향출력부(130)는 후방에 있는 차량이 안전거리를 유지하지 않고, 일정 거리 이내로 오는 경우, 이에 대한 안내를 음성이나 경고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음향출력부(130)는 "삐삐"와 같은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고, "안전운전 하세요"와 같은 안내 멘트가 출력될 수도 있다.
또는 음향출력부(130)는 후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의 운행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에도 경고음이나 안내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타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판단은 제어부(110)에서 이루어지며, 제어부(110)는 초음파센서부(16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타 차량에 대한 운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부(140)는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200)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0)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200)의 ECU일 수 있다. 차량부(140)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가속하는지를 확인하여, 차량(200)의 가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고, 차량(200)의 운행 속도에 대한 정보 및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감속하는지를 확인하여 차량(200)의 감속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부(150)는 차량(200)의 갑작스런 운행 상태가 변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가속도센서부(150)는 운행 중인 차량(200)이 급격하게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제어부(110)는 가속도센서부(150)에서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알림판(120)에 급감속 상태를 다른 차량에게 알리기 위해 알림판(120)을 제어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부(160)는 차량(200)의 후방에서 운행되는 다른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다른 차량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고, 본인 차량(200)이 터널 진입여부 등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초음파센서부(160)는 초음파를 발생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방출하고, 방출된 방향에 있는 차량에서 반사되어 회귀하는 초음파를 감지한다. 초음파센서부(160)는 규칙적으로 초음파를 방출할 수 있고, 초음파의 방출 및 회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초음파센서부(160)에서 방출되어 회귀하는 초음파 신호의 시간 간격 등을 이용하여 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고, 후방에 위치한 차량의 좌우 흔들림 등과 같은, 주기나 진폭을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후방 차량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음향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는 이렇게 후방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면, 후방 차량에 경고하기 위해 차량(200)의 경적을 울리는 등의 행위로 차량의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알림판(120)을 제어하여, 후방의 차량이 일정 거리 이상의 안전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알림판(120)의 비상알림부(123)가 점멸되는 등과 같이 알림판(1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200)이 굴다리나 터널에 통과하면, 초음파센서부(160)에서 측정되는 회귀 신호가 빠른 속도록 회귀된다. 이는, 굴다리나 터널의 벽 등에 반사되는 속도가 일반 도로보다 빠르기 때문인데,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초음파센서부(160)에서 측정된 회귀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200)이 굴다리 또는 터널을 통과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안내하도록 음향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GPS부(170)는 항법위성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도로의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GPS부(17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200)의 바퀴 회전수와 실제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도로가 빗길이거나 눈길 또는 결빙이면, 차량(200)의 이동 거리가 차량(200)의 바퀴 회전수에 비해 짧아지므로, 제어부(110)는 차량(200)의 이동 거리와 바퀴 회전수를 이용하여 도로가 빗길, 눈길 또는 결빙 등과 같은 슬림 상태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차량 간의 안전거리를 평소보다 2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등 차량(200)이 안전 운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안전거리는 제어부(110)에서 설정하며, 차량(200)의 운행 속도 및 도로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차량(200)의 운행 속도가 100km/h이면 평소의 안전거리는 100m로 설정될 수 있고, 차량(200)의 운행 속도가 90km/h이면 평소의 안전거리는 90m로 설정될 수 있다.
입력부(180)는 차량(200)의 운전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180)는 차량(200)의 운전자가 강도를 만나는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누를 수 있는 버튼스위치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버튼스위치 등과 같은 입력부(18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알림판(120)에 SOS 등을 표시하거나 음향출력부(130)를 통해 타인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음향을 출력하도록 알림판(120)과 음향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음향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은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80)는 상기 제어부(11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통신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알림 시스템의 알림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판(12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알림판(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알림부(121), 비상알림부(123) 및 표시부(125)로 구분될 수 있다.
