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195A -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195A
KR20000003195A KR1019980024376A KR19980024376A KR20000003195A KR 20000003195 A KR20000003195 A KR 20000003195A KR 1019980024376 A KR1019980024376 A KR 1019980024376A KR 19980024376 A KR19980024376 A KR 19980024376A KR 20000003195 A KR20000003195 A KR 20000003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voltage
power failure
pow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윤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2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195A/ko
Publication of KR20000003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19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8Starting; Accelerating; Decelerating; Arrangements preventing malfunction during drive change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계기능을 구비한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등에서 정전시에도 현재 시각 계속 알 수 있도록 부발진자 및 정전검출부 없이, 정전동안의 시간을 검출하고 정전전의 시각에 상기 검출된 정전시간을 더하여 현재시각으로 보정하는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레벨의 전압을 인가하였다가 차단하면 그 전압이 시간에 대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RC회로로 이루어진 정전시간검출부와 전원이 오프되던 내부 데이타가 지워지지 않은 메모리를 구비하고, 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상기 메모리 현재 시각을 저장한 후, 정전되었다가 전원이 다시 들어오기 시작할 때, 상기 정전시감검출부의 전압으로부터 검출되는 방전시간, 즉, 정전시간을 산출하여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정전전의 시각에 더하여, 현재시각을 보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VTR등과 같이 시계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의 정전후 시각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보상용 발진소자 및 정전여부를 사전에 검출하는 정전검출부를 구비하지 않고도 정전시간을 산출하여 시계의 현재 시각을 보정하는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의 VTR등과 같은 대부분의 가전제품등에는 마이콤기능이 내장되어 시계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VTR의 경우에는 녹화, 예약녹화, 구간재생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시계기능에 의해 나타나는 시각은, 예약녹화, 예약재생시에 예약시간 설정을 위한 기준이 된다.
또한, 이러한 대부분의 가전기기는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정전 등에 의하여 전원이 끊어지는 경우를 대비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도3은 정전시에도 시계기능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고, 도4는 종래의 정전시 이루어지는 처리수순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종래에는 도3에 보인 바와 같이,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31)에 그 마이콤(31)동작을 위한 클럭펄스 등을 만들기 위한 주발진자(X31)와 함께, 비상 정전시에 동작하여 시계의 시간카운팅을 위한 기준펄스를 발생시키는 부발진자(X32)가 접속되고, 마이콤(31)으로 인가되는 전원(5V)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될 때 마이콤(31)으로 리셋신호를 인가하는 리셋부(32)와, 상기 마이콤(31)으로 인가되는 전원(5V)이 일정레벨(예를들어, 5V)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콤(31)에 정전을 예고하는 신호(예, 로우레벨)를 인가하는 정전검출부(33)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주발진자(X31) 및 부발진자(X32)는 발진특성이 안정된 크리스탈발진자를 사용한다.
그리고, 그 동작을 살펴보면, 마이콤(31)은 정전검출부(33)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체크하여(401), 정전검출부(33)의 출력이 로우레벨일때(402), 주발진자(X31)의 발진을 중지시키고, 정전보상용 발진소자인 부발진자(X32)를 발진시켜(404), 시계기능을 계속 동작시킨다(405). 그리고, 상기 부발진자(X32)를 발진시키면서, 정전검출부(33)의 출력이 하이인지를 다시 반복 체크하여, 로우상태인 동안은 상기 부발진자(X32)를 발진시켜 그 클럭신호에 따른 시각 카운팅동작(404,405)을 반복하고, 반대로 전원이 다시 들어와 정전검출부(33)의 출력이 하이레벨이 되면, 부발진자(X32)의 발진을 중지시키고, 주발진자(X31)를 발진시켜 정상상태(정전상태가 아닌 상태)일때의 제어동작을 행한다(407, 408).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정전시에도 시계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부발진자 외에 정정시 동작하는 부발진자를 구비하고, 정전여부를 미리 검출하는 정전검출부가 구비되어야 했으며, 이렇게, 발진특성에 안정성이 높은 크리스탈발진자를 하나더 구비하고, 그외 여러 회로를 구비시킴으로서, 회로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전시의 시계기능유지를 위한 부발진자 및 정전검출부 없이, 정전시간을 검출하고 정전전의 시각에 상기 검출된 정전시간을 더하여 정전에 의하여 틀어진 시계의 시각을 보정할 수 있는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후 시간을 보정하는 장치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2(a),(b)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후 시간을 보정하는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3은 종래의 정전시 시간보정을 위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4는 종래의 정전시 시간을 보정하는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콤
