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659U -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659U
KR20000002659U KR2019980012578U KR19980012578U KR20000002659U KR 20000002659 U KR20000002659 U KR 20000002659U KR 2019980012578 U KR2019980012578 U KR 2019980012578U KR 19980012578 U KR19980012578 U KR 19980012578U KR 20000002659 U KR20000002659 U KR 200000026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ir
windshield
driv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률
Original Assignee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무
Priority to KR2019980012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659U/ko
Publication of KR20000002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659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는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되어 운전자의 시계에 지장을 주는 경우 운전자가 모드 선택부를 윈드실드로 공기를 토출하는 디프로스트(defrost)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foot) 모드로 선택하면 외기로 자동 절환시키거나 또는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컴프레서(compressor)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는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된 경우 운전자가 디프로스트 모드, 디프로스트/푸트 모드 등을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운전자가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선택하는 송풍 선택부와,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와 송풍 선택부가 선택되면 통풍 상태가 내기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외기 모드로 자동으로 절환시키도록 하는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에어컨이 장착된 경우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B 제어부와, PCB 제어부에서 출력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통풍 상태를 외기 모드로 절환시키는 내외기 통풍 구동부와, PCB 제어부에서 출력된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컴프레서를 구동시켜 찬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컴프레서 구동부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모드 선택부를 디프로스트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 모드로 선택하면 자동으로 외기 모드로 절환시킴과 동시에 컴프레서를 강제로 구동시켜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제거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윈드실드(windshield)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되어 운전자의 시계에 지장을 주는 경우 운전자가 모드 선택부를 윈드실드로 공기를 토출하는 디프로스트(defrost)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foot) 모드로 선택하면 외기로 자동 절환시키거나 또는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컴프레서(compressor)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할 때 비 또는 눈이 오는 경우에는 습도가 높아지고 그로 인해 차량 내부에도 습기가 많이 차게 되어 윈드실드가 뿌옇게 흐려져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
그리고 실내외의 온도차가 큰 경우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호흡에 의해서도 차량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어 윈드실드가 뿌옇게 흐려지므로 전방의 시계가 불량하여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차량 내에 설치된 복수의 에어 벤트를 통해 공기를 송풍시켜 습기를 제거하게 되지만, 이는 습기 제거 효과가 크게 떨어졌다.
따라서 전방 시계를 빠른 시간 내에 확보하기 위해 에어컨이나 히터를 틀어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빨리 제거시키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및 히터에서 출력되는 바람이 덕트(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차량 내부 공간 및 윈드실드(4)로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 벤트 루버(2) 및 에어 벤트(3)가 인스트루먼트 패널(1)의 전면 및 상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어의 측면에도 에어 벤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형차의 경우 뒷좌석에도 에어 벤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스트루먼트 패널(1)에는 에어컨 및 히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에어컨/히터 동작부(5)와, 에어컨 및 히터를 동작시킬 경우 에어 벤트 루버(2) 및 에어 벤트(3)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선택하는 송풍 선택부(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송풍 선택부(6)는 에어컨 및 히터가 동작되지 않더라도 운전자가 조작하게 되면 에어 벤트 루버(2) 및 에어 벤트(3)를 통해 바람이 토출된다.
모드 선택부(7)는 디프로스트 모드, 디프로스트/푸트 모드, 푸트 모드 등을 운전자가 직접 선택하여 자동차 내부의 각 공간으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한다.