가속알림부(121)는 복수의 램프(121a)를 포함할 수 있고, 램프(121a)에서 발광하는 색은 청색 또는 녹색일 수 있다. 가속알림부(121)는 차량(200)의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아 차량(200)이 가속하는 상태인 것을 후방 차량 등과 같은 타 차량에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가속알림부(121)에 포함된 복수의 램프는 가속 페달의 눌리는 정도에 따라 발광되는 램프(121a)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가속알림부(121)에 10개의 램프(121a)가 포함된 경우, 가속 페달의 눌림 정도에 따라 4개의 램프(121a)만 발광하거나 8개의 램프(121a)만 발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속알림부(121)는 비상알림부(123)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가속알림부(12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림판(120)의 양 측면에 배치되거나 하부에 배치되는 등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비상알림부(123)는 표시부(12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상알림부(123)는 복수의 램프(123a)를 포함할 수 있고, 램프(123a)에서 발광하는 색은 적색일 수 있다. 비상알림부(123)는 차량(200)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200)이 감속하는 경우,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차량(200)이 급감속하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반복적으로 점멸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상알림부(123)가 발광되거나 점멸하는 경우, 차량(200)이 감속 또는 급감속된다는 정보를 후방 차량 등에 안내할 수 있다.
비상알림부(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28개의 램프(12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125)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25)는 차량(200)의 속도나 방향지시를 표시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7-세그먼트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200)의 속도 또는 방향지시를 표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CD 등의 표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1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자리를 표시할 수 있는 7-세그먼트 방식이 이용되며, 추가로 방향을 표시할 수 있게 화살표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표시부(125)를 통해 차량(200)의 현재 속도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방향지시등을 작동하면, 해당 방향의 화살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알림판(120)에 표시되는 화살표는, 점멸될 수 있고, 차량(200)의 현재 속도 표시와 번갈아가면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림판에 표시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알림판(120)에 차량(200)의 현재 속도가 표시될 수 있다. 차량(200)의 현재 속도는 차량부(140)에서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10)가 알림판(120)을 제어하여, 표시부(12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은 차량(200)의 현재 속도가 120km/h인 것을 표시한 것이다. 그에 따라 후방 등에 위치한 차량이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200)의 속도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차량(200)의 가감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운전자가 차량(200)을 운행할 때,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관성주행을 하는 경우에 차량(200)의 속도는 점차 감속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으며, 후방 차량은 앞선 차량(200)의 속도가 감속되는 것에 대해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량(200)의 현재 속도를 표시하여, 차량의 안전거리 확보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차량(200)의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아 가속하는 경우에, 다른 차량에서는 가속여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림판(120)에 도 5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으면, 알림판(120)의 가속알림부(121)가 발광함으로써, 다른 차량에서 본인의 차량(200)이 가속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차량(200)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비상알림부(123)가 발광하여, 차량(200)이 감속되는 것을 후방 차량에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가속알림부(121) 및 비상알림부(123)가 발광하는 동안, 표시부(125)는 차량(200)의 현재 속도를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차량(200)이 급감속하거나 후방 차량과의 간격이 미리 설정된 안전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후방 차량에 경고하기 위해 비상알림부(123)가 점멸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200)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더라도 비상알림부(123)가 점멸되도록 제어부(110)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음주 또는 졸음운전을 하는 것으로 제어부(110)에서 판단되면, 비상알림부(123)는 점멸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d)를 참조하면, 차량(200)의 운전자가 차선의 변경,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기 위해 방향지시등을 작동하면, 차량(200)의 방향지시등이 점멸하면서 동시에 알림판(120)에 해당 방향의 화살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알림판(120)에 표시된 화살표는 지속적으로 발광될 수 있거나 점멸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a)에 도시된 현재 속도와 화살표가 번갈아 가면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의 (e)를 참조하면, 차량(200)의 운전자가 입력부(180)를 통해 신호를 발생시키면, 알림판(120)에 "SOS"가 표시되어,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25)가 7-세그먼트 방식을 이용한 것에 대해 설명함에 따라 "SOS"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표시부(125)가 LCD 등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도와주세요'와 같은 문장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알림 시스템
110: 제어부
120: 알림판 121: 가속알림부
123: 비상알림부 125: 표시부
130: 음향출력부 140: 차량부
150: 가속도센서부 160: 초음파센서부
170: GPS부 180: 입력부
200: 차량

Claims (8)

  1. 차량에 설치되며, 차량의 운행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판;
    상기 알림판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차량의 운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차량부;
    상기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GPS부;
    상기 차량의 후방에 운행되는 차량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초음파센서부; 및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안내음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판은,
    상기 차량의 속도 및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차량이 가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가속알림부; 및
    상기 차량이 감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비상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감지된 후방 차량이 흔들림 주기 및 진폭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비상알림부의 표시 및 상기 음향출력부에서의 안내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감지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안전거리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거리 이내이면 상기 비상알림부의 표시 및 상기 음향출력부에서의 안내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알림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부를 통해 도로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설정하는 차량용 알림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급감속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가속도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부에서 상기 차량의 급감속이 감지되면, 상기 비상알림부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알림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방향은 화살표 표시 또는 막대 형상의 순차 점멸 표시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차량용 알림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비상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알림판이 비상상황을 알리는 정보의 표시 또는 상기 음향출력부에서의 안내음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알림 시스템.