12 ... 리셋부
13 ... 정전시간검출부
14 ... 메모리(EEPROM)
X1 ... 주발진자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주발진자를 구비하고 상기 주발진자의 발진된 클럭신호에 따라서 시계를 동작시키는 마이콤을 구비한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의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이 오프된 후 다시 온될 때 상기 마이콤으로 리셋신호를 인가하는 리셋부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일정레벨의 전압신호를 인가받은 후, 상기 전압이 차단될 때 상기 전압레벨로부터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전압특성을 나타내는 RC회로로 이루어진 정전시간검출부와,
주기적으로 현재 시각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콤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될 때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에 일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현재 시각을 일정시간마다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정전후 다시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의 방전전압으로부터 정전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정전전시간에 더하여 현재시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방법은 주발진자를 구비하고 상기 주발진자의 발진된 클럭신호에 따라서 시계를 동작시키는 마이콤과, 전원이 인가되었다가 차단될 때 전압이 시간경과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되는 정전시간검출부를 구비한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정전후 현재시각보정방법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전원인가시에 일정한 주기로 현재 시각을 저장하며 상기 RC회로에 일정레벨의 전압을 계속인가하는 단계와,
정전후 다시 전원이 인가되기 시작하면, 리셋동작후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의 전압값을 읽어들이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읽어들인 정전시간검출부의 전압값이 보정가능한 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가능한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의 전압에 대응하는 방전시간을 계산하여 시간보정값으로 하고, 정전전에 저장된 현재시각값에 상기 보정값을 더하여 현재시각을 계산하고, 보정가능한 값이 아니면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장치를 보이는 블록도로서, 클럭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주발진자(X1)가 접속되고 전원인가시 상기 주발진자(X1)의 기준클럭에 따라서 시계의 시간을 카운팅하면서 일정 주기마다 현재 시각을 기억시키고, 정전 후 전원이 처음 인가되는 시점에서 B포트로 인가되는 전압으로부터 정전시간을 검출하여 저장된 현재시각에 더하여 현재시각을 보정하는 마이콤(11)과, 상기 마이콤(11)으로 공급되는 전원(5V)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될 때 마이콤(11)으로 리셋신호를 인가하는 리셋부(12)와, 상기 마이콤(11)의 하이(5V)/로우(OV)신호가 출력되는 일반포트(A)에 애노드단이 접속된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 및 마이콤(11)의 내부 A/D변환부(도시생략)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A/D포트(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 소정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C5)와 상기 캐패시터(C5)에 병렬로 연결되며 소정 저항값을 갖는 저항(R1)으로 이루어진 정전시간검출부(13)와, 상기 마이콤(11)의 제어에 따라서 일정 주기마다 현재 시각을 저장하는 메모리(14)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메모리(14)는 EEPROM으로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가 지워지지 않는 것이다.
도1에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때, 상기 마이콤(11)은 주발진자(X1)를 발진시키고 그로부터 발생된 기준클럭에 따라 시계기능을 진행시킨다. 또한, 상기 시계를 동작시키면서 주기적으로 일정 시점마다, 예를 들어, 1초 증가시마다 또는 1분 증가시마다 현재 시각을 메모리(14)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정정검출부(13)에 연결된 일반포트(A)로 하이레벨신호(예, 5V)를 출력하여 정전시간검출부(13)의 캐패시터(C5)에 일정전압이 충전되어 있도록 한다. 이상의 동작은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콤(11)으로부터 인가된 하이레벨신호(5V)는 정전시간검출부(13)의 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시간검출부(13)은 5V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정전 등의 이유로 공급되던 전원이 갑자기 차단되면 마이콤(11)의 동작이 정지된다.