내외기 통풍 조절부(8)는 내/외기 절환을 선택하면 에어 벤트 루버(2) 및 에어 벤트(3)를 통해 바람이 토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 또는 눈 등의 환경 조건 또는 실내외의 온도차로 인한 운전자 및 동승자의 호흡에 의해 차량의 윈드실드(4) 내측면에 습기가 발생되어 운전자의 전방 시계가 흐려지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는 모드 선택부(7)를 디프로스트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 모드로 선택한 후 인스트루먼트 패널(1)상에 구비된 에어컨/히터 동작부(5)와 송풍 선택부(6)를 조작하여 에어컨이나 히터가 작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에어컨/히터에서 출력되는 바람이 덕트와 에어 벤트(3)를 통해 차량 내부 공간 및 윈드실드(4)의 상향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윈드실드(4)에 발생되었던 습기가 에어 벤트(3)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는 운전자가 모드 선택부를 디프로스트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 모드로 선택한 후에도 내외기 절환 및 컴프레서 구동 여부를 일일이 선택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공조기능을 잘 모르는 운전자가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제거할 때 외기 모드가 아닌 내기 모드로 선택하거나 또는 에어컨을 구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습기가 제거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습기제거 기능에 대한 운전자의 불만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되어 운전자의 시계에 지장을 주는 경우 운전자가 모드 선택부를 윈드실드로 공기를 토출하는 디프로스트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 모드로 선택하면 외기로 자동 절환시키거나 또는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컴프레서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드 선택부 20 : 송풍 선택부
30 : 송풍 팬 40 : PCB 제어부
50 : 내외기 통풍 구동부 60 : 컴프레서 구동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는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된 경우 운전자가 디프로스트 모드, 디프로스트/푸트 모드 등을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운전자가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선택하는 송풍 선택부와, 운전자에 의한 송풍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동작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 팬과,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와 송풍 선택부가 선택되면 통풍 상태가 내기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외기 모드로 자동으로 절환시키도록 하는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에어컨이 장착된 경우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B 제어부와, PCB 제어부에서 출력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통풍 상태를 외기 모드로 절환시키는 내외기 통풍 구동부와, PCB 제어부에서 출력된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컴프레서를 구동시켜 찬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컴프레서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선택부(10)는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된 경우 운전자가 디프로스트 모드, 디프로스트/푸트 모드 등을 선택한다.
송풍 선택부(20)는 운전자가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송풍 팬(30)은 운전자에 의한 송풍 선택부(20)의 선택에 따라 동작되어 바람을 발생시킨다.
PCB 제어부(40)는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10)와 송풍 선택부(20)가 선택되면, 통풍 상태가 내기로 되어 있는 경우 외기 상태로 절환시키도록 하는 절환 제어신호를 후술되는 내외기 통풍 구동부(50)로 출력하며, 에어컨이 장착된 경우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를 후술되는 컴프레서 구동부(60)로 출력한다.
내외기 통풍 구동부(50)는 PCB 제어부(40)에서 출력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통풍 상태를 외기 상태로 절환시킨다.
컴프레서 구동부(60)는 PCB 제어부(40)에서 출력된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컴프레서를 구동시켜 찬바람을 발생시킨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도중 날씨 등의 요인에 의해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되면 운전자는 시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습기를 빠른 시간 내에 제거시켜야 한다.
이 경우 운전자는 우선 모드 선택부(10)의 디프로스트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 모드 등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하면 바람은 윈드실드에만 토출되며, 디프로스트 모드/푸트 모드를 선택하면 윈드실드와 운전자의 다리 쪽으로 바람이 토출된다.
이처럼 모드 선택부(10)의 모드를 선택한 후 운전자는 다단으로 된 송풍 선택부(20)를 조작하여 에어 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선택한다.
그러므로 운전자에 의한 송풍 선택부(20)의 선택에 따라 송풍 팬(30)이 동작되어 바람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모드 선택부(10)와 송풍 선택부(20)가 선택되면 PCB 제어부(40)에서는 통풍 상태가 내기 모드로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내기 모드로 되어 경우에는 자동으로 외기 모드로 절환시키도록 절환 제어신호를 내외기 통풍 구동부(50)로 출력한다.
또한 자동차에 에어컨이 장착된 경우에는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를 컴프레서 구동부(60)로 출력한다.
따라서 내외기 통풍 구동부(50)에서는 PCB 제어부(40)에서 출력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통풍 상태가 자동으로 외기 모드로 절환되고, 컴프레서 구동부(60)에서는 PCB 제어부(40)에서 출력된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컴프레서가 구동되어 찬바람을 발생되어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처럼 컴프레서가 작동될 경우에는 에어컨이 작동되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작동등(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동작되지 않는다.