KR1020170093640A 2017-07-24 2017-07-24 차량용 알림 시스템 KR10189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40A KR101896653B1 (ko) 2017-07-24 2017-07-24 차량용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640A KR101896653B1 (ko) 2017-07-24 2017-07-24 차량용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653B1 true KR101896653B1 (ko) 2018-09-07

Family

ID=6359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640A KR101896653B1 (ko) 2017-07-24 2017-07-24 차량용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6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833Y1 (ko) * 1995-11-15 2000-04-01 정몽규 자동차의 충돌 사고 예방 장치
KR20000020486U (ko) * 1999-05-07 2000-12-05 신영재 차량 운전상태 알림장치
KR20080010728A (ko) * 2006-07-28 2008-01-31 주승현 자동차용 방향지시 및 속도신호 표시장치
KR20090012870U (ko) 2009-06-03 2009-12-16 이미현 Gps 수신기를 이용한 차량의 후방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833Y1 (ko) * 1995-11-15 2000-04-01 정몽규 자동차의 충돌 사고 예방 장치
KR20000020486U (ko) * 1999-05-07 2000-12-05 신영재 차량 운전상태 알림장치
KR20080010728A (ko) * 2006-07-28 2008-01-31 주승현 자동차용 방향지시 및 속도신호 표시장치
KR20090012870U (ko) 2009-06-03 2009-12-16 이미현 Gps 수신기를 이용한 차량의 후방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9482B2 (en) Travelling support apparatus
JP5613398B2 (ja) 交差点運転支援装置
US20180096601A1 (en) Collision alert system
US20070159311A1 (en) Vehicle separation warning device
JP6590300B2 (ja) 運転支援装置
JP5748030B1 (ja) 衝突回避システム及び衝突回避方法
CN103204166A (zh) 用于闭环驾驶员注意力管理的系统和方法
JP2009531766A (ja) 警告装置および方法
JP2005537587A (ja) 無線により危険警告を行う装置及び方法
WO2017168987A1 (ja) 運転支援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制御装置、車両、プログラム
JP5486254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21046182A (ja) 自動運転車
JP2015212115A (ja) 車両制御装置
US20080125938A1 (en) Automated automobile guidance system
JP2015028672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5310276B2 (ja) 運転支援装置
KR100644813B1 (ko) 자동차용 주행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방법
KR101896653B1 (ko) 차량용 알림 시스템
JP6590299B2 (ja) 運転支援装置
CN113619595A (zh) 一种辅助驾驶方法、装置及系统
KR20060096237A (ko) 자동차의 안전운전 및 자동주행 시스템 및 방법
JP2013186684A (ja) 信号機システムおよび信号情報受信端末
GB2254509A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JP2019048521A (ja) 報知装置
WO2019225371A1 (ja) 路車間通信の路側装置、車側装置およ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