그후, 소정 시간후에 전원이 다시 들어오게 되면, 마이콤(11)으로 동작전원이 인가되어 마이콤(11)이 동작이 재개시하게 되며 동시에 리셋부(12)에서 마이콤(11)으로 리셋신호를 인가받고, 마이콤(11)은 내부 설정을 초기화하여 동작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이때, 메모리(14)는 비휘발성메모리이므로 저장되어 있던 시각데이타는 그대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콤(11)은 정전시간검출부(13)에 연결된 일반포트(A)로 로우레벨신호(0V)를 인가하면서, 정전시간검출부(13)에 연결된 A/D포트(B)로부터 전압값을 읽어들인다. 여기에서, 상기 정전시간검출부(13)는 정전으로 인해 마이콤(11)으로부터 인가되던 5V 신호가 차단되면서, 일반포트(A)와는 오픈상태가 되어, 캐패시터(C5)에 충전된 전류는 저항(R1)을 통해 방전된다. 이에 의하여 캐패시터(C5)의 전압은 시간에 대하여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완전히 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캐패시터(C5)의 용량값과 저항(R1)의 저항값의 곱으로 결정되는 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콤(11)은 A/D포트(B)로 읽어들인 정전시간검출부(13)의 전압값으로부터 정전된 후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를 계산한다. 여기에서, 마이콤(11)에는 정전시간검출부(13)의 저항값과 용량값으로 결정되는 시간경과에 따른 전압변화를 나타내는 함수가 미리 기억되어 있으며, 이러한 함수에 상기 A/D포트(B)로부터 읽어들인 전압값을 대입하여 정전시간을 계산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계산된 정전시간을 메모리(14)에 기억되어 있던 정전시의 시각에 더하여, 현재 시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동작, 즉 주발진자(X1)의 발진에 의해서 발생된 기준클럭에 따라서 시각카운팅동작을 시작하면서, 정전검출부(13)에 연결된 일반포트(A)에 다시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정전시간검출부(13)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전압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므로, 일정시간 이후에서는 전압변화가 거의 없는 구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RC회로에서 시간에 대해 급격한 전압변화를 보이는 구간만을 시각보정이 가능한 구간으로 설정하고, 그 이후는 시각보정이 불가능한 구간으로 설정하여 현재시각에 대한 보정없이 시각데이타를 초기화(예를들어, 12:00:00)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전시간검출부(13)에 의하여 보정가능한 시간은 대략 수분이내가 된다.
도2(a),(b)는 상기 마이콤(11) 및 정전시간검출부(13)에 의한 현재 시각보정방법을 처리수순에 따라 보이는 플로우챠트로서, 이를 참조하여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a)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처리로서, 시간흐름에 따라 시계기능을 동작시키고(211), 상기에서, 설정된 증가시점이 되면(212), 예를 들어 1초 증가시점이 되면, 증가된 현재 시각을 저장한다(213). 이상의 동작은 전원공급이 차단되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항시 현재 시각을 기억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도2(b)는 정전후 전원이 다시 인가되었을 때의 처리로서, 전원이 온되면(221), 리셋동작을 한 후(222), B포트(A/D포트)를 통해 정전시간검출부(13)의 전압값을 읽어들인다(223), 그리고, 읽어들인 전압값이 기준값(이 기준값은 정전시간검출부(13)의 RC시정수에 근거하여 시간변화에 대해 레벨변화가 거의 없는 최대 전압값으로 설정된다)보다 작은지를 비교함에 의하여 시각보정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24). 상기에서 시각보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시계의 시각데이타를 초기값(예를 들어, 12:00:00)으로 초기화시키고(225), 반대로 현재시각 보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정전시간검출부(13)의 방전전압에 대응하는 방전시간을 계산하여 이를 보정값으로 하고(226), 상기 도2(a)의 처리에 의하여 기억되어 있던 정전전의 현재 시각을 읽어들여(227), 상기 보정값과 정전전의 시계값을 더하여 그 결과값을 현재시각으로 정한다(228).
상기와 같이, 시계의 시간값이 초기화되거나(225), 정전시간이 더해서 보정되면(228), 이렇게 결정된 값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를 동작시킨다(229), 그리고, 다음의 정전에 대비하여 정전시간검출부(13)로 하이례벨신호를 출력한다(23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전전에 현재 시각을 기억해 두고, 정전으로 전원이오프됨에 의해서 방전하는 RC회로의 방전전압으로부터 방전시간, 즉 정전시간을 계산하고, 기억시켜 둔 정전시의 시각에 상기 정전시간을 더하여 현재시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정전을 미리 검출하는 정전검출부나 원래의 주 발진소자외에 정전보상용으로 부발진소자를 하나 더 구비할 필요없이 정전후의 시각보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주발진자를 구비하고 상기 주발진자의 발진된 클럭신호에 따라서 시계를 동작시키는 마이콤을 구비한 비디오테이프 레코더의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이 오프된 후 다시 온될 때 상기 마이콤으로 리셋신호를 인가하는 리셋부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일정레벨의 전압신호를 인가받은 후, 상기 전압이 차단될 때 상기 전압레벨로부터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전압특성을 나타내는 RC회로로 이루어진 정전시간검출부와,
    주기적으로 현재 시각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콤이 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될 때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에 일정레벨의 전압을 인가하면서 현재 시각을 일정시간마다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정전후 다시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의 방전전압으로부터 정전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전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정전전시간에 더하여 현재시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시간검출부는 상기 마이콤의 하이/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는 일반포트에 애노드가 연결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 및 상기 마이콤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의 입력포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는 캐패시터와, 상기 캐패시터와 다이오드의 접점과 접지사이에 구비되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장치.