한편, 운전자의 모드 및 송풍 선택에 따라 외기 모드로 자동으로 절환됨과 동시에 컴프레서가 강제로 구동되어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가 제거된 후에는 습기제거 동작을 종료하여야 한다.
이 경우 운전자가 송풍 선택부(20)의 위치를 오프상태로 하면 상술한 습기제거를 위한 외기 모드로의 자동절환 및 컴프레서의 강제구동은 종료되어 습기제거 동작은 종료되며, 운전자가 모드 선택부(10)의 모드를 운전자에게만 바람이 토출되도록 변경시키는 경우에도 습기제거 동작은 종료된다.
또한 상술한 방법 이외에 PCB 제어부(40)에 습기제거를 위한 동작 시간을 사전에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동안만 외기 모드로의 자동절환 및 컴프레서의 강제구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에 의하면,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되었을 때 운전자가 단지 모드 선택부를 디프로스트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푸트 모드로 선택하게 되면, 현재의 통풍 상태가 내기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외기 모드로 절환함과 동시에 컴프레서를 강제로 구동시켜 윈드실드로 바람을 토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윈드실드에 발생된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윈드실드에 습기가 발생된 경우 운전자가 디프로스트 모드, 디프로스트/푸트 모드 등을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운전자가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선택하는 송풍 선택부;
    운전자에 의한 상기 송풍 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동작되어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 팬;
    운전자에 의해 상기 모드 선택부와 송풍 선택부가 선택되면, 통풍 상태가 내기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외기 모드로 자동으로 절환시키도록 하는 절환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에어컨이 장착된 경우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B 제어부;
    상기 PCB 제어부에서 출력된 절환 제어신호에 따라 통풍 상태를 외기 모드로 절환시키는 내외기 통풍 구동부; 및
    상기 PCB 제어부에서 출력된 컴프레서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컴프레서를 구동시켜 찬바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컴프레서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KR2019980012578U 1998-07-09 1998-07-09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KR200000026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78U KR20000002659U (ko) 1998-07-09 1998-07-09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78U KR20000002659U (ko) 1998-07-09 1998-07-09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659U true KR20000002659U (ko) 2000-02-07

Family

ID=6951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578U KR20000002659U (ko) 1998-07-09 1998-07-09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65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70B1 (ko) * 2002-09-13 2008-1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0932076B1 (ko) * 2003-05-02 2009-12-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유리창의 습기 제거 장치
KR101077002B1 (ko) * 2003-02-10 2011-10-2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유리창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270B1 (ko) * 2002-09-13 2008-1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077002B1 (ko) * 2003-02-10 2011-10-2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유리창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32076B1 (ko) * 2003-05-02 2009-12-1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유리창의 습기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777B1 (ko) 윈드실드의 포그방지를 위한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293963B1 (ko)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KR20000002659U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습기제거장치
KR101222506B1 (ko)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20130120140A (ko) 자동온도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김서림 방지 시스템
JP200530606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43649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덕트 습기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1101U (ko) 자동차의 전면 유리 습기제거장치
JP2004255946A (ja) 自動車用防曇装置
KR20040099993A (ko) 자동차의 윈도우 자동 습기제거용 공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427216B1 (ko) 자동차의 글래스 결빙제거를 위한 공조제어장치 및 그방법
KR100852418B1 (ko) 자동차의 블로어 모터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KR100932076B1 (ko) 차량 유리창의 습기 제거 장치
KR200323196Y1 (ko) 차량제습회로
KR0153140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0224179B1 (ko) 효소감지 센서를 이용한 차량 청결장치
NL1028702C2 (nl) Anticondensvorming systemen t.b.v. ruiten van voertuigen.
KR100913013B1 (ko) 자동온도조절시스템을 이용한 차창의 김서림 방지방법
KR200167733Y1 (ko) 자동차용 내기 배출장치
KR100580012B1 (ko) 빛을 이용한 프론트 글라스 성에 제거 장치
KR0128032Y1 (ko) 자동차용 에어콘 취기 제거 장치
KR20030031220A (ko) 자동차의 디프로스팅 시스템
KR19990009469A (ko) 리어 디프로스터 시스템
KR19980065581U (ko) 리어 디프로스트 스위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