  3. 주발진자를 구비하고 상기 주발진자의 발진된 클럭신호에 따라서 시계를 동작시키는 마이콤과, 전원이 인가되었다가 차단될 때 전압이 시간경과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되는 정전시간검출부를 구비한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정전후 현재시각보정방법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전원인가시에 일정한 주기로 현재 시각을 저장하며 상기 RC회로에 일정레벨의 전압을 계속인가하는 단계와,
    정전후 다시 전원이 인가되기 시작하면, 리셋동작후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의 전압값을 읽어들이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읽어들인 정전시간검출부의 전압값이 보정가능한 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보정가능한 값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압값에 대한 상기 정전시간검출부의 전압에 대응하는 방전시간을 계산하여 시간보정값으로 하고, 정전전에 저장된 현재시각값에 상기 보정값을 더하여 현재시각을 계산하고, 보정가능한 값이 아니면 초기값으로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가능한 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정전시간검출부에서 방전시 시간변화에 대해 전압레벨변화가 거의 없는 구간을 보정불가능한 구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읽어들인 RC회로의 전압값이 상기 구간내에 있으면 시각보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간내에 있지 않으면 시각보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후 현재 시각 보정 방법.
KR1019980024376A 1998-06-26 1998-06-26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장치 및 방법 KR20000003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376A KR20000003195A (ko) 1998-06-26 1998-06-26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376A KR20000003195A (ko) 1998-06-26 1998-06-26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95A true KR20000003195A (ko) 2000-01-15

Family

ID=1954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376A KR20000003195A (ko) 1998-06-26 1998-06-26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1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664B1 (ko) * 2000-10-31 2006-11-0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시측 장치로서 사용가능한 무배터리 무발진기형 2진 시간 셀, 그 셀의 프로그래밍 방법, 장치 및 그에 관련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9753819B2 (en) 2014-11-11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557927A (zh) * 2020-12-01 2021-03-26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电池静置时间的确定方法
CN113534937A (zh) * 2020-04-20 2021-10-2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单片机静电冲击复位检测恢复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664B1 (ko) * 2000-10-31 2006-11-03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시측 장치로서 사용가능한 무배터리 무발진기형 2진 시간 셀, 그 셀의 프로그래밍 방법, 장치 및 그에 관련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11176551B2 (en) 2000-10-31 2021-1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rological functions in commercial transactions using time cells
US9753819B2 (en) 2014-11-11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534937A (zh) * 2020-04-20 2021-10-2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单片机静电冲击复位检测恢复装置及控制方法
CN112557927A (zh) * 2020-12-01 2021-03-26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电池静置时间的确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5869A (en) Battery pack and a method for monitoring remaining capacity of a battery pack
AU595228B2 (en) Apparatu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US9467090B2 (en) Semiconductor device
US6788159B2 (en) Temperature compensated oscillator, adjusting method thereof, and integrated circuit for temperature compensated oscillator
KR900001444B1 (ko) 내연기관 제어장치
EP23622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actual minimum operating voltage for a microprocessor control unit
EP0505951B1 (en) Microcomputer power failure control circuit
KR20000003195A (ko) 정전후 현재시각 보정장치 및 방법
JP4504804B2 (ja) 不揮発性メモリにおけるテレビジュンパラメーターの停電前記憶
US5831347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if the duration of a power failure exceeded predetermined limits
KR100382747B1 (ko) 전자장치
US5652836A (en) CPU reset circuit
US6532195B1 (en) Clock saver apparatus and methods
JP2805620B2 (ja) 電子機器
MXPA02011874A (es) Arreglo vigilante.
KR950003343B1 (ko) 시간기록유지장치 및 그 기록유지방법
KR20000003197A (ko) 비데오카세트레코더의 정전 전 상태 유지방법
JPH024526Y2 (ko)
CN115167650A (zh) 设备累积使用时间记录方法及记录装置
JPS5952324A (ja) 停電・復電検知回路
JPH1065569A (ja) 無線通信機のリセット装置
JP3250608B2 (ja) 電気機器の保護回路
JPH0782096B2 (ja) 使用時間記録装置
JPH10340576A (ja) 電子機器
CN116482564A (zh) 电源检测装置与电